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344B1 - 비늘창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늘창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344B1
KR101014344B1 KR1020080074205A KR20080074205A KR101014344B1 KR 101014344 B1 KR101014344 B1 KR 101014344B1 KR 1020080074205 A KR1020080074205 A KR 1020080074205A KR 20080074205 A KR20080074205 A KR 20080074205A KR 101014344 B1 KR101014344 B1 KR 101014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lide rod
backward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681A (ko
Inventor
호 식 박
Original Assignee
호 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 식 박 filed Critical 호 식 박
Priority to KR102008007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3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와, 일측은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상기 비늘창을 개폐하는 활주봉과, 상기 활주봉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형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돌기와, 상기 활주봉을 감싸되, 상기 활주봉이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고정된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가변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되,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지점이 가변되는 고정취부대를 포함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비늘창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조작하는 활주봉의 행정거리가 상기 비늘창의 설치장소에 따라 가변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늘창, 루버, 고정취부대, 감지센서, 활주봉

Description

비늘창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n louver window}
본 발명은 비늘창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 비늘창의 루버(louver)를 모터에 의해 회동시켜 상기 비늘창을 개폐할 수 있는 비늘창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에서 사용되던 비늘창은 유리를 보호하며 햇볕을 가릴 목적으로 사용되어 폭이 좁고 작은 형태였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 적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늘창은 그 규격이 현저하게 커진 형태이다. 상기 비늘창은 아파트의 베란다, 아파트의 옥탑의 기계실 등에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주상복합의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에어컨의 실외기가 건물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설치된다.
즉, 상기 비늘창은 사람이 직접 상기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켜 상기 비늘창을 개폐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비늘창이 개폐시 사람이 직접 상기 비늘창을 개폐시키지 않고, 상기 비늘창과 이격된 장소에서 전기적인 장치에 의해 상기 루버를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상기 비늘창을 개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10)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와, 일측은 비늘창(W)의 루버(R)를 회동시키는 레버(L)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루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상기 비늘창(W)을 개폐하는 활주봉(13)과, 상기 활주봉(13)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형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돌기(미도시)와, 상기 활주봉(13)을 감싸되, 상기 활주봉(13)이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14)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활주봉(13)의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14)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4)를 외벽 상기 비늘창(W)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취부대(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서 상기 활주봉(13)의 활주시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1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11)가 작동하면 상기 활주봉(13)이 상기 전, 후진하여 상기 레버(L)를 조작하여 상기 루버(R)를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가 상기 활주봉(13)의 최대후진위치와 최대전진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활주봉(13)의 최대후진위치와 최대전진위치가 상기 비늘창(W)의 루버가 최대로 열린 상태와 최대로 닫힌 상태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10)는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가 상기 케이스(14)의 내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활주봉(13)의 최대전진위치와 최대후진위치사이의 거리인 행정거리는 항상 일정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10)의 설치시 상기 활주봉(13)의 행정거리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는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4)와 결합되는 고정취부대(15) 역시 상기 케이스와의 결합지점이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의 고정위치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조작하는 활주봉의 행정거리를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를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취부대와 케이스의 결합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비늘창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와; 일측은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상기 비늘창을 개폐하는 활주봉; 상기 활주봉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형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돌기; 상기 활주봉을 감싸되, 상기 활주봉이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고정된 제1감지센서;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가변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되,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지점이 가변되는 고정취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부재에 의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이송부재는 일측에 상기 제2감지센서 가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비된 캐리어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치합되고, 상기 몸통부와 연결된 머리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노출되어 상기 머리부의 회전을 따라 상기 몸통부가 회전되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하는 조절나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안내홀에 관통되어 상기 캐리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에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의 주위에는 너트가 삽입되되 상기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내에 삽입된 너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는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조작하는 활주봉의 행정거리가 상기 비늘창의 설치장소에 따라 가변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활주봉의 행정거리를 미세조정할 수 있어 상기 비늘창의 루버의 회동시 상기 루버가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게 되어 상기 비늘창의 개폐의 응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취부대와 케이스의 결합위치가 상기 비늘창의 설치장소에 따라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취부대의 설치지점을 설치공간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 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의 활주봉의 전진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의 활주봉의 후진된 상태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제2감지스위치의 위치가 조정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고정취부대의 결합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고정취부대의 다른 방식의 결합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100)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120)와, 일측은 비늘창(W)의 루버(R)를 회동시키는 레버(L)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루(120)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120)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상기 비늘창(W)을 개폐하는 활주봉(130)과, 상기 활주봉(13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형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돌기(131)와, 상기 활주봉(130)을 감싸되, 상기 활주봉(130)이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140)와, 상기 접촉돌기(131)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고정된 제1감지센서(S1)와, 상기 접촉돌기(131)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으로 가변되는 제2감지센서(S2)와, 상기 케이스(140)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40)를 고정시키되, 상기 케이스(140)와 결합되는 결합지점이 가변되는 고정취부대(1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10)는 정역이 가능한 DC모터로 구비된다. 