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17B1 -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17B1
KR100870117B1 KR1020070099598A KR20070099598A KR100870117B1 KR 100870117 B1 KR100870117 B1 KR 100870117B1 KR 1020070099598 A KR1020070099598 A KR 1020070099598A KR 20070099598 A KR20070099598 A KR 20070099598A KR 100870117 B1 KR100870117 B1 KR 10087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opening
control devi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07009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rotary bars guided in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창문 전면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권취블럭과 창문 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프레임걸림구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프레임걸림구의 가이더판부가 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회전손잡이의 상단 위치는 고정위치, 회전손잡이의 90도 회전위치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 가능한 위치, 회전손잡이의 180도 회전은 가이더판부가 가이드레일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손잡이를 회전함으로 와이어를 당기고, 그 작동에 따라 완전히 잠금, 제한된 이동의 허용, 완전한 개방이라는 3단 작동구조를 달성하여, 창문프레임의 작동제어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부가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
Figure R1020070099598
권취블럭, 가이드레일, 프레임걸림구, 손잡이, 와이어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The control unit to open windows}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창문 전면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권취블럭과 창문 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프레임걸림구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프레임걸림구의 가이더판부가 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회전손잡이의 상단 위치는 고정위치, 회전손잡이의 90도 회전위치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 가능한 위치, 회전손잡이의 180도 회전은 가이더판부가 가이드레일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이다.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닫이 창문 프레임의 상하로 부착된 가이드편을 와이어작동부를 통해 와이어로 잡아당겨 동시에 해체 가능하게 하여 미닫이 창문을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이란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 창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미닫이 창문에는 별도의 잠금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잠금수단이란 창문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그 프레임에 장착된 스톱퍼를 회전시켜 창문이 열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항상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수행해야만 하기에 사람의 침입은 막되 어느 정도의 통풍을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10-2003-0047028호)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실례로 설명한다.
즉, 이 발명은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배면판(11)과 몸체(15) 그리고 브라켓(20)과 가이드편(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11)은 상하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12)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13)가 구비되며, 양측단에는 별도의 걸림턱이나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몸체(15)가 배면판(11)의 어느 방향에서든지 결합이 가능하다.
몸체(15)는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6) 일측에는 인입구(16a)가 형성되며, 인입구(16a) 측의 몸체(15) 일단에는 다수의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입구(16a) 상하측 부위의 몸체(15)에는 배면판(11)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지지턱(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창(27)의 문틀에는 브라켓(20)이 고정되며, 이 브라켓(20)의 지지부(21)에는 힌지핀(23)에 의해 가이드편(22)이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23)에 는 비틀림스프링(24)이 더 결합되어서 가이드편(22)을 몸체(15) 측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미닫이 창문을 약간의 간격으로만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이드편(22)을 몸체(15)의 인입구(16a)에 넣은 상태에서 창문을 열어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편(22)이 몸체(15)의 가이드홈(16)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몸체(15)의 가이드홈(16)은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가이드홈(16)의 길이 만큼만 열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이 제어장치는 창문의 상하로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편(22)에 탄성력을 가하고 있는 비틀림스프링(24)의 탄성력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이드편(22)을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편(22)은 몸체(15)의 인입구(16a)로부터 빠져나와 미닫이 창문을 완전히 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가이드편(22)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사람이 손으로 상기 가이드편(22)을 개방시켜야만 한다.
그리고 만일 상기 개폐 제어장치가 사람의 손이 잘 닫지 않는 창문의 상부에 장착된 경우라면, 손이 잘 닫지 않아 이러한 작동은 번거로운 작업이 되는 것이다.
