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64B1 -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64B1
KR101789664B1 KR1020160076807A KR20160076807A KR101789664B1 KR 101789664 B1 KR101789664 B1 KR 101789664B1 KR 1020160076807 A KR1020160076807 A KR 1020160076807A KR 20160076807 A KR20160076807 A KR 20160076807A KR 101789664 B1 KR101789664 B1 KR 10178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indow
coupled
chain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창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to KR102016007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06B2003/40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where the axis of rotation is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에 지지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면서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으로 전달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속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길이방향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이 경사지도록 상기 구동부가 상기 감속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이 끊김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수동으로 창문을 걔폐할 수 있는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Window Open and Close Device to improve Driving Part and Recuding Part}
본 발명은, 창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서 체인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개선한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공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독한 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관련 법규에 의해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보통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의 도어와 창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이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의 공기압보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연기를 포함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난 경로 내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 가능하게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창문 개폐 장치와,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통로를 개방하고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부와,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와, 이러한 각종 장치 내지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파트 등의 각 세대 중 어느 한 곳에서 센서 등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창문을 폐쇄하고, 급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여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방화용 도어를 폐쇄하여 화재 발생 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전실을 제연구역으로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은 밀폐된 상태로 조성됨과 더불어 급기부의 급기 작용에 의해 제연구역의 내압이 일정 압력(예를 들면, 40Pa ~ 60Pa)이상으로 상승된다. 이에, 실내공간의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 창문 개폐장치의 일예가 본 발명인의 특허등록공보 제10-1469409호, 제10-141607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모터와 구동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제작 단가면에서 다소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이 끊김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수동으로 창문을 걔폐할 수 있는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폐쇄 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에 지지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면서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으로 전달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속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이 경사지도록 상기 구동부가 상기 감속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체인으로 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영역에는 45도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폐쇄 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에 지지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면서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으로 전달하는 감속부와;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결합 브래킷은 상기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 결합부와 상기 감속부가 수용되는 감속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고정 브래킷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이 끊김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수동으로 창문을 걔폐할 수 있는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개폐장치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창문 개폐 장치의 본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5는 모터 구동부와 감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 개폐 장치(100, 이하에서 '창문개폐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폐쇄 장치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 개폐 장치의 본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모터 구동부와 감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창문 폐쇄 장치(100)가 창문틀(13)에 부착된 예로, 창문 폐쇄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창문(11)을 지지하는 창문틀(13)에 결합되고, 하우징(110) 외측으로 돌출된 체인(161)이 창문(11)에 결합되어 체인(161)의 출입에 의해 창문(11)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힌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창문 폐쇄 장치(100)의 길이방향인 좌우 방향을 'X' 축선 방향, 창문이 열리고 닫히는 전후 방향을 'Z'축선 방향, X-Z 평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을 'Y' 축선 방향으로 각각 정한다.
창문 폐쇄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13)에 결합되고 본체(120)를 수용하는 하우징(110)과; 본체(12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을 출입하면서 창문(11)과 결합되는 체인(161)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41)를 포함하는 구동부(140)와; 상기 모터(141)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161)으로 전달하는 감속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20)의 길이방향(X 축선 방향)으로 상기 감속부(150)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140)의 길이방향(X 축선 방향, 도 2의 'L1' 방향 참조)과 상기 본체(120)의 길이방향(도 2의 'L2' 방향 참조)이 경사지도록(도 2의 'θ' 참조)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감속부(15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한된 폭을 유지할 수 있어 창문 폐쇄 장치(100)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구조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창문 폐쇄 장치(100)는 모터(141)와 미도시된 전자부품인 센서, 배터리(180) 등의 제어 및 조작을 위한 회로기판(170)과,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않는 비상시 모터(141), 회로기판(170)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문 폐쇄 장치(100)는, 상기 구동부(140)에서 상기 구동부(140)로 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영역에는 45도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여 별도의 동력전달 과정없이 수동으로 창문(11)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창문 폐쇄 장치(100)는, 일측은 상기 구동부(140)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140)의 타단과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결합브래킷(15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30)과, 케이싱(130) 내부에 수용되고 지지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40)와, 구동부(140)의 속도를 줄이는 감속부(150)와, 체인(161)을 포함하는 체인모듈(160)과, 회로기판(170)과, 배터리(180)를 포함한다.
케이싱(130)은 하측에 위치하여 구동부(140), 감속부(150) 등을 결합하는 하부 케이싱(133)과 하부 케이싱(133)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 케이싱(131)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싱(133)과 상부 케이싱(131)은 미도시된 볼트 등으로 결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싱(131) 및 하부 케이싱(133)에는 내측에 제1핀(151c), 제2핀(152c) 및 제3핀(153c)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핀 결합부재(131a), 제2핀 결합부재(131b) 및 제3핀 결합부재(131c)가 구비되어 있고, 결합돌기(147b)가 결합될 수 있는 돌기 결합부재(131d)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40)는, 모터(141)와, 모터(141)에서 연장되어 회전하는 모터축(143)과, 모터축(14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모터(141)를 케이싱(130)에 고정시키는 모터 고정부재(147)를 포함한다.