또한, 조작자가 상기 구동모터(110)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10)와 상기 스크루(120)의 사이에는 감속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170)는 상기 구동모터(110) 및 상기 스크루(120)에 치합된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의 기어치의 비율에 의해 상기 스크루(120)의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상기 스크루(120)는 상기 활주봉(130)의 내경과 치합되며, 상기 스크루(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활주봉(130)이 회전되지 않고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40)의 단면은 원형이 아닌 다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활주봉(130)의 접촉돌기(131)의 일측이 상기 다면체의 일면과 밀착된다. 즉, 활주봉(130)의 외주면 단면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40)의 일단은 상기 활주봉(130)의 외주면 단면 형상에 상응하고 사이즈도 거의 유사한 관통홀을 구비하여 활주봉(130)이 관통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관통홀은 다각형인 활주봉 형상에 상응하므로 관통홀 자체가 다각형이므로 모서리를 구비함)에 활주봉(130)의 외주면 모서리가 합치되도록 하여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S2)는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부재에 의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이송부재는 일측에 상기 제2감지센서(S2)가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비된 캐리어(161)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163a)가 상 기 관통홀에 치합되고, 상기 몸통부(163a)와 연결된 머리부(163b)가 상기 케이스(140)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노출되어 상기 머리부(163b)의 회전을 따라 상기 몸통부(163a)가 회전되어 상기 캐리어(161)를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하는 조절나사(163)로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63)의 몸통부(163a)의 끝단이 상기 제1감지센서(S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40)에 구비된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14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몸통부(163a)의 타단에는 상기 조절나사(163)의 몸통부(163a)를 회전시키는 머리부(163b)가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161)에는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상기 캐리어(161)의 안내홀에 관통되어 상기 캐리어(16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봉(16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봉(165)의 일단은 상기 제1감지센서(S1)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봉(130)이 출입되는 케이스(140)면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W)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1)과, 상기 고정브라켓(15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140)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153)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40)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153)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40)의 걸림턱(141)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153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153a)에는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볼트(155)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40)의 걸림턱(141)은 상기 케이스(140)의 일면에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 연장형상된다.
상기 걸림턱(141)은 상기 연결브라켓(153)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외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며 상기 케이스(140)의 일면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41)의 말단은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외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주보는 상기 걸림턱(141)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턱(141)의 절곡된 부위가 끼워지는 그루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고정홀(153a)은 상기 케이스(140)의 걸림턱(141)에 끼워지는 면에 2개가 형성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W)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1)과, 상기 고정브라켓(15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140)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253)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40)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253)이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40)의 걸림턱(141)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일측에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의 주위에는 너트(B)가 삽입되되 상기 너트(B)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착홈(253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155)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253b)내에 삽입된 너트(B)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253)의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홀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정홀의 주위에 너트(B)가 삽입되는 안착홈(253b)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홀과 상기 너트(B)의 구멍이 정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S1)와 제2감지센서(S2)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는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늘창(W)의 개폐를 설명하면, 조작자가 조작스위치를 눌러 상기 구동모터(11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작에 상기 스크루(12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루(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활주봉(130)이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상기 활주봉(130)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해 상기 레버(L)가 조작되고 상기 레버(L)의 조작에 의해 상기 비늘창(W)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활주봉(130)의 접촉돌기(131)가 상기 제1감지센서(S1) 및 제2감지센서(S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활주봉(130)의 활주가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센서(S1)는 상기 활주봉(130)의 최대후진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S2)는 상기 활주봉(130)의 최대전진위치를 결정하지만 이것은 설정에 따라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활주봉(130)의 행정거리를 조정해야 할 경우, 상기 조절나사(163)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조절나사(163)의 회전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절나사(163)에 치합된 상기 캐리어(161)가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캐리어(16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캐리어(161)에 고정된 상기 제2감지센서(S2)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제2감지센서(S2)를 이동시켜 상기 활주봉(130)의 행정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도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100)를 벽면 또는 비늘창(W) 프레임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40)의 걸림턱(141) 사이에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일측을 끼운다, 이때 상기 걸림턱(141)의 절곡부위가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그루브에 끼워진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153)은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 연장형성 된 케이스(140)의 걸림턱(141)에 끼워져서 상기 활주봉(130)의 전, 후진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설치자가 설치위치의 환경에 따라 적절한 고정점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브라켓(153)의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153a)에 상기 고정볼트(155)를 결합하여 상기 연결브라켓(153)을 상기 케이스(14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55)를 죔에 따라 상기 고정홀(153a)을 관통한 고정볼트(155)의 말단이 상기 케이스(140)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브라켓(153)이 고정된다.
다른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의 주위에 형성된 안착홈(253b)에 삽입되는 너트(B)와 고정볼트(155)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253)을 상기 케이스(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155)를 죔에 따라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볼트(155)의 말단이 상기 케이스(140)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브라켓(253)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브라켓(153,253)과 상기 케이스(140)의 고정점을 상기 케이스(140)의 일면을 따라 가변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설치위치의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장소에 상기 비늘창의 개폐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의 활주봉의 전진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개폐장치의 활주봉의 후진된 상태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제2감지스위치의 위치가 조정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고정취부대의 결합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늘창의 고정취부대의 다른 방식의 결합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구동모터 120: 스크루
130: 활주봉 131: 접촉돌기
140: 케이스 141: 걸림턱
151: 고정브라켓 153: 연결브라켓
153a: 고정홀 155: 고정볼트
161: 캐리어 163a: 몸통부
163b: 머리부 165: 가이드봉
170: 감속부 253b: 안착홈
B: 너트 L: 레버
R: 루버 S1: 제1감지센서
S2: 제2감지센서 W: 비늘창

