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798B1 -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 Google Patents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798B1
KR102045798B1 KR1020180110568A KR20180110568A KR102045798B1 KR 102045798 B1 KR102045798 B1 KR 102045798B1 KR 1020180110568 A KR1020180110568 A KR 1020180110568A KR 20180110568 A KR20180110568 A KR 20180110568A KR 102045798 B1 KR102045798 B1 KR 10204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lange
fing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 filed Critical 김정
Priority to KR102018011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끼인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되어 부상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있어서,상기 부상 방지구는 힌지로 결합된 도어와 대응되는 도어틀에 결합되는 방지구 몸체로 구비되되, 상기 방지구 몸체는 도어틀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나머지 부분이 결합부의 내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간섭방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와 간섭방지부의 내부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완화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손가락이 끼였을 경우 도어가 닫히더라도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A DEVICE THAT PREVENTS FINGERS FROM HITTING THE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손가락이 끼였을 경우 도어가 닫히더라도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내,외부가 차단되도록 하는 가운데 다수개의 내벽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간으로 나뉘어 프라이버시가 유지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출입을 하거나, 내부 공간에서의 이동을 위한 방안으로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는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틀에 일측이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어는 힌지에 의하여 도어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간혹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이게 되고, 이런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될 경우, 손가락이 닫혀지는 도어 모서리에 의하여 큰 힘으로 눌려지면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1704호(2004.12.22)의 도어용 안전부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안전부재는 현관도어, 방화문 등의 안전도어 측면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압출 또는 사출 성형된 반원형의 안전부재를 결합시켜 도어를 여닫을 때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이 끼여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경첩이 도어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틀의 중간 높이에 위치될 경우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원형의 안전부재의 내부가 채워진 상태로 있음으로써, 간혹 어린이 손가락이 끼였을 경우, 가압력을 충분하게 완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20-426894호(2006.9.12)의 손가락 협착 사고 및 개폐 소음 방지용 여닫이문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여닫이문은 패널에 형성된 협착 방지 홈에 스크래칭 라인을 갖는 협착 방지용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문틀에 여닫이문이 부딪할 때 발생되는 충격의 완충효율을 높이는 가운데 심미적인 측면까지 고려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경첩 사이로 위치된 부분만 구비될 뿐 경첩을 통과하여 문틀과 여닫이문 사이의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1704호(2004.12.22)
본 발명은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도어틀에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도어틀과 도어 사이의 공간으로 어린이 손이 들어 갈 수 있는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틀과 도어 사이로 어린이 손이 들어가 끼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될 경우, 닫혀지는 도어에 의한 압력이 충분하게 완화 내지는 완충되어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손가락 끼임 방지구의 길이 또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도어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가 손가락 끼임 방지구와 간섭 없도록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끼인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되어 부상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부상 방지구는 힌지로 결합된 도어와 대응되는 도어틀에 결합되는 방지구 몸체로 구비되되, 상기 방지구 몸체는 도어틀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나머지 부분이 결합부의 내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간섭방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와 간섭방지부의 내부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완화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도어틀의 내부를 향하는 제1플랜지부의 타측 단부에 도어틀의 외부를 향하는 제1웹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웹부의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부와 평행한 제2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1웹부와 평행한 제2웹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플랜지부는 양측으로 제1쐐기형 돌기를 갖는 플랜지 결합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웹부는 양측으로 제2쐐기형 돌기를 갖는 웹부 결합부가 상기 플랜지 결합부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웹부는 단부에
Figure 112018091908066-pat00001
