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42B1 -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42B1
KR101690242B1 KR1020150132176A KR20150132176A KR101690242B1 KR 101690242 B1 KR101690242 B1 KR 101690242B1 KR 1020150132176 A KR1020150132176 A KR 1020150132176A KR 20150132176 A KR20150132176 A KR 20150132176A KR 101690242 B1 KR101690242 B1 KR 10169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evel gear
control unit
support frame
accor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중
Original Assignee
김철중
(주)청일레이져
주식회사 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중, (주)청일레이져, 주식회사 엘씨 filed Critical 김철중
Priority to KR102015013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열고, 가스감지시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와; 상기 가스감지센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수직베벨기어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Open and close system having bevel gear}
본 발명은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열고, 가스감지시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설 현장이나 고정시설물들 중 건물 내에 위치되지 아니하고 옥외에 시설된 시설물들 중 별도로 담장이나 기타 시설물들을 가리기 위한 설비들이 설치되지 아니한 시설물들을 시야로부터 가려 보안 및 보호를 하기 위한 차단벽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차단벽은 콘크리트로 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주주파이프, 상기 주주파이프에 고정되는 횡대파이프 및 상기 횡대파이프에 고정되어 실제 시야를 차단하기 위한 패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패널들은 통상의 주름진 함석판 등과 같은 판재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차단벽은 장식판 또는 디자인 차폐물이라고도 하며, 상기 차폐물은 2011년 10월 07일자 출원번호 제10-2011-0102529호(발명의 명칭 : 조립식 차폐물, 특허권자 : (주)청일레이져, 김철중, 주식회사 엘씨)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 지면에 대해 고정되며 차폐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주위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일측 상단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02)이 설치된 제1연결부(104)와; 상기 H빔(100)의 일측 하단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06)이 설치된 제2연결부(108)와; 상기 H빔(100)의 타측 상단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10)이 설치된 제3연결부(112)와; 상기 H빔(100)의 타측 하단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14)이 설치된 제4연결부(116)와; 상기 제1연결부(104)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수단(118)에 의해 제1연결부(104)에 고정 설치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20)이 설치된 제1 "ㅗ"자형 접촉부(122)와; 상기 제2연결부(108)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수단(118)에 의해 제2연결부(108)에 고정 설치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24)이 설치된 제2 "ㅗ"자형 접촉부(126)와; 상기 제3연결부(112)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수단(118)에 의해 제3연결부(112)에 고정 설치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28)이 설치된 제3 "ㅗ"자형 접촉부(130)와; 상기 제4연결부(116)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수단(118)에 의해 제4연결부(116)에 고정 설치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132)이 설치된 제4 "ㅗ"자형 접촉부(134)와; 상기 제1 "ㅗ"자형 접촉부(122)와 제3 "ㅗ"자형 접촉부(130)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ㄷ"자형 수용가이드(136)를 갖는 제1지지프레임(138)과; 상기 제2 "ㅗ"자형 접촉부(126)와 제4 "ㅗ"자형 접촉부(134)에 일정길이로 용접되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ㄷ"자형 수용가이드(140)를 갖는 제2지지프레임(14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과 제2지지프레임(142)의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지지해주는 지지대(144)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의 "ㄷ"자형 수용가이드(136) 및 제2지지프레임(142)의 "ㄷ"자형 수용가이드(140)에 수용되어 슬라이딩되되, 몸체에 수용공(146)을 갖는 원통부(148)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과 제2지지프레임(142)의 상면 일측에 일정길이로 수직하게 접촉되되, 상기 원통부(148)의 수용공(146)에 체결 고정되어 원통부(148)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딩되는 장식수단(15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과 제2지지프레임(142)의 양 측단에 끼움되어 원통부(148)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차폐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수단(15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과 제2지지프레임(142)의 상면 일측에 일정길이로 수직하게 접촉되되, 몸체 중앙에 일정간격 두고 체결공(152)이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공(154)이 설치된 "ㄷ"자형 슬라이딩부(156)와; 상기 "ㄷ"자형 슬라이딩부(156)의 체결공(152)을 통해 상기 원통부(148)의 수용공(146)에 체결 고정되어 원통부(148)의 슬라이딩시 "ㄷ"자형 슬라이딩부(156)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체결리벳(158)과; 상기 "ㄷ"자형 슬라이딩부(156)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수단(118)에 의해 "ㄷ"자형 슬라이딩부(156)에 고정 설치되되, 몸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공(160)이 설치된 지지판(162)과; 상기 지지판(162)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몸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홈(164)이 설치된 돌출부(166)와; 상기 돌출부(166)의 체결홈(164)에 억지 끼움 되는 끼움부(168)를 갖는 장식판(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차폐물.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66)의 상면 및 하면에 탄성재질의 결합집게(180)가 설치되되, 상기 결합집게(180)의 내면에는, 탄성재질의 접촉돌기(18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차폐물.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립식 차폐물은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열고, 가스감지시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차폐물을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와;
상기 가스감지센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수직베벨기어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1회전축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와;
상기 베어링과 수평베벨기어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수평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연결홈에 설치되어 메인바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은 기어를 이용함으로써, 디자인 차폐물을 용이하게 개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베벨기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자인 차폐물의 파손시 디자인 차폐물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요부 분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요부 확대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에서 디자인 차폐물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에서 디자인 차폐물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요부 분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1)은,
