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482B1 -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482B1
KR102125482B1 KR1020180158861A KR20180158861A KR102125482B1 KR 102125482 B1 KR102125482 B1 KR 102125482B1 KR 1020180158861 A KR1020180158861 A KR 1020180158861A KR 20180158861 A KR20180158861 A KR 20180158861A KR 102125482 B1 KR102125482 B1 KR 10212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member
gap
fix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295A (ko
Inventor
임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임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5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Abstract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는,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출입구를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상기 문틀과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의 출입문 안착면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실내 틈 커버부재; 및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내면 폭방향 한쪽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상기 문틀 쪽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수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가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 쪽에서 커버하고 상기 출입문이 닫히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문의 내측면에 수납형 손가락 보호장치가 구비됨으로써, 경첩를 통하여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실내 틈 커버부재가 수납되고 열림시에는 인출될 수 있고, 따라서 손가락의 끼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수납됨으로써 출입문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FINGER PROTECTOR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을 중심으로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에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수납되고 열림시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손가락의 끼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건물을 포함한 각종 사무용 및 주거용 건축물에는 실내와 실외를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온기나 냉기가 실외로 누출되는 것과 실외의 이물질이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사람들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이런 출입문은 그 개폐방법에 따라 여닫이식과 미닫이식, 개폐되는 문의 개수에 따라 외짝문과 두짝문, 작동방법에 따라 수동문과 자동문 등으로 각각 구분되며, 최근에는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실외로부터 실내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로 출입문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외짝 여닫이식 출입문은 문짝이 문틀 내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닫이식 출입문은, 실내와 실외의 차단이라는 본래의 기능에 부합하도록, 문짝의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가 가능한 한 밀착되도록 정밀하게 시공되며, 따라서 출입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있는 상태에서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손가락이 골절되는 등의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고, 이와 같은 출입문에 의한 손가락 부상사고는 어른들에 비하여 장난이 심하고 주의력이 산만한 아동들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73175호(공개일 : 1999.10.05)에는 경첩이 있는 쪽의 문틈에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하는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장치는, 문짝(12)과 문기둥(10) 사이에 보호판(2-7)이 접혀지도록 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문짝(12)이 개방될 때 문짝(12)과 문기둥(1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호판(2-7)의 양단이 문짝(12)과 문기둥(10)에 각각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문짝(12)이 열릴 때 문짝(12)과 문기둥(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보호판(2-7)에 의해 폐쇄되어 손가락의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보호장치는, 문짝을 닫을 때 보호판이 접히면서 돌출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판의 양쪽을 문짝과 문기둥에 부착하여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하되면 보호판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73175호(공개일 : 1999.10.05)
본 발명의 목적은, 경첩를 통하여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에,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수납되고 열림시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손가락의 끼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출입구를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상기 문틀과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의 출입문 안착면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실내 틈 커버부재; 및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내면 폭방향 한쪽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상기 문틀 쪽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수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가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 쪽에서 커버하고 상기 출입문이 닫히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의 고정부는, 다수개의 나사,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문틀에 고정되거나,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 고정부재의 고정단이 상기 문틀에 고정됨에 따라 가압하는 가압단에 의해 상기 출입문 안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턱을 구비하여, 고정나사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수용홈을 통하여 상기 출입문에 체결되면서 상기 결합부를 출입문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폭방향 일단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이 형성된 나사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 양쪽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나사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수용홈을 통하여 상기 출입문에 체결되면서 상기 결합부를 출입문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된 나사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나사 커버부재의 외측면의 높이와 상기 수납공간 형성부재의 외측면 높이가 같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 형성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 쪽으로 점차 경사진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는,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 쪽에서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실외 틈 커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외 틈 커버부재는,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접착 테이프, 접착제 또는 고정나사들에 의해 상기 출입문의 외측에 고정되는 실외 고정단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고정단의 한쪽에 상기 경첩이 위치한 방향 또는 상기 출입문의 손잡이가 위치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홈이 형성된 커버 고정부재; 및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끼움 결합홈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릴 때 상기 문틀과 상기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도록 상기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에서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만곡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곡 커버부재는, 상기 출입문의 열림으로 상기 경첩 또는 상기 문틀에 간섭될 때 변형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문의 내측면에 수납형 손가락 보호장치가 구비됨으로써, 경첩를 통하여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실내 틈 커버부재가 수납되고 열림시에는 인출될 수 있고, 따라서 손가락의 끼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닫힘시에는 수납됨으로써 출입문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외 틈 커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출입문의 