형태를 갖는 벽체 마감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부는 도어 개폐시 도어 모서리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재가 만곡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간섭방지부재에 단턱형태를 갖는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가 도어 모서리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화 공간부는 내부에 형상 유지를 위한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가 평행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브릿지는 간섭방지부에 구비된 간섭방지부재와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며, 결합부에 구비된 제1웹부와 제2플랜지부가 만나는 부분에 타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브릿지는 간섭방지부재의 내면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며, 결합부에 구비된 제2웹부와 벽체 마감부가 만나는 부분에 타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지구 결합홈은 힌지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방지구 몸체에 형성된 결합부의 제1플랜지부, 제1웹부, 제2플랜지부 제2웹부, 플랜지 결합부 및 웹부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지구 결합홈은 힌지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 내측 모서리에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전체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하단으로부터 중간까지 일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힌지 몸체의 일측에 도어의 모서리 내부로 경사지게 삽입 고정되는 제1힌지풋이 구비되며, 타측에 도어틀의 모서리 내부로 경사지게 삽입 고정되는 제2힌지풋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이 힌지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가운데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도어틀에 구비됨으로써,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의하여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린이의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없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틀과 도어 사이로 어린이 손가락이 들어가 끼어 있는 상태에 도어를 닫게 될 경우,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이 충분하게 완화시켜 어린이의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 모서리에 구비된 손가락 끼임 방지구의 길이 또는 높이를 도어틀의 수직인 전체 길이로 하거나 어린이의 키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 모서리에 구비된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도어와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에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어 중 경첩이 형성된 부분에 본 발명의 부상 방지구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며, 설명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부상 방지구는 필요에 따라서 도어의 로킹부가 마련된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A)는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도어틀과 도어 사이로 어린이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없도록 하고,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있는 상태에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의 압력이 충분하게 완화되어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경첩과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와 도어틀(300)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A)는 방지구 몸체(100)가 힌지(400)로 결합된 도어(200)와 대응되는 도어틀(3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지구 몸체(100)는 결합부(110), 간섭방지부(120) 및 완화 공간부(13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결합부(110)는 도어틀(300)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간섭방지부(120)는 결합부(110)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나머지 부분이 결합부(110)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10)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어틀(300)의 내부를 향하는 제1플랜지부(111)의 타측 단부에 도어틀(300)의 외부를 향하는 제1웹부(112)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웹부(112)의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부(111)와 평행한 제2플랜지부(113)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113)의 단부에 상기 제1웹부(112)와 평행한 제2웹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111)는 양측으로 제1쐐기형 돌기(111a-1)를 갖는 플랜지 결합부(111a)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도어틀(300)의 모서리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형태가 유지됨에 따라 역방향 즉, 도어틀(300)의 길이 방향 또는 설치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웹부(114)는 양측으로 제2쐐기형 돌기(114a-1)를 갖는 웹부 결합부(114a)가 상기 플랜지 결합부(111a)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도어틀(300)의 모서리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형태가 유지됨에 따라 역방향 즉, 도어틀(300)의 길이 방향 또는 설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웹부(114)는 단부에는
Figure 112018091908066-pat00002
