KR101797547B1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547B1
KR101797547B1 KR1020170063494A KR20170063494A KR101797547B1 KR 101797547 B1 KR101797547 B1 KR 101797547B1 KR 1020170063494 A KR1020170063494 A KR 1020170063494A KR 20170063494 A KR20170063494 A KR 20170063494A KR 101797547 B1 KR101797547 B1 KR 10179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se
underground pipe
pist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주)다은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은감리단 filed Critical (주)다은감리단
Priority to KR102017006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중배관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진압과 함께 케이스로부터 타격부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관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중배관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진압과 함께 케이스로부터 타격부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관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설치되는 도심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력선이 지중으로 매설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지중배전선은, 활선과 중성선을 갖추고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관을 따라 설치되며, 지상의 배전반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지중배전선은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처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5747호(2008.12.26.)에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는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시,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화재진압과 함께 지중배관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5747호(2008.12.26.)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중배관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진압과 함께 케이스로부터 타격부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관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W' 자 형상의 절단부(63)와 절단부(63)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연결부(61,62)를 갖추고서, 지지대(S)를 매개로 지중배관(30)에 내설되어,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활선(51)을 상호 연결하거나,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중성선(42)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중성선(52)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연결대(60);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는 소화분말 분사구(71b)와 분사구(71b)를 밀봉하는 마개(C)를 갖추고서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지중배관(30)의 축 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어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3)와, 케이스(71)에 내설되어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와이어(W)를 매개로 피스톤(72)에 연결되는 권취드럼(75a)과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를 갖추고서 케이스(71)에 설치되어 피스톤(72)의 동작을 제어하는 권취기구(75)를 포함하는 차단기구(70);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어, 배전반(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5b)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100); 소화가스가 충진된 소화가스저장탱크(113)와,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가스저장탱크(113)의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분사노즐(111)로의 소화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를 갖춘 소화기구(110); 및 피스톤(72)에 의해 가압 되어서 분사구(71b)를 통해 지중배관(30) 내부로 분사되도록 차단기구(70)의 케이스(71)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분말(E)로 구성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분사유도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도부(200)는, 상기 타격부(7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210); 상기 상부롤러(2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73)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바(220);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러(230); 및 상기 하부롤러(230)와 상기 마개(C)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롤러(210,230)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격부(73)가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바(220)를 가압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상기 마개(C)는, 상기 하부롤러(2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수단(240)의 당김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할 시, 지중배관을 따라 불길이 번져가지 않으며, 화재의 발생을 관리자가 즉각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화재진압과 함께 케이스로부터 타격부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지중배관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의 작용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서 분사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분사유도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75747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75747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75747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케이스로부터 소화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7574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대(60),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차단기구(70),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100),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는 소화기구(110) 및 차단기구(70)와 연동되어 차단기구(70)의 작동과 동시에 지중배관(30)으로 분사되는 소화분말(E)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전반케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저면이 지중배관(30)의 상단과 연통된다.
상기 배전반(20)은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각각의 부하로 배전하는 공지의 배전반으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중배관(30)은 사각 관 형상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와 연통된다.
지중배관(30)은 양측벽에 관통홀(31) 및 삽입부(32)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전반전력공급선(40)은 배전반(20) 내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지중배관(10) 내부로 인출되는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41)과 중성선(4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상기 외부전력공급선(50)은 지중배관(30) 내부에 내설되는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51)과 중성선(5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 보호받는다.