또한 만일 상기 개폐 제어장치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경우라면, 상부와 하부의 가이드편(22)을 동시에 개방시킨 상태에서 미닫이 창문을 개방하여야 하 기에 더욱 힘든 작업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 전면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권취블럭과 창문 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프레임걸림구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프레임걸림구의 가이더판부가 후면프레임의 상하단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회전손잡이의 상단 위치는 고정위치, 회전손잡이의 90도 회전위치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 가능한 위치, 회전손잡이의 180도 회전은 가이더판부가 가이드레일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위치로 작동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되는 사각의 블럭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1)과, 정면에서 결합되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정면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22)와 회전축(23)에 체결된 권취블럭(20)과; 미닫이 창문 후면프레임(30)의 상하에 부착되며,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41)와 상기 확개부(41)에서 연장된 레일부(42)와 레일부(42) 내부에 다수의 걸림홈(43)을 가진 가이드레일(40)과; 상기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측면 상하에 부착하되 전면 상하로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이 형성된 체결구(52)와, 상기 힌지지지판(51)에 힌지 체결되고 일측단에 가이더판부(53)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선형으로 돌출된 가압부(54)를 가진 블럭 형 태의 상하 양단 프레임걸림구(50)와; 상기 상단 프레임걸림구(50)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상기 권취블럭(20)의 와이어관통공(21)을 지나 하단 프레임걸림구(50)에 타단이 체결된 와이어(60)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손잡이(22)를 90도 각도로 3단 회전시킴으로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가 상기 걸림홈(43)에 삽입되는 1단, 가이더판부(53)가 레일부(42)로 상승하는 2단, 확개부(41)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3단의 작동을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권취블럭(20)은, 그 측면이 회전시 와이어(60)의 권취를 위해 오목홈(25)을 외주면 둘레로 형성시키고; 그 측면으로 와이어관통공(21)까지 관통시킨 스크류공(26)과, 상기 스크류공(26)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27)를 형성하여 와이어(60)를 권취블럭(20)에 체결하며; 상기 권취블럭(20)의 회전축(23)에는, 별도의 판형의 감입스프링(미도시)이나 판스프링(미도시)을 결합하여 회전손잡이(22)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창문 전면프레임(10)에 체결되는 체결구(52)에는,
전면프레임(10)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를 곡면으로 관통시킨 와이어가이드공(91)을 형성한 가이드블럭(90)이 결합되고;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일측단이 힌지지지판(51)의 상단과 체결되는 힌지부(56)와, 타단으로 연장된 절곡된 손잡이부(57)를 형성한 스톱퍼(58)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압부(54) 후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하되, 일측면은 상기 힌지지지판(51)을 덮을 수 있도록 절곡 부(94)를 형성하고, 내부에 돌출된 스톱퍼돌기(95)를 형성한 커버판(96)을 씌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상단면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일체형의 돌출블럭(86)이나 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ㅗ"자형 돌출블럭(86)을 스크류(87) 체결하여 돌출블럭(86)의 상단에 형성된 스크류(87)를 통해 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손잡이를 회전함으로 와이어를 당기고, 그 작동에 따라 완전히 잠금, 제한된 이동의 허용, 완전한 개방이라는 3단 작동구조를 달성하여, 창문프레임의 작동제어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부가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
더불어 본 고안은 그 구조도 간단하고,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작업환경에 따라서 편리하게 채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 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서처럼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되는 사각의 블럭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1)과, 정면에서 결합되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정면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22)와 회전축(23)에 체결된 권취블럭(20)이 있고, 미닫이 창문 후면프레임(30)의 상하에 부착되며,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41)와 상기 확개부(41)에서 연장된 레일부(42)와 레일부(42) 내부에 다수의 걸림홈(43)을 가진 가이드레일(40)이 있으며, 상기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측면 상하에 부착하되 전면 상하로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이 형성된 체결구(52)와, 상기 힌지지지판(51)에 힌지 체결되고 일측단에 가이더판부(53)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선형으로 돌출된 가압부(54)를 가진 블럭 형태의 상하 양단 프레임걸림구(50)가 있다. 