개방시 실외 쪽에서도 문틀과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여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손끼임 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에 구비되는 나사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는, 문틀(110)에 경첩(120) 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출입구를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130)의 개방시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커버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출입문(130)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부(212)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커버부(214)가 형성되며, 문틀(110)의 출입문 안착면(112)에 고정부(212)가 고정되는 실내 틈 커버부재(210)와, 출입문(130)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지지부(222)의 내면(222A) 폭방향 한쪽에는 출입문(130)의 내측면(132)과 내면(222A) 사이에 문틀(110) 쪽으로 개방된 수납공간(S)이 형성되도록 단턱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턱부(224)가 형성된 지지부(222)의 폭방향 가장자리 영역에는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에 결합되는 결합부(226)가 형성된 수납공간 형성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는, 출입문(130)이 열리면 실내 틈 커버부재(210)가 경첩(120)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서 인출되어 출입문(130)과 문틀(110) 사이의 틈(T)을 출입문(130)을 기준으로 실내 쪽에서 커버하고 출입문(130)이 닫히면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틈 커버부재(210)는, 플랙시블한 재질, 예를 들면 0.5 - 2mm 정도 두께의 합성수지재 판재로 이루어지고, 출입문(130)의 길이(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대략, 10 - 30cm)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내 틈 커버부재(210)는 압출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틈 커버부재(210)를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부가할 수 있고, 따라서 출입문(130)의 색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틈 커버부재(210)를 자체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출입문(130)을 열었을 때 커버부(214)가 원호를 이루도록 변형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다시 복원될 수 있고, 출입문(130)을 닫을 때 커버부(214)가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면서(원상태로 복원) 수납공간(S)으로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212)는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문틀(110)의 출입문 안착면(112)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 고정부재(240)에 의해 출입문 안착면(11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문틀 고정부재(240)의 고정단(242)이 문틀(110)에 다수개의 고정나사(300)들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가압단(244)이 고정부(212)를 가압함으로써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고정부(212)는 문틀(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244)의 내측면(고정부를 향하는 면)에는 고정부((2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44A)들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44A)에 의해 가압단(244)이 고정부(212)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고정부(212)가 가압단(244)과 출입문 안착면(112) 사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커버부(214)는,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에서는 순압공간 형성부재(22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S)에 수납되고, 출입문(130)이 열릴 때에는 수납공간(S)에서 이탈되어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커버한다. 이때,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커버부(214) 폭은, 출입문(130)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커버부(214)의 끝단 영역은 지지부(222)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이는 출입문(130)이 완전하게 개방되었을 때 커버부(214)의 끝단(고정부의 반대 쪽)이 수납공간(S)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납공간 형성부재(230)는,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에 설치되어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지지부(214)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재 등으로 압출 성형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수납공간 형성부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내면(222A)에 단턱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단턱부(224)가 형성된 지지부(222)의 폭방향 가장자리 영역에는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에 결합되는 결합부(226)가 형성된다.
결합부(226)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26)에는, 내측에 걸림턱(226A)이 형성되고, 외측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턱(226B)을 구비하여, 고정나사(300)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226C)이 결합부(226)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홈(226C)에는, 수용홈(226C)을 통하여 출입문(130)에 체결되면서 결합부(226)를 출입문(130)에 고정하는 고정나사(300)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나사 커버부재(230)이 결합된다.
나사 커버부재(230)는, 출입문(1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폭(수용홈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를 압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나사 커버부재(230)의 일단 가장자리(폭방향 일단)에 수용홈(226C)의 내부에서 걸림턱(226A)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232)이 형성되고, 타단 가장자리(폭방향 타단)에는 고정턱(226B)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234)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232)을 수용홈(226C)에 넣어 걸림턱(226A)에 걸리도록 한 후 고정단(234)를 고정턱(226B) 쪽으로 이동시켜 걸어 고정함으로써 나사 커버부재(230)는 수용홈(226C)을 커버하면서 결합부(226)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걸림단(232)이 걸림턱(226A)에 걸리고 고정단(234)이 고정턱(226B)에 걸림으로써 나사 커버부재(230)가 수용홈(226C)에 결합되었을 때,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을 기준으로 나사 커버부재(230)의 외측면의 높이와 수납공간 형성부재(220)의 외측면 높이가 같게 된다. 이는 나사 커버부재(230)가 결합부(226)에 결합되었을 때 나사 커버부재(23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 것이며 사용자 및 작업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222)는, 결합부(226)가 출입문(130)에 고정되면, 단턱부(224)에 의해 내면(222A)과 내측면(132) 사이에 수납공간(S)을 형성하고, 커버부(214)의 끝단을 지지하여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226)의 반대쪽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공간 형성부재(220)의 지지부(222)는, 수납공간(S)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커버부(2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출입문(130)의 내측면(132) 쪽으로 점차 경사지게 만곡부(222B)가 형성된다. 만곡부(222B)에 의해 수납공간(S)의 입구가 좁아지고 지지부(222)가 내측면(132) 쪽으로 자체 탄성을 갖게 되므로,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 수납되거나 인출될 때 커버부(2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서 인출될 때 커버부재(214)의 끝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수납공간(S)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6)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구성될 수 있다. 즉, 내측 양쪽에 걸림턱(226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나사(300)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226C)이 결합부(226)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쪽에는, 수용홈(226C)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걸림턱(226A)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232)이 각각 형성된 나사 커버부재(230)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양쪽에 걸림단(232)을 구비한 나사 커버부재(230)가 수용홈(226C)에 삽입되어 수용홈(226C)을 커버함으로써, 나사 커버부재(230)가 수납공간 형성부재(220)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및 도 4를 토대로 설명한다.
