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207B1 -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207B1
KR101219207B1 KR1020100072400A KR20100072400A KR101219207B1 KR 101219207 B1 KR101219207 B1 KR 101219207B1 KR 1020100072400 A KR1020100072400 A KR 1020100072400A KR 20100072400 A KR20100072400 A KR 20100072400A KR 101219207 B1 KR101219207 B1 KR 10121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handle
footrest
clos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810A (ko
Inventor
김현아
Original Assignee
김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아 filed Critical 김현아
Priority to KR102010007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1Foot-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를 위한 조작 편의성이 한층 향상된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한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틀 측에 가장자리 일측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되면서 일단이 상기 도어틀 일측과 걸림 상태로 끼워지는 걸림구로 구성되는 제1 개폐조작부 그리고, 상기 제1 개폐조작부의 손잡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발판과, 이 발판과 상기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제2 개폐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hinged door assembly}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조작성 및 사용 편의성이 한층 향상된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도어(sliding door)와, 여닫이식 도어(hinged door)가 있으며, 특히 여닫이식 도어는 출입 방향으로 도어가 개폐(회동)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미닫이식 도어와 비교할 때 도어의 개폐 조작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틀 내측에 도어 일측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힌지 결합 지점의 반대편에는 손잡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장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면서 도어틀 측에 일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걸림구로 구성되어 출입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손으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구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도어가 도어틀 측에 닫힌 상태로 잠겨지도록 하는 기능(록킹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한 여닫이식 도어는 특히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일 때 만족할 만한 개폐 조작성 및 편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손으로 물건을 든 상태에서 도어를 열려면 물건을 내려놓은 다음,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개폐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여닫이식 도어는 출입자가 매번 손잡이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개폐 조작을 해야 하므로 출입시 손잡이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세균이나 병균 들이 쉽게 전염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종래의 여닫이식 도어들이 대부분 손으로만 개폐 조작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신체의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도어를 간편하게 열 수 있도록 형성된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틀 측에 가장자리 일측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되면서 일단이 상기 도어틀 일측과 걸림 상태로 끼워지는 걸림구로 구성되는 제1 개폐조작부;
상기 제1 개폐조작부의 손잡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발판과, 이 발판과 상기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제2 개폐조작부;
를 포함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의 손으로 조작되는 제1 개폐조작부를 구비함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신체의 발을 사용하여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 개폐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어를 열 때 한층 향상된 조작성 및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의 제2 개폐조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의 회동제한수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도어를 지칭한다.
상기 도어(2)는 도어틀(4)의 내부 통로(E)를 여닫이 방식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틀(4) 측에 연결된다.
즉, 상기 도어(2)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일측이 상기 도어틀(4)의 통로(E) 내부면 일측과 경첩(H)으로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도어틀(4)의 통로(E)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2) 측에 제공되는 제1 개폐조작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개폐조작부(6)는 출입자가 손을 사용하여 도어(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틀(4) 측에 상기 도어(2)를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상의 도어용 손잡이장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개폐조작부(6)는, 손잡이(G1)와, 이 손잡이(G1)의 회동 조작에 의해 움직이면서 일단이 상기 도어틀(4)의 통로(E) 내부면 일측에 걸림 상태로 끼워지는 걸림구(G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G1)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지만, 막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의 일면 또는 타면 측에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G1)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의 일면 및 타면의 힌지 결합 지점 반대쪽에서 출입자가 바닥에 선 상태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지점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G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G1)들 사이에 배치되며, 별도의 케이스(G3)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G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G1)의 회동 조작시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케이스(G3) 내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일단이 상기 도어틀(4)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G4) 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손잡이(G1)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구(G2)가 상기 도어틀(4)의 걸림홈(G4) 측에 끼워져서 상기 도어(2)가 상기 도어틀(4)의 통로(E) 측에 닫힌 상태로 잠겨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G1)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구(G2)가 반대쪽으로 움직이면서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개폐조작부(6)는, 