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21B1 -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21B1
KR102027221B1 KR1020180015963A KR20180015963A KR102027221B1 KR 102027221 B1 KR102027221 B1 KR 102027221B1 KR 1020180015963 A KR1020180015963 A KR 1020180015963A KR 20180015963 A KR20180015963 A KR 20180015963A KR 102027221 B1 KR102027221 B1 KR 10202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plate
right angles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252A (ko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8001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일측 홈에 부착되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결합부재와, 상기 문틀결합부재의 수평판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후방틈가림날개와, 문틀결합부재의 수직판의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전방틈가림날개와, 상기 후방틈가림날개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판에 직각으로 부착되되 수평판과 평행을 이루는 탄력판으로 구성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하여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아이들의 손이나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여닫이 도어의 작용에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은 완벽하게 커버하여 미관을 좋게 함으로써 도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hinged door}
본 발명은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의 여닫이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에 의해 발생하는 어린아이들의 손이나 손가락 부상 및 절단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여닫이 도어의 여닫는 동작에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은 완벽하게 커버하여 미관을 좋게 함으로써 도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창문이나 출입문 또는 가구의 문짝을 다는 데 쓰는 철물로서, 주로 문틀과 문짝의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안팎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여는 여닫이문에 주로 사용한다.
보통 회전축 역할을 하는 2~3쌍의 경첩을 달아 문을 떠받치고, 힌지가 설치된 문짝 가장자리의 맞은편 가장자리 중간쯤에 안팎으로 손잡이를 단다. 힘이 작용하는 손잡이와 회전축인 돌쩌귀의 거리가 멀수록 문이 쉽게 열리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여닫이문과 문틀을 경첩으로 연결하는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문틀(6)의 일측에 경첩(1)을 고정하고 그 경첩에는 여닫이문(7)을 고정부착하므로 여닫이문(7)이 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여닫이문(7)은 경첩(1)에 의해 고정되어 열리고 닫히는 관계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이 닫았을 시에는 여닫이문(7)과 문틀(6) 사이에는 공간부(ℓ1)가 생기지 않거나 공간부가 극히 좁아 지고 여닫이문(7)을 열때는 여닫이문(7)의 접촉면(8)이 문틀(6)의 내면(9)과 접촉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게 되어 여닫이문(7)과 문틀(6)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공간부(ℓ1)가 생기게 되는데, 이 여닫이문(7)이 열려 있을시에 공간부(ℓ1)에 손가락 등이 낀 상태에서 여닫이문(7)을 닫았을시는 여닫이문(7)의 접촉면(8)이 문틀(6)의 내면(9)과의 거리가 가까워, 즉 공간부(ℓ1)가 극히 좁아지므로 여닫이문(7)에 의하여 손가락을 큰 힘으로 눌러 손가락 등에 부상을 당할 위험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닫이문용 도어가 힌지축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바뀌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이 최소화되어 아이의 손이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긴 하나, 도어가 회전함에 있어 문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틈은 필연적이어서 이처럼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이 살짝 벌어져 보이게 되고 이는 문틀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특허 등록 제10-1137823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세하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의 여닫이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에 끼어 발생하는 어린아이들의 손이나 손가락 부상 및 절단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여닫이 도어의 작용에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은 완벽하게 커버하여 도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일측 홈에 부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결합부재와, 상기 문틀결합부재의 수평판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후방틈가림날개와, 문틀결합부재의 수직판의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전방틈가림날개와, 상기 후방틈가림날개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판에 직각으로 부착되되 수평판과 평행을 이루는 탄력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력판의 탄성을 보충하기 위해 수평판의 일측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연질의 탄성보조판이 탄력판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하여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아이들의 손이나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여닫이 도어의 작용에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은 완벽하게 커버하여 미관을 좋게 함으로써 도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끼임방지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손끼임방지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일부 열린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절반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문틀과 직각으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손끼임방지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손끼임방지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일부 열린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절반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문틀과 직각으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100)는 도어(A)와 문틀(B) 사이의 틈에 설치된다.
상기 문틀(B)의 일측에는 직각으로 가공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경질(硬質)의 재질로 제작되고,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측에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판(120)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결합부재가 부착 또는 접착된다. 이때 문틀결합부재의 문틀(B)에의 부착은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C)에 의해 이루어지고, 접착은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는 수평판(110)과 수직판(120)의 배면에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의 보호를 위해 접착제비닐보호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틀결합부재는 홈의 넓은 면에 부착되는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측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홈의 좁은 면에 부착되는 수직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틀결합부재의 수직판(120)의 끝단에는 수직판(120)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전방틈가림날개(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방틈가림날개(121)는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와 문틀 사이의 전방 틈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전방틈가림날개(121)는 연질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도어가 열리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연질의 전방틈가림날개(121)가 도어의 일측면에 눌리게 되었다가 도어가 닫히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다시 도어와 문틀 사이의 전방 틈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후방틈가림날개(111)과 수직판(120) 사이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판(130)은 평상시에는 후방틈가림날개(111)과 수직판(120) 사이를 가리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게 되면서 회전할 때 도어의 회전반경에 의해 도어의 모서리가 탄력판(130)을 누르게 되면 눌렸다가 도어가 지나가게 되면 탄성에 의해 원래 자리로 복원되어 다시 후방틈가림날개(111)과 수직판(120) 사이를 커버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탄력판(130)은 탄성을 갖는 연질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눌리는 판부분은 경질의 판체로 이루어지더라도 적어도 수직판(120) 연결되는 부분은 탄성을 갖는 구조여야 한다.
또 상기 탄력판(130)은 도어의 잦은 여닫힘에 의해 탄성이 약해져 복원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탄성보조판(140)에 의해 복원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보조판(140)은 수평판(110)의 일측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탄성을 갖도록 하여 탄력판(130)의 탄성을 보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보조판(140)도 연질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틀결합부재의 수평판(110) 끝단에는 수평판(110)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후방틈가림날개(111)가 형성되는데 상기 후방틈가림날개(111)는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와 문틀 사이의 후방 틈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후방틈가림날개(111)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완전히 젖혀지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연질의 후방틈가림날개(111)가 도어의 일측면에 눌리게 되었다가 도어가 닫히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다시 도어와 문틀 사이의 후방 틈을 커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하여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아이들의 손이나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여닫이 도어의 작용에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은 완벽하게 커버하여 미관을 좋게 함으로써 도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수평판 120: 수직판
121: 전방문틈가림날개 122: 후방문틈가림날개
130: 탄력판 140: 탄력보조판
A: 도어 B: 문틀
C: 체결구

