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300B1 -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300B1
KR101377300B1 KR1020130093656A KR20130093656A KR101377300B1 KR 101377300 B1 KR101377300 B1 KR 101377300B1 KR 1020130093656 A KR1020130093656 A KR 1020130093656A KR 20130093656 A KR20130093656 A KR 20130093656A KR 101377300 B1 KR101377300 B1 KR 10137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window
closing
open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우 filed Critical 박준우
Priority to KR102013009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출입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을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체인모듈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과 상기 체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듈의 회전력을 상기 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모듈에는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를 감지하는 개방 감지스위치와 상기 창문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 감지스위치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체인의 후단부를 감지하고, 상기 폐쇄 감지스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체인과 상기 창문이 결합된 영역인 전단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구성의 오동작,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하고,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 개폐에 대한 감지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Device with switch to easily sense opening and closing status}
본 발명은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동 창문 개폐장치에서 창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구조를 개선한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공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독한 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관련 법규에 의해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보통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의 도어와 창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이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의 공기압보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연기를 포함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난 경로 내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 가능하게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창문 개폐 장치와,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통로를 개방하고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부와,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와, 이러한 각종 장치 내지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파트 등의 각 세대 중 어느 한 곳에서 센서 등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창문을 폐쇄하고, 급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여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방화용 도어를 폐쇄하여 화재 발생 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전실을 제연구역으로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은 밀폐된 상태로 조성됨과 더불어 급기부의 급기 작용에 의해 제연구역의 내압이 일정 압력(예를 들면, 40Pa ~ 60Pa)이상으로 상승된다. 이에, 실내공간의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 창문 개폐장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1995-0014520호 (1995. 06. 16)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창문 개폐장치에서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특히 창문이 폐쇄된 상태인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닫힘용 리미트스위치가 체인의 후단부를 감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체인의 누적 공차, 체인 가이드와 체인의 공차, 체인 가이드의 곡률 반경 오차, 스프로킷과의 맞물림 오차 등으로 인해 창문의 폐쇄 상태를 오차없이 감지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의 개폐를 오차없이 감지하고, 부품의 오동작,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 개폐에 대한 감지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고장, 수리 등을 줄여 수명을 증대시키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창문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출입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을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체인모듈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체인에서 상기 창문과 결합되는 일단 영역인 전단부에 마련된 폐쇄 표시부재와, 상기 체인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표시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폐쇄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폐쇄 감지스위치와; 상기 체인에서 상기 전단부와 대향되는 타단 영역인 후단부에 마련된 개방 표시부재, 상기 체인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체인의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 표시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개방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개방 감지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체인의 길이에 따른 공차, 상기 체인과 결합되는 부품과의 결합 또는 안내하거나 구부러지면서 발생되는 공차를 포함하는 편차를 예방하여 상기 창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의 전단부는 전방 어태치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후단부는 후방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 표시부재는 체인에 결합된 후방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감지부재는 후방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쇄 표시부재는 체인에 결합된 전방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감지부재는 전방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구성의 오동작,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하고,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 개폐에 대한 감지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고장, 수리 등을 줄여 수명을 증대시키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창문 개폐장치가 창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창문개폐장치의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및 체인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체인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감지스위치의 기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체인이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와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100, 이하에서 ‘창문 개폐장치’라 한다)을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창문 개폐장치가 창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개폐장치의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및 체인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체인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감지스위치의 기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체인이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와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의 좌표를 구동모듈(120)과 동력전달모듈(130) 및 체인모듈(150)의 길이방향인 도 3의 좌우방향을 ‘X’ 방향, 도 3의 전후방향을 ‘Z’ 방향, 도 3의 상하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한다.