상기 연결대(60)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61)와, 외부전력공급선(50)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부(62)와, 제1연결부(61)와 제2연결부(62) 사이에 배치되는 'W' 자 형상의 절단부(63)으로 구성되어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지중배관(30)에는 다수의 지지대(S)가 내설되어, 연결대(6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즉, 각각의 지지대(S)는 일단이 지중배관(30)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연결부(61) 및 제2연결부(62)에 연결되어 차단기구(70)가 절단부(63)를 가압시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절단부(63)가 'W' 자 형상을 이루는 것은, 차단기구(70)가 절단부(63)를 가압할 시 절단부(63)가 꺾여지면서 절단부(63)의 연약부(f)가 절단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기구(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직선왕복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는 난연재질의 타격부(73)와,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피스톤(72)을 작동제어하는 권취기구(7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71)는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과 연통되는 연통홀(71a) 및 지중배관(30)을 관통하여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는 분사구(71b)를 갖추고서, 지중배관(30)의 외면과 맞닿도록 지중에 매설된다. 이때, 분사구(71b)는 연통홀(71a) 보다 하부에 형성되어 마개(C)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피스톤(72)은 지중배관(30)의 축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스프링(74)에 의해 지중배관(30)을 향해 탄발지지된다.
상기 타격부(73)는 각진 형상을 갖는 선단이 케이스(71)의 연통홀(71a) 및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케이스(71)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7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73)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74)은 일단이 케이스(71) 내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피스톤(72)에 고정되어, 피스톤(72)이 지중배관(30)을 향하도록 탄발지지한다.
상기 권취기구(75)는 권취드럼(75a)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로 구성되어 케이스(71)에 설치되는 보호케이스(G1)에 내설된다.
상기 권취드럼(75a)은 구동모터(75b)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5a)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W)를 감거나 푼다. 따라서, 권취드럼(75b)의 회전수에 따라 스프링(74)의 탄발력을 조절하여, 차단기구(70)의 타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일단이 타격부(73)에 연결되며, 타단이 케이스(71)와 보호케이스(G1)를 관통하여 권취드럼(75a)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W)는 타격부(73)를 당기면서 스프링(74)을 가압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통상의 화재감지센서로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화재감지센서(80)와 연결되며, 화재감시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권취기구(75)의 구동모터(75b)를 동작시켜, 권취드럼(75a)이 와이어(W)를 풀도록 한다.
상기 경보장치(100)는 별도로 마련된 상황실에 설치되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유닛(90)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면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외부에 알린다.
즉, 상기 경보장치(100)는 화재의 발생을 상황실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거나 음성적으로 알리기 위해 음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와 음성장치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구(110)는 내부에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케이스(G2)에 내설되는 소화가스저장탱크(113)와, 소화가스저장탱크(113)로부터 인출되어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노출되는 소화가스공급라인(114)과,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노출되도록 소화가스공급라인(114)의 선단에 연결되는 분사노즐(111)과, 소화가스공급라인(114)에 설치되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소화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화가스는 통상 소화기에 쓰이는 CO2 가스로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산소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배전반케이스(10) 내부 온도를 낮춰서,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차단기구(70)의 케이스(71)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쓰이는 소화분말(E)이 수용된다. 따라서, 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72)이 이동하면, 소화분말(E)은 케이스(71)의 분사구(71b)를 개방하면서 지중배관(30) 내부로 분사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전반(20)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80)는 제어유닛(90)으로 화재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은 권취기구(75)의 구동모터(75b)를 구동하여 와이어(W)를 푼다.
상기 와이어(W)가 풀어지면, 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해 타격부(73)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타격부(73)가 지중배관(30)을 수평으로 가로지른다.
이때, 상기 타격부(73)가 절단부(63)에 형성된 홈(h)에 닿으면서 절단부(63)를 좌측으로 밀고 들어가면, 연결대(60)의 제1연결부(61) 및 제2연결부(62)가 지지대(S)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연약부(f)가 끊어진다. 따라서, 배전반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다.
이때, 피스톤(72)에 의해 가압되는 소화분말(E)은 지중배관(30)에 분사된다. 따라서, 타격부(73)가 지중배관(30)을 폐쇄하기 전에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진행되면, 소화분말(E)에 의해 화염이 진화된다.