Claims (2)

  1.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일측 홈에 부착되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결합부재와,
    상기 문틀결합부재의 수평판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후방틈가림날개와,
    문틀결합부재의 수직판의 끝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질의 전방틈가림날개와,
    상기 후방틈가림날개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판에 직각으로 부착되되 수평판과 평행을 이루는 탄력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력판의 탄성을 보충하기 위해 수평판의 일측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돌출된 연질의 탄성보조판이 탄력판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0180015963A 2018-02-08 2018-02-08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KR10202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63A KR102027221B1 (ko) 2018-02-08 2018-02-08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63A KR102027221B1 (ko) 2018-02-08 2018-02-08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52A KR20190096252A (ko) 2019-08-19
KR102027221B1 true KR102027221B1 (ko) 2019-10-01

Family

ID=6780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63A KR102027221B1 (ko) 2018-02-08 2018-02-08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26B1 (ko) 2021-10-06 2022-05-18 최경민 손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여닫이식 도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67Y1 (ko) 2005-10-06 2006-01-10 류우식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
JP2013011070A (ja) 2011-06-28 2013-01-17 Ykk Ap株式会社 建具及び気密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67Y1 (ko) 2005-10-06 2006-01-10 류우식 안전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가스켓
JP2013011070A (ja) 2011-06-28 2013-01-17 Ykk Ap株式会社 建具及び気密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26B1 (ko) 2021-10-06 2022-05-18 최경민 손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여닫이식 도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52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235A (en) Safety device for hinged doors
KR20130012370A (ko) 안전 여닫이문
KR101436801B1 (ko)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2027221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손끼임방지장치
JP2005507472A5 (ko)
JP2005507472A (ja) ヒンジ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KR20190118233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KR102168638B1 (ko) 축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힌지축 지지장치
KR102027833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삽입식 문틀 커버장치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20180001673U (ko) 여닫이식 도어의 외부안전커버
KR20190096253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모서리 커버부재
KR20240041632A (ko)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GB2259935A (en) Guard for door hinge area
KR102360755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245817B1 (ko) 여닫이문용 자바라형 손끼임 방지구
KR20240016029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JP2000145275A (ja) 指詰め防止機構付きドア
JP3292678B2 (ja) 指挟み防止機能を有する扉構造
KR200497021Y1 (ko) 도어 손끼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