또한 상기 상단 프레임걸림구(50)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상기 권취블럭(20)의 와이어관통공(21)을 지나 하단 프레임걸림구(50)에 타단이 체결된 와이어(6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손잡이(22)를 90도 각도로 3단 회전시킴으로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가 상기 걸림홈(43)에 삽입되는 1단, 가이더판부(53)가 레일부(42)로 상승하는 2단, 확개부(41)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3단의 작동을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작동원리의 주요한 방식은 상기 회전손잡이를 90도 각도로 3단 작동을 하면서 창문의 개폐의 작동을 제어한다는 점이다. 즉, 1단은 회전손잡이의 끝단이 도시된 도 5의 처음 도면에서처럼 상단으로 위치할 때로서, 이때는 와이어(60)로 연결된 프레임걸림구(50) 의 가이더판부(53)가 가이드레일(40)의 내부의 걸림홈(43)을 가압하여 창문의 개방을 저지하는 위치이다. 그러나 2단 즉, 회전손잡이(22)를 90도 회전하여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서처럼 회전한 상태에서는 그 회전각도만큼 와이어(60)를 당겨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를 상승시켜 상기 가이더판부(53)가 가이드레일(40)의 레일부(42)에 수용될 수 있는 위치로 올라온다. 따라서 상기 레일부(42)를 타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다. 물론 상기 회전손잡이(22)를 90도 더 회전 즉, 처음의 위치에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는 더 상승하여 상기 도 5의 마지막 도면에서처럼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상부로 완전히 들어 올려져 창문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작동원리이다.
그럼 그 세밀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요소로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회전손잡이(22), 권취블럭(20), 가이드레일(40), 프레임걸림구(50) 및 와이어(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손잡이(22)에는 일체로 성형되는 회전축(23)이 있고 그 회전축(23)에 도시된 권취블럭(20)이 고정된 상태이다. 이 권취블럭(20)에는 와이어(60)가 체결되어 있는데, 이 와이어(60)의 상하 끝단에 각각 도시된 프레임걸림구(5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60)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가 승하강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권취블럭(20)의 외형상은 4각형의 형태이고 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관통공(21)에 상기 와이어(60)가 관통된 상태이기에 상기 회전손잡 이(22)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각도만큼 상기 권취블럭(20)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권취블럭(20)의 회전각도만큼 상기 와이어(60)는 상기 권취블럭(2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60)는 감겨진 와이어(60)의 거리만큼 그 끝단을 당겨주게 되는데, 상기 와이어(60)의 끝단은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의 상하에 체결된 프레임걸림구(50)를 올져준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와이어(60)의 끝단이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상단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도 5의 도면은 본 발명의 작동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첫 번째 도면은 상기 회전손잡이(22)가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이 진행되지 않은 1단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 작동의 모습은 역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즉, 도 5의 마지막 도면의 회전손잡이(22)의 위치를 1단으로 두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5의 첫 번째 도면의 회전손잡이(22)의 위치를 1단으로 도시하였기에 이를 통해 설명하자면, 이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끝단인 가이더판부(53)가 가이드레일(40)의 내부에 성형된 걸림홈(43)에 끼워진다. 이 걸림홈(43)은 가이드레일(40)의 내부에 다수 개로 성형된 상태이기에 사용자가 적당히 창문을 열은 상태에서 그 위치에 고정시키기 원한다면 상기 회전손잡이(22)를 1단의 위치에 두는 것이다. 가이더판부(53)가 상기 걸림홈(43)에 끼워지면 외부의 침입자도 더 이상의 창문 개방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손잡이(22)를 90도 각도로 돌린 2단 즉, 도시된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서처럼 위치시키면 상기 권취블럭(20)은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걸림구(50)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그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드판부(53)의 위치가 가이드레일(40)의 걸림홈(43)에서 빠져나와 레일부(4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문은 상기 레일부(42)를 타고 상기 가이드판부(53)가 이동가능할 수 있기에 개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창문의 개방거리는 가이드레일(40)의 길이 만큼이 될 것이다. 