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03B1 -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03B1
KR101727003B1 KR1020160037941A KR20160037941A KR101727003B1 KR 101727003 B1 KR101727003 B1 KR 101727003B1 KR 1020160037941 A KR1020160037941 A KR 1020160037941A KR 20160037941 A KR20160037941 A KR 20160037941A KR 101727003 B1 KR101727003 B1 KR 10172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orm
window
worm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호
김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Y2800/11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용 수동개폐가 가능한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줄수가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4:1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60N~80N의 힘으로 수동개폐가 가능하며 화재시 또는 비상시에는 전동으로 자동폐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내부에 수납되고 일단이 창문에 연결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려 체인을 이동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된 체인박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중간에 상기 웜휠과 맞물려 상기 웜힐을 회전시키는 웜기어가 형성된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 위한 제1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 위한 제2기어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고,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이며,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샤프트가 60N~80N의 힘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SELF-CLOSING APPARATUS FOR WINDOW WHICH IS POSSIBLE TO OPERATE BY MANUAL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웜기어와 웜휠의 조합시 웜휠의 수동회전이 되지 않는 현상을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줄수가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4:1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60N~80N의 힘으로 수동개폐가 가능하며 화재시 또는 비상시에는 전동으로 자동폐쇄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 발생되는 인명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이 먼저 발생되면서 많은 사상자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대량의 유독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에는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하는 자동폐쇄식의 창문,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댐퍼,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 창문이나 도어의 개폐, 급기댐퍼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 자동 폐쇄 장치는 배연창의 역기능을 이용하여 배연창을 설치한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작동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창문을 폐쇄할 수 있을 뿐, 평상시에는 수동으로 창문을 열리게 하거나 또는 닫히게 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창호의 이상이 발생시 이로 인해 화재에 의해 주전원 및/또는 예비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창문을 닫을 수 없어 제연구역의 압력이 소실되면서 차압의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187938호에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에 대하여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해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쉽게 수동으로 창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증폭용이 아닌 동력방향 변환용 45°경사진 헬리커 형상의 기어치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45°경사진 헬리컬 기어는 사용목적 자체가 동력의 증폭이 아닌 동력의 방향변환용으로 감속비가 1.1:1로 매우 작아 자동폐쇄시 필요한 폐쇄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동력인 DC 기어드 모터의 모터출력을 크게 하든지 아니면 기계적인 전달효율 저하 및 전기적인 동력의 효율이 떨어지는 손실을 감수하고 기어박스의 기어배열을 늘여 감속의 힘을 얻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446986호에는 "창문 자동폐쇄장치"에 대하여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창문 자동폐쇄장치는 화재발생시에는 창문이 자동 폐쇄되고, 필요 시에는 버튼을 작동해 창문의 수동개방을 할 수 있으며 버튼을 작동했을 때에는 작동 축과 결합된 버튼내부의 베어링만 회전하여 버튼을 조작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창문 자동폐쇄장치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창문 수동개폐시 웜기어와 웜휠의 맞물림 해제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고, 이러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사용자가 버튼을 인지 못하는 상황에서 창문 개폐시 간편하게 창문이 개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웜기어와 웜휠의 맞물림 해제 후 다시 맞물리 때 서로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187938호(2012년 09월 26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446986호(2014년 09월 26일 등록)
본 발명은 웜휠의 수동회전 불가한 현상을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줄수가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4:1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60N~80N의 힘으로 수동개폐가 가능하며 화재시 또는 비상시에는 전동으로 자동폐쇄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60N~80N의 힘으로도 창문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적은 기어 배열의 기어드 모터의 장착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내부에 수납되고 일단이 창문에 연결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려 체인을 이동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된 체인박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중간에 상기 웜휠과 맞물려 상기 웜힐을 회전시키는 웜기어가 형성된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 위한 제1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 위한 제2기어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고,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이며,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샤프트가 60N~80N의 힘으로 수동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의 줄수는 일정수치의 진행각을 지닌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은 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휠과 상기 웜기어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의 기어치 진행 각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감속장치가 내장되고,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DC 