모터 고정부재(1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모터(1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분에서 양 단부가 모터(141)측으로 절곡된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다. 모터 고정부재(147)의 양 단부 중 일측은 모터(141)의 몸체에 결합되는 모터고정부(147a)를 구비하고 모터고정부(147a)는 모터(141)의 고정부재홈(141a)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7b)가 형성되어 케이싱(130)의 돌기 결합부재(131d)에 결합되어 구동부(140)를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맞물리는 종동 웜 헬리컬(151a)은 45도 헬리컬 기어로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창문(11)을 수동으로 열고 닫는 경우 모터(141) - 감속부(150) - 체인(161)으로의 동력 전달의 끊김없이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감속부(150)는 여러 단으로 구동부(140)의 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재(151, 152, 153)를 포함되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3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4단 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구동부(140)와 순차적으로 맞물리는 제1단 감속부재(151), 제2단 감속부재(152), 제3단 감속부재(153) 및 구동부(140)와 제1단 감속부재(151)가 모터 결합브래킷(15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 감속부재(151)는, 구동부(140)와 맞물리는 종동 웜 헬리컬(151a)과, 종동 웜 헬리컬(151a)과 동일 축인 제1핀(151c)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2단 감속부재(152)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1단기어(151b)를 구비하고 있으며, 종동 웜 헬리컬(151a)과 구동 1단기어(151b)에는 제1핀(151c)이 결합되는 제1핀홀(151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단 감속부재(152)는, 구동 1단기어(151b)와 맞물리는 종동 2단기어(152a)와, 종동 2단기어(152a)와 동일 축인 제2핀(152c)의 하측에 결합되어 제3단 감속부재(15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2단기어(152b)를 구비하고 있으며, 종동 2단기어(152a)와 구동 2단기어(152b)에는 제2핀(152c)이 결합되는 제2핀홀(152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단 감속부재(153)는, 구동 2단기어(152b)와 맞물리는 종동 3단기어(153a)와, 종동 3단기어(153a)와 동일 축인 제3핀(153c)의 하측에 결합되어 체인(161)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153b)을 구비하고 있으며, 종동 3단기어(153a)와 스프로킷(153b)에는 제3핀(153c)이 결합되는 제3핀홀(153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터 결합브래킷(155)은, 브래킷본체(155a)와, 브래킷본체(155a)의 일측에 모터(141)와 결합되는 부분은 모터축(143)측의 모터(141)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모터결합부(155b)를 구비하고 있고 브래킷본체(155a)의 타측에는 모터축(143)과 모터축(14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맞물리는 종동 웜 헬리컬(151a) 및 종동 웜 헬리컬(151a)과 제1핀(151c)의 동일축선 상에 배치된 구동 1단기어(151b)를 수용하는 1단 감속부재 수용부(155c)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핀(151c)이 관통되는 제1핀 결합홀(155d)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결합브래킷(155)에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종동 웜 헬리컬(151a)이 결합되면, 모터축 웜 헬리컬(145)과 종동 웜 헬리컬(151a)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백래쉬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조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 결합브래킷(155)에 의해 모터(141)와 제1단 감속부재(151)와의 동력전달을 매우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141)의 회전력이 모터축(143) - 모터축 웜 헬리컬(145) - 종동 웜 헬리컬(151a) - 구동 1단기어(151b) - 종동 2단기어(152a) - 구동 2단기어(152b) - 종동 3단기어(153a) - 스프로킷(153b) - 체인(161)으로 전달되면서 감속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속부(150)는 종래에 모터와 일체형으로 감속되는 모터감속기에 비하여 부품수에서는 증가하는 단점이 있지만 그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체인모듈(160)은, 스프로킷(153b)에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161)과, 체인(161)의 단부에 마련되어 창문(11)과 결합되는 체인블록(161a)과 미도시된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드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기판(17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시키고, 모터(141), 미도시된 각종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고 미도시된 중앙제어부와 화재 관련 신호, 작동 상태 신호 등을 송수신하며 창문 폐쇄 장치(100)를 작동할 수 있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조작표시부(17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창문 폐쇄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11)이 열린 상태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어 중앙제어부 등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141)가 구동하여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모터축(143) - 모터축 웜 헬리컬(145) - 종동 웜 헬리컬(151a) - 구동 1단기어(151b) - 종동 2단기어(152a) - 구동 2단기어(152b) - 종동 3단기어(153a) - 스프로킷(153b) - 체인(161)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감속되어 체인(161)이 케이싱(130) 내부로 들어오고 결합된 창문(11)이 닫히게 되고 미도시된 센서가 창문(11)이 닫힌 상태를 감지하면 모터(141)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평상시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환기 등을 이유로 창문을 개방하면 전술한 바와 역방향으로 체인(161)에서 모터(141)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체인(161)과 모터(141) 사이의 동력전달의 끊김 현상없이 구동되어 창문(11)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한된 폭에서 최대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이 끊김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수동으로 창문을 걔폐할 수 있는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창문 폐쇄 장치 11 : 창문
