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986B1 - 창문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986B1
KR101446986B1 KR1020140017405A KR20140017405A KR101446986B1 KR 101446986 B1 KR101446986 B1 KR 101446986B1 KR 1020140017405 A KR1020140017405 A KR 1020140017405A KR 20140017405 A KR20140017405 A KR 20140017405A KR 101446986 B1 KR101446986 B1 KR 10144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window
worm
coupled
oper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기업
Priority to KR102014001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4Actuation thereof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버튼; 상기 베어링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에서 체결되고, 하부에는 웜기어가 형성되는 작동축;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 있는 웜;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작동시 하강하여 상기 웜기어와 웜의 맞물림을 해체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축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장치로부터 일단이 인출되어 상기 일단과 결합된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체인; 일측은 상기 베어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 결합하는 부싱; 화재 발생시 온도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해 전원부로 신호를 보내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웜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튼과 작동축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의 수동개방을 위해 버튼 작동시 작동축과 결합된 버튼내부의 베어링만 회전하여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자동폐쇄장치 {The automatic closing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에는 창문이 자동 폐쇄되고, 필요 시에는 버튼을 작동해 창문의 수동개방을 할 수 있으며 버튼을 작동했을 때에는 작동축과 결합된 버튼내부의 베어링만 회전하여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창문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는 이를 감지하여 작동축이 작동해 자동으로 창문이 폐쇄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작동축의 웜기어와 웜이 맞물려 있어 창문 개방이 불가능하지만 사용자의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도 창문 개방이 가능한 창문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창문자동폐쇄장치는 창문 수동개방시 버튼을 누르면 버튼과 연결된 작동축이 회전할 때 버튼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버튼을 누르는 동안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41367호와 공개특허공보 제2002-0081013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공보들에서도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모든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자동폐쇄뿐 아니라 필요 시 수동개방도 가능한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창문의 수동개방을 위해 버튼을 작동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하는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버튼; 상기 베어링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에서 체결되고, 하부에는 웜기어가 형성되는 작동축;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 있는 웜;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작동시 하강하여 상기 웜기어와 웜의 맞물림을 해체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축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장치로부터 일단이 인출되어 상기 일단과 결합된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체인; 일측은 상기 베어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 결합하는 부싱; 화재 발생시 온도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해 전원부로 신호를 보내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웜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튼과 작동축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의 수동개방을 위해 버튼 작동시 작동축과 결합된 버튼내부의 베어링만 회전하여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버튼내부에 베어링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와 생산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작동하면 웜과 웜기어 간의 맞물림이 해체되어 창문의 수동개방이 가능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자동폐쇄부가 작동하여 창문의 자동폐쇄가 가능한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창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자동폐쇄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자동폐쇄시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자동폐쇄시의 체인이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수동개방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수동개방시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에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이 포함된 창문자동폐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하부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상부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폐쇄장치의 전원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창문자동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문자동개폐장치(100)는 일측면이 창문(10)의 프레임(11)에 설치되고, 창문자동개폐장치의 내부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체인(151)의 일단이 상기 창문(10)에 설치된다. 상기 창문자동개폐장치(100)는 평상시에는 화재에 의한 온도 변화나 연기를 감지하여 창문자동개폐장치와 연결된 상기 창문(10)을 자동으로 개폐하지만,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창문자동개폐장치(100)에 형성된 버튼(110)을 누르면서 수동으로 창문(10)을 개폐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 중 자동개폐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100)의 자동개폐를 위해, 자동개폐부(170), 웜(131), 작동축(120), 스프로킷(121), 체인(151)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자동개폐부는 감지부(171), 전원부(172), 모터(173)를 포함한다.
감지부(171)는 화재 등의 위험 발생시 이를 감지해 전원부(172)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감지부(171)는 화재시 발생하는 온도변화나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부(172)는 상기 감지부(171)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173)에 전원을 공급한다.
모터(173)는 상기 전원부(17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웜(131)을 회전 구동시킨다.
웜(131)은 상기 모터(173)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작동축(120)에는 스프로킷 기어축(122)과 웜기어(123)가 형성된다.
스프로킷 기어축(122)은 작동축(1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스프로킷(121)이 결합되어 구동시킨다.
