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761B1 -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761B1
KR102116761B1 KR1020190152223A KR20190152223A KR102116761B1 KR 102116761 B1 KR102116761 B1 KR 102116761B1 KR 1020190152223 A KR1020190152223 A KR 1020190152223A KR 20190152223 A KR20190152223 A KR 20190152223A KR 102116761 B1 KR102116761 B1 KR 10211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re
underground pipe
nut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제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5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른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시에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타격부가 지중배관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절단부의 빠른 절단과 함께 지중배관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화재가 확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Underground pipe opening closing apparatus for type diffusion prevention of fir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관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해당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른 배전시설물 화재차단용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시에 과부화 발생됨 없이 타격부가 지중배관과 시설물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연결부분 방향으로 원활하며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전원공급 차단을 위한 절단부의 빠른 절단과 함께 지중배관 시설물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용 전력선 설치(시설) 방식에는 지하 매설 방식에 의한 지중배관 방식과 공중에 설치하는 가공전선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설치되는 도심지에는 미관을 해치는 문제와 공간이용의 효율성 악화 문제 및 안전사고발생 문제 등에 의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근래에는 전력선을 지중배관을 이용하여 지중으로 매설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지중배전선은 활선과 중성선을 갖추고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관을 따라 설치되며, 지상의 전기시설물(또는 지중배관 시설물)로 연결되어 각각의 부하에 전력을 배전하므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지중배전선은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처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0574호(2008.09.26.)에는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는 타격부가 구동모터의 구동만으로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시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른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절단부의 빠른 절단과 함께 지중배관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0574호(2008.09.26.)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른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시에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타격부가 지중배관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절단부의 빠른 절단과 함께 지중배관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화재가 확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시설물(20); 지중에 매설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W' 자 형상의 절단부(63)와 상기 절단부(63)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연결부(61,62)를 갖추고서, 지지대(S)를 매개로 상기 지중배관(30)에 내설되어 상기 활선(41)과 활선(51)을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중성선(42)과 중성선(52)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연결대(60); 상기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스크류축(72)과, 상기 스크류축(7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3)와, 상기 스크류축(72)에 맞물려서 상기 스크류축(72)을 따라 직선왕복이동되는 너트(74)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상기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5)를 갖춘 차단기구(7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3)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 및 상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화재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장치(100)로 구성되는 배전관 계측 자동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73)의 초기 구동시,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너트(74)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타격부(75)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절단부(63)의 절단과 함께 상기 지중배관(30)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출유도부(200); 일측이 상기 지중배관(30)에 고정되는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케이스(71)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부(300); 및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73)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너트(74)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는 바퀴(210); 상기 스크류축(7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바(220); 하부가 상기 너트(7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바(2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판(230); 상기 이동판(230)과 상기 케이스(71)의 타측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40); 및 상기 스크류축(7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너트(74)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270)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70)은, 상기 스크류축(7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너트(74)의 하부로부터 상기 케이스(7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바(271); 및 상기 지지바(27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72)에 접하는 복수의 이물질제거모(272)를 포함하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시, 상기 너트(74)보다 먼저 상기 스크류축(72)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310);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상기 지지바(320)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330);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고정부재(3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완충관(340); 및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환기하는 환기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수단(350)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3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351);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320)의 내부를 통과하며, 배기팬(353)이 연결되는 배출관(352); 및 상기 케이스(7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400)는,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는 점검관(410); 상기 점검관(4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42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43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가 확대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렌즈(440); 및 상기 덮개(4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4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닫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에 따른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시에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타격부가 지중배관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절단부의 빠른 절단과 함께 지중배관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지중배관에 고정되는 케이스의 타측을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해 구동모터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에서의 화재 발생시, 케이스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타격부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구동모터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a에서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인출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인출유도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서 점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점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렌즈의 펼침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관 계측 자동화 개폐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시설물(20), 지중에 매설되어 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내부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대(60),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차단기구(70), 케이스(1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구(7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 및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는 화재감지센서(80)를 통한 자동 감지를 통해 시설물(20)에 화재가 발생할 시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지중배관(30)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개방된 상태의 상기 지중배관(30)을 차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저면이 지중배관(30)의 상단과 연통된다.