일반적인 여닫이식 도어 측에 제공되는 손잡이장치의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2)의 잠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개폐조작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2 개폐조작부(8)는, 상기 도어(2)가 닫힌 상태로 잠겨져 있을 때 신체의 발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개폐조작부(6)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개폐조작부(8)는, 발판(F1)과, 이 발판(F1)과 상기 제1 개폐조작부(6)의 손잡이(G1) 사이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F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F1)은 상기 도어(2)의 일면과 타면 측에서 상기 손잡이(G1) 아래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F1)은 예를 들어, 출입자가 바닥에 선 상태에서 발로 밟아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 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판(F1)은 고무판을 사용하거나, 외부면(윗면)에 통상의 요철부를 갖도록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발판(F1)을 발로 밟을 때 슬립(slip)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판(F1)은, 상기 도어(2)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될 수 있는 부착 상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F1)의 일측에 지지축(F3)을 설치하여 이 지지축(F3)의 일단이 상기 도어(2) 하부 외부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 측에는 상기 지지축(F3)이 끼워지는 가이드홈(F4)을 구비한 가이드판(F5)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F4)은 상기 발판(F1)이 아래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걸려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대략 "L"자 모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판(F1)은 상기 도어(2)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아래로 이동된 상태로 걸려질 수 있는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F2)는, 상기 발판(F1)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제1 개폐조작부(6)의 손잡이(G1)가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발판(F1)과, 상기 손잡이(G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F2)는, 상기 발판(F1)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G1) 측에 타단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판(F1)을 아래로 누를 때 상기 손잡이(G1)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도록 상기 연결구(F2)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발판(F1)을 발로 눌러서 상기 손잡이(G1)를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한 제2 개폐조작부(8)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F1)을 발로 밟은 상태로 아래쪽으로 누르면, 상기 손잡이(G1)가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구(G2)를 걸림 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2)의 상기 도어틀(4) 측에 잠겨진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개폐조작부(8)는 상기 발판(F1)의 작동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탄성부재(F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F6)는 여러 가지의 스프링 중에서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F6)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 내부면 일측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구(F2) 일측과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발판(F1)을 누른 상태에서 누름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F6)의 탄성력으로 상기 연결구(F2)를 위로 잡아당겨서 상기 발판(F1)이 위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탄성부재(F6)로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외에도 압축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비틀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발판(2)의 리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F2)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발판(F1)과 손잡이(G1) 사이를 한 개 이상의 링크들로 연결하여 상기 발판(F1)을 밟을 때 링크절 운동으로 상기 손잡이(G1)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판(F1)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돌출 단부가 점차 위쪽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 경사부(F6)를 갖도록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발판(F1)을 발로 누른 상태로 상기 도어(2)를 개폐 조작할 때 한층 향상된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2)를 열기 위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 상기 제1 개폐조작부(6)의 손잡이(G1)를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방식 이외에도 상기 제2 개폐조작부(8)의 발판(F1)을 발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잠김 상태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제2 개폐조작부(8)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신체의 발을 사용하여 도어(2)를 간편하게 열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손으로 물건을 든 상태이거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도어(2)를 열 때 한층 향상된 조작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을 사용하여 도어(2)를 여는 방식은 예를 들어, 학교나 학원과 같이 출입 인원이 많은 장소에서 도어(2)의 손잡이(G1)를 통해 각종 세균이나 병균 등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2)의 개폐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수단(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회동제한수단(10)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특히, 상기 회동제한수단(10)은, 상기 발판(F1)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면서 도어(2)의 개폐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동제한수단(10)은 여러 가지의 구동 방식 중에서 캠(cam) 구동 방식으로 가압구의 가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제한수단(10)은, 상기 발판(F1)에 의해 조작되는 캠(C1)과, 이 캠(C1)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토퍼(C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캠(C1)은 상기 도어(2) 내부에서 상기 발판(F1)의 지지축(F3)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발판(F1)은 상기 지지축(F3)의 축선을 중심으로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즉, 상기 캠(C1)은 상기 발판(F1)을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면 상기 지지축(F3)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발판(F1)의 경사도와 대응하는 각도로 회동되도록 셋팅된다.
