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396A -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 Google Patents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396A
KR20050066396A KR1020030097678A KR20030097678A KR20050066396A KR 20050066396 A KR20050066396 A KR 20050066396A KR 1020030097678 A KR1020030097678 A KR 1020030097678A KR 20030097678 A KR20030097678 A KR 20030097678A KR 20050066396 A KR20050066396 A KR 2005006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ct
wall surface
fas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102003009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396A/ko
Publication of KR2005006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에 사용되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는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 로 형성되어 있는 문의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의 2개의 벽면부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An elastic means for soundproofing doors and a combinatin comprising of it}
본 발명은 문에 사용되는 탄성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을 열고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문 사이에 끼인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탄성체와 이것을 이용한 탄성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건축물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은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로서, 통상적으로 어느 한쪽을 고정한 채 다른 한쪽이 회전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통상적으로 고정된 문짝 부분과, 그 문짝의 한쪽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열고 닫히는 문 본체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기의 문 본체부분이 상기의 힌지결합을 중심축으로 하여 열려지거나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여닫이문은 벽체에 고정된 문짝 부분과, 그 문짝에 열고 닫히는 문 본체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들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여닫이문은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각종의 소음이나 소리가 전달되어지기도 하고 외부로부터의 찬바람이 들어오기도 한다.
여닫이문의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외풍을 차단하기 위하여, 종이나 스폰지로 된 문풍지를 붙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 효과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지저분한 느낌을 주고 있으므로, 오늘날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94-10248호 "문틀"은 문틀의 받침턱에 연질고무판을 부착시켜서 충격음을 완화시키고 보온 및 방음효과를 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의 연질고무판을 문틀에 어떠한 방식으로 고정시킬 것인가에 관한 구체화된 방법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어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5-62785호 "방재개폐용 문"은 문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기밀재를 삽입함으로써 문을 열고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완화시키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의 기밀재가 단순히 문짝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단순한 방식으로 충격음을 완화시키거나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는데 불과할 뿐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5-62785호 "방재개폐용 문"은 상기의 기밀재를 탄성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그 탄성체의 성질을 단순히 밀착부위에 적용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또 한편,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4-86894호 "손가락 끼임방지 문"은 문틀과 접촉되는 부분을 절개한 다음 그 절개부위에 고무재질의 완충재를 결합시키고 있으며, 상기의 완충재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방법들에 비하여 어느 정도 기술적인 진보를 이룬 측면이 있으나, 상기 공개공보의 도면(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주목적이 문과 문짝 사이에 끼어지는 손가락을 보호하는데 있는 것이어서,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여전히 외부의 소음이 내부로 들어올 수 있고, 문밖의 찬바람이 실내로 그대로 들어올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18590호는 문이 슬라이딩하는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고, 또한 그 탄성체가 단순히 문짝에 밀착되어지고, 그 결과 밀착되어진 부분과 문짝의 접촉면이 서로 접촉되어져 충격음을 완화시켜 줄 뿐이다.
또 다른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252호 "외풍방지 및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현관문"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이건 출원인이 최초로 고안하여 실용신안권으로 설정등록을 받은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이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관문(10)과 문짝(4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10)의 일측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에 외풍방지/손보호구(20)를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풍방지/손보호구(20)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그의 내부를 빈 공간부(22)로 형성하고, 상기의 내부에 보강재(30)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돌출부(24)를 형성함과 동시에, 나사(32)에 의한 나사결합을 위하여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그 위에 마개(26)로 덮어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외풍방지/손보호구(20)는 그 내부에 상기의 보강재(30)를 설치하는 것이 핵심적인 기술인 것인데, 상기의 보강재(30)를 그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까다롭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외풍방지/손보호구(20)는 돌출부(24)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 역시 종래의 상기 일본 공개실용신안들에서와 동일하게 단순한 밀착기능 이외에 어떠한 기능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통상적으로 문이나 문짝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 또는 완충부재는 문이나 문짝 등에 실용적이고 실제적으로 결합될 수 없어서 실용화되지 못하였으며, 또한 상기의 탄성체 또는 완충부재는 단순히 접착면에 밀착됨으로써 방풍 및 방음효과를 기하는데 그칠 뿐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이나 문짝에 직접 밀착되어지는 접촉면의 압착력을 이용하여 그에 인접한 다른 쪽의 비접촉면을 접촉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기의 압착력이 해제되어지면 다시 상기의 전환된 접촉면을 원래대로 회복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완충부재를 문이나 문짝 등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특히 상기 완충부재의 결합용으로 적합한 체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완충부재와 상기의 체결부재를 서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완충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문이나 문짝에 직접 밀착되어지는 접촉면의 압착력을 이용하여 그에 인접한 다른 쪽의 비접촉면을 또다른 접촉면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방음 방풍 손가락 보호 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는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 로 형성되어 있는 문의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의 2개의 벽면부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는 평상시에는 문이나 문짝에 접촉될 수 있는 1개의 압착접촉면을 보유하고 있으나, 