상기 시설물(20)은,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각각의 부하로 배전하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중배관(30)은, 사각 관 형상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케이스(10)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지중배관(30)은, 양측벽에 관통홀(31) 및 삽입부(32)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력공급선(40)은, 시설물(20) 내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지중배관(10) 내부로 인출되는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41)과 중성선(4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상기 외부전력공급선(50)은, 지중배관(30) 내부에 내설되는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된다. 이때, 활선(51)과 중성선(52)은 절연재질의 피복이 씌어져 외부요인으로 보호받는다.
상기 연결대(60)는, 내부전력공급선(40)을 구성하는 활선(4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61)와, 외부전력공급선(50)을 구성하는 활선(51)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62)와, 제1연결부(61)와 제2연결부(62) 사이에 배치되는 'W' 자 형상의 절단부(63)으로 구성되어, 내부전력공급선(40)의 활선(41)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활선(5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지중배관(30)에는 다수의 지지대(S)가 내설되어, 연결대(6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즉, 각각의 지지대(S)는 일단이 지중배관(30)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연결부(61) 및 제2연결부(62)에 각각 연결되어, 차단기구(70)가 절단부(63)를 가압시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절단부(63)가 'W' 자 형상을 이루는 것은, 차단기구(70)가 절단부(63)를 가압할 시 절단부(63)가 꺾여지면서 절단부(63)의 연약부(f)가 절단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약부(f)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63) 중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의한 상기 타격부(75)의 가압에 의해 효과적으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63)에는 원활한 절단을 위한 절단홈(f1)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약부(f)는 과열 등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와 함께 상기 절단홈(f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대(60)는, 내부전력공급선(40)의 중성선(42) 및 외부전력공급선(50)의 중성선(5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지지대(S)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절단기구(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스크류축(72)과, 스크류축(7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3)와, 스크류축(72)에 맞물려 스크류축(72)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는 너트(74)와, 너트(74)에 연결되어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71)는,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과 연통되는 연통홀(71a)을 갖추고서, 지중배관(30)의 외면과 맞닿도록 지중에 매설된다.
상기 스크류축(72)은, 케이스(71)에 내설되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체(J)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지지체(J)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스크류축(72)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케이스(71) 내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축(72)을 회전시킨다.
상기 너트(74)는, 케이스(71) 내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축(72)과 맞물려 직선왕복이동한다.
상기 타격부(75)는, 각진 형상을 갖는 선단이 케이스(71)의 연통홀(71a) 및 지중배관(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지중배관(30)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케이스(71) 내부로 인입되어 너트(74)에 연결된다. 따라서, 타격부(75)는 스크류축(72)을 따라 직선왕복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75)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통상의 화재감지센서로서,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화재감지센서(80)와 연결되며, 화재감시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모터(73)를 구동시켜 상기 타격부(75)가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경보장치(100)는, 별도로 마련된 상황실에 설치되며, 제어유닛(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유닛(90)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면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외부에 알린다.
즉, 상기 경보장치(100)는, 화재의 발생을 상황실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거나 음성적으로 알리기 위해 음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와 음성장치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시설물(20)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80)는 제어유닛(90)으로 화재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은 구동모터(73)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73)가 작동하면, 스크류축(72)이 회전하면서 너트(74)를 구비한 타격부(75)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지중배관(30)을 수평으로 가로지른다.
이때, 상기 타격부(75)가 절단부(63)에 형성된 홈(h)에 닿으면서 절단부(63)를 좌측으로 밀고 들어가면, 연결대(60)의 제1연결부(61) 및 제2연결부(62)가 지지대(S)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연약부(f)가 끊어진다. 따라서, 내부전력공급선(40)과 외부전력공급선(50)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다.