기어드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는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줄수가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4:1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60N~80N의 힘으로 수동개폐가 가능하며 화재시 또는 비상시에는 전동으로 자동폐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60N~80N의 힘으로 수동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소형화된 적은 기어배열의 기어드 모터의 장착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서 체인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서 웜기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서 체인박스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에서 웜기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내부에 수납되고 일단이 창문(20)에 연결되어 창문(20)을 개폐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110)에 맞물려 체인(110)을 이동시키는 스프로킷(120)과, 상기 스프로킷(12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킷(1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30)이 구비된 체인박스(100), 상기 회전축(13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210)과, 중간에 상기 웜휠(210)과 맞물려 상기 웜휠(210)을 회전시키는 웜기어(221)가 형성된 웜샤프트(220)와, 상기 웜샤프트(22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웜샤프트(220)를 회전시키 위한 제1기어(223)가 구비된 기어박스(200) 및 상기 기어박스(200)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223)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223)를 회전시키 위한 제2기어(310)가 형성된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박스(100)는 창문 프레임(10)의 테두리 부분에 볼트 등으로 설치 고정되고, 창문용 자동폐쇄장치의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며, 창문용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박스(100)는 체인(110)이 수납되어 체인(110)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체인(110)은 체인박스(100) 내부에 수납되어 스프로킷(120) 회전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고, 일단이 개폐되는 창문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창문을 밀거나 당기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체인(110)은 구동부(300)의 작동에 체인박스(100)에서 인출되어 창문을 개방하거나 또는 체인박스 내부로 인입되어 창문이 폐쇄되게 한다. 한편, 체인(110)은 자전거 체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체인 또는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프로킷(120)은 체인(110)의 각 마디 사이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회전축(13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며, 회전축(130)의 회전에 의해 체인(11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스프로킷(120)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웜휠(21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체인박스(100)와 기어박스(200) 내부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웜휠(210)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스프로킷(12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웜기어(221)에 의해 웜휠(210)이 회전되면 웜휠(210)은 회전축(13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은 다시 스프로킷(12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한편, 체인박스(100)와 기어박스(200)를 관통하여 접하는 부분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축(130)이 베어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기어박스(200)는 체인박스(100)의 외측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고, 웜휠(210) 및 웜샤프트(220) 등의 구성요소 등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200)는 웜샤프트(220)가 끼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끼움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웜휠(210)은 회전축(130)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축(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웜기어(221)와 맞물려 웜기어(22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3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웜샤프트(220)는 기어박스(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부(3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30)에 구비된 스프로킷(12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웜샤프트(220)는 중간에 형성되고 웜휠(210)과 맞물려 회전되는 웜기어(221)와, 웜기어(221)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양단에 구비된 베어링(222)과, 일측에 체결 고정된 제1기어(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웜기어(221)는 3 내지 6줄의 줄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웜샤프트(220)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형성되도록 각 독립된 4줄로 이루어진 웜기어(221-1, 221-2, 221-3, 221-4)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웜기어(221-1, 221-2, 221-3, 221-4)와 맞물리는 웜휠(210)의 잇수는 15 내지 18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5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웜기어(221)의 줄수를 3 내지 6줄 바람직하게는 4줄로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감속비를 크게 하여 적은 기어배열의 소형 기어드 모터의 장착이 가능하고, 특히, 창문에 60N~80N으로 힘이 가해져도 수동개폐될 수 있도록 웜휠(220)와 웜기어(211) 간의 기어치 비율(웜휠의 잇수에 대한 윔기어의 줄수의 비율)이 3:1 내지 6:1 바람직하게는 4:1로 감속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구동부(300)에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는 경우 수동으로 창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창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힘은 60N~80N의 힘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45°헬리컬기어는 수동개폐력과 전동폐쇄력이 상반된 특성이 있는바 페쇄력으로 인하여 수동개폐력이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45° 헬리컬기어는 전동력의 증감보다는 동력의 방향전환용이며 사용시 자동폐쇄시 폐쇄력을 얻기 위하여서는 주동력인 DC 기어드 모터의 선택범위가 협소한 기어배열수를 늘려 감속비를 올려 페쇄력을 얻을 수밖에 없는 기계적인 효율성 및 전기적인 효율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동력의 방향이 축직각으로 형성된 기본바탕에 동력의 증대효과을 4배 향상하면서 웜휠의 수동회전이 가능토록 웜기어(221)의 줄수를 3 내지 6줄 바람직하게는 4줄로 형성하여 웜휠(220)과 웜기어(211)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 바람직하게는 4:1의 감속비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또한, 