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597B1 -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 Google Patents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597B1
KR101973597B1 KR1020180099288A KR20180099288A KR101973597B1 KR 101973597 B1 KR101973597 B1 KR 101973597B1 KR 1020180099288 A KR1020180099288 A KR 1020180099288A KR 20180099288 A KR20180099288 A KR 20180099288A KR 101973597 B1 KR101973597 B1 KR 10197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ocking member
door frame
detachab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명식
한상길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Priority to KR102018009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 개폐시 문틀과의 사이 을 통한 손 끼임을 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에 배치되는 문짝;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경첩; 상기 경첩에 인접하는 실내외 어느 일면의 상기 문짝 일측과 상기 문틀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부재; 및 상기 경첩에 인접하는 실내외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 일측과 상기 문틀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문짝 및 문틀 각각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결합되는 탈착플레이트; 및 상기 탈착플레이트 어느 하나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탈착플레이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Assembled safety hinged door for preventing pinch of hands}
본 발명은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문짝 개폐시 문틀과의 사이 틈을 통한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외측 출입구에는 각종의 도어가 마련되어 도어에 의해 출입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도어는 재질에 따라 목재 도어, 합성수지 도어 또는 금속 도어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 도어 또는 여닫이 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여닫이 도어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10'); 상기 문틀(10') 내에 배치되는 문짝(20'); 및 상기 문틀(10')과 문짝(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20')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경첩(30');을 포함하는바, 문짝(20')을 밀거나 당기는 간단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용이하게 개폐된다.
다만, 여닫이 도어조립체는, 문짝 개폐 과정에서 경첩이 결합되는 문짝 일측과 문틀 일측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바, 문짝과 문틀 사이 틈으로 손가락 등이 끼인 상태에서 개폐가 진행될 때에 손가락 등이 짓눌리거나 절단되는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2768호(공개일 : 2017. 06. 08.)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문짝 개폐시 문틀과의 사이 틈으로의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안전형 여닫이 도어'의 경우, 문틀과 문짝이 치밀한 조립구조를 이루어 문틀 내지 문짝이 뒤틀릴 경우 소음 내지 손상의 우려가 있고,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해당 분야에서는 손 끼임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768호(2017.06.08.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문짝 개폐시 문틀과의 사이 틈으로 손가락 등이 끼임에 따라 부상으로 이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에 배치되는 문짝;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경첩; 상기 경첩에 인접하는 실내외 어느 일면의 상기 문짝 일측과 상기 문틀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부재; 및 상기 경첩에 인접하는 실내외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 일측과 상기 문틀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문짝 및 문틀 각각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결합되는 탈착플레이트; 및 상기 탈착플레이트 어느 하나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탈착플레이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단부재는, 상기 문짝 및 문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에 각각 양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문짝과 문틀 사이에 마련되는 제1차단재; 및 상기 제1차단재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1차단재의 반대쪽에서 상기 문짝과 상기 문틀 사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단재; 상기 제2차단재의 양단부에 상부가 개구되는 홈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단재를 문짝과 문틀에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2차단재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차단재에 연결되는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문짝과 문틀에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는 부위를 덮는 날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재는 말단이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탈착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양측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탈착플레이트의 내측에 탄성체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탈착플레이트의 내측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탈착플레이트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편; 및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선단에 쐐기형 걸림부가 형성된 탄성편;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날개는 선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탄성편이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는, 실내외 어느 일면 및 다른 일면의 문짝 일측과 문틀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바,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의 의해 문짝 개폐시 문틀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한 손 진입이 차단되므로 이에 의해 손 끼임이 방지될 수 있어 문짝 개폐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의 개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제1차단부재의 고정플레이트와 탈착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고정플레이트 및 탈착플레이트의 결합 위치 변경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제1차단부재의 탈착플레이트에 회전형 지지봉이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제2차단부재의 날개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제2차단부재의 고정부가 경첩에 고정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 제2차단부재의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일반 여닫이 도어조립체에서의 손 끼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A)는, 문틀(10); 문짝(20); 경첩(30);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문틀(10)은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문틀(10)은 다양한 재질, 예컨대 목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짝(20)은 상기 문틀(10)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문짝(20)은 가급적 상기 문틀(10)과 동일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문짝(20)과 상기 문틀(10)의 조화로움에 의해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경첩(30)은 상기 문틀(10)과 문짝(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20)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경첩(30)은 복수 개가 높이에 차등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상기 문짝(20)의 전후 회동이 안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0)는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실내외 어느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차단부재(40)는, 문짝(20) 및 문틀(1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41)와,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41)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와,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에 각각 양단부를 결합하는 제1차단재(45)와, 제1차단재(45)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 중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 내측에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지지봉(43)을 포함한다.