형태를 갖는 벽체 마감부(1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벽체와 마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120)는 도어(200) 개폐시 도어 모서리(21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만곡형태를 갖는 간섭방지부재(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재(121)에 단턱형태를 갖는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112)가 도어 모서리(210)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어 도어(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밀착이 유지되도록 하여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완화 공간부(130)는 결합부(110)의 내부와 간섭방지부(120)에 의하여 손가락이 도어(200)와 도어틀(30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손가락이 끼였을 경우, 압축 변형으로 인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완화 공간부(130)는 내부에 형상 유지를 위한 제1브릿지(131)와 제2브릿지(132)가 평행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브릿지(131)는 일측 단부가 간섭방지부(120)에 구비된 간섭방지부재(121)와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122)가 만나는 부분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타측 단부가 결합부(110)에 구비된 제1웹부(112)와 제2플랜지부(113)가 만나는 부분에 연결되게 구비되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122)의 형상이 안정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브릿지(132)는 일측 단부가 간섭방지부재(121)의 내면에 연결되게 구비되며, 타측 단부가 결합부(110)에 구비된 제2웹부(114)와 벽체 마감부(115)가 만나는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간섭방지부재(121)가 외측으로 만곡된 안정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틀(300)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은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A)가 구비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도어(200)의 손상을 방지하는 가운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힌지(400)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300) 내측 모서리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지구 결합홈(310)은 방지구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부(110)의 제1플랜지부(111), 제1웹부(112), 제2플랜지부(113), 제2웹부(114), 플랜지 결합부(111a) 및 웹부 결합부(114a)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A)가 최적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삽입 또는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방지구 결합홈(310)은 힌지(400)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300) 내측 모서리에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전체 높이를 갖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방지구 결합홈(310)이 도어틀(300) 내측 모서리에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전체 높이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방지구 결합홈(310)이 하단으로부터 중간까지 일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이러한 경우, 소재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특히, 어린이의 손가락이 잘 끼이는 높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400)는 도어틀(300)과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도어(200)가 회동하여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틀(300)의 방지구 결합홈(310)에 구비된 방지구 몸체(100)와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힌지 몸체(410)의 일측에 도어(200)의 모서리 내부로 경사지게 삽입 고정되는 제1힌지풋(411)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 도어틀(300)의 모서리 내부로 경사지게 삽입 고정되는 제2힌지풋(412)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도어(200)가 힌지(400)에 의하여 도어틀(300)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고, 도어틀(300)에 고정된 힌지(400)의 내측으로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310)에 방지구 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200)가 오픈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도어(200)의 단부측과 도어틀(300)의 모서리 내측 사이에 협소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어린이 손가락이 도어(200)의 단부측과 도어틀(30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도어틀에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간혹 어린이 손가락(F)이 도어(200)의 단부측과 도어틀(30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도어(200)를 닫게 되면 도어(200)가 힌지(40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200)의 도어 모서리(210)가 간섭방지부재(121)의 외측을 따라 이동한 후 간섭방지부재(121)의 끝에 형성된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122)에 근접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도어(200)의 단부에 의하여 어린이 손가락(F)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서 가압되고, 가압 과정에서 방지구 몸체(100)에 형성된 간섭방지부재(121) 및 제2브릿지(132)가 압축됨과 동시에 완화공간부(130)가 같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도어(200)를 통해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충분하게 완화되어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방지구 몸체 110:결합부
111:제1플랜지부 111a:플랜지 결합부
111a-1:제1쐐기형 돌기 112:제1웹부
113:제2플랜지부 114:제2웹부
114a:웹부 결합부 114a-1:제2쐐기형 돌기
115:벽체 마감부 120:간섭방지부
121:간섭방지부재 122:도어 모서리 밀착부재
130:완화 공간부 131:제1브릿지
132:제2브릿지 200:도어
300:도어틀 400:힌지
410:힌지 몸체 411:제1힌지풋
412:제2힌지풋

Claims (8)

  1. 도어와 도어틀 사이로 끼인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되어 부상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부상 방지구는 힌지로 결합된 도어와 대응되는 도어틀에 결합되는 방지구 몸체로 구비되되, 상기 방지구 몸체는 도어틀에 형성된 방지구 결합홈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결합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간섭방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와 간섭방지부의 내부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완화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는 힌지 몸체의 일측에 도어의 모서리 내부로, 도어의 정면을 기준으로 도어의 정면과 경사를 이루면서 삽입 고정되는 제1힌지풋이 구비되며, 타측에 도어틀의 모서리 내부로, 도어의 정면과 직교를 이루는 도어틀의 면과 경사를 이루면서 삽입 고정되는 제2힌지풋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도어틀의 내부를 향하는 제1플랜지부의 타측 단부에 도어틀의 외부를 향하는 제1웹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웹부의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부와 평행한 제2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1웹부와 평행한 제2웹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플랜지부는 양측으로 제1쐐기형 돌기를 갖는 플랜지 결합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웹부는 양측으로 제2쐐기형 돌기를 갖는 웹부 결합부가 상기 플랜지 결합부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웹부는 단부에