제1지지프레임(3)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3)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연결프레임(5)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가이드(9)와;
상기 제1가이드(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가이드(11)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3)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프레임(15)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3가이드(17)와;
상기 제3가이드(1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4가이드(19)와;
상기 제1가이드(9)의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결합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2가이드(11)의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결합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나사 결합 되는 제1고정부(27)와;
상기 제1고정부(27)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29)과;
상기 제3가이드(17)의 슬라이딩홈(7)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3결합부(31)와;
상기 제4가이드(19)의 슬라이딩홈(7)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4결합부(33)와;
상기 제3결합부(31)와 제4결합부(33)에 나사 결합 되는 제2고정부(35)와;
상기 제2고정부(35)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37)과;
상기 제3가이드(17) 후방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판(39)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5)와;
상기 제어부(4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47)와;
상기 가스감지센서(4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49)와;
상기 모터(49)에 연결되어 모터(49)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49)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51)와;
상기 감속기(51)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59)과;
상기 제1회전축(59)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5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75)와;
상기 수직베벨기어(75)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75)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77)와;
상기 제1회전축(59)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59)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63)와;
상기 제1베어링(29)에 끼움 되는 제1샤프트(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2베어링(37)과 수평베벨기어(77)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수평베벨기어(7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샤프트(67)와;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67) 사이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연결홈(69)을 구비하여 제2샤프트(6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71)와;
상기 메인바(71)의 연결홈(69)에 설치되어 메인바(71)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7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설치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1지지프레임(3)을 설치한 후, 상기 제1지지프레임(3)의 전면에 돌출되게 제1연결프레임(5)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가이드(9)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가이드(1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을 설치한 후,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전면에 돌출되게 제2연결프레임(15)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3가이드(17)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1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4가이드(19)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9)의 슬라이딩홈에,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결합부(도시는 생략함)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11)의 슬라이딩홈에,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결합부(도시는 생략함)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제1고정부(27)를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27)의 전면 일측에 제1베어링(29)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17)의 슬라이딩홈(7)에,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3결합부(31)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4가이드(19)의 슬라이딩홈(7)에, 내부 중앙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4결합부(33)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결합부(31)와 제4결합부(33)에 제2고정부(35)를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35)의 전면 일측에 제2베어링(37)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17) 후방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측에 지지판(39)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5)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4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47)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에 가스감지센서(4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감지센서(4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내면 일측에 모터(49)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에 모터(4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49)에 감속기(51)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51)는 모터(49)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회전축(59)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회전축(59)을 감속기(51)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59)의 상면 일측에, 제1회전축(59)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63)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에 회전각도감지센서(6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59)의 키결합공에 수직베벨기어(75) 끼운다.
그리고,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수평베벨기어(77)를 위치시킨 후, 상기 수직베벨기어(75)에 수평베벨기어(77)를 치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어링(29)에 제1샤프트(도시는 생략함)를 끼운 후, 상기 제2베어링(37)과 수평베벨기어(77)의 키결합공에 제2샤프트(67)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67) 사이에, 내부 중앙에 연결홈(69)을 구비하여 제2샤프트(6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7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71)의 연결홈(69)에, 메인바(71)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73)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71)에 나사로 디자인 차폐물(73)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어부(45)는 모터(4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49)는 정회전(시계방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49)에 감속기(51)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감속기(51)는 모터의 정회전을 감속한다.