상기의 문이 상기의 문짝에 접촉되어지면서 2개의 압착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전방 벽면부에 형성된 압착접촉면은 상기의 문이 그에 대응되는 문짝에 접근하여 접촉되어질 경우, 상기의 문이 상기의 문짝에 접근하면 할수록 상기 압착접촉면의 실제적인 접촉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질수록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필연적으로 그에 인접된 측방 벽면부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지고, 그로 인하여 그 힘은 상기 측방 벽면부 방향으로 쏠려지게 되며, 그 결과 상기의 측방 벽면부는 상기의 쏠림 힘에 의한 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완충부재의 바깥쪽으로 부풀어져서 상기의 문짝에 밀착되어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전방 벽면부가 그에 대응한 문짝에 밀착되어지면 되어질수록 더욱 심화되어지고, 상기의 문이 상기의 문짝에 완전히 밀착되어 닫혀질 때까지 계속되어지며, 그 과정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측방 벽면부는 그 밀착되어 접촉되어지는 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상당한 정도의 접촉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의 완충부재와 상기의 문짝은 서로 2개의 부위에서 밀착된 접촉면적을 이루게 되고, 이들 접촉면적은 상기 완충부재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욱 완벽한 밀착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완충부재를 문이나 문짝 등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는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어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통일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완충부재와 상기의 체결부재를 서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완충결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결합체는 한편으로 문이나 문짝에 결합되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완충부재와 결합되어지는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와, 상기의 체결부재에 결합되어지고 문이 닫힐 경우 방음 방풍효과를 기할 수 있는 완충부재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는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어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통일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완충부재는 문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2개의 벽면부와, 상기 2개의 벽면부 중의 어느 하나의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와, 상기 2개의 벽면부 중의 다른 하나의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측방 벽면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2개의 벽면부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를 가지고 있는 문의 방음을 위한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완충부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110)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120)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120)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130)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140)와;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150);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에 체결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체결부(11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를 문이나 문짝에 직접 결합시키는 것 보다 다른 체결부재를 통하여 간접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체결부(112)는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직접 결합되어지는 다른 체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실시예로서는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고리 형상이거나, 도 5c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 걸고리 형상이거나, 도 5d 및 도 5e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형성된 역 걸고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체결부(112)는 그 기본적인 기능이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를 다른 체결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이것을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가 아닌 일측방 벽면부(120)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5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상기 전방 벽면부(130)에 압착접촉면(132)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은 상기 전방 벽면부(13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120) 방향에서 서서히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타측방 벽면부(140)에 연결된 지점에서 가장 큰 곡면부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은 문이 닫힐 경우 상기의 곡면부위에서부터 문짝에 접촉되어지기 시작하고, 이어서 나머지 부위를 점점 압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을 이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문이 닫혀짐에 따라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가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부위를 특정한 부위에서부터 시작하여 다른 부위로 점점 확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압착지점에서의 압착력을 점점 하나의 지점 내지 방향으로 모아주고, 그로 인하여 소정의 기대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기대효과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를 다른 체결부재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 10에 의하여 잘 설명되어지고 있다.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가 문짝에 접근할 경우,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이 제일 먼저 접촉되어지고, 그 이후 그 접촉면이 점점 확대되어지며, 이어서 그에 인접한 타측방 벽면부(140)가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접촉면을 형성하게 되어지며,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에도 일정한 접촉면이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착접촉면(132)은 위에서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로서는 도 6a 내지 도 6d에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압착접촉면(132)은 상기 전방 벽면부(13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고(도 6a), 상기 전방 벽면부와 일체로 형성하여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도 6b), 상기 전방 벽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거나(도 6c), 또는 상기 전방 벽면부에 상기의 돌출부를 둘러싼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도 6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은 상기의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지점에 이러한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변곡점(P)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변곡점(P)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가 문짝에 접촉하여 그로부터 압착력을 받게 될 경우에, 그 압착력을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30) 방향으로 전달해주는 분기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접촉면(132)은 상기의 변곡점(P)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의 빈 공간부(15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 또는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공간 격벽(15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간 격벽(152)은 문이 문짝에 접근하여 소정의 압착력을 받게 될 경우, 그 압착력이 상기 