이후,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타격부(75)는 지중배관(30)의 삽입부(32)에 삽입되면서 지중배관(30)을 밀폐시켜 시설물(20)에 발생 된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면, 케이스(10)에 설치된 화재감시센서(80)는 화재신호를 제어유닛(90)에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90)이 경보장치(100)에 제어신호를 보내, 경보장치(100)가 화재발생을 외부로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상황실에 있는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는, 누전 또는 방화에 의해 시설물(20)이나 케이스(10)에 화재가 발생하더도, 화염이 지중배관(30)을 따라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라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타격부(75)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인출유도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출유도부(12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73)의 초기 구동시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너트(74)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중배관(30)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시 상기 제어유닛(9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너트(74)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바닥에 접하는 바퀴(210), 양단부가 상기 스크류축(7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축(7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바(220), 하부가 상기 너트(7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바(220)에 상기 가이드바(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판(230) 및 상기 이동판(230)과 상기 케이스(71)의 타측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판(230)을 상기 케이스(71)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210)는 상기 너트(74)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74)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바(220)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크류축(72)과 평행을 이룬다.
상기 이동판(230)은 하부가 상기 너트(74)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라 상기 너트(74)와 함께 상기 스크류축(7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판(230)에는 통공(231)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바(22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시, 상기 이동판(23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이동판(230)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타격부(75)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시 상기 너트(74)를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73)의 초기 구동시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너트(74)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가이드바(22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50)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라 상기 너트(74)가 상기 케이스(71)의 일측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스프링(240)과 상기 케이싱(71)의 타측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2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보호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60)는 일단부에 상기 스프링(240)이 인입되는 홈부(261)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240)이 상기 보호부재(26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스크류축(7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너트(74)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70)은 상기 스크류축(7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너트(74)의 하부로부터 상기 케이스(7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바(271) 및 상기 지지바(27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72)에 접하는 복수의 이물질제거모(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71)는 상기 지지체(J)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타격부(75)의 진행이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제거모(272)는 섬유 등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축(72)과의 접촉시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스크류축(72)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히거나, 접촉에 의해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70)은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너트(7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류축(72)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너트(74)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한다.
즉,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70)은 상기 너트(74)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너트(74)보다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시, 상기 너트(74)보다 먼저 상기 스크류축(72)을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상기 너트(74)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74)의 진행방향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73)의 초기 구동시 과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타격부(75)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절단부(63)의 원활한 절단과 함께 상기 지중배관(30)이 빠르게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71)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일측이 상기 지중배관(30)에 고정되는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케이스(71)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310),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상기 지지바(320)의 타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330),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고정부재(3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완충관(340)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케이스(10)의 타측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바(320)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에 연결되는 수평바(321)와 일단부가 상기 수평바(321)의 타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310)을 통과하는 수직바(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바(322)는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바(32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바(32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완충관(340)으로 밀착되거나, 상기 완충관(340)으로 밀착해제될 수 있다.
상기 완충관(34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으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코일 형태의 와이어(미도시)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완충관(340)은 상,하부 사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항아리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력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완충관(340)은 상기 지지판(310)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330)를 지지하면서 일측이 상기 지중배관(30)에 고정되는 상기 지중배관(30)의 타측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한다.
상기 지지바(32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환기하는 환기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수단(350)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습기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고장과 함께 상기 스크류축(72)의 부식 및 상기 스프링(240)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한다.
