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48Y1 -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 Google Patents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48Y1
KR200490948Y1 KR2020190001518U KR20190001518U KR200490948Y1 KR 200490948 Y1 KR200490948 Y1 KR 200490948Y1 KR 2020190001518 U KR2020190001518 U KR 2020190001518U KR 20190001518 U KR20190001518 U KR 20190001518U KR 200490948 Y1 KR200490948 Y1 KR 20049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door frame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하
Original Assignee
(주)유하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하이엔씨 filed Critical (주)유하이엔씨
Priority to KR2020190001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경첩(30)에 의해 연결되는 상호 인접하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에는 상기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를 커버하도록 하는 가드(40)와 상기 가드(40)의 고정단부에 대응하는 단부가 이탈방지되게 인출입되도록 하는 가드 홀더(50)가 각각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인접하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의 간극을 항상 가드(4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서의 손끼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보다 깔끔한 외관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Finger guard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의 각 단부에 선택적으로 가드와 이 가드가 인출입되도록 하는 가드 홀더가 부착되게 함으로써 도어를 오픈 시 도어와 도어 프레임의 연결 단부를 가드가 커버되도록 하여 손끼임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출입문에는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는 설치 장소에 따라 유리 또는 목재나 철제 등으로 이루어지고, 문틀과 경첩에 의해서 전후로 회전 작동하면서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도어는 보통 2~3개의 경첩을 이용하여 회전을 하도록 구비되고, 경첩과 대응되는 맞은 편쪽으로는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도어를 개폐 시 도어와 문틀 사이로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는 사고가 자주 발생되곤 한다.
기어 다니거나 겨우 걸어다니는 아이들의 경우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틈으로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문이 닫혀져 손가락 절단의 심각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린 아이들의 사고 발생을 방지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로 되어 제안된 것이 손끼임 방지장치이다.
등록특허 제1244792호(2013.02.04.)는 문틀과 힌지축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플레이트, 제2힌지플레이트, 제3힌지플레이트를 갖는 힌지유닛 및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에 설치되는 끼움방지부재를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1힌지플레이트는 문틀의 단면 측에 결합되고, 제3힌지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장착부가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장착부는 도어의 단면 측에 결합되고, 제2힌지플레이트는 제1힌지플레이트와 제3힌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끼움방지부재는 문틀 측에 결합되는 제1면, 제2힌지플레이트에 인접하는 제2면, 원호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제3면을 갖고, 끼움방지부재의 제1면과 문틀 사이에는 제1힌지플레이트가 개재되며, 제2힌지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끼임방지부재의 제3면에 대응하는 원호구조로 형성된 내측원호부재가 설치된다.
제3힌지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외측원호부재가 설치되며, 외측원호부재는 내측원호부재의 외면과 마주보는 부분에 원호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하는 목적에는 충실하나 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성이 낮고, 기존에 시공된 문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시공하기에 매우 곤란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문헌) 등록특허 제1244792호(2013.02.04.)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호 인접하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에 가드와 가드 홀더가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에 의해 가드가 가드 홀더로부터 인출입되면서 항상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 틈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손끼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드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서의 결합 구조를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에서의 가드 교체에 따른 표면 손상이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존의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는,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상호 인접하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를 커버하도록 하는 가드와 상기 가드의 고정단부에 대응하는 단부가 이탈방지되게 인출입되도록 하는 가드 홀더가 각각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드는 상기 도어가 최대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 간격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드는 상기 도어가 최대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 간격보다 더 큰 폭으로 내부에 가드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가드는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경첩이 결합되는 단면에 가스켓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가드의 타단이 이탈방지되도록 하면서 인출입하도록 가드 홀더가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드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인접하는 상기 도어의 일측의 모서리에서 상호 인접하는 양측면에 걸쳐 일단을 접합 고정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가드의 타단이 이탈방지되도록 하면서 인출입하도록 가드 홀더가 부착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가드 홀더는 가드 수용 공간을 U자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가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서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는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서 도어 프레임과의 사이 틈을 항상 막혀지도록 함으로써 손끼임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여 어린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드를 도어의 경첩이 결합되는 단면에 부착되도록 하면 가드를 교체 시에도 도어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외관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현재 설치된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보다 폭넓게 적용이 가능한 경제적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가드와 가드 홀더의 부착 구조를 다르게 실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가드 홀더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일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는 크게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과 경첩(30)과 가드(40) 및 가드 홀더(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어(10)는 도어 프레임(20)과 경첩(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경첩(30)은 일단이 도어(10)의 일단측 