상기 스토퍼(C2)는 상기 도어(2) 내측에서 상기 캠(C1) 아래쪽에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캠(C1)의 외부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즉, 상기 스토퍼(C2)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 내측에 마련된 슬라이드홈(C3) 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C1)으로 눌려질 때 상기 슬라이드홈(C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캠(C1)은 상기 발판(F1)이 아래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만 상기 스토퍼(C2)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C2)는 상기 도어(2)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될 때 하측 단부가 도어(2)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바닥면(예: 실내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스토퍼(C2)의 아래쪽 단부에는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판과 같은 슬립방지구(C4)를 부착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C2)의 하측 단부가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C2)는 예를 들어, 상기 캠(C1)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위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홈(C3) 내측에서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C5)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토퍼(C2)를 위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 수 있도록 셋팅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캠(C1)으로 상기 스토퍼(C2) 일단을 누른 상태에서 누름 압력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부재(C5)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C2)가 위쪽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가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상기한 회동제한수단(1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발판(F1)의 지지축(F3)이 상기 가이드홈(F4)의 아래쪽에 걸려진 상태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상기 캠(C1)이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C2)의 일단(위쪽 단부)을 누르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C2)는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되고 타단(아래쪽 단부)이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도어(2)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제한수단(10)의 작용은, 예를 들어 출입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발로 상기 제2 개폐조작부(8)를 조작하여 도어(2)를 열고 출입할 때 상기 도어(2)가 비정상으로 닫히면서 출입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도어클로져(door-closer)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의 도어(2)를 출입할 때 한층 향상된 출입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회동제한수단(1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제2 개폐조작부(8)를 발로 조작하면서 도어(2)를 열고 출입할 때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도어 4: 도어틀 6: 제1 개폐조작부
8: 제2 개폐조작부 10: 회동제한수단

Claims (7)

  1. 도어틀 측에 가장자리 일측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되면서 일단이 상기 도어틀 일측과 걸림 상태로 끼워지는 걸림구로 구성되는 제1 개폐조작부;
    상기 제1 개폐조작부의 손잡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발판과, 이 발판과 상기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제2 개폐조작부;
    상기 도어의 회동 개폐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의 조작에 의해 누름 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압구와, 이 가압구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토퍼를 구비한 회동제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제한수단의 가압구는,
    캠으로 구성되며, 이 캠은 상기 발판을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할 때 이 발판의 경사도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외부면으로 상기 스토퍼 일측을 눌러서 아래쪽을 향하여 밀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구 일단이 상기 도어틀 측에 걸려지고,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셋팅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조작부는,
    상기 발판을 누르면 상기 연결구로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밀면서 일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압구의 누름 압력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일측이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셋팅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슬립방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립방지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 중에서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20100072400A 2010-07-27 2010-07-27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121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00A KR101219207B1 (ko) 2010-07-27 2010-07-27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00A KR101219207B1 (ko) 2010-07-27 2010-07-27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810A KR20120010810A (ko) 2012-02-06
KR101219207B1 true KR101219207B1 (ko) 2013-01-10

Family

ID=458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400A KR101219207B1 (ko) 2010-07-27 2010-07-27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2612A1 (it) * 2020-09-24 2022-03-24 Stefano Ghidetti Dispositivo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i porte di tipologia sia a battente, sia scorrev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97B1 (ko) * 2016-10-20 2019-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로 개폐 가능한 도어시스템
CN107386851A (zh) * 2017-09-03 2017-11-24 佛山市文飞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用脚开的门
KR101975669B1 (ko) * 2017-09-08 2019-05-07 주양현 손잡이로 조작이 가능한 내장형 도어 스토퍼
KR102248152B1 (ko) * 2020-04-28 2021-05-04 송하용 화장실 도어 손잡이용 발 구동식 개폐장치
EP3907354A1 (fr) * 2020-05-04 2021-11-10 Probent Systeme d'actionnement de poignee de porte et gamme de systemes
KR102228201B1 (ko) * 2020-08-25 2021-03-15 박상철 공중화장실 도어용 개폐장치
KR102398230B1 (ko) * 2021-11-30 2022-05-17 조이레 도어 개폐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62A (ja) 1996-08-09 1998-02-24 Yoshio Azuma ドアハンドル操作具
JP2001248351A (ja) * 2000-03-03 2001-09-14 Zenji Tsuchikawa 回動扉の開放補助機構
KR200325011Y1 (ko) * 2003-04-30 2003-08-27 심주섭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0368518Y1 (ko) * 2004-07-29 2004-11-26 임주형 보조 개폐장치가 장착된 여닫이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62A (ja) 1996-08-09 1998-02-24 Yoshio Azuma ドアハンドル操作具
JP2001248351A (ja) * 2000-03-03 2001-09-14 Zenji Tsuchikawa 回動扉の開放補助機構
KR200325011Y1 (ko) * 2003-04-30 2003-08-27 심주섭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0368518Y1 (ko) * 2004-07-29 2004-11-26 임주형 보조 개폐장치가 장착된 여닫이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2612A1 (it) * 2020-09-24 2022-03-24 Stefano Ghidetti Dispositivo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i porte di tipologia sia a battente, sia scorrev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810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US9428945B2 (en) Casement and awning window opening limit device
KR101468950B1 (ko)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의 도어 레버록 장치
JP3116489U (ja) ベビーフェンス
KR101738140B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098879B1 (ko) 쌍여닫이문 용 잠금장치
KR100870117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120086853A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KR100778539B1 (ko) 푸쉬-풀-푸쉬 도어록 장치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511831B1 (ko) 출입문용 안전 방충망의 로킹장치
JPH05245004A (ja) 自動開閉傘
JP2004346565A (ja) 戸当り装置
JP7395093B2 (ja) 建具
KR102301314B1 (ko) 레일구조를 갖는 도어 손잡이용 발 구동식 개폐장치
KR200179244Y1 (ko) 출입문 스톱퍼의 작동장치
KR20170073770A (ko)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