상기 환기수단(350)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32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입관(351) 및 배출관(352), 상기 배출관(352)에 연결되는 배기팬(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수단(350)은 상기 케이스(7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팬(353)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51)으로는 흡인팬이나 컴프레샤 등을 포함하는 에어공급장치(35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케이스(71)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습기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고장과 함께 상기 스크류축(72)의 부식 및 상기 스프링(240)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부(400)는 평상시,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73)의 상태 등이 체크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시 다시 말하면, 긴급 상황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부(400)는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는 점검관(410), 상기 점검관(4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42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43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가 확대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렌즈(440) 및 상기 덮개(4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450)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관(410)는 원형관이나 사각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점검관(410)은 하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지상에서 상기 케이스(71)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점검관(410)은 상기 케이스(71)의 길이나 크기 등에 따라 상부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420)는 개방된 점검관(410)의 상부를 차단하며, 경첩 등에 의해 상기 점검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점검관(410)을 개폐한다.
상기 램프(430)는 엘이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상기 램프(430)는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점검관(4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센서(450)는 상기 덮개(420)와 접하거나 이격됨에 따른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감지센서(450)는 상기 덮개(420)의 개방에 따라 개방 감지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덮개(420)의 닫힘에 따라 닫힘 감지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닫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소등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440)는 상기 점검관(410)의 내부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필요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상기 렌즈(440)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가 경첩(441) 등에 의해 상기 점검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렌즈(440)는 펼쳐짐에 따라 상부가 상기 점검관(410)의 타측면에 접하면서 회동이 정지되는 한편,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렌즈(440)는 상부에 완충패드(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점검관(410)과의 접촉에 따른 파손 등이 방지되는 한편, 안정적인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440)는 접힘에 따라 상기 점검관(410)의 일측면과 대략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점검부(400)는 접이된 상기 렌즈(440)를 상기 점검관(4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460)은 자석(46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이된 상태의 상기 렌즈(440)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440)와 상기 점검관(410)이 상호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점검부(400)는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해 평상시 상기 구동모터(73) 등에 대한 체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시 다시 말하면, 긴급 상황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스 20: 배전반
30 : 지중배관 40 : 내부전력공급선
50 : 외부전력공급선 60 : 연결대
70 : 차단기구 80 : 화재감지센서
90 : 제어유닛 100 : 경보장치
200 : 인출유도부 210 : 바퀴
220 : 가이드바 230 : 이동판
240 : 스프링 250 : 완충부재
260 : 보호부재 270 : 이물질제거수단
300 : 지지부 310 : 지지판
320 : 지지바 330 : 고정부재
340 : 완충관 350 : 환기수단
400 : 점검부 410 : 점검관
420 : 덮개 430 : 램프
440 : 렌즈 450 : 개폐감지센서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시설물(20);
    지중에 매설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에 연통되는 절연재질의 지중배관(30);
    활선(41)과 중성선(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배관(3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전력공급선(40);
    활선(51)과 중성선(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배관(30)에 내설되는 외부전력공급선(50);
    'W' 자 형상의 절단부(63)와 상기 절단부(63)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연결부(61,62)를 갖추고서, 지지대(S)를 매개로 상기 지중배관(30)에 내설되어 상기 활선(41)과 활선(51)을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중성선(42)과 중성선(52)을 상호 연결하는 전도체 재질의 연결대(60);
    상기 지중배관(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스크류축(72)과, 상기 스크류축(7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3)와, 상기 스크류축(72)에 맞물려서 상기 스크류축(72)을 따라 직선왕복이동되는 너트(74)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대(60)를 절단하면서 상기 지중배관(30)을 밀폐하는 난연재의 타격부(75)를 갖춘 차단기구(70);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시설물(2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의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단기구(70)의 구동모터(73)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90)으로 구성되는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80)의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73)의 초기 구동시, 과부화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너트(74)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71)로부터 상기 타격부(75)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절단부(63)의 절단과 함께 상기 지중배관(30)에 대한 밀폐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출유도부(200);
    일측이 상기 지중배관(30)에 고정되는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케이스(71)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부(300); 및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73)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63)는,
    'W' 자 형상으로 꺾이면서 상기 차단기구(70)의 가압에 의해 절단되는 연약부(f)를 형성하되, 상기 연약부(f)는 상기 타격부(75)의 가압에 의한 원활한 절단을 위해 상기 절단부(63) 중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한편, 절단홈(f1)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유도부(200)는,
    상기 너트(74)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는 바퀴(210);
    상기 스크류축(7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71)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바(220);