단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10)의 단면에 대응하는 도어 프레임(20)에 결합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20)에는 도어(10)의 경첩(30)이 결합되는 일측의 단부가 보다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일정 깊이가 요입되도록 하는 요입부(21)를 형성하며,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도어(10)의 단부가 요입부(21)에 위치되면서 도어(10) 전방에서는 도어(10)의 단부가 보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를 경첩(3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에 각각 일정 폭의 가드(40)와 이러한 가드(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드 홀더(50)가 부착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가드(40)는 휨 변형이 가능한 경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가드(40)는 폭이 도어(10)를 도어 프레임(20)으로부터 회전시켜 도어(10)가 개방되도록 하였을 때에도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를 커버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고, 도어(1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드(40)와 가드 홀더(50)는 도어(10)의 전체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가드(40)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드 홀더(50)는 가드(40)의 고정단부와 대응되는 단부가 이탈방지되도록 삽입되어 인출입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가드 홀더(50)는 내부로 가드(40)의 일단인 고정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되 가드(40)의 인출입이 가능한 두께와 길이로서 수용될 수 있는 가드 수용 공간(51)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가드 홀더(50)는 가드(40)의 부착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폭보다는 더 큰 폭으로 형성되게 하므로써 가드(40)가 삽입되어 도어(10)의 개폐에 의해서 가드 수용 공간(51)으로부터 인출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드(40)와 가드 홀더(50)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도 2에서는 도어 프레임(20)에 가드(40)의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10)에 부착시킨 가드 홀더(50)에는 가드(40)의 타단인 자유단이 이탈방지되도록 하면서 가드 홀더(50)의 가드 수용 공간(51) 내에서 인출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 프레임(20)에서 내측으로 일부 요입되도록 하여 도어(1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요입부(21)에는 도어(10)의 앞면과 인접하는 단면측으로 가스켓(22)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 가스켓(22)에 의해서 가드(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어 프레임(20)에 형성하는 가스켓(22)은 도어(10)를 닫았을 때 도어(10)와의 간극 사이를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20)에는 가스켓(22)의 후크(21b)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 프레임(20)과 가스켓(21)의 돌출헤드(21a) 사이에는 가드(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드(40)는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가스켓(22)에 의해서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가드(40)가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20)의 단부에 인접하는 도어(10)의 정면에는 가드(40)가 고정되는 단부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면서 그 내부로 가드 수용 공간(51)을 형성하는 가드 홀더(50)가 부착되도록 한다.
가드 홀더(50)에서 가드(40)가 삽입단부의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을 이루며, 다만 가드 홀더(50)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삽입되어 도어(40)의 개폐에 의해서 인출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가드와 가드 홀더의 부착 구조를 다르게 실시한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도어 프레임(20)에는 가드 홀더(50)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런 가드 홀더(50)의 개방되도록 한 단부에 인접하는 도어(10)의 단부에는 가드(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어 프레임(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10)의 경첩(30)이 결합되는 일측의 단부가 보다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일정 깊이가 요입되도록 하는 요입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요입부(21)의 경첩(30)이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면으로부터 도어 프레임(20)에 가드 홀더(50)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도어 프레임(2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도어 프레임(20)을 가드 홀더(50)의 사이즈로 요입되도록 하여 맞춤 삽입되면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어 프레임(20)에 부착되는 가드 홀더(50)는 가드 수용 공간(51)이 요입부(21)측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드 홀더(50)의 개방된 단부에 인접하는 도어(10)에는 가드(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어(10)에는 정면보다는 요입부(21)에 삽입되는 모서리에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도록 하며, 특히 모서리에서 정면과 단면에 걸쳐 동시에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가드 홀더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드 홀더(50)는 도어(10) 또는 도어 프레임(20)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부착면의 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드 홀더(50)의 가드 수용 공간(51)을 U자형으로 굽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가드 홀더(50)에서 가드 수용 공간(51)을 U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가드 홀더(50)의 형성 길이를 보다 짧게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가드 홀더(50)의 가드 수용 공간(51)을 U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게 되면 가드(40)의 삽입단부가 가드 수용 공간(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 간섭 없이 보다 안정되게 인출입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손끼임 방지구는 경첩(30)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의 간극을 항상 커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에 각각 가드(40)와 가드 홀더(5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에는 가드(40)에 의해서 도어 프레임(20)의 요입부(21)를 항상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일지라도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는 가드(40)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 사이를 통해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게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일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에서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도어(10)를 경첩(30)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10)의 회전과 함께 도어(10)측의 가드 홀더(50)로부터 또는 도어 프레임(20)측의 가드 홀더(50)로부터 가드(40)가 인출되도록 하므로 도어(10)의 단부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를 완전 커버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도어(10)의 회전 시 가드(40)는 비록 일단이 도어(10) 또는 도어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그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드 홀더(50)에서는 가드(40)가 가드 수용 공간(51)으로부터 손쉽게 인출되도록 하므로 도어(10)의 작동에는 전혀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도어(10)가 개폐되도록 한다.