상기 감속기(51)의 정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59)이 천천히 정회전을 한다.
상기 제1회전축(59)의 정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59)의 키결합공에 끼워져 있는 수직베벨기어(75)가 천천히 정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베벨기어(75)의 정회전에 따라 수직베벨기어(75)에 치합되어 있는 수평베벨기어(77)가 천천히 역회전을 한다.
상기 수평베벨기어(77)의 역회전에 따라 수평베벨기어(77)의 키결합공에 설치되어 있는 제2샤프트(67)가 천천히 역회전을 한다.
상기 제2샤프트(67)의 역회전에 따라 연결홈(69)을 구비하고 있는 메인바(71)가 천천히 역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71)의 역회전에 따라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71)의 연결홈(69)에 끼움 되어 있는 디자인 차폐물(73)이 입출구를 연다.
한편, 디자인 차폐물(73)이 열리기 시작하면, 제어부(45)는 회전각도감지센서(63)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각도감지센서(63)는 실시간적으로 제1회전축(59)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회전각도 감지 값을 제어부(45)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는 기 설정된 회전 값과 감지된 회전각도 감지 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회전각도 감지 값과 회전 값이 일치하면(예를 들어,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 감지 값이 40°) 즉, 디자인 차폐물(73)이 완전히 열린 것으로 간주하고 모터(4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49)는 회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45)는 가스감지센서(47)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감지센서(47)는 실시간적으로 가스의 누출을 감지한 후, 감지된 가스 누출 값을 제어부(45)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5)는 기 설정된 누출 값과 감지된 가스 누출 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가스 누출 값이 설정된 누출 값보다 크면 즉,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간주하고 모터(4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49)는 역회전(반시계방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49)에 감속기(51)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감속기(51)는 모터의 역회전을 감속한다.
상기 감속기(51)의 역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59)이 천천히 역회전을 한다.
상기 제1회전축(59)의 역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59)의 키결합공에 끼워져 있는 수직베벨기어(75)가 천천히 역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베벨기어(75)의 역회전에 따라 수직베벨기어(75)에 치합되어 있는 수평베벨기어(77)가 천천히 정회전을 한다.
상기 수평베벨기어(77)의 정회전에 따라 수평베벨기어(77)의 키결합공에 설치되어 있는 제2샤프트(67)가 천천히 정회전을 한다.
상기 제2샤프트(67)의 정회전에 따라 연결홈(69)을 구비하고 있는 메인바(71)가 천천히 정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71)의 정회전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71)의 연결홈(69)에 끼움 되어 있는 디자인 차폐물(73)이 입출구를 닫는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3 : 제1지지프레임
5 : 제1연결프레임 7 : 슬라이딩홈
9 : 제1가이드 11 : 제2가이드
13 : 제2지지프레임 15 : 제2연결프레임
17 : 제3가이드 19 : 제4가이드
27 : 제1고정부 29 : 제1베어링
31 : 제3결합부 33 : 제4결합부
37 : 제2베어링 39 : 지지판
45 : 제어부 47 : 가스감지센서
49 : 모터 51 : 감속기
59 : 제1회전축 75 : 수직베벨기어
77 : 수평베벨기어

Claims (3)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와;
    상기 가스감지센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수직베벨기어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1회전축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와;
    상기 베어링과 수평베벨기어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수평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연결홈에 설치되어 메인바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2.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나사 결합 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가이드 후방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와;
    상기 가스감지센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수직베벨기어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1회전축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와;
    상기 베어링과 수평베벨기어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수평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연결홈에 설치되어 메인바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3. 제1지지프레임(3)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3)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연결프레임(5)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가이드(9)와;
    상기 제1가이드(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연결프레임(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2가이드(11)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3)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3)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프레임(15)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3가이드(17)와;
    상기 제3가이드(1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단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슬라이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제4가이드(19)와;
    상기 제1가이드(9)의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가이드(11)의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나사 결합 되는 제1고정부(27)와;
    상기 제1고정부(27)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29)과;
    상기 제3가이드(17)의 슬라이딩홈(7)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3결합부(31)와;
    상기 제4가이드(19)의 슬라이딩홈(7)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되, 내부 중앙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4결합부(33)와;