먼저,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고정부(212)를 문틀 고정부재(240)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수용공간 형성부재(220)의 결합부(226)를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실내측 표면)에 고정한다. 이때, 다수개의 고정나사(300)를 수용홈(226C)으로 관통하여 출입문(130)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수용공간 형성부재(2020)는 출입문(13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내면(222A)과 내측면(132) 사이에 문틀(110) 쪽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이어서, 수용홈(226C)에 나사 커버부재(230)를 결합시켜 수용홈(226C)을 커버한다. 이로써 수용홈(226C)을 통하여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나사(3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수용공간 형성부재(220)이 출입문(130)의 내측면(132)에 설치되면, 지지부(222)와 내측면(132) 사이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므로, 출입문(130)을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실내 틈 커버부재((210)의 커버부(214) 끝단을 수용공간(S)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서서히 출입문(130)을 닫는다. 커버부(214) 끝단이 수용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입문(130)을 닫게 되면, 커버부(214)가 수용공간(S)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214)가 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30)을 열게 되면, 출입문(130)은 경첩(1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틈(T)이 형성된다. 그러나, 출입문(130)이 회전하면서 열림에 따라 커버부(214)가 수납공간(S)에서 인출되면서 틈(T)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출입문(130)을 기준으로 실내측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형성된 틈(T)은 커버되므로 어린이나 출입자의 손가락이 틈(T)에 끼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가 고정나사(300)에 의해 고정되므로 그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특히 실내 틈 커버부재(210)와 수용공간 형성부재(2020) 및 나사 커버부재(230)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문틀(110)과 출입문(130)에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활용성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미 시공되어 사용 중인 출입문(130)에도 간섭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다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는, 출입문(132)의 외측면(134)에 출입문(130)의 개방시 출입문(130)을 기준으로 실외 쪽에서 출입문(130)의 개방시 출입문(130)과 문틀(110) 사이에 형성되는 틈(T1)을 커버하기 위한 실외 틈 커버부재(250)이 더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실외 틈 커버부재(250)는, 출입문(130)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압출 성형되고, 접착 테이프, 접착제 또는 고정나사(50)들에 의해 출입문(130)의 외측(134)에 고정되는 실외 고정단(252A)이 한쪽에 형성되며, 실외 고정단(252A)의 한쪽에 경첩(120)이 위치한 방향 또는 출입문(130)의 손잡이가 위치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홈(252B)이 형성된 커버 고정부재(252)와, 출입문(130)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압출 성형되고,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A1)에는 끼움 결합홈(252B)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단(254A)이 돌출 형성되고, 출입문(130)이 경첩(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릴 때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형성되는 틈(T1)을 커버하도록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A1)에서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실외 커버부(254B)를 구비한 만곡 커버부재(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만곡 커버부재(254)와 커버 고정부재(252)는,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하여, 필요한 길이, 즉 출입문(1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특히, 만곡 커버부재(254)는, 출입문(130)의 열림으로 실외 커버부(254B)가 경첩(120) 또는 문틀(110)에 간섭될 때 변형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끼움 결합홈(252B)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단(254A)의 양쪽에 걸림돌기(254A-1)들이 각각 후크처럼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254A-1)들은 끼움 결합단(254A)이 끼움 결합홈(252B)에 끼워지면 끼움 결합홈(252B)의 양쪽에 형성된 걸림면(252B-1)에 각각 걸리게 되므로 끼움 결합단(254A)이 끼움 결합홈(252B)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다른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에서 실외 커버부(254B)가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를 커버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30)이 열리면, 만곡 커버부재(254)는 출입문(130)과 같이 경첩(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형성되는 틈(T1)을 커버하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입문(130)에 결합된 만곡 커버부재(254)가 출입문(130)의 열림시 출입문(130)과 같이 문틀(110) 쪽으로 회전하면서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의 틈(T1)을 커버하게 되므로,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의 틈(T1)에 손가락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가 끼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입문(13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실내 틈 커버부재(210)와 실외 틈 커버부재(252)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출입문(130)의 열림시 문틀(110)과 출입문(130) 사이에 발생하는 틈(T,T1)이 실내외 방향에서 모두 커버될 수 있고, 따라서 틈(T,T1)에 신체의 일부가 끼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문틀 112 : 출입문 안착면
200 : 손가락 보호장치 210 : 실내 틈 커버부재
220 : 수납공간 형성부재 230 : 나사 커버부재
240 : 문틀 고정부재 250 : 실외 틈 커버부재
252 : 커버 고정부재 254 : 만곡 커버부재

Claims (10)