즉, 가이드레일(40)의 길이 만큼만 개방이 되는 것이지 완전한 개방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상기 창문프레임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지 않고 필요한 길이만큼만 형성된 상태이기에 창문의 완전개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창문을 완전히 개방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회전손잡이(22)를 180도 회전시키면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손잡이(22)를 2단의 위치에서 더 90도 각도로 회전시킨, 도시된 도 5의 마지막 도면에서처럼 180도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드판부(53)는 상기 레일부(42)의 끝단을 절단하여 그 구멍을 확대해 놓은 확개부(41)로 빠져나와 가이드레일(40)의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창문의 개방은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확개부(41)와 레일부(42)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가이드판부(53)가 레일부(4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판부(53)가 레일부(42)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고 타고 이동할 수 있게만 하고, 완전히 빠져나오게 하려면 상기 가이드판부(53)가 상기 확개부(41)에 위치한 경우에만 와이어(60)를 당겨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작동의 과정을 설명하자면, 상기 와이어(60)가 당겨지면 상기 전면프레임(10)의 상하방향에 고정되는 체결구(52)에는 도시된 것처럼 경첩의 역할을 하는 힌지지지판(51)이 체결되어 있다. 이 힌지지지판(51)은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상하 힌지지지판(51) 내부에 힌지로 결합된 블럭 형태의 프레임걸림구(50)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걸림구(50)가 와이어(60)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레일(4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권취블럭(20)은, 그 측면이 회전시 와이어(60)의 권취를 위해 오목홈(25)을 외주면 둘레로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회전하며 와이어(60)를 감을 때 상기 와이어(60)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그 측면을 오목하게 파 놓은 것이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60)는 이 오목홈(25)에 수용된 상태로 감기기에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상기 권취블럭(20)은, 그 측면으로 와이어관통공(21)까지 관통시킨 스크류공(26)과, 상기 스크류공(26)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27)를 형성하여 와이어(60)를 권취블럭(20)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권취블럭(20)의 와이어관통공(21)을 지나는 와이어(60)를 상기 권취블럭(20)에 견고히 체결시키기 위해서 상기 권취블럭(20)의 측면에 별도의 스크류(27)를 형성하여 그 스크류(27)를 회전시킴으로 그 끝단이 상기 와이어(60)를 가압하여 와이어(60)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될 수 없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블럭(20)의 회전축(23)에, 별도의 판형의 감입스프링(미도시)이나 판스프링(미도시)을 결합하여 손잡이(22)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공지되어서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23)에 별도의 판형의 감입스프링인 판스프링(테엽의 형태)을 결합시켜 놓으면 상기 회전손잡이(22)가 1단의 위치로 복원되기 위한 힘을 받는다. 이때 중요한 점은 2단이나 3단의 위치에 있는 회전손잡이(22)가 자동으로 1단으로 복원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힘이 작용되는 것이 아니다. 아주 약간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어느 정도의 클릭효과만 가져올 수 있는 힘이면 무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창문 전면프레임(10)에 체결되는 체결구(52)에는, 전면프레임(10)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를 곡면으로 관통시킨 와이어가이드공(91)을 형성한 가이드블럭(9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60)는 그 회전손잡이(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동될 것이다. 이때 이를 가이드해 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 구성이 바로 가이드블럭(90)이다. 이 가이드블럭(90)의 내부에는 유선형으로 관통시킨 와이어가이드공(91)이 있기에 이 와이어가이드공(91)의 내주면을 타고 상기 와이어(60)가 이동한다면 그 이동의 가이드는 완벽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요소를 채택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일측단이 힌지지지판(51)의 상단과 체결되는 힌지부(56)와, 타단으로 연장된 절곡된 손잡이부(57)를 형성한 스톱퍼(58)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압부(54) 후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구성은 보다 완벽한 창문의 잠금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은 구성요소 중 상기 창문프레임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바로 프레임걸림구(50)이다. 