    상기 제3결합부(31)와 제4결합부(33)에 나사 결합 되는 제2고정부(35)와;
    상기 제2고정부(35)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37)과;
    상기 제3가이드(17) 후방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연결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판(39)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5)와;
    상기 제어부(4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47)와;
    상기 가스감지센서(4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지지프레임(13)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49)와;
    상기 모터(49)에 연결되어 모터(49)의 회전을 감속시킴과 동시에 감속된 모터(49)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감속기(51)와;
    상기 감속기(51)의 일측에 연결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감속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축(59)과;
    상기 제1회전축(59)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제1회전축(5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직베벨기어(75)와;
    상기 수직베벨기어(75)에 치합되되, 내부 중앙에 키결합공을 구비하여 수직베벨기어(75)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수평베벨기어(77)와;
    상기 제1회전축(59)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59)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63)와;
    상기 제1베어링(29)에 끼움 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2베어링(37)과 수평베벨기어(77)의 키결합공에 끼움 되어 수평베벨기어(7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샤프트(67)와;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67) 사이에 설치되되, 내부 중앙에 연결홈(69)을 구비하여 제2샤프트(6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바(71)와;
    상기 메인바(71)의 연결홈(69)에 설치되어 메인바(71)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를 열어 줌과 아울러 가스감지시 입출구를 닫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 차폐물(7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20150132176A 2015-09-18 2015-09-18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69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76A KR101690242B1 (ko) 2015-09-18 2015-09-18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76A KR101690242B1 (ko) 2015-09-18 2015-09-18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42B1 true KR101690242B1 (ko) 2016-12-27

Family

ID=5773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176A KR101690242B1 (ko) 2015-09-18 2015-09-18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3172A (zh) * 2017-08-05 2018-11-20 朱明德 一种自动转动扇装置和系统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69B1 (ko) * 2005-12-30 2006-09-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회전식 방화판
KR20100037287A (ko) * 2008-10-01 2010-04-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물의 이중외피 차양장치
KR101110121B1 (ko) * 2011-10-07 2012-03-02 (주)청일레이져 조립식 차폐물
KR101377300B1 (ko) *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69B1 (ko) * 2005-12-30 2006-09-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회전식 방화판
KR20100037287A (ko) * 2008-10-01 2010-04-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물의 이중외피 차양장치
KR101110121B1 (ko) * 2011-10-07 2012-03-02 (주)청일레이져 조립식 차폐물
KR101377300B1 (ko) *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3172A (zh) * 2017-08-05 2018-11-20 朱明德 一种自动转动扇装置和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843172B (zh) * 2017-08-05 2020-06-0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自动转动扇装置和系统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59911A (ja) 開口部用防水装置
KR200452848Y1 (ko) 도어락 보호케이스
AU2015220951B2 (en) Panel shutter with a deformation detection arrangement
KR101690242B1 (ko)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WO2007038224A3 (en) Cross-zone supervision for a security system
KR101687146B1 (ko) 체인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577725B1 (ko) 모터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JP200719721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の防水構造
KR101577722B1 (ko)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AU2006200027A1 (en) A light barrier holder
JP6220631B2 (ja) 開閉装置
KR20060116144A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101687147B1 (ko) 실린더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JP6514558B2 (ja) 浸水防止装置
RU26467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зиции задвижки замка
KR101014344B1 (ko) 비늘창의 개폐장치
CN103900226A (zh) 空调器
DK2840217T3 (en) AUTOMATIC OVERPORT WITH AT LEAST ONE SCANNER TO DETECT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ARTICLE NEAR THE GATE
KR101736546B1 (ko) 도어 폐쇄장치
CN205901109U (zh) 一种挂壁式控制柜
JP3629639B2 (ja) エアコン用冷媒配管屈曲部の保護カバー
KR101591502B1 (ko) 슬라이드 방호문 조작유니트
CN218324355U (zh) 一种拨码盘转动方向和圈数的检测装置
KR200488012Y1 (ko) 천장 점검구용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천장 점검구
JP4833612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