이후,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타격부(73)는 지중배관(30)의 삽입부(32)에 삽입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시켜 배전반(20)에 발생 된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배전반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된 화재감시센서(80)는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이 경보장치(100)에 제어신호를 보내, 경보장치(100)가 화재발생을 외부로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상황실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은, 소화기구(110)의 소화가스밸브(112)를 개방한다. 따라서, 소화가스저장탱크(113) 내의 소화가스가 분사노즐(111)을 통해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소화가스가 배전반케이스(10) 내부로 분사되면,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산소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소화가스의 비중이 커짐과 동시에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온도가 급강하하여 배전반케이스(10) 내부의 화염이 더 이상 번져나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는 누전 또는 방화에 의해 배전반(20)이나 배전반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않지 않으며, 배전반(20)으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타격부(73)가 지중배관(30) 내부를 폐쇄하기 전에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진행되더라도, 소화분말(E)의 분사를 통해 화염을 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분사유도부(2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분사유도부(2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마개(C)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스(71)로부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소화분말(E)의 배출을 통해 상기 타격부(73)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진압과 함께 지중배관(30)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유도부(200)는 상기 타격부(7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210), 상기 상부롤러(2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73)의 선단부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바(220),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러(230) 및 상기 하부롤러(230)와 상기 마개(C)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220)는 상기 상부롤러(21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부가 상기 상부롤러(2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타격부(73)의 선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타격부(73)의 인출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74)은 상기 케이싱(71)으로부터 상기 타격부(73)가 인출됨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회전바(2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마개(C)를 개방하는 한편, 상기 절단부(63)의 연약부(f)를 절단할 수 있는 정도의 탄발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바(220)는 상기 타격부(73)에 의해 전방 즉, 상기 연결대(6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바(220)는 상기 타격부(73)의 선단부에 의한 가압에 의해 회전되는 한편, 상기 타격부(73)의 선단부와 접촉이 해제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상부롤러(210)는 상기 타격부(7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바(220)로의 외압 즉, 상기 타격부(73)의 가압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하부롤러(230)는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상,하부롤러(210,230)는 기어형태를 이루면서 치형결합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230)는 상기 상부롤러(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롤러(210)의 회전에 따른 회전각도가 상기 상부롤러(210)보다 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마개(C)의 개방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수단(240)은 상기 하부롤러(230)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연결바(241,242) 및 상기 제1,2연결바(241,242)와 상기 마개(C)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줄(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연결바(241,24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롤러(23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연결바(241)는 상기 하부롤러(23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롤러(230)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바(242)는 상기 제1연결바(241)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롤러(23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바(241)는 상기 제2연결바(24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연결줄(243)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마개(C)의 상,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줄(243)은 상기 하부롤러(2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롤러(230)와 함께 회전하는 제1,2연결바(241,242)의 회전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마개(C)가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C)는 상기 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한 상기 피스톤(72)의 가압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연결줄(243)의 당김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분사구(71b)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분사유도부(2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과 함께 상기 피스톤(72)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타격부(73)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중배관(30)의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 : 배전반케이스 20: 배전반
30 : 지중배관 40 : 배전반전력공급선
50 : 외부전력공급선 60 : 연결대
70 : 차단기구 80 : 화재감지센서
90 : 제어유닛 100 : 경보장치
110 : 소화기구 200 : 분사유도부
210 : 상부롤러 220 : 회전바
230 : 하부롤러 240 : 연결수단
241 : 제1연결바 242 : 제2연결바
243 : 연결줄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배전반케이스(10);
    배전반케이스(10)에 내설되는 배전반(20);
    지중에 매설되어 배전반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W' 자 형상의 절단부(63)와 절단부(63)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연결부(61,62)를 갖추고서, 지지대(S)를 매개로 지중배관(30)에 내설되어,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활선(51)을 상호 연결하거나, 배전반전력공급선(40)의 중성선(42)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중성선(52)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연결대(60);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는 소화분말 분사구(71b)와 분사구(71b)를 밀봉하는 마개(C)를 갖추고서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지중배관(30)의 축 방향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72)과, 피스톤(72)에 설치되어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3)와, 케이스(71)에 내설되어 피스톤(7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74)과, 와이어(W)를 매개로 피스톤(72)에 연결되는 권취드럼(75a)과 권취드럼(75a)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5b)를 갖추고서 케이스(71)에 설치되어 피스톤(72)의 동작을 제어하는 권취기구(75)를 포함하는 차단기구(70);