창문 개폐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1)이 지지되는 창문틀(13)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창문(11)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11)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체인(151)과; 상기 체인(151)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51)을 출입시키는 스프로킷(153)과 상기 체인(151)을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체인모듈(150)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체인(15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23)와, 상기 모터(123)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기(125)를 포함하는 구동모듈(120)과; 상기 구동모듈(120)과 상기 체인(151)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듈(120)의 회전력을 상기 스프로킷(153)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동력전달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모듈(150)에는 상기 창문(11)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를 감지하는 개방 감지스위치(170)와 상기 창문(11)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스위치(180)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 감지스위치(170)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체인(151)의 후단부를 감지하고, 상기 폐쇄 감지스위치(180)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체인(151)과 상기 창문(11)이 결합된 영역인 전단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문 개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1)을 지지하는 창문틀(13)에 결합되며, 창문(10)과는 체인(151)의 체결수단인 전방 어태치먼트(151a)에 의해 결합된다. 즉, 창문 개폐장치(100)는 하우징(110)으로 외관을 형성하여 창문틀(13)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는 화재 발생시 연기의 진입을 막도록 가압되는 전실과 같은 영역인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용도의 창문 개폐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창문 개폐장치(100)는 구동모듈(120)과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자동으로 다수의 창문 개폐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종합 관제실(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고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창문 개폐장치(100)는 사용자가 창문(10)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창문(11)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화재 발생 시에는 미도시된 중앙 제어실에서 창문 개폐장치(1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시 제연구역의 환기 등을 위하여 창문 개폐장치(100)를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창문 개폐장치(100)의 부품인 구동모듈(120)과, 동력전달모듈(130) 및 체인모듈(150)을 포함하고 이들을 제어 내지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미도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창문 개폐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출된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나 다양한 재질과 제작 방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모듈(120)에는 모터(123)와 감속기(125)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속기(125)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동력전달부와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듈(120) 및 동력전달모듈(130)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3 - 0018176호와 전술한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체인모듈(150)은,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151)과, 체인(151)의 출입을 가능하게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로킷(153)과, 체인(151)의 출입시 체인(15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체인 가이드(157)와, 체인(151), 스프로킷(153)을 수용하고 체인 가이드(157)를 판면에 돌출 형성시키고 체인모듈(1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체인 케이스(155)를 구비한다. 또한, 체인모듈(150)에는 창문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개방 및 폐쇄 감지스위치(170, 180)가 결합되어 있다.
체인 케이스(155)는 통상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압출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하로 분리된 상측 및 하측 체인 케이스(155a, 155b)를 포함한다.
또한, 체인 케이스(155)에는 후술하는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의 폐쇄 및 개방개구(185a, 175a)가 결합되어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를 지지할 수 있는 폐쇄 및 개방 스위치 고정핀(185b, 175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151)은 다수의 창문(11)의 개방 각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 스트로크로 구비되어 있다. 체인(151)은 창문(11)과 결합되는 영역인 전단부에 창문(11)과 체인(151)이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전방 어태치먼트(151a)와, 후단부에 체인(151)의 끝단 마감 처리를 하는 후방 어태치먼트(151b)를 구비한다.
폐쇄 감지스위치(180)는 도 4a와 같이 창문이 닫히는 폐쇄 위치를 체인(151)으로 감지하고 폐쇄 위치에서 체인(151)은 거의 모두 체인 케이스(155)에 수용되게 된다.
폐쇄 감지스위치(180)는, 체인의 전단부인 전방 어태치먼트(151a)에 결합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폐쇄 표시부재(183)와, 폐쇄 표시부재(183)를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폐쇄 감지부재(185)를 갖는다.
개방 감지스위치(170)는 도 4b와 같이 창문이 열리는 개방 위치를 체인(151)으로 감지하고 개방 위치에서 체인(151)은 거의 모두 체인 케이스(155)의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개방 감지스위치(170)는, 체인의 후단부인 후방 어태치먼트(151b)에 결합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개방 표시부재(173)와, 개방 표시부재(173)를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개방 감지부재(175)를 갖는다.