전방 벽면부(130)를 타고 그에 인접한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 방향으로 전달되어지도록 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고, 그 압착력에 직접 대항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점에서, 종래의 기술에서 소개된 다른 격벽들과는 그 기술적 배경 및 착상 자체가 전혀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간 격벽(152)은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에 연결될 경우 제2 변곡점(Q)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제2 변곡점(Q)은 실제로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출발지점을 제공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의 압착력에 의해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될 때, 상기의 공간 격벽(152)은 물리적 성질상 상기 빈 공간부(150) 내에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므로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를 계속 그 상태로 붙잡아 두는 성질이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는 부득이 상기의 제2 변곡점(Q)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올 수밖에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공간 격벽(152)은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의 상기 변곡점(P)에서 출발하여 상기의 빈공간부(150)를 지나 상기 타측방 벽면부(140)의 제2 변곡점(Q)에 연결될 경우에 가장 이상적인 실시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간 격벽(152)은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의 상기 변곡점(P)에서 출발하여 상기의 빈공간부(150)를 경유하여,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 또는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엔, 상기와 같이 타측방 벽면부(140)에 대한 영향을 기대할 수 없으나,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에 가해진 압착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별히 배제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상기의 공간 격벽(152) 이외에 보조 격벽(15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보조 격벽(154)은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에서 출발하되,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 또는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1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공간 격벽(152)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이므로, 단지 상기 공간 격벽(152)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으로 족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전방 벽면부(130)에서의 출발 지점은 상기의 변곡점(P)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실시예는 역시 도 3 내지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120)에 연결된 부위에 전방 날개부(13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전방 날개부(134)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가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결합될 경우에, 상기 문이나 문짝과 상기 일측방 벽면부(120)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약간의 틈새를 나타내게 되는데, 그러한 틈새를 보이지 않게 감싸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는 상기의 타측방 벽면부(140)가 상기의 후방 벽면부(110)에 연결된 부위에 측방 날개부(14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측방 날개부(144)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가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결합될 경우에, 상기 문이나 문짝과 상기 후방 벽면부(110)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약간의 틈새를 나타내게 되는데, 그러한 틈새를 보이지 않게 감싸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의 전방 날개부(134) 및 상기의 측방 날개부(144)에 관한 구체적인 기능에 관한 도면상의 설명은 도 9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완충부재를 문이나 문짝 등에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는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부(210)는 본 발명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몸체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받침부(210)는 문이나 문짝 등을 직각으로 절개한 절개홈의 바닥면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받침부(210)는 상기 절개홈에 직접 접촉되는 반대면에 직선 절개부(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직선 절개부(212)는 상기의 받침부(210) 반대면에 약간 패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직선 절개부(21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시키고자 하여 나사홈을 형성시킬 경우, 작업자가 손쉽게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나사홈을 형성할 경우, 작업자가 나사홈의 형성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의 나사홈을 일직선으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매우 가지런한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는 상기 받침부(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2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체결수단(220)은 상기 완충부재(100)의 체결부(112)에 결합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112)의 형상과 그 위치에 직접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는 상기의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절개홈에 밀착시켜 배치시킬 경우 상기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위에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통일적으로 위치하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2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위치결정수단(230)을 형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의 문이나 문짝에 절개홈을 형성할 경우, 그 모서리부분이 정확하게 직각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모서리부분에 부분적으로 나무결이 남아 있거나(목재 문의 경우), 그 모서리부분에 용접에 의한 금속찌꺼기가 부분적으로 남아 있어서(금속재 문의 경우), 상기의 모서리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완충부재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배열할 경우, 통일적이고 균일한 배열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의 모서리부분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다른 부분을 기준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위치결정수단(230)은 상기의 받침판(21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판(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약간의 곡선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도 7b), 상기 받침판(210)의 배면(즉, 상기 체결수단(220)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이 약간의 걸고리형상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도 8a), 또는 상기 받침판(2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직각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8b), 또는 상기의 곡선부와 상기의 걸고리형상을 함께 조합시켜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8c), 또는 상기 받침판(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모서리부분에 접촉되지 않도록 직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8d).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문이나 문짝에 절개홈을 형성한다. 