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21Y1 -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21Y1
KR200464421Y1 KR2020100003196U KR20100003196U KR200464421Y1 KR 200464421 Y1 KR200464421 Y1 KR 200464421Y1 KR 2020100003196 U KR2020100003196 U KR 2020100003196U KR 20100003196 U KR20100003196 U KR 20100003196U KR 200464421 Y1 KR200464421 Y1 KR 200464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wire
shutter
proximity sens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99U (ko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2020100003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2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단바의 위치인식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슬릿홈(21)에 인접한 전면(25)에 형성된 전선삽입구(26)를 구비한 가이드레일(2)과; 하단바(7)에 결합되고 자석(42)과 홀더판(41)으로 구성된 자석뭉치(4)와; 가이드레일 홈통(22)에 내장되고 근접센서와 연동제어기(8)를 연결하는 전선케이블(3)과; 가이드레일의 전면(25)에 결합되고, 자력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비접촉 근접센서와 센서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LED를 플라스틱으로 몰딩한 근접센서뭉치(5)와; 전선케이블을 가이드레일의 홈통내면에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와이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은 하단바의 위치를 직접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세팅의 편리성과 인력절감, 그리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화재 시 발생되는 유독연기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고, 정전으로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도 패닉상태의 대피 자들이 방화셔터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방화셔터, 가이드레일, 근접센서, LED, 스크린방화셔터

Description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A Guide rail of shutter }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스크린 및 스라트와 일체화된 하단바를 상하로 동작하도록 지지하면서 하단바의 바닥접촉위치를 인식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하단바 위치인식장치를 구비한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 및 화염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화셔터는, 도1과 도5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스크린 및 스라트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셔터전동개폐기(또는 구동모터(1))와; 셔터전동개폐기에 부착된 리미트장치(9)와; 측판(11)에 결합되고 셔터박스에 내장되어 결합된 스크린 및 스라트를 감아올리거나 펼치는 롤러파이프(12)와; 연동제어기; 피난문(14)을 구비하고 상단은 롤러파이프에 하단부는 하단바에 결합되어 방화막을 형성하는 스크린 및 스라트(Slat)(13)와; 방화막을 형성하기위해 스크린 및 스라트의 하단에 결합된 슬릿홈삽입판과 슬릿홈삽입판의 휨 방지와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판재가 결합된 T 형상의 하단바(7)와; 스크린 및 스라트가 상하로 동작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5,2)로 구성된다.
방화셔터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5,2)은 스크린 및 스라트의 좌우측 끝단과 하단에 결합된 하단바의 슬릿홈삽입판의 좌우끝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동작하게 하며, 화재 시 발생되는 음압 또는 양압에 의해 스크린 및 스라트가 과도하게 부풀어 오름을 방지하고. 스크린 및 스라트의 좌우 끝단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방화셔터의 방화막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위해서 양면이 도금처리 되고 두께가 약1.5mm인 철판을 폭 10-20mm의 슬릿홈(21)과 스크린 및 스라트 면을 보호하기위해 일정폭의 슬릿면(24)과 홈통(22)이 형성되도록 절곡하고, 슬릿홈에 삽입된 스크린 및 스라트와 슬릿면 사이의 틈새를 없애기 위한 내화천인 가스켓(23)이 홈통을 형성하기위해 굽혀진 일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크린 및 스라트가 상하로 동작하는 기동력을 제공하는 종래의 셔터전동개폐기(9)는 감속기어부(92)와, 모터부(93)와, 모터가 기동 후 정지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역회전됨을 방지하는 전자브레이크부(94)와, 기계식 리미트장치(91)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리미트장치는 상하로 동작하는 하단바의 위치를 인식함에 있어서, 셔터전동개폐기의 감속기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크류바에 결합된 스크류 너트가 좌우로 움직여 스위치를 작동시켜 회로를 개폐하는 기계식 리미트장치(91)와; 연동제어기에서 모터회전수를 카운터하여 하단바의 위치를 인식하는 모터회전수 카운터방식으로 대별된다.