웜기어(123)는 작동축(12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웜(131)과 수직으로 맞물려 있어 웜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스프로킷(121)은 외주면에 체인(151)이 맞물리는 복수 개의 톱니(121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120)의 상부에서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로킷(121)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때에는 상기 스프로킷(121) 중앙에 제2홀(121b)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 기어축(122)에 삽입된다. 따라서 웜기어(123) 회전시 스프로킷(121)도 함께 회전한다.
체인(151)은 스프로킷에 형성된 톱니(121a)에 맞물려 있어 상기 스프로킷(121)이 회전시 함께 회전해 체인(151)의 일단이 장치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체인(151)의 일단과 결합된 창문(10)을 개폐한다.
탄성부재(140)는 상기 작동축(12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작동축(120)을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져 상기 작동축(120)을 안정적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 중 수동개폐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의 수동개폐를 위해 버튼(110)을 추가적으로 작동시킨다.
버튼(110)의 중앙에는 제1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112)에는 상기 작동축(120)의 상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축(120)의 상단에는 제1홈(124)이 형성된다. 이 때 볼트(180)가 상기 베어링(112)의 내주면과 상기 제1홈(124)을 통과해 상기 베어링(112)과 상기 작동축(120)을 체결시킨다.
상기 버튼(110)은 창문자동개폐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110)을 누르면 버튼과 연결된 상기 작동축(120) 및 작동축 하단에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140)가 함께 하강해 작동축이 회전하지 못하게 맞물려있던 상기 웜기어(123)와 웜(131)이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축(120) 및 스프로킷(121)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해져 사용자는 상기 스프로킷(121)에 맞물려있던 체인(151)의 일단이 결합된 창문(10)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110)을 누른 채로 상기 체인(151)의 일단에 결합된 창문(10)을 개폐하면 자동으로 작동축(12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튼(110) 내부에는 베어링(1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축(120)과 결합된 베어링(112)만 회전할 뿐 버튼(110)은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는 부싱(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원기둥 형상의 부싱(160)의 일측은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112)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120)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부싱(160)은 중앙에 제3홀(16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180)가 상기 제3홀을 관통하여 베어링(112) 및 작동축(120)과 체결된다. 상기 베어링(112)을 단독 사용시 사용 중 내주면이 마모되어 사용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부싱(160)을 더 포함하여 베어링 마모를 막아 베어링의 사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창문자동개폐장치(100)는 크게 하부층(100b), 상부층(100a) 및 전원부(172)로 나뉘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의 하부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층(100b)은 기어박스(130), 감지부(171) 및 모터(173)를 포함한다.
기어박스(130)는 상기 상부층(100a) 및 하부층(100b)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130)에는 작동축(120)과 스프로킷(121), 탄성부재(140), 웜(131)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웜(131)은 상기 작동축(120)에 형성된 웜기어(123)와 맞물린다. 상기 상부층(100a)과 하부층(100b)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100d)에는 관통홀(100c)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120)이 삽입된다. 특히 상기 작동축(120)의 스프로킷(121) 아래 외주면에는 제2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125)에 상기 경계면(100d)이 삽입되어 상기 작동축(120)이 회전할 때 원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한다.
감지부(171)는 화재 등의 위험 발생시 이를 감지해 전원부(172)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감지부(171)는 화재에 의한 온도변화나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173)는 전원부(17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웜(131)을 회전 구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의 상부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층(100a)은 체인박스(150) 및 기어박스(130)를 포함한다.