폐쇄 감지부재(185)와 개방 감지부재(175)는 각각 체인 케이스(155)에 결합되어 체인 케이스(155) 내측의 체인 가이드(157)를 따라 안내되는 체인(151)에 부착된 폐쇄 및 개방 표시부재(183, 173)를 각각 감지한다.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51)을 감지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체인 케이스(155)에 결합된 위치도 상이하다.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이다.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는, 감지된 신호와 전원이 공급되는 폐쇄 및 개방 접속 단자(185d, 175d)와, 폐쇄 및 개방 표시부재(183, 173)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폐쇄 및 개방센서(185h, 175h)와, 폐쇄 및 개방 감지부재(185, 175)와 각 센서(185h, 175h)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기적 회로를 실장한 폐쇄 및 개방 기판(185f, 175f)과, 체인 케이스(155)에 지지되도록 관통 형성된 폐쇄 및 개방 개구(185a, 175a)와, 전기적 회로나 센서(185h, 175h) 회로를 제어하는 실장부품(미도시)을 포함한다.
즉, 폐쇄 및 개방센서(185h, 175h)의 하측 중앙에 폐쇄 및 개방 표시부재(183, 173)가 위치하면 폐쇄 및 개방센서(185h, 175h)는 폐쇄 및 개방 표시부재(183, 173)의 가장 강한 자력을 감지하여 체인(151)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고 자동으로 창문 개폐장치(100)가 폐쇄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설정되면, 모터(123)가 구동되어 감속기(125) - 동력전달모듈(130) - 스프로킷(153) - 체인(151)의 순서로 동력이 전달되어 체인(151)이 체인 케이스(155)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모터(123)가 회전한다. 이에, 체인(151)은 체인 가이드(157)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고 창문(11)은 서서히 닫히며, 전방 어태치먼트(151a)에 부착된 폐쇄 표시부재(183)를 폐쇄 감지부재(185)의 폐쇄센서(185h)에서 감지하면 창문(11)이 폐쇄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낸다. 폐쇄 감지부재(185)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는 모터(123)가 회전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이에, 창문(11)은 자동으로 폐쇄 위치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고 자동으로 창문 개폐장치(100)가 개방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설정되면, 모터(123)가 구동되어 감속기(125) - 동력전달모듈(130) - 스프로킷(153) - 체인(151)의 순서로 동력이 전달되어 체인(151)이 체인 케이스(155) 외측으로 나가도록 모터(123)가 회전한다. 이에, 체인(151)은 체인 가이드(157)를 따라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창문(11)은 서서히 열리며, 후방 어태치먼트(151b)에 부착된 개방 표시부재(173)를 개방 감지부재(175)의 개방센서(175h)에서 감지하면 창문(11)이 개방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낸다. 개방 감지부재(175)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는 모터(123)가 회전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이에, 창문(11)은 자동으로 개방 위치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 및 개방센서(185h, 175h)와 폐쇄 및 표시부재(183, 173)는 각각 홀센서와 자석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차이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200)에서 폐쇄 위치에서 창문(11)이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는 개략도이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두 폐쇄 위치에 창문(11)이 위치한 상태에서 바람과 같은 외력이 창문에 작용하여 창문(11)은 움직이며 창문 개폐장치(200)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6b의 종래기술에서는 본 발명과 달리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가 체인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이에, 체인(251)의 후단부에서는 체인(251)의 피치에 따른 공차, 체인(251)을 안내하는 가이드와의 공차, 체인 가이드의 곡률 반경, 스프로킷과의 맞물림 공차 등을 포함하는 누적공차(도 6b의 ‘k2’ 참조)를 감지한다. 따라서,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에서 본 발명의 폐쇄 표시부재에 대응하는 부품번호 ‘275’는 폐쇄 위치에서 창문(11)의 실제 움직임(도 6b의 ‘k0’ 참조)에 전술한 체인(151) 전체 길이에 따른 누적 공차인 ‘k2’를 포함하는 범위만큼 창문(11)이 이동하여도 본 발명의 폐쇄 감지부재에 대응하는 참조번호 ‘283’은 창문(11)의 열림 상태를 감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다소 큰 누적 공차로 인해(실제 비교예에서 체인 길이 약 30mm에서 약 2~3mm의 누적 공차 발생) 창문(11)의 움직임에 따라 체인(151)의 후단부에 위치한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가 폐쇄 위치를 감지 및 감지 해제를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누적 오차로 인해 창문(11)이 다소 열린 경우 미세한 바람의 영향에도 창문(11)이 움직여 감지스위치(283, 275)에 창문(11)의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전달되어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가 반복적으로 작동되어 반복적인 깜박임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사용되는 스위치의 종류도 일반적으로 리미트 스위치이므로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해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제어부에서 모터의 작동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나 