상기한 기계식 리미트장치는 감속기축의 회전수를 이용한 리미트위치 인식 방식이며, 방화셔터를 설치한 후, 협소한 점검창을 통해서 셔터전동개폐기에 부착된 리미트장치의 스크류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단위치와 ,중간정지 위치, 바닥접촉 위치를 세팅해야하며, 점검창에서 세팅하는 자와 하단바의 위치를 확인하는 보조자 등 추가 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모터회전수 카운터방식은 기계식 리미트장치보다 롤러파이프의 회전분해능이 높아서 정밀한 리미트 제어가 가능하고, 연동제어기를 조작하면서 상단위치, 중간위치, 바닥접촉위치 등을 세팅할 수 있어 편리하나;
전자브레이크의 마찰패드가 마모됨으로 인해 스크린 및 스라트가 하강 중 모터가 정지될 경우 스크린 및 스라트의 자중에 의한 밀림현상이 발생함으로서 초기 설정된 카운터 값을 초과하여 정지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러한 결과가 누적됨으로서 초기에 설정된 리미트값을 재설정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철재 방화셔터가 아닌 스크린방화셔터는 내화코팅된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서 건물내부의 습도에 의한 신축성발생과, 롤러파이프에 감기는 상태에 따라서 모터의 회전수를 정확히 카운터 하더라도 하단바가 정지하는 위치가 부정확하여 바닥면과 하단바간 틈이 발생하거나, 스크린 및 스라트가 너무 풀려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화셔터 보수관리 및 리미트값 재설정이 요구되는 문재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하단바에 대한 위치인식이 부정확하여 발생되는 현상으로서 하단바가 바닥면에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유독한 연기가 바닥과 하단바 틈새로 새어나오고, 하단바가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스크린 및 스라트가 과도하게 풀리면 스크린의 경우는 자중을 상실하여 음. 양압을 동반한 화염에 의해 일 방향으 로 심하게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가이드레일의 슬릿홈에 삽입된 스크린의 양 끝단이 이탈되어 방화셔터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방화셔터에 있어서 스크린 및 스라트가 자중이 실려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하단바가 바닥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모터를 정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구동모터 축의 회전력 또는 감속기축의 회전력을 이용한 하단바의 위치인식 방식이 아닌 하단바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인식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하단바의 위치를 직접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바닥면과 정확히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정지하도록 하며; 위치인식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는 비접촉 센서들을 사용하고 설치의 간편성 제고와; 화재 시 패닉상태의 대피 자들을 방화셔터 위치로 유도하는 기능과 하단바 위치인식장치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되도록 한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슬릿홈(21)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25)에 천공된 전선삽입구(26)를 구비한 가이드레일(2)과; 하단바(7)의 슬릿홈삽입판에 결합되고 자석(42)과 홀더판(41)으로 구성된 자석뭉치(4)와; 가이드레일의 홈통(22)에 내장되고 근접센서뭉치와 연동제어기(8)를 연결시키는 전선케이블(3)과;
초음파근접센서(52)와, 자석뭉치의 위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 와, 광확산판을 구비하고 위치인식회로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LED 발광회로와, 전선케이블 상태를 알려주는 LED발광회로 등을 수납한 플라스틱 몰딩체로 가이드레일의 전면(25)에 결합되는 근접센서뭉치(5)와;
전선케이블을 가이드레일의 홈통내면에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와이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은 하단바의 위치를 직접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위치인식회로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LED발광회로의 LED상태를 보면서 바닥면에 접촉된 하단바의 자석뭉치의 상하위치조절을 할 수 있어 세팅의 편리성과 인력절감 그리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화재 시 발생되는 유독연기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고, 정전으로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도 패닉상태의 대피 자들이 방화셔터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유도기능을 수행하는 광확산판을 LED발광회로가 구비함으로서 대피구를 신속히 발견하지 못해 발생되는 인명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스크린방화셔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의 요부를 이루고 플라스틱으로 몰딩된 하단바 위치인식센서뭉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 한 상태와, 전선케이블과 결합된 설치와이어가 홈통 내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의 설치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2에서 도시된 플라스틱으로 몰딩된 근접센서뭉치의 회로도이며, 도5는 종래의 셔터전동개폐기에 결합된 기계식 리미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가이드레일(2)은 슬릿홈(21)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25)에 전선삽입구(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선삽입구는 바닥면과 인접한 최 하단 전면에 형성하고, 필요시 가이드레일의 최상단 전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약 1.8M 높이를 이루는 중간지점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삽입구가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벽 마감처리 시 벽 마감면의 일부로서 노출면을 형성하는 것이 전면(25)으로서 전선삽입구 부위에 결합되는 근접센서뭉치가 벽 마감재로부터 매립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광확산판을 이용한 발광 LED 인식범위를 확대함은 물론 자석뭉치와 마주보는 간격유지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자석뭉치(4)는 하단바(7)의 슬롯홈삽입판에 볼트로 결합 일체화되고, 자석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초음파센서의 초음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홀더판(41)과; 자력으로 근접센서뭉치의 리이드스위치(51,511)를 동작시키는 자석(42)으로 구성되며, 홀더판을 상하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잔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근접센서뭉치(5)는 초음파근접센서(52)와, 자석뭉치의 위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와, 광확산판을 구비하고 위치인식회로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LED 발광회로와, 전선케이블 상태를 알려주는 LED발광회로 등을 수납한 플라스틱 몰딩체로 가이드레일의 전면(25)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근접센서뭉치를 플라스틱으로 몰딩하는 것은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 및 전선케이블과 광확산판을 고정하면서, 습기 및 먼지 등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고 센서의 파손을 방지 및 절연시키며, 진동 및 충격에 접촉 불량과 단선을 예방함으로서 신뢰성을 제고하기위해서 이다.