웜휠(210)과 웜기어(221)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과 수동회전의 저항값을 줄일 수 있도록 웜기어(221)의 기어치 진행 각을 15° 내지 25°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2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222)은 기어박스(200)에 형성된 끼움부(23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고정되고, 웜샤프트(220)가 회전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끼움부(230)는 베어링(222)이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C" 형태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223)는 웜샤프트(22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고, 제2기어(310)와 맞물려 구동부(300)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웜샤프트(220)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기어박스(20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일단에는 제1기어(223)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3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부(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동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회전동력은 제2기어(31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기어(310)와 맞물린 제1기어(223)를 회전시켜 웜샤프트(220)가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부(300)는 내부에 감속장치가 내장되고,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소형의 DC기어드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창문 프레임 20; 창문
100; 체인박스 110; 체인
120; 스프로킷 130; 회전축
200; 기어박스 210; 웜휠
220; 웜샤프트 221; 웜기어
222; 베어링 223; 제1기어
230; 끼움부 300; 구동부
310; 제2기어

Claims (5)

  1. 내부에 수납되고 일단이 창문에 연결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려 체인을 이동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구비된 체인박스;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중간에 상기 웜휠과 맞물려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는 웜기어가 형성된 웜샤프트와, 상기 웜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웜샤프트를 회전시키 위한 제1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 위한 제2기어가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웜기어의 줄수가 3 내지 6줄로 형성되고,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이 3:1 내지 6:1이며,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샤프트가 60N~80N 의 힘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의 줄수는 4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과 웜기어 간의 기어치 비율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과 상기 웜기어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과 수동회전의 저항값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의 기어치 진행 각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감속장치가 내장되고,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DC 기어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160037941A 2016-03-29 2016-03-29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72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41A KR101727003B1 (ko) 2016-03-29 2016-03-29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41A KR101727003B1 (ko) 2016-03-29 2016-03-29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03B1 true KR101727003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941A KR101727003B1 (ko) 2016-03-29 2016-03-29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0373A (zh) * 2018-05-30 2018-09-28 东莞市豪丰实业有限公司 一种链条窗户锁
CN108858175A (zh) * 2018-07-12 2018-11-23 上海常仁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转动机构
KR101964112B1 (ko) * 2017-12-19 2019-07-31 설오열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KR20200000938U (ko)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자동 창문 폐쇄장치
CN115182658A (zh) * 2022-07-07 2022-10-14 苏州皇冠门控有限公司 一种双蜗链条开窗机总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KR101446986B1 (ko) 2014-02-14 2014-10-07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문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KR101446986B1 (ko) 2014-02-14 2014-10-07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문자동폐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12B1 (ko) * 2017-12-19 2019-07-31 설오열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CN108590373A (zh) * 2018-05-30 2018-09-28 东莞市豪丰实业有限公司 一种链条窗户锁
CN108590373B (zh) * 2018-05-30 2023-11-10 深圳市豪一丰机电有限公司 一种链条窗户锁
CN108858175A (zh) * 2018-07-12 2018-11-23 上海常仁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转动机构
KR20200000938U (ko)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자동 창문 폐쇄장치
CN115182658A (zh) * 2022-07-07 2022-10-14 苏州皇冠门控有限公司 一种双蜗链条开窗机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03B1 (ko)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0870193B1 (ko) 온실용 자동 개폐기
KR100946398B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1692149B1 (ko) 자동 폐쇄 장치
JP2005065371A (ja) ギアードモータ
KR101416074B1 (ko)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JP2015131525A (ja) 扉式ホーム柵、ホーム柵扉駆動システム、および扉式ホーム柵の設置方法
KR200322851Y1 (ko) 제연댐퍼
KR20060025397A (ko)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JP4278454B2 (ja) ハウス用の開閉装置
KR100394324B1 (ko) 창호 개폐 장치
KR20190106606A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JP7206233B2 (ja) 障子開閉装置及び建具
WO2021193495A1 (ja) 障子開閉装置及び建具
KR101841711B1 (ko) 비닐하우스 개폐모터용 연결구
JP2022050911A (ja) 建具
KR102523003B1 (ko)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한 비닐하우스 개폐기
JP3895261B2 (ja) シャッター
JP4261385B2 (ja) 扉の開閉補助装置
KR200492076Y1 (ko)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102104348B1 (ko) 다단 구조의 개별 개폐가 가능한 버티칼 블라인드
KR200237016Y1 (ko) 비닐하우스용 수동개폐기
JP4765203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