폐쇄 감지스위치(283, 275)를 제어하는 각종 전기부품의 고장 원인이 되며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많이 발생하여 본 출원인은 다양한 시도 끝에 본 발명을 도출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부재(185)가 창문(11)과 인접한 체인(151)의 전방 어태치먼트(미도시)에 위치한 폐쇄 표시부재(183)를 감지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체인 전체의 피치에 따른 오차, 스프로킷(153)과의 맞물림 오차, 체인 가이드와의 오차, 체인 가이드의 곡율 반경에 따른 오차를 없앨 수 있고, 다만, 창문(11)과 전방 어태치먼트 사이(도 6a에서의 길이 ‘CHL1’참조)의 오차(도 6a에서 ‘k1’참조)만이 추가되어 창문(11)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11)이 태풍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반복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것을 반복하여도 창문(11)은 적은 공차를 가지고 열리고 닫혀 폐쇄 표시부재(183)의 위치가 거의 움직이지 않음을 알 수 있고 폐쇄 표시부재(183)는 창문(11)의 열림 정도를 큰 오차없이 반영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이 시험한 바에 따르면, 동일한 체인(체인의 이동 스트로크 300mm인 경우를 기준)과 창문 등의 조건에서 감지스위치 내지 감지부재의 위치를 변경하여 종래의 2~3 mm의 누적 오차(도 6b에서의 ‘k2’참조)를 1/10인 0.2~0.3mm(도 6a에서의 ‘km’ 참조)로 줄일 수 있었다. 이에, 창문의 열림 상태를 거의 오차없이 표시부재(183)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감지스위치(180)에서 창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경우 오동작과 다소 미세한 바람에도 감지스위치(180)가 작동할 우려를 매우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의 폐쇄감지스위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달리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비교예를 표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체인 스트로크 300mm를 기준으로 함).
구분 창문의 실제
이동량
누적 공차
(체인 길이 300mm인
경우의 예)
감지표시부재(창문)의
총 이동 가능량
본 발명 (도 6a) k0 km
(0.2-0.3mm)
k1
종래기술(도 6b) k0 k2
(2-3mm)
k4
전술한 표에서와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표시부재의 위치와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재의 위치에 따라 누적 공차의 차이가 약 10배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창문이 약 10배 정도 더 이동하거나 표시부재가 10배 정도 더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창문 폐쇄장치가 대형 공장이나 건물에 설치된 경우 유지 보수도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구성의 오동작,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하고, 창문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문 개폐에 대한 감지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고장, 수리 등을 줄여 수명을 증대시키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창문 개폐장치 110 : 하우징
120 : 구동모듈 123 : 모터
125 : 감속기 130 : 동력전달모듈
150 : 체인모듈 151 : 체인
151a : 전방 어태치먼트 151b : 후방 어태치먼트
153 : 스프라켓 155 : 체인 케이스
157 : 체인 가이드
170 : 개방 감지스위치 173 : 개방 표시부재
175 : 개방 감지부재 180 : 폐쇄 감지스위치
183 : 폐쇄 표시부재 185 : 폐쇄 감지부재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창문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출입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을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체인모듈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체인에서 상기 창문과 결합되는 일단 영역인 전단부에 마련된 폐쇄 표시부재와, 상기 체인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표시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폐쇄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폐쇄 감지스위치와;
    상기 체인에서 상기 전단부와 대향되는 타단 영역인 후단부에 마련된 개방 표시부재, 상기 체인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체인의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 표시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는 개방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개방 감지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체인의 길이에 따른 공차, 상기 체인과 결합되는 부품과의 결합 또는 안내하거나 구부러지면서 발생되는 공차를 포함하는 편차를 예방하여 상기 창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전단부는 전방 어태치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후단부는 후방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표시부재는 상기 체인에 결합된 후방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감지부재는 후방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표시부재는 상기 체인에 결합된 전방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감지부재는 전방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