체인 박스(150)에는 상기 체인(151)이 보관되고, 체인이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용이하도록 체인 가이드(152)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자동개폐장치의 전원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부(172)는 상기 상부층(100a) 및 하부층(100b)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171)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173)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창문 11: 프레임
100: 창문자동폐쇄장치
100a: 상부층 100b: 하부층
100c: 관통홀 100d: 경계면
110: 버튼
111: 제1홀 112: 베어링
120: 작동축
121: 스프로킷
121a: 톱니 121b: 제2홀
122: 스프로킷 기어축
123: 웜기어
124: 제1홈
125: 제2홈
130: 기어박스
131: 웜
140: 탄성부재
150: 체인박스
151: 체인
152: 체인 가이드
160: 부싱
161: 제3홀
170: 자동폐쇄부
171: 감지부 172: 전원부 173: 모터

Claims (5)

  1. 중앙에 제1홀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버튼;
    상기 베어링이 회동가능하도록 상단에서 체결되고, 하부에는 웜기어가 형성되는 작동축;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 있는 웜;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작동시 하강하여 상기 웜기어와 웜의 맞물림을 해체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축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려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장치로부터 일단이 인출되어 상기 일단과 결합된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체인;
    일측은 상기 베어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의 상단에 결합하는 부싱;
    화재 발생시 온도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해 전원부로 신호를 보내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웜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튼과 작동축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자동폐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7405A 2014-02-14 2014-02-14 창문자동폐쇄장치 KR10144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05A KR101446986B1 (ko) 2014-02-14 2014-02-14 창문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05A KR101446986B1 (ko) 2014-02-14 2014-02-14 창문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86B1 true KR101446986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405A KR101446986B1 (ko) 2014-02-14 2014-02-14 창문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9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2030A (zh) * 2015-05-14 2015-08-12 宁波合力伟业消防科技有限公司 无电方便开启开窗机
CN105756461A (zh) * 2016-04-28 2016-07-13 南通苏驰建设工程有限公司 可手动开启的电动开窗机及开窗系统
KR101727003B1 (ko) 2016-03-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200033488A (ko) * 2018-09-20 2020-03-30 채창호 푸쉬창 개폐장치
KR20200074784A (ko) 2018-12-17 2020-06-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210061136A (ko) 2019-11-19 2021-05-27 박기환 수동 개폐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KR20210061127A (ko) 2019-11-19 2021-05-27 박기환 배연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165A (ja) * 1992-11-30 1994-06-14 Y K K Architect Prod Kk 雨戸の開閉装置
KR200252979Y1 (ko) 2001-07-25 2001-11-23 황육익 윈도우 오퍼레이팅 시스템
JP2002220969A (ja) 2000-12-22 2002-08-09 3G Technology Co Ltd 窓開閉装置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165A (ja) * 1992-11-30 1994-06-14 Y K K Architect Prod Kk 雨戸の開閉装置
JP2002220969A (ja) 2000-12-22 2002-08-09 3G Technology Co Ltd 窓開閉装置
KR200252979Y1 (ko) 2001-07-25 2001-11-23 황육익 윈도우 오퍼레이팅 시스템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2030A (zh) * 2015-05-14 2015-08-12 宁波合力伟业消防科技有限公司 无电方便开启开窗机
KR101727003B1 (ko) 2016-03-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CN105756461A (zh) * 2016-04-28 2016-07-13 南通苏驰建设工程有限公司 可手动开启的电动开窗机及开窗系统
KR20200033488A (ko) * 2018-09-20 2020-03-30 채창호 푸쉬창 개폐장치
KR102135132B1 (ko) * 2018-09-20 2020-07-17 채창호 푸쉬창 개폐장치
KR20200074784A (ko) 2018-12-17 2020-06-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210061136A (ko) 2019-11-19 2021-05-27 박기환 수동 개폐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KR20210061127A (ko) 2019-11-19 2021-05-27 박기환 배연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986B1 (ko) 창문자동폐쇄장치
KR101537377B1 (ko)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EP3599685A3 (en) Cable block
KR101534935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CN104675260B (zh) 车辆用门开闭装置
KR20100109127A (ko) 하나의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비데용 동축 댐퍼
US8224228B2 (en) Cover closer
CN111852243A (zh) 一种自动开关门装置及家用电器
JP2006085134A (ja) 開閉部材のモータ式自動開閉装置
KR200487221Y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0836868B1 (ko)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KR20120086853A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JP2007197991A (ja) 電気錠に於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JP2019108678A (ja) 扉開閉装置
CN105620988A (zh) 一种能自动开合的垃圾桶
JP4280620B2 (ja) クラッチ
CN105620987A (zh) 一种能自动开合的垃圾桶
CN203659768U (zh) 一种断路器推进机构
KR200334303Y1 (ko)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JP2006200176A (ja) 電動式ドアクローザー
CN103771212A (zh) 一种超速即停装置
KR102089175B1 (ko)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JP3225251U (ja) センサー式ごみ箱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1202952B1 (ko) 여닫이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