이 프레임걸림구(50)는 도시된 것처럼, 가압부(54)를 가압함으로 힌지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54)가 가압되어 그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더판부(53)가 상승한다면 창문이 개방되는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가압부(54)가 가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스톱퍼(58)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힌지부를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톱퍼(58)를 힌지지지판(51)에 형성하여 잠금 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톱퍼(58)의 손잡이(57)를 회전시켜 가압부(54)의 후방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가압부(54)가 손잡이(57)에 걸려 더 이상 가압될 수 없도록 유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동일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커버판(96)을 제공한다. 즉,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하되, 일측면은 상기 힌지지지판(51)을 덮을 수 있도록 절곡부(94)를 형성하고, 내부에 돌출된 스톱퍼돌기(95)를 형성한 커버판(96)을 씌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커버판(96)이 상기 힌지지지판(51)에 끼워지게 되면, 그 내부에서 돌출된 상기 스톱퍼돌기(95)가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압부(54) 후방에 위치하여 더 이상의 연동을 막기에 전술된 스톱퍼(58)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상단면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일체형의 돌출블럭(86)이나 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ㅗ"자형 돌출블럭(86)을 스크류(87) 체결하여 돌출블럭(86)의 상단에 형성된 스크류(87)를 통해 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와이어(60)의 오랜된 사용은 그 와이어(60)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올 소지가 많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폐 제어장치의 원만한 작동을 방해할 우려가 높기에 본 발명은 이 와이어(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상단면에 돌출된 돌출블럭(86)을 형성하여 이 돌출블럭(86)을 와이어(60)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87)로 체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60)가 늘어나 그 작동이 원만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스크류(87)를 풀고 상기 와이어(60)를 더욱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다시 스크류(87)를 잠가 와이어(6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도 6에서처럼 "ㅗ"자형 돌출블럭(86)을 스크류(87) 체결할 수 있게 하고, 그 돌출블럭(86)의 상단에 별도의 스크류(87)를 형성하여 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개폐장치가 창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손잡이의 작동이 프레임걸림구를 작동시키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걸림구에 스톱퍼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걸림구에 다른 실시예의 스톱퍼를 끼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창틀에 제어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손잡이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걸림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전면프레임 20; 권취블럭
21; 와이어관통공 22; 회전손잡이
23; 회전축 30; 후면프레임
40; 가이드레일 41; 확개부
42; 레일부 43; 걸림홈
50; 프레임걸림구 51; 힌지지지판
52; 체결구 53; 가이더판부

Claims (8)

  1.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되는 사각의 블럭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1)과, 정면에서 결합되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정면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22)와 회전축(23)에 체결된 권취블럭(20)과;
    미닫이 창문 후면프레임(30)의 상하에 부착되며,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41)와 상기 확개부(41)에서 연장된 레일부(42)와 레일부(42) 내부에 다수의 걸림홈(43)을 가진 가이드레일(40)과;
    상기 미닫이 창문 전면프레임(10)의 측면 상하에 부착하되 전면 상하로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이 형성된 체결구(52)와, 상기 힌지지지판(51)에 힌지 체결되고 일측단에 가이더판부(53)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선형으로 돌출된 가압부(54)를 가진 블럭 형태의 상하 양단 프레임걸림구(50)와;
    상기 상단 프레임걸림구(50)에 일측단이 체결되어 상기 권취블럭(20)의 와이어관통공(21)을 지나 하단 프레임걸림구(50)에 타단이 체결된 와이어(60)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손잡이(22)를 90도 각도로 3단 회전시킴으로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이더판부(53)가 상기 걸림홈(43)에 삽입되는 1단, 가이더판부(53)가 레일부(42)로 상승하는 2단, 확개부(41)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3단의 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블럭(20)은,
    그 측면이 회전시 와이어(60)의 권취를 위해 오목홈(25)을 외주면 둘레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블럭(20)은,