    Figure 112018091908066-pat00003
    형태를 갖는 벽체 마감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도어 개폐시 도어 모서리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재가 만곡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간섭방지부재에 단턱형태를 갖는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가 도어 모서리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공간부는 내부에 형상 유지를 위한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가 평행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브릿지는 간섭방지부에 구비된 간섭방지부재와 도어 모서리 밀착부재가 만나는 부분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며, 결합부에 구비된 제1웹부와 제2플랜지부가 만나는 부분에 타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브릿지는 간섭방지부재의 내면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되며, 결합부에 구비된 제2웹부와 벽체 마감부가 만나는 부분에 타측 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 결합홈은 힌지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방지구 몸체에 형성된 결합부의 제1플랜지부, 제1웹부, 제2플랜지부 제2웹부, 플랜지 결합부 및 웹부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 결합홈은 힌지가 구비된 부분의 도어틀 내측 모서리에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전체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하단으로부터 중간까지 일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8. 삭제
KR1020180110568A 2018-09-14 2018-09-14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KR10204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68A KR102045798B1 (ko) 2018-09-14 2018-09-14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68A KR102045798B1 (ko) 2018-09-14 2018-09-14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798B1 true KR102045798B1 (ko) 2019-11-18

Family

ID=687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68A KR102045798B1 (ko) 2018-09-14 2018-09-14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5544A1 (de) 2021-06-30 2023-01-05 Göbes GmbH Türanordnung mit Fingerschutz, Vorrichtung für Fingerschutz
KR20240000008U (ko) 2022-06-23 2024-01-02 강호동 도어와 문틀 간 손 끼임 방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04Y1 (ko) 2004-06-26 2005-01-03 임식규 도어용 안전부재
KR20050066396A (ko) * 2003-12-26 2005-06-30 서종근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CN100387800C (zh) * 2005-04-18 2008-05-14 特威盾门业(苏州)有限公司 手指保护结构与密封条并列组合的多单元拼接门板
KR20090013124U (ko) * 2008-06-19 2009-12-30 권영두 손가락 손상 방지문
EP2806094A1 (de) * 2013-05-24 2014-11-26 Küffner Aluzargen GmbH & Co. OHG Türblatt für eine Türanordn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396A (ko) * 2003-12-26 2005-06-30 서종근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KR200371704Y1 (ko) 2004-06-26 2005-01-03 임식규 도어용 안전부재
CN100387800C (zh) * 2005-04-18 2008-05-14 特威盾门业(苏州)有限公司 手指保护结构与密封条并列组合的多单元拼接门板
KR20090013124U (ko) * 2008-06-19 2009-12-30 권영두 손가락 손상 방지문
EP2806094A1 (de) * 2013-05-24 2014-11-26 Küffner Aluzargen GmbH & Co. OHG Türblatt für eine Türanordn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5544A1 (de) 2021-06-30 2023-01-05 Göbes GmbH Türanordnung mit Fingerschutz, Vorrichtung für Fingerschutz
KR20240000008U (ko) 2022-06-23 2024-01-02 강호동 도어와 문틀 간 손 끼임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798B1 (ko)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KR20200037052A (ko) 손가락 끼임 보호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방문 구조
US6243919B1 (en)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JP4957170B2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JP3770641B2 (ja) 指詰め防止装置付き扉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404367B1 (ko)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101082375B1 (ko) 문닫힘 방지기구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KR101416325B1 (ko) 안전도어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2018012451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
KR102121789B1 (ko) 사물함 도어용 끼임 보호장치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WO1991005127A1 (en) Pinch guard for mounting on doors
KR102264558B1 (ko)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KR102045299B1 (ko) 수동 안전 도어
KR100928144B1 (ko) 여닫이 도어의 푸싱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여닫이 도어
KR200244234Y1 (ko) 손가락끼임방지장치
KR102245817B1 (ko) 여닫이문용 자바라형 손끼임 방지구
JP4477725B2 (ja) 家具等における引戸装置
KR20220076705A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