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873B1 -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873B1
KR102287873B1 KR1020200070581A KR20200070581A KR102287873B1 KR 102287873 B1 KR102287873 B1 KR 102287873B1 KR 1020200070581 A KR1020200070581 A KR 1020200070581A KR 20200070581 A KR20200070581 A KR 20200070581A KR 102287873 B1 KR102287873 B1 KR 10228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liding door
suppor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갑
송루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to KR102020007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88Lock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F2700/0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형태의 문이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미닫이 문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개폐하기 위하여 누름구를 원터식으로 누름에 의하여 미닫이 문을 개폐하도록 하는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열리지 않도록 내측 문(1) 프레임과 외측 문(2) 프레임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3)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3)는, 내측 문 프레임(1)에 결합되도록 지지테(61)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벽면의 상단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돌기(62)가 형성되는 고정 원통체(6)와, 상기 고정 원통체(6)의 내부 상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측에 누름돌기(71)가 형성된 원통의 누름부재(7)와, 상기 누름부재(7)의 누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누름부재(7)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에 힌지핀(87)에 의해 연결되어 연장되는 출몰부(82)와, 상기 지지대(81)와 출몰부(82)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걸림테(83)와, 상기 스프링걸림테(83)의 상부에는 120도 간격으로 오목홈(85)이 형성된 2개씩의 회전돌기(85)와, 2개씩의 회전돌기(85)들 사이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통과홈(84)으로 이루어진 이동체(8)와, 상기 내측 문(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원통체(6)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턱(11)이 형성된 지지캡(10)과, 상기 이동체(8)의 스프링걸림테(83)에 형성된 출몰부(82)와 지지캡(10)에 형성된 지지턱(11)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One-touch 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형태의 문이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미닫이 문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개폐하기 위하여 누름구를 원터식으로 누름에 의하여 미닫이 문을 개폐하도록 하는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허 등록번호 제10-1661462호(2016. 09. 26 등록)에 미닫이 문 잠금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발명은 일측 문 프레임(100)의 장착홀(110a)과 브래킷(150)이 구비된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홈(112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 타측 문 프레임(100,160)을 결속시키는 출몰부재(110)와, 상기 출몰부재(110)의 후단에 연결부(122)가 연결된 회전레버(120)와, 상기 회전레버(120)의 선단에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방지부(126)와, 상기 출몰부재(110)가 결속홈(112a) 내부로 전진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발명은 문 프레임(100)과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회전레버(120)의 손잡이(124)를 파지한 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결속홈(112a)의 내부에 위치한 출몰부재(110)가 후진하게 되면 장착홀(110a) 내에 회전레버(120)가 위치되면 손잡이(124)를 하향 회동시켜 회전레버(120)를 출몰부재(110)의 후단에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레버(120)가 출몰부재(110)의 후단에서 하향 회동되면 출몰부재(110)의 걸림턱(114)과 고정 브래킷(140)의 연장부(142)에 지지된 탄성부재(130)가 압축되어 회전방지부(126)의 상단이 고정 브래킷(140)의 외벽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전레버(120)가 상향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되며, 회전레버(120)가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홈(112a)에서 분리된 후 일측 문 프레임(100)의 장착홀(110a) 내에 위치되게 되면 문 프레임(100,160)이 결속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문 프레임(100)과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시키기 위하여는, 일측 문 프레임(100)과 타측 문 프레임(160)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당겨 문틀 프레임 내에서 폐쇄시킨 후 사용자가 일측 문 프레임(110)의 장착홀(110a) 외부에서 하향 회전된 회전레버(120)의 손잡이(124)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회전레버(120)가 출몰부재(1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부재(110)부터 전진시키게 되고 후속으로 출몰부재(110)와 연결된 회전레버(120)를 전진시켜 출몰부재(110)의 선단이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홈(112a) 내에 위치하게 되면 출몰부재(110)가 타측 문 프레임(160)의 결속홈(112a) 내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레버(120)가 일측 문 프레임(100)의 장착홀(110a) 내에 위치되므로 일측 문 프레임(100)과 타측 문 프레임(160)을 결속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미닫이 문 잠금장치는 문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 잠금장치의 손잡이를 잡아 당기고 하향 회동시키거나, 손잡이를 상향으로 회동시켜 손을 놓아야 미닫이문을 잠그거나 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661462호. 발명의 명칭 : 미닫이 문 잠금장치 (2016. 09. 2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누름부재를 누르기만 하면 내측 문과 외측 문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의 출몰부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여 자동으로 정지되어 문의 개폐상태를 계속 유지되므로 손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간편하고 아주 쉽게 내측 문과 외측 문을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의 안전을 위하여 내측 문과 외측 문이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 부주의로 어린 아이들이 조그만 힘을 가하여도 문을 열 수 있는 누름부재를 마음대로 누를 수 없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는, 내측 문과 외측 문이 열리지 않도록 내측 문 프레임과 외측 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는, 내측 문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지지테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벽면의 상단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원통체와, 상기 고정 원통체의 내부 상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측에 누름돌기가 형성된 원통의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누름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회동부가 