따라서, 문짝(20) 및 문틀(10)에 각각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41)를 결합하고,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41)에 탈착플레이트(42)를 각각 결합한다. 제1차단재(45)는 양단부 중 일단부인 말단(45a)을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중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에 형성된 홈부(42b)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제1차단재(45)의 타단부는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중 다른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에 형성되는 개구부(42a)로 끼워 다른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봉(43)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차단재(45)는 말단(45a)이 상기 탈착플레이트(42)에 형성되는 홈부(42b)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탈착플레이트(4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43)에 연결되는 상기 제1차단재(45)는 상기 지지봉(43)과의 연결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연결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재봉, 융착 또는 접착일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양측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1a)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상기 걸림턱(41a) 각각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돌출편(42c) 및 탄성편(42d) 각각과 물림으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탈착플레이트(42)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43)은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횡방향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도 1, 2, 4, 8 참조)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차단재(45)의 인출 폭 확보를 위하여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4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문짝(20) 개방시 상기 지지봉(43)에 연결되는 상기 제1차단재(45)가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어느 하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43)은 탈착플레이트(42)의 내측에 마련되는 탄성체(44)에 의해 탄력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1차단재(45)는 상기 탄성체(44)의 수축력이 미침에 따라 이전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탈착플레이트(42) 내부로 자동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44)는 상기 지지봉(43) 회전시 수축력이 미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형태 및 재질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태엽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탈착플레이트(42)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내측으로 함몰된 돌출편(42c); 및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선단에 쐐기형 걸림부(도면부호 미표시)가 형성된 탄성편(42d);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상기 돌출편(42c) 및 탄성편(42d)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41a) 각각과 물림으로써 상기 탈착플레이트(4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결합상태는 상기 탄성편(42d)을 유동시켜 선단의 쐐기형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41a)을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라면 위치에 제한이 없다.
즉, 상기 제1차단재(45)의 인출 및 인입이 진행되는 상기 탈착플레이트(42)가 결합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상기 문짝(20) 또는 문틀(10) 어느 쪽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고정 위치가 변경될 때 이에 결합하는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고정 위치도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재(45)는 직물 원단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됨으로써 질길 뿐만 아니라 유동 가능하므로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상기 문짝(20) 개폐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탈착플레이트(42)에서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1차단재(45)는 일부,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플레이트(42)에 연결되는 어느 한쪽의 단부가 신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재(45)의 일부가 신축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문짝(20) 개방시 신축 소재 형성 부위가 부분 신장됨에 따라 상기 문짝(20)의 개방이 원활할 수 있고, 상기 문짝(20) 폐쇄시 신축 소재 형성 부위가 부분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차단재(45)의 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실내외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문짝(20)과 문틀(10) 사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마련하는 제2차단재(55)와, 제2차단재(55)의 양단부를 수회 절곡하여 상부가 개구되는 홈부 형태로 형성되며 제2차단재(55)를 문짝(20)과 문틀(10)에 각각 체결부재로 결합하는 고정부(51)를 포함한다. 즉, 고정부(51)는 상부가 개구되는 공간부의 바닥의 밑면을 문짝(20)과 문틀(10)에 접촉시켜 체결부재로 고정한다. 이때, 문짝(20)과 문틀(10)에 접촉되는 고정부(51)의 밑면은 제2차단재(55)의 밑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고정부(51)의 수직부분의 상단이 제2차단재(55)의 윗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경첩(30)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 또는 리벳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경첩(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차단부재(50)는 제2차단재(55)에 돌출 형성되되, 제2차단재(55)에 연결되는 단부를 힌지로 회동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51)에 결합되어 상기 문짝(20)과 문틀(10)에 상기 고정부(51)를 결합하는 부위를 덮는 날개(51a)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날개(51a)는 고정부(51)가 체결부재(나사)로 문짝(20)과 문틀(10)에 고정된 후에 고정부(51)를 결합하는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차단할 수 있도록 결합부위를 덮어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51a)는 선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탄성편(51b)이 상기 고정부(5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51c)에 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부(51)에 고정되므로 상기 날개(51a)의 벌어짐으로 인한 외관의 미려함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문짝(20)과 