도어(10)의 개방에 의해 가드(40)가 인출되면서 경첩(30)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의 단부간을 가드(40)에 의해 차단시키게 되면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로 손과 같은 신체 일부의 끼임이나 어떠한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어(10)의 개폐 시 발생되는 상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써 항상 안전한 도어 개폐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도어(10)에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어(10) 또는 도어 프레임(20)에 부착되는 가드(40)의 부착단부와 도어(10)의 경첩(30)이 고정되는 단부가 외측에서는 최대한 보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게 개선되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손끼임 방지구는 일정 기간이 되면 교체가 불가피하지만, 교체 시 가드(40)와 가드 홀더(50)의 교체에 따른 부착면 손상과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도어 20 : 도어 프레임
21 : 요입부 22 : 가스켓
30 : 경첩
40 : 가드 50 : 가드 홀더
51 : 가드 수용 공간

Claims (6)

  1. 경첩(30)에 의해 연결되는 상호 인접하는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에는 상기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사이를 커버하도록 하는 가드(40)와 상기 가드(40)의 고정단부에 대응하는 단부가 이탈방지되게 인출입되도록 하는 가드 홀더(50)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가드(40)는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경첩(30)이 결합되는 단면(11)에 가스켓(21)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가드(40)의 타단이 이탈방지되도록 하면서 인출입하도록 가드 홀더(50)가 부착되고,
    상기 가드 홀더(50)는 상기 가드(40)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내부에 가드 수용 공간(51)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40)는 상기 도어(10)가 최대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20)과의 사이 간격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 홀더(50)는 가드 수용 공간(51)을 U자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가드(4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하는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20190001518U 2019-04-12 2019-04-12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049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8U KR200490948Y1 (ko) 2019-04-12 2019-04-12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8U KR200490948Y1 (ko) 2019-04-12 2019-04-12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48Y1 true KR200490948Y1 (ko) 2020-01-28

Family

ID=6922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18U KR200490948Y1 (ko) 2019-04-12 2019-04-12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4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83A (en) * 1979-05-22 1980-12-04 Daikou Sanshiyou Kk Safety device for door
JPH1046913A (ja) * 1996-07-31 1998-02-17 Tsutomu Kogure ドアの安全装置
JP2012012899A (ja) * 2010-07-05 2012-01-19 Fuji Metal Co Ltd ドア吊元側指挟み防止装置
KR101244792B1 (ko) 2011-07-25 2013-03-25 노승현 안전 여닫이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83A (en) * 1979-05-22 1980-12-04 Daikou Sanshiyou Kk Safety device for door
JPH1046913A (ja) * 1996-07-31 1998-02-17 Tsutomu Kogure ドアの安全装置
JP2012012899A (ja) * 2010-07-05 2012-01-19 Fuji Metal Co Ltd ドア吊元側指挟み防止装置
KR101244792B1 (ko) 2011-07-25 2013-03-25 노승현 안전 여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102081786B1 (ko)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102030569B1 (ko)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KR102045798B1 (ko)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KR10106312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보호대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20190118233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KR101416325B1 (ko) 안전도어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200257922Y1 (ko)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0375516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KR102537702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150056402A (ko) 도어의 안전장치
KR20100007645A (ko) 도어 조립체
KR200312131Y1 (ko) 손 보호구, 고정 홀더 및 손 보호구를 구비한 도어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