    하부가 상기 너트(7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바(2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판(230);
    상기 이동판(230)과 상기 케이스(71)의 타측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너트(74)를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시, 과부하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너트(74)가 상기 지중배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스프링(240); 및
    상기 스프링(240)과 상기 케이스(71)의 타측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2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일단부에 홈부(261)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240)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260); 및
    상기 스크류축(7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너트(74)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수단(270)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70)은,
    상기 스크류축(7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너트(74)의 하부로부터 상기 케이스(7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바(271); 및
    상기 지지바(27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72)에 접하는 복수의 이물질제거모(272)를 포함하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시, 상기 이물질제거모(272)가 상기 너트(74)보다 먼저 상기 스크류축(72)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310);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상기 지지바(320)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330);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고정부재(3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완충관(340); 및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71) 내부를 환기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고장을 방지하는 환기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관(340)은,
    상,하부 사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항아리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수축,이완되며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환기수단(350)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3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351);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320)의 내부를 통과하며, 배기팬(353)이 연결되는 배출관(352); 및
    상기 케이스(7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400)는,
    하부가 상기 케이스(71)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지상에서 상기 케이스(71)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관(410);
    상기 점검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점검관(410)을 개폐하는 덮개(42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430);
    상기 케이스(71)의 내부가 확대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렌즈(440);
    상기 덮개(4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450); 및
    접이된 상기 렌즈(440)를 상기 점검관(4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46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440)는,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가 경첩(441)에 의해 상기 점검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점검관(410)의 타측면에 접하면서 회동이 정지되며 펴지고,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습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팬(353)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폐감지센서(450)의 닫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430)가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20190152223A 2019-11-25 2019-11-25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211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23A KR102116761B1 (ko) 2019-11-25 2019-11-25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23A KR102116761B1 (ko) 2019-11-25 2019-11-25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761B1 true KR102116761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23A KR102116761B1 (ko) 2019-11-25 2019-11-25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17B1 (ko) * 2021-01-12 2021-07-30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댐퍼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7B1 (ko) * 2008-04-04 2008-06-30 유환홍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100860574B1 (ko) 2008-04-04 2008-09-26 (주)선운 이앤지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69692B1 (ko) * 2008-04-08 2008-11-21 (주)하림기술단 지중 케이블배관의 침수점검장치
KR20120007989U (ko) * 2012-10-15 2012-11-23 고길규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KR101797547B1 (ko) * 2017-05-23 2017-11-16 (주)다은감리단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7B1 (ko) * 2008-04-04 2008-06-30 유환홍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100860574B1 (ko) 2008-04-04 2008-09-26 (주)선운 이앤지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69692B1 (ko) * 2008-04-08 2008-11-21 (주)하림기술단 지중 케이블배관의 침수점검장치
KR20120007989U (ko) * 2012-10-15 2012-11-23 고길규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KR101797547B1 (ko) * 2017-05-23 2017-11-16 (주)다은감리단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17B1 (ko) * 2021-01-12 2021-07-30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댐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345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116761B1 (ko)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1571772B1 (ko) 화재 진압 또는 비상 예보 시스템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035693B1 (ko)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전용 커넥터
CA2297379A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205003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2320242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200464421Y1 (ko)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0867210B1 (ko) 지중배전용 전선보호관 이음구조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0561754B1 (ko)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MX2010012187A (es) Interruptor a tierra electrica para el servicio en un edificio.
KR100860372B1 (ko) 지중배전선의 연결대 차단장치
KR100856498B1 (ko) 지중 배전선 연결 차단장치
KR100842068B1 (ko)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