힌지핀의 삽입에 의해 연결되는 출몰부와, 상기 지지대와 출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걸림테와, 상기 스프링걸림테의 상부에는 120도 간격으로 오목홈이 형성된 2개씩의 회전돌기와, 2개씩의 회전돌기들 사이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통과홈으로 이루어진 이동체와, 상기 내측 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원통체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턱이 형성된 지지캡과, 상기 이동체의 스프링걸림테에 형성된 출몰부와 지지캡에 형성된 지지턱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원통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테에는 누름부재를 덮는 덮개와 덮개을 탈부착시키는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 손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누름부재를 누르기만 하면 내측 문과 외측 문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의 출몰부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여 자동으로 정지되어 문의 개폐상태를 계속 유지되므로 손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간편하고 아주 쉽게 내측 문과 외측 문을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의 안전을 위하여 내측 문과 외측 문이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린 아이들이 조그만 힘을 가하여도 문을 열 수 있는 덮개에 의해 누름부재를 마음대로 누를 수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측 문과 외측 문이 엇갈리게 닫혀 있어도 출몰부가 회동하여 정위치에 중심을 맞추어 편리하게 양쪽 문을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 잠금장치의 잠긴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종래발명에 따른 미닫이 문 잠금장치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가 문에 장착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체의 출몰부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체의 출몰부가 힌지핀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손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간편하고 아주 쉽게 내측 문과 외측 문을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가 미닫이 문에 장착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미닫이 문 원터치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체의 출몰부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체의 출몰부가 힌지핀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미닫이 내측 문과 외측 문을 잠금하는 원터치식 잠금장치(3)는 고정원통체(6), 누름부재(7), 이동체(8), 스프링(9), 지지캡(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상기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3)의 일 부품에 해당하는 고정원통체(6)는 내측 문 프레임(1)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테(61)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벽면의 상단에는 이동체(8)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85) 사이에 120도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된 안내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원통체(6)의 내부 상단에 삽입되어 이동체(8)의 출몰부(82)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누름에 의해 하측에 누름돌기(71)가 다수개 형성된 원통의 누름부재(7)가 고정 원통체(6)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7)의 누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체(8)는 원통의 누름부재(7)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하부에 회동부(88)가 힌지핀(87)의 삽입에 의해 연결되는 출몰부(82)와, 상기 지지대(81)와 출몰부(82)의 사이에는 스프링걸림테(83)가 형성되며, 스프링걸림테(83)의 상부에는 120도 간격으로 오목홈(85)이 형성된 2개씩의 회전돌기(85)가 형성되며, 2개씩의 회전돌기(85)들 사이에는 고정원통체(6)의 내벽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62)가 통과하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통과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원통체(6)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턱(11)이 형성된 지지캡(10)이 내측 문(1)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출몰부(82)와 지지캡(10)에 형성된 지지턱(11) 사이에는 스프링(9)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원통체(6)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테(61)에는 어린 아이들이 조그만 힘을 가하여도 문을 열 수 있는 누름부재를 마음대로 누를 수 없도록 덮개(4)와 덮개(4)을 탈부착시키는 자석(5)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터치식 잠금장치(3)를 작동시켜 내측 문(1)과 외측 문(2)을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의 (가)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식 잠금장치(3)가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닫혀져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출몰부(8)의 끝부분이 외측 문(8)의 프레임에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덮개(4)를 열고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7)을 누르게 되면 지지캡(10)의 지지턱(11)에 지지되며 출몰부(82)의 끼워져 있는 압축되는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부재(7)는 보이는 도면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누름부재(7)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71)가 이동체(8)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8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돌기(8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돌기(71)의 뾰족부분이 이동체(8)에 형성되어 있는 2개씩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85) 사이의 오목홈(86)에 안착되는 동시에 이동체(8)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과홈(84)에 의해 고정 원통체(6)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62)에 안내되면서 이동체(8)가 최대로 깊게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부(82)가 외측 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2)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출몰부(82)가 지지구(1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름부재(7)를 누르지 않게 되면 도 6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부재(7)와 이동체(8)가 약간 상승하면서 누름부재(7) 속에 들어있는 지지대(81)의 이동체(8)는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약간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2개씩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85)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86)에 고정 원통체(6)의 내벽에 있는 안내돌기(62)의 아래 부분에 걸리면서 안착되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체(8)가 정지한 상태가 되어 출몰부(82)는 외측 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2)의 지점에 삽입되어 정지되므로 문이 잠기게 된다.