상기한 자석뭉치의 위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연동제어기의 마이컴에 입력신호(57)를 가할 때 과전류로 인해 마이컴의 파손을 방지하는 저항을 구비한 입력 풀업(pull up)회로에서 접지(-)선과 풀업회로 사이에 연결된 리이드스위치(51)와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리이드스위치는 자석뭉치와 마주대하는 몰딩체 면에 인접하여 수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광확산판을 구비하고 위치인식회로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LED 발광회로는 자석뭉치에 의해 단락되는 리이드스위치(51)와 더불어 동시에 단락된 리드스위치(511)는 DC 5V 전원공급선과 저항에 연결되고, 저항과 접지(-)선에 결합되어 발광하는 LED(54)로 구성되며,
하단바가 바닥면에 접촉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인식 할 수 있음은 물론, 몰딩체의 일면에 부착된 반구형상의 광확산판은 LED의 지향성 빛을 넓은 범위로 확산하여 패닉상태의 대피 자들이 확산된 빛을 보고 방화셔터의 위치를 인식하여 방화셔터로 신속히 접근하여 피난문(14)을 통해서 대피가 가능하도록 대피자유도기능도 갖는다.
또한 플라스틱 몰딩 체에 수납된 전선케이블 상태를 알려주는 LED 발광회로는, DC5V 전원공급선에 연결된 저항과 접지(-)선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LED(53)로 구성되어 전선케이블의 단선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케 한다.
상기한 초음파 근접센서(52)는 초음파 송수신면이 자석뭉치와 마주하는 몰딩체 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수납되고; 위치인식의 정밀도 제고와, 리이드스위치의 기능 마비 시에도 작동이 되는 예비센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설치와이어(6)는 자력에 의해 홈통(22)내면에 밀착하려는 자석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선케이블을 홈통 내면에 팽팽한 상태로 밀착결합 시키며; 협소한 홈통내부로 전선케이블을 설치하기위해 전선케이블을 끌어당길 때와, 제거하기위해 끌어당길 때에도 전선에 인장력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치와이어는 양 끝단에 일체화된 링고리(65)를 구비하고, 직경이 1-2mm 이고 구부림이 가능한 와이어로프(6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플라스틱 몰딩으로 와이어로프와 결합 일체화된 자석홀더(62)와; 자석홀더에 삽입되어 일체화되고, 가이드레일 홈통 내면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자석(63)과; 와이어로프와 전선케이블(3)을 결합시키는 압착링(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와이어로프(61)의 역할은 전선케이블을 설치 또는 제거 시 전선케이블 대신 끌어당길 수 있는, 즉 홈통내면에 밀착된 자석홀더들을 원하는 지점까지 당길 수 있는 수단으로서 모든 인장력은 와이어로프에 집중 발생하게 하여 전선케 이블의 파손 및 피복의 손상을 방지 한다.