    그 측면으로 와이어관통공(21)까지 관통시킨 스크류공(26)과, 상기 스크류공(26)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27)를 형성하여 와이어(60)를 권취블럭(20)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블럭(20)의 회전축(23)에는,
    별도의 판형의 감입스프링(미도시)이나 판스프링(미도시)을 결합하여 회전손잡이(22)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전면프레임(10)에 체결되는 체결구(52)에는,
    전면프레임(10)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를 곡면으로 관통시킨 와이어가이드공(91)을 형성한 가이드블럭(9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일측단이 힌지지지판(51)의 상단과 체결되는 힌지부(56)와, 타단으로 연장된 절곡된 손잡이부(57)를 형성한 스톱퍼(58)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가압부(54) 후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의 힌지지지판(51)에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하되, 일측면은 상기 힌지지지판(51)을 덮을 수 있도록 절곡부(94)를 형성하고, 내부에 돌출된 스톱퍼돌기(95)를 형성한 커버판(96)을 씌 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걸림구(50)의 상단면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일체형의 돌출블럭(86)이나 또는 내부가 관통되어 와이어(6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한 "ㅗ"자형 돌출블럭(86)을 스크류(87) 체결하여 돌출블럭(86)의 상단에 형성된 스크류(87)를 통해 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20070099598A 2007-10-04 2007-10-04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087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598A KR100870117B1 (ko) 2007-10-04 2007-10-04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598A KR100870117B1 (ko) 2007-10-04 2007-10-04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117B1 true KR100870117B1 (ko) 2008-11-24

Family

ID=4028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598A KR100870117B1 (ko) 2007-10-04 2007-10-04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86B1 (ko) 2011-03-15 2013-03-19 이장근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475836Y1 (ko) 2013-05-09 2015-01-08 강유진 창문고정장치
KR101538885B1 (ko) * 2014-02-21 2015-07-22 최재혁 개선된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CN108621755A (zh) * 2018-04-02 2018-10-09 南京依维柯汽车有限公司 一种外推式应急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60A (ja) * 1994-10-20 1996-07-02 Manten:Kk 引戸用防犯錠
KR20040032489A (ko) * 2002-10-10 2004-04-17 김종균 미닫이 문 개폐장치
KR200405565Y1 (ko) 2005-10-28 2006-01-11 이장근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60A (ja) * 1994-10-20 1996-07-02 Manten:Kk 引戸用防犯錠
KR20040032489A (ko) * 2002-10-10 2004-04-17 김종균 미닫이 문 개폐장치
KR200405565Y1 (ko) 2005-10-28 2006-01-11 이장근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86B1 (ko) 2011-03-15 2013-03-19 이장근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475836Y1 (ko) 2013-05-09 2015-01-08 강유진 창문고정장치
KR101538885B1 (ko) * 2014-02-21 2015-07-22 최재혁 개선된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CN108621755A (zh) * 2018-04-02 2018-10-09 南京依维柯汽车有限公司 一种外推式应急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JP5160497B2 (ja) ペットサークル用扉のロック装置、該装置を備えたペットサークル
KR100870117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1973597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0797158B1 (ko) 여닫기가 용이한 고층건물용 창구조물
JP682314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7094010B2 (ja) ペット用のドア開閉装置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140006475U (ko) 방충망 개폐장치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20180096936A (ko)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GB2425150A (en) Egress hinge including first slider with retainer and second slider with greater frictional resistance
JP4150657B2 (ja) 横引き収納式網戸
KR20150042955A (ko) 확장된 발코니용 창호 시스템
JP6934649B2 (ja) 障子の開口部装置
KR102030638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200362926Y1 (ko)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KR101151646B1 (ko)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JPH0510072A (ja) ド ア
JP7395093B2 (ja) 建具
JPH10153032A (ja) アームストッパー付きドアおよびアーム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