KR1020130093656A 2013-08-07 2013-08-07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37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56A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3-08-07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56A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3-08-07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364A Division KR101469409B1 (ko) 2014-01-18 2014-01-18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300B1 true KR101377300B1 (ko) 2014-03-25

Family

ID=5064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656A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3-08-07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3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5-02-25 박준우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565830B1 (ko) * 2014-08-29 2015-11-16 (주)한국울트라산업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160030346A (ko) * 2014-08-29 2016-03-17 (주)한국울트라산업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690242B1 (ko) * 2015-09-18 2016-12-27 김철중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687147B1 (ko) * 2015-09-18 2016-12-28 김철중 실린더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687146B1 (ko) * 2015-09-18 2016-12-28 김철중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713974B1 (ko) * 2015-09-14 2017-03-09 이규성 전동식 접철 방식의 문 개폐 장치
KR101767584B1 (ko) * 2015-06-19 2017-08-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연창 개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673423A (zh) * 2022-03-17 2022-06-28 北京林业大学 一种单向弯曲链条式平开门窗开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242A (ja) * 2001-03-15 2002-09-25 Kayaba Ind Co Ltd 電動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5-08 기 동 조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242A (ja) * 2001-03-15 2002-09-25 Kayaba Ind Co Ltd 電動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200349638Y1 (ko) 2004-02-10 2004-05-08 기 동 조 미닫이창문 개폐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5-02-25 박준우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565830B1 (ko) * 2014-08-29 2015-11-16 (주)한국울트라산업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160030346A (ko) * 2014-08-29 2016-03-17 (주)한국울트라산업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726999B1 (ko) * 2014-08-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767584B1 (ko) * 2015-06-19 2017-08-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연창 개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3974B1 (ko) * 2015-09-14 2017-03-09 이규성 전동식 접철 방식의 문 개폐 장치
KR101690242B1 (ko) * 2015-09-18 2016-12-27 김철중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687147B1 (ko) * 2015-09-18 2016-12-28 김철중 실린더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687146B1 (ko) * 2015-09-18 2016-12-28 김철중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CN114673423A (zh) * 2022-03-17 2022-06-28 北京林业大学 一种单向弯曲链条式平开门窗开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102189861B1 (ko) 2개의 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KR20190061623A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692149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416074B1 (ko)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KR101955379B1 (ko) 미닫이 창문용 수동 개폐장치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JP5294823B2 (ja) 開閉体装置
CN208718528U (zh) 一种气候感应门窗开关装置
US11958083B2 (en) Fume hood and sash control device
KR20110009399U (ko)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CN220522425U (zh) 一种防辐射机房电动推拉防护门结构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CN209761165U (zh) 一种电动升降装置
CN108114962A (zh) 一种通风柜升降防护窗的方法、结构及系统
KR101790311B1 (ko)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JP2010144446A (ja) 開閉体装置
KR20100003384A (ko) 자동문 및 자동문 제어방법
KR101426645B1 (ko)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CN204941235U (zh) 一种传递窗
JP2003223684A (ja) 防犯装置
JP5312222B2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