문틀(10) 사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마련하는 제2차단재(55)와, 제2차단재(55)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돌기(51d)가 형성되는 고정부(51')와, 체결부재로 문짝(20)과 문틀(10)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에 걸림돌기(51d)에 대응하는 결합홈(52a)이 형성되는 결착플레이트(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차단부재(50)는 문짝(20)과 문틀(10)에 각각 고정되는 결착플레이트(52)의 결합홈(52a)에 제2차단재(55)의 양단부에 마련된 고정부(51')의 걸림돌기(51d)가 각각 끼워짐으로써, 문짝(20)의 일측과 문틀(10)의 일측의 실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차단재(55)는 유연성을 합성수지 성형물로 형성됨으로써 질길 뿐만 아니라 유동 가능하므로 장기간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문짝(20)의 개폐가 원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A)를 통한 손 끼임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문짝(20)은 전후로 회동하며 개폐되는바, 상기 문짝(20)이 개폐될 때 상기 문틀(10)과의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
따라서,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 사이의 틈에 손이 끼인채로 상기 문짝(20)의 개폐가 진행되면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실내외 어느 일면 및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설치되는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에 의해 실내외 측에서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 사이 틈으로의 손 진입이 차단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문짝(20) 개폐시 손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는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설치되되,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문짝(20)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문짝(20)의 상단과 하단 사이 전체 구간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손 끼임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를 통한 손 끼임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차단부재(40)는 그 폭이 제한된 반면 폭 방향 일단이 상기 문틀(10) 측에 위치하고, 폭 방향 다른 일단이 상기 문짝(20) 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문짝(20)의 회전에 간섭이 따라 개방에 지장을 초래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40)의 제1차단재(45)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봉(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문짝(20) 개방시에 미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봉(4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차단재(45)가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어느 하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차단재(45) 폭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문짝(20)의 개방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플레이트(42)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차단재(45)가 늘어져 주름지거나 할 경우,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봉(43)은, 상기 탄성체(44)에 의해 탄력 지지될 수 있는바, 회전 이후 상기 제1차단재(45)에 미치는 인장력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체(44)의 수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이전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제1차단재(45)가 상기 탈착플레이트(42) 내측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어 상기 제1차단재(45)가 늘어져 주름지는 등에 따른 외관의 미려함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단재(45)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결합에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상기 걸림턱(41a)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플레이트(42)는 상기 돌출편(42c) 및 탄성편(42d)을 포함하는바,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상기 걸림턱(41a)과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상기 돌출편(42c) 및 탄성편(42d)이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탈착플레이트(42)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작업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제2차단재(55)의 고정부(51)를 체결하는 나사가 노출됨에 따라서는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차단재(55)의 고정부(51)는 회동 가능한 일체형 상기 날개(51a)를 포함할 수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51a)로써 상기 고정부(51)의 나사 체결 부위를 덮음으로써 나사 노출이 차단되므로 상기 제2차단재(55)에서 상기 고정부(51)에 체결되는 나사의 노출로 인한 외관의 미려함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단재(55)에서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의 재질 등의 따라서는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상기 고정부(51)의 고정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차단재(55)의 상기 고정부(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리벳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경첩(30)에 고정될 수 있는바,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상기 고정부(51)의 고정이 곤란한 상황에 대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일례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문짝(20)과 문틀(10) 사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마련하는 제2차단재(55)와, 제2차단재(55)의 양측 단부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되, 걸림돌기(51d)가 형성된 고정부(51') 및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문짝(20) 및 문틀(10) 각각에 고정되되, 선단에 결합홈(52a)이 형성된 결착플레이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차단부재(50)에서 상기 고정부(51)와 상기 결착플레이트(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짝(20) 및 문틀(10)에 고정되는 상기 결착플레이트(52)의 상기 결합홈(52a) 각각에 상기 고정부(51)의 상기 걸림돌기(51d)가 물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A)는, 실내외 어느 일면 및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차단부재(40) 및 제2차단부재(50)의 의해 상기 문짝(20) 개폐시 상기 문틀(10)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한 손 진입이 차단되므로 이에 의해 손 끼임이 방지될 수 있어 상기 문짝(20) 개폐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문틀 20, 20' : 문짝