  1.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출입구를 열고 닫도록 된 여닫이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상기 문틀과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의 출입문 안착면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실내 틈 커버부재; 및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내면 폭방향 한쪽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상기 문틀 쪽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수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의 고정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문틀 고정부재의 고정단이 상기 문틀에 고정됨에 따라 가압하는 가압단에 의해 상기 출입문 안착면에 고정되되, 상기 가압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 형성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의 끝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내측면 쪽으로 자체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 쪽으로 점차 경사진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는,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 쪽에서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실외 틈 커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외 틈 커버부재는,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접착 테이프, 접착제 또는 고정나사들에 의해 상기 출입문의 외측에 고정되는 실외 고정단이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 고정단의 한쪽에 상기 경첩이 위치한 방향 또는 상기 출입문의 손잡이가 위치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홈이 형성된 커버 고정부재; 및 상기 출입문에 대응되는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끼움 결합홈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릴 때 상기 문틀과 상기 출입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커버하도록 상기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 영역에서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실외 커버부를 구비한 만곡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 커버부재는,
    상기 출입문의 열림으로 상기 경첩 또는 상기 문틀에 간섭될 때 변형되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실내 틈 커버부재가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되어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내 쪽에서 커버하고, 상기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 쪽에서 상기 출입문과 상기 문틀 사이의 틈을 상기 실외 틈 커버부재가 커버하며, 상기 출입문이 닫히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턱을 구비하여, 고정나사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수용홈을 통하여 상기 출입문에 체결되면서 상기 결합부를 출입문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폭방향 일단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이 형성된 나사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 양쪽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나사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수용홈을 통하여 상기 출입문에 체결되면서 상기 결합부를 출입문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된 나사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나사 커버부재의 외측면의 높이와 상기 수납공간 형성부재의 외측면 높이가 같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58861A 2018-12-11 2018-12-11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12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61A KR102125482B1 (ko) 2018-12-11 2018-12-11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61A KR102125482B1 (ko) 2018-12-11 2018-12-11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95A KR20200071295A (ko) 2020-06-19
KR102125482B1 true KR102125482B1 (ko) 2020-06-24

Family

ID=7113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61A KR102125482B1 (ko) 2018-12-11 2018-12-11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4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81A (ja) * 2001-08-03 2003-02-21 Tostem Corp ド ア
KR200400485Y1 (ko) * 2005-08-19 2005-11-08 신현길 조립식화장실용 문짝지지틀
JP2011052395A (ja) * 2009-08-31 2011-03-17 Ykk Ap株式会社 建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578U (ja) * 1983-07-26 1985-02-18 平瀬 浩三 ドアの指づめ防止装置
JPH0743423Y2 (ja) * 1991-12-25 1995-10-09 セイキ工業株式会社 建物開口部等のための断熱見切り
KR19990073175A (ko) 1999-06-16 1999-10-05 김인상 경첩이있는쪽의문의틈에손가락이안끼게하는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81A (ja) * 2001-08-03 2003-02-21 Tostem Corp ド ア
KR200400485Y1 (ko) * 2005-08-19 2005-11-08 신현길 조립식화장실용 문짝지지틀
JP2011052395A (ja) * 2009-08-31 2011-03-17 Ykk Ap株式会社 建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95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61B1 (ko)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US5282504A (en) Venetian blind assembly for a glazed door
KR10163013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CA2494301C (en) Door safety device
US20140069019A1 (en) Door Seal Apparatus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973597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2125482B1 (ko)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1989781B1 (ko)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197384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구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US6471258B1 (en) Latching mechanism of an anti-finger catching system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JP6952324B2 (ja) 車両用防虫ネット
KR102030638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