13 : 창문틀 110 : 하우징
120 : 본체 130 : 케이싱
131 : 상부 케이싱 131a : 제1핀 결합부재
131b : 제2핀 결합부재 131c : 제3핀 결합부재
131d : 돌기결합부재
133 : 하부 케이싱 140 : 구동부
141 : 모터 141a : 모터고정부재홈
143 : 모터축 145 : 모터축웜 헬리컬
147 : 모터 고정부재 147a : 모터고정부
147b : 결합돌기 150 : 감속부
151 : 제1단 감속부재 151a : 종동웜 헬리컬
151b : 구동 1단기어 151c : 제1핀
151d : 제1핀홀
152 : 제2단 감속부재 152a : 종동 2단기어
152b : 구동 2단기어 152c : 제2핀
152d : 제2핀홀
153 : 제3단 감속부재 153a : 종동 3단기어
153b : 스프로킷 153c : 제3핀
153d : 제3핀홀
155 : 모터 결합브래킷 155a : 브래킷 본체
155b : 모터결합부 155c : 1단 감속부재 수용부
155d : 제1핀 결합홀
160 : 체인모듈 161 : 체인
161a : 체인블록 170 : 회로기판
171 : 조작표시부 180 : 배터리

Claims (6)

  1. 창문 폐쇄 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에 지지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면서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으로 전달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감속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이 경사지도록 상기 구동부가 상기 감속부에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결합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체인으로 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영역에는 45도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 장치.
  3. 삭제
  4. 창문 폐쇄 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에 지지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을 출입하면서 창문과 결합되는 체인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으로 전달하는 감속부와;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결합 브래킷은 상기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 결합부와 상기 감속부가 수용되는 감속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결합 브래킷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폐쇄장치.
KR1020160076807A 2016-06-20 2016-06-20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178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7A KR101789664B1 (ko) 2016-06-20 2016-06-20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7A KR101789664B1 (ko) 2016-06-20 2016-06-20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664B1 true KR101789664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07A KR101789664B1 (ko) 2016-06-20 2016-06-20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6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27B1 (ko) * 2018-03-29 2018-11-07 최순호 복합 시스템 창호
KR20200000938U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102302819B1 (ko) * 2020-04-28 2021-09-15 한기철 수동 작동이 가능한 창문 자동 폐쇄 장치
CN113719214A (zh) * 2021-09-08 2021-11-30 南京威玛斯特自动机械有限公司 具有换气功能的电动开窗器
CN114623366A (zh) * 2022-03-08 2022-06-14 重庆中泰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隔热天窗
CN114673423A (zh) * 2022-03-17 2022-06-28 北京林业大学 一种单向弯曲链条式平开门窗开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8B1 (ko) *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8B1 (ko) *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27B1 (ko) * 2018-03-29 2018-11-07 최순호 복합 시스템 창호
KR20200000938U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200492076Y1 (ko) * 2018-11-02 2020-08-03 주식회사 티엠아이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102302819B1 (ko) * 2020-04-28 2021-09-15 한기철 수동 작동이 가능한 창문 자동 폐쇄 장치
CN113719214A (zh) * 2021-09-08 2021-11-30 南京威玛斯特自动机械有限公司 具有换气功能的电动开窗器
CN114623366A (zh) * 2022-03-08 2022-06-14 重庆中泰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隔热天窗
CN114673423A (zh) * 2022-03-17 2022-06-28 北京林业大学 一种单向弯曲链条式平开门窗开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1187938B1 (ko)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101692149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727003B1 (ko)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946398B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1416074B1 (ko)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KR102047329B1 (ko) 소방용 급배기구 개폐장치
KR102181149B1 (ko)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225960B1 (ko)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0745555B1 (ko) 주택 외벽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
KR101790311B1 (ko)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KR20180093575A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426645B1 (ko)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KR20190003120U (ko)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KR102409418B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KR20070076874A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0492076Y1 (ko)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102302819B1 (ko) 수동 작동이 가능한 창문 자동 폐쇄 장치
JP2015113652A (ja) ドアおよび採光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