30, 30' : 경첩 40 : 제1차단부재
41 : 고정플레이트 41a : 걸림턱
42 : 탈착플레이트
42a : 개구부 42b : 홈부
42c : 돌출편 42d : 탄성편
43 : 지지봉 44 : 탄성체
45: 제1차단재 45a: 말단
50 : 제2차단부재 51, 51' : 고정부
51a : 날개 51b : 탄성편
51c : 걸림턱 51d : 걸림돌기
52 : 결착플레이트 52a : 돌출편
55: 제2차단재
A : 여닫이 도어조립체

Claims (15)

  1.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10);
    상기 문틀(10) 내에 배치되는 문짝(20);
    상기 문틀(10)과 문짝(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20)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경첩(30);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실내외 어느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부재(40); 및
    상기 경첩(30)에 인접하는 실내외 다른 일면의 상기 문짝(20) 일측과 상기 문틀(10) 일측에 걸쳐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차단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40)는, 상기 문짝(20) 및 문틀(10) 각각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41);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4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에 각각 양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문짝과 문틀 사이에 마련되는 제1차단재(45); 및 상기 제1차단재(45)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상기 제1차단재(45)의 반대쪽에서 상기 문짝(20)과 상기 문틀(10) 사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단재(55); 상기 제2차단재(55)의 양단부를 수회 절곡하여 상부가 개구되는 홈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단재(55)를 문짝(20)과 문틀(10)에 결합하는 고정부(51);를 포함하되,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상기 제2차단재(55)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차단재(55)에 연결되는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51)에 결합되어 상기 문짝(20)과 문틀(10)에 상기 고정부(51)를 결합하는 부위를 덮는 날개(51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재(45)는 말단(45a)이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중 어느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에 형성되는 홈부(42b)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3)은,
    상기 한 쌍의 탈착플레이트(42) 중 다른 하나의 탈착플레이트(42)의 내측에 탄성체(44)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탈착플레이트(42)의 내측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플레이트(42)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내측으로 함몰된 돌출편(42c); 및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선단에 쐐기형 걸림부가 형성된 탄성편(42d);을 포함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51a)는 선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탄성편(51b)이 상기 고정부(5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51c)에 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부(51)에 고정되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99288A 2018-08-24 2018-08-24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197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88A KR101973597B1 (ko) 2018-08-24 2018-08-24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88A KR101973597B1 (ko) 2018-08-24 2018-08-24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597B1 true KR101973597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88A KR101973597B1 (ko) 2018-08-24 2018-08-24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06B1 (ko) * 2019-07-19 2020-03-23 주식회사 석무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92347Y1 (ko) * 2020-03-23 2020-09-22 안종현 문틈 안전 커버
KR20210009857A (ko) * 2019-07-18 2021-01-27 이예명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85Y1 (ko) * 2004-04-14 2004-07-30 임흥빈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200379709Y1 (ko) * 2004-12-16 2005-03-23 최승수 문 보호대 조립체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KR20170062768A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85Y1 (ko) * 2004-04-14 2004-07-30 임흥빈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200379709Y1 (ko) * 2004-12-16 2005-03-23 최승수 문 보호대 조립체
JP2016108880A (ja) * 2014-12-09 2016-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ドア用安全装置
KR20170062768A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857A (ko) * 2019-07-18 2021-01-27 이예명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2420234B1 (ko) * 2019-07-18 2022-07-14 이만영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2092506B1 (ko) * 2019-07-19 2020-03-23 주식회사 석무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92347Y1 (ko) * 2020-03-23 2020-09-22 안종현 문틈 안전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597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163013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0824370B1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102076173B1 (ko) 손 끼임 방지용 안전 도어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989781B1 (ko)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2049651B1 (ko) 방충망의 힌지 결합구조
KR100870117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030638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2200479B1 (ko)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GB2295200A (en) Stay hinges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125482B1 (ko)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KR102497150B1 (ko) 손 끼임 방지구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KR20210000582A (ko) 손가락 끼임 방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