압착링에 의해 와이어로프에 결합되는 전선케이블(3)은 근접센서뭉치와 연동제어기(8)를 연결하여 전원공급과 센서동작 신호를 연동제어기의 마이컴 입력단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커넥터(3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선케이블(3)을 홈통내면에 밀착하여 팽팽하게 결합시켜야하는 이유는 고정되지 않은 전선케이블이 슬릿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하단바의 활동영역을 침범할 경우, 이로 인해 하단바의 자중에 의해 전선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어 쇼트가 발생될 경우에 구동모터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전선케이블을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스크린방화셔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의 요부를 이루고 플라스틱으로 몰딩된 하단바 위치인식센서뭉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상태와, 전선케이블과 설치와이어가 홈통 내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의 설치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2에서 도시된 플라스틱으로 몰딩된 근접센서뭉치의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셔터전동개폐기에 결합된 기계식리미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구동모터 11 : 측판
12 : 롤러 13 : 스크린
14 : 피난문 15 : 가이드레일
2 : 가이드레일 21 : 슬릿홈
22 : 홈통 23 : 가스켓
24 : 슬릿면 25 : 전면
26 : 전선삽입구
3 : 전선케이블 31 : 커넥터
4 : 자석뭉치 5 : 근접센서뭉치
51,511: 리이드스위치 52 : 초음파 근접센서
53,54 : LED
6 : 설치와이어 61 : 와이어로프
62 : 홀더 판 63 : 자석
64 : 압착 링 65 : 링 고리
7 : 하단바 8 : 연동제어기
9 : 셔터전동개폐기 91: 기계식 리미트장치

Claims (3)

  1. 가이드레일(2)과; 방화셔터의 하단바(7)에 결합되는 자석뭉치(4)와; 설치와이어에 결합되어 홈통(22)에 내장되고 근접센서뭉치와 연동제어기(8)를 연결하는 전선케이블(3)과; 초음파근접센서(52)와, 자석뭉치의 위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와, 광확산판을 구비하고 위치인식회로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LED 발광회로와, 전선케이블 상태를 알려주는 LED 회로를 수납한 플라스틱 몰딩체로 가이드레일의 전면(25)결합되는 근접센서뭉치(5)와; 가이드레일의 홈통(22)에 결합된 전선케이블을 보호하는 설치와이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슬릿홈(21)과 수직을 이루고, 전선삽입구(26)가 형성된 가이드레일의 전면(25)에 근접센서뭉치(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와이어는 양 끝단에 링고리(65)를 구비한 와이어로프(6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와이어로프를 내장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자석홀더(62)와; 자석홀더에 삽입되는 자석(63)과; 와이어로프에 전선케이블(3)을 결합시키는 압착링(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KR2020100003196U 2010-03-29 2010-03-29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KR200464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96U KR200464421Y1 (ko) 2010-03-29 2010-03-29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96U KR200464421Y1 (ko) 2010-03-29 2010-03-29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99U KR20110009399U (ko) 2011-10-06
KR200464421Y1 true KR200464421Y1 (ko) 2012-12-31

Family

ID=4559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96U KR200464421Y1 (ko) 2010-03-29 2010-03-29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52B1 (ko) * 2014-05-09 2014-09-11 주식회사 주일기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82835B1 (ko) 2022-07-20 2022-12-28 김태진 방화스크린셔터의 가이드레일 보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44B1 (ko) * 2012-01-27 2013-06-21 은진영 현장조립용 셔터의 가이드레일
CN106193971A (zh) * 2016-07-28 2016-12-07 苏州信利昌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擦碰提示卷帘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03A (ja) 2003-06-05 2004-12-24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2006070483A (ja) 2004-08-31 2006-03-16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防火シャッ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03A (ja) 2003-06-05 2004-12-24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2006070483A (ja) 2004-08-31 2006-03-16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防火シャッタ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52B1 (ko) * 2014-05-09 2014-09-11 주식회사 주일기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82835B1 (ko) 2022-07-20 2022-12-28 김태진 방화스크린셔터의 가이드레일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99U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421Y1 (ko)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US8016017B2 (en) Barrie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including vapor and/or fire barrier systems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JP2013159911A (ja) 開口部用防水装置
KR101845861B1 (ko) Cctv 자동 및 수동 승강장치
KR20090023572A (ko) 전동식 셔터의 장해물 검지 장치 및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
KR100900738B1 (ko) 셔터 구조
JP5107755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4851172B2 (ja) 開閉装置の物体感知構造
KR20060040092A (ko) 방화셔터
KR102116761B1 (ko)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JP4833612B2 (ja) 開閉装置
JP7057116B2 (ja) 開閉体装置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034384B1 (ko) 비상용 방화 셔터
JP6504884B2 (ja) 巻上げ装置
JP2007063937A (ja) 幕体開閉装置及び幕体開閉制御方法
KR100460540B1 (ko)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JP2019152064A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15151824A (ja) シャッター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19190149A (ja) 防水扉
KR102012223B1 (ko) 공동주택용 와이어 차량 진출입장치
JP2019190150A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2551169B1 (ko) 차광막이 설치된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