한편, 도 8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약간 엇갈리게 닫혀 있는 상태에서 누름부재(7)를 누르게 되면 이동체(8)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부(82)가 외측 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2)에 삽입될 때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엇갈리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출몰부(82)의 좌측부분인 회동부(88)가 출몰부(82)에 삽입되는 힌지핀(8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출몰부(82)의 좌측부분인 회동부(88)는 힌지핀(87)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면서 삽입되므로 도 8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엇갈리게 되어 있더라도 위치 중심을 맞추어 편리하게 양쪽 문을 잠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잠그져 있는 상태에서 덮개(4)를 내리면 덮개(4)의 손잡이 부분이 자석(4)에 붙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가 누름부재(7)를 마음대로 누를 수 없게 되므로 안전하게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잠그져 있는 내측 문(1)과 외측 문(2)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측 문(1)과 외측 문(2)을 잠그는 역순으로 도 6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식 잠금장치(3)가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닫혀져 출몰부(82)가 외측 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2)에 삽입되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석(4)으로 부터 덮개(4)를 열고 누름부재(7)을 누르게 되면 지지캡(10)의 지지턱(11)에 지지되며 출몰부(82)의 끼워져 있는 압축되는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부재(7)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누름부재(7)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71)가 이동체(8)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8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돌기(8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돌기(71)의 뾰족부분이 이동체(8)에 형성되어 있는 120도 간격으로 오목홈(86)이 형성된 2개씩의 회전돌기(85)의 오목홈(86)에 안착되는 동시에 이동체(8)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과홈(84)에 의해 고정 원통체(6)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62)에 안내되면서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이동체(8)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출몰부(82)가 외측 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2)에 이탈되어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1 : 내측 문 2 : 외측 문 3 : 원터치식 잠금장치
4 : 덮개 5 : 자석 6 : 고정 원통체
61 : 지지테 62 : 안내돌기 7 : 누름부재
71 : 누름돌기 8 : 이동체 81 : 지지대
82 : 출몰부 83 : 스프링걸림테 84 : 통과홈
85 : 회전돌기 86 : 오목홈 87 : 힌지핀
88 : 회동부 9 : 스프링 10 : 지지캡
11 : 지지턱 12 : 지지구

Claims (2)

  1. 내측 문(1)과 외측 문(2)이 열리지 않도록 내측 문(1) 프레임과 외측 문(2) 프레임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3)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3)는, 내측 문 프레임(1)에 결합되도록 지지테(61)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벽면의 상단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돌기(62)가 형성되는 고정 원통체(6)와,
    상기 고정 원통체(6)의 내부 상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측에 누름돌기(71)가 형성된 원통의 누름부재(7)와,
    상기 누름부재(7)의 누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누름부재(7)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하부에 회동부(88)가 힌지핀(87)의 삽입에 의해 연결되는 출몰부(82)와, 상기 지지대(81)와 출몰부(82)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걸림테(83)와, 상기 스프링걸림테(83)의 상부에는 120도 간격으로 오목홈(85)이 형성된 2개씩의 회전돌기(85)와, 2개씩의 회전돌기(85)들 사이에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통과홈(84)으로 이루어진 이동체(8)와,
    상기 내측 문(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원통체(6)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턱(11)이 형성된 지지캡(10)과,
    상기 이동체(8)의 스프링걸림테(83)에 형성된 출몰부(82)와 지지캡(10)에 형성된 지지턱(11)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통체(6)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테(61)에는 누름부재(7)를 덮는 덮개(4)와 덮개(4)을 탈부착시키는 자석(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원터치식 잠금장치.
KR1020200070581A 2020-06-10 2020-06-10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228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81A KR102287873B1 (ko) 2020-06-10 2020-06-10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81A KR102287873B1 (ko) 2020-06-10 2020-06-10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873B1 true KR102287873B1 (ko) 2021-08-09

Family

ID=7731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81A KR102287873B1 (ko) 2020-06-10 2020-06-10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8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33B1 (ko) * 1999-09-15 2002-05-30 박상남 버튼식 창문 잠금장치
JP2006022634A (ja) * 2004-07-10 2006-01-26 Emi Yamato プッシュ式鍵付きサッシ
KR101661462B1 (ko) 2016-04-19 2016-09-30 주식회사 우디스 미닫이 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33B1 (ko) * 1999-09-15 2002-05-30 박상남 버튼식 창문 잠금장치
JP2006022634A (ja) * 2004-07-10 2006-01-26 Emi Yamato プッシュ式鍵付きサッシ
KR101661462B1 (ko) 2016-04-19 2016-09-30 주식회사 우디스 미닫이 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1482B1 (en) Closure device assembly for a piece of luggage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US7942457B1 (en) Lever-handled pocket door latching system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100011513A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0821533B1 (ko) 이중 창문 잠금장치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4081749B2 (ja) 扉装置
JP2524824Y2 (ja) 開き窓のあおり止め装置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64283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거나 돌리는 문 개폐장치
KR200150793Y1 (ko) 도어 록 장치
JP7233122B2 (ja) ドア・窓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KR200182729Y1 (ko) 창문의 버튼식 잠금장치
JP4858871B2 (ja) 開閉操作装置
KR200409897Y1 (ko) 버튼식 도어 록 장치
KR200196875Y1 (ko) 창문용 시건장치
KR200150794Y1 (ko) 도어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