Claims (6)

  1.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루;
    일측은 비늘창의 루버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상기 비늘창을 개폐하는 활주봉;
    상기 활주봉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형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돌기;
    상기 활주봉을 감싸되, 상기 활주봉이 전, 후진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고정된 제1감지센서;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되, 설치위치가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가변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되,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지점이 가변되는 고정취부대를 포함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부재에 의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이송부재는 일측에 상기 제2감지센서가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비된 캐리어; 및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치합되고, 상기 몸통부와 연결된 머리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노출되어 상기 머리부의 회전을 따라 상기 몸통부가 회전되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안내홀에 관통되어 상기 캐리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취부대는 벽면 또는 상기 비늘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으로 끼워지되,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에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의 주위에는 너트가 삽입되되 상기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내에 삽입된 너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 활주봉의 전, 후진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는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늘창의 개폐장치.
KR1020080074205A 2008-07-29 2008-07-29 비늘창의 개폐장치 KR101014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05A KR101014344B1 (ko) 2008-07-29 2008-07-29 비늘창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05A KR101014344B1 (ko) 2008-07-29 2008-07-29 비늘창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81A KR20100012681A (ko) 2010-02-08
KR101014344B1 true KR101014344B1 (ko) 2011-02-16

Family

ID=4208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205A KR101014344B1 (ko) 2008-07-29 2008-07-29 비늘창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90A (ko) * 2017-06-16 2018-12-27 신재승 이중창 단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53B1 (ko) * 2013-10-21 2015-04-09 정준석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IL242923A0 (en) * 2015-12-03 2016-04-21 Amir Noy A system for automating a step shutter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in an existing shutter frame
CN113047754A (zh) * 2021-03-18 2021-06-29 建为(广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透气窗叶片角度的智能控制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20Y1 (ko) * 1986-02-28 1989-06-02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가변행정 조절장치
KR20030080529A (ko) * 2002-04-09 2003-10-17 김성일 물품대금 결제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93393A (ko) * 2002-05-29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KR20040079041A (ko) * 2003-03-06 2004-09-14 박완규 자동 국기게양장치
KR200380529Y1 (ko) 2005-01-11 2005-03-30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개폐식 투명루버
KR200393393Y1 (ko) 2005-03-31 2005-08-22 주식회사 동성사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20Y1 (ko) * 1986-02-28 1989-06-02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가변행정 조절장치
KR20030080529A (ko) * 2002-04-09 2003-10-17 김성일 물품대금 결제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93393A (ko) * 2002-05-29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KR20040079041A (ko) * 2003-03-06 2004-09-14 박완규 자동 국기게양장치
KR200380529Y1 (ko) 2005-01-11 2005-03-30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개폐식 투명루버
KR200393393Y1 (ko) 2005-03-31 2005-08-22 주식회사 동성사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90A (ko) * 2017-06-16 2018-12-27 신재승 이중창 단열 시스템
KR102025278B1 (ko) * 2017-06-16 2019-09-25 신재승 이중창 단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81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831B2 (ja) ブラインド用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のリモコン受光構造
KR101014344B1 (ko) 비늘창의 개폐장치
US20070271848A1 (en) Integrated power window and skylight operating systems
EP3262266B1 (en) Actuating device for moving a barrier
KR101665047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EP2512014A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 or window closure elements in general
US20220018185A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blackout device comprising such an actuator
KR20180043964A (ko) 작동감지센서가 부착된 실외기
US20180238108A1 (en) Blind Apparatus
KR102228140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US105446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ised drive device of a sliding window for a building
CN106246037B (zh) 玻璃结构房屋建筑风力感应开关窗控制系统
KR101807688B1 (ko) 스마트 창호
KR102130641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KR101643394B1 (ko) 창문 개폐 보조장치
KR102475349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KR100608231B1 (ko) 전동 개폐식 환기창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KR0135105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KR100364903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JPH0868262A (ja) 窓の自動開閉装置
CN106405144A (zh) 新型风力感应装置
KR100350441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200214106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