    배전반케이스(10)에 설치되어, 배전반(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5b)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100);
    소화가스가 충진된 소화가스저장탱크(113)와, 배전반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가스저장탱크(113)의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과,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분사노즐(111)로의 소화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소화가스밸브(112)를 갖춘 소화기구(110); 및
    피스톤(72)에 의해 가압 되어서 분사구(71b)를 통해 지중배관(30) 내부로 분사되도록 차단기구(70)의 케이스(71)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분말(E)로 구성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분사유도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도부(200)는,
    상기 타격부(7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210);
    상기 상부롤러(2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73)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바(220);
    상기 상부롤러(210)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중배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러(230); 및
    상기 하부롤러(230)와 상기 마개(C)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롤러(210,230)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격부(73)가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바(220)를 가압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상기 마개(C)는,
    상기 하부롤러(2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연결수단(240)의 당김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170063494A 2017-05-23 2017-05-2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79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94A KR101797547B1 (ko) 2017-05-23 2017-05-2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94A KR101797547B1 (ko) 2017-05-23 2017-05-2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547B1 true KR101797547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494A KR101797547B1 (ko) 2017-05-23 2017-05-23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5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96B1 (ko) * 2017-12-20 2018-07-23 두양전기건설(주)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1935345B1 (ko)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KR101943369B1 (ko) * 2018-09-07 2019-01-29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1962367B1 (ko) * 2018-07-13 2019-03-28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KR102028901B1 (ko) * 2019-02-19 2019-10-07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안전케이스
KR102116761B1 (ko) * 2019-11-25 2020-06-0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2283850B1 (ko) * 2020-12-21 2021-08-02 대한기술단(주)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68B1 (ko) 2008-04-04 2008-06-30 정동복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100860372B1 (ko) 2008-04-04 2008-09-25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지중배전선의 연결대 차단장치
KR100860574B1 (ko) 2008-04-04 2008-09-26 (주)선운 이앤지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75747B1 (ko) 2008-04-04 2008-12-26 조영석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68B1 (ko) 2008-04-04 2008-06-30 정동복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100860372B1 (ko) 2008-04-04 2008-09-25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지중배전선의 연결대 차단장치
KR100860574B1 (ko) 2008-04-04 2008-09-26 (주)선운 이앤지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75747B1 (ko) 2008-04-04 2008-12-26 조영석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96B1 (ko) * 2017-12-20 2018-07-23 두양전기건설(주)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1962367B1 (ko) * 2018-07-13 2019-03-28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KR101935345B1 (ko)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KR101943369B1 (ko) * 2018-09-07 2019-01-29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2028901B1 (ko) * 2019-02-19 2019-10-07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안전케이스
KR102116761B1 (ko) * 2019-11-25 2020-06-0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2283850B1 (ko) * 2020-12-21 2021-08-02 대한기술단(주)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885834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1761723B1 (ko)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10090491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물
CN105771116B (zh) 一种电缆防火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100853034B1 (ko) 송배전을 위한 다전선 통전구조
KR100855096B1 (ko) 지중배전선의 통전용 연결대 차단장치
KR102156833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KR102377571B1 (ko)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KR101036021B1 (ko) 소방 설비의 기동장치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200402894Y1 (ko)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10204978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0860372B1 (ko) 지중배전선의 연결대 차단장치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0856498B1 (ko)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KR101880296B1 (ko)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CN104623831A (zh) 用于服务器机柜的智能灭火系统及装置
KR100842068B1 (ko)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