상기의 절개홈은 기존의 문이나 문짝이 목재로 제작된 경우 대패 등으로 문과 문짝이 서로 만나게 되는 부분을 직각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고, PVC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경우 처음부터 절개홈을 형성하여 맞춤생산될 수 있으며, 철재의 방화문 등의 경우에도 처음부터 절개홈을 형성하거나 사후적으로 절개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상기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결합시킨다. 도 9는 상기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가 문이나 문짝에 결합되어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상기의 체결수단(230)이 도 7b 및 도 8d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붙잡고 받침판(210)을 절개홈의 한쪽 벽면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절개홈의 모서리부분에 작업 찌꺼기(62 : 나무결이나 용접찌꺼기 또는 철제찌꺼기) 등이 남아 있을 경우에도 상기의 위치결정수단(230)이 상기의 작업 찌꺼기(62)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 9b는 상기의 체결수단(230)이 도 8a 및 도 8c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의 절개홈을 형성할 경우에, 그곳에 가늘고 긴 슬릿(64)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미리 형성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문이나 문짝이 PVC 재질의 제품일 경우엔, 그 제작시에 미리 상기의 슬릿(64)을 미리 형성해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엔, 작업자가 상기의 슬릿(64)에 상기의 도 8a 및 도 8c의 위치결정수단(230)을 위치시키고, 손이나 작업도구로 탁탁 내려치거나 눌러주면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서리부분에 작업 찌꺼기(62)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체결부재(200)를 일정한 위치에 배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c는 상기의 체결수단(230)이 도 8b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엔, 작업자가 상기의 절개홈을 형성할 경우에 그 한쪽에 별도의 절개부(66)를 더욱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상기의 절개부(66)에 도 8b에 의한 체결수단(230)을 단순히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밀착시키면 족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서리 부분에 작업 찌꺼기가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역시 일정한 위치에 배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9d는 상기의 체결수단(230)이 도 8d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상기의 도 9a와 동일한 원리에 의한 것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체결부재(200)가 상기 절개홈에 수직으로 정렬되어지면, 나사 등에 의해 문이나 문짝에 견고하게 체결시킨다. 만약, 나사 등에 의해 문이나 문짝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의 직선 절개부(212)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손쉽게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도 8a 및 도 8c에 의한 위치결정수단(230)을 이용할 경우엔, 상기의 위치결정수단(230)이 문이나 문짝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체결부재(200)를 문이나 문짝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의 완충부재(100)를 상기 체결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완충부재(100)의 체결부(112)를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수단(220)에 끼워넣으면, 간단히 서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완충부재와 상기의 체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진 완충결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결합체(300)는 문이 닫힐 경우 방음 방풍효과를 기할 수 있는 완충부재(100)와, 상기의 완충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결합체(300)에 특히 적합한 상기의 완충부재(100)는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110)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120)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130)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140), 및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1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벽면부(110)(120)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11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전방 벽면부(130)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132)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완충결합체(100)에 관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결합체(300)에 특히 적합한 상기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는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210),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어지는 체결수단(220)과,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통일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2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에 관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도, 이미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100)와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를 사용할 경우, 여닫이 문에 의하여 소음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외풍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부주의로 인하여 문이나 문짝에 손가락을 넣을 경우에도, 상기 완충부재에 의하여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문과 문짝 사이에 최소한 2개 부분에서 밀착되어진 접촉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더욱 강력한 방음, 방풍, 손가락보호 등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던 방음용 탄성체 및 이를 이용한 탄성결합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상기의 완충부재와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충부재, 110 : 후방 벽면부,
120 : 일측방 벽면부, 130 : 전방 벽면부,
132 : 압착접촉면, 134 : 날개부
140 : 타측방 벽면부, 144 : 날개부,
150 : 빈 공간부

Claims (3)

  1.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 로 형성되어 있는 문의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의 2개의 벽면부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완충부재.
  2.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어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통일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
  3. 문이 닫힐 경우 방음 방풍효과를 기할 수 있는 완충부재와, 상기의 완충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로 구성된 완충결합체에 있어서,
    상기의 완충부재는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는 후방 벽면부와; 상기의 절개홈에 접촉되어지고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일측방 벽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는 전방 벽면부와; 상기의 후방 벽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접촉되어지지 않는 타측방 벽면부와; 상기의 각 벽면부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 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2개의 벽면부에는 각각 또는 동시에 체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전방 벽면부는 문이 닫힐 경우 문짝에 순차적으로 접촉면을 증대하면서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접촉면을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완충부재의 결합용 체결부재는 문이나 문짝 등의 절개홈에 밀착되어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의 체결부에 결합되어지는 체결수단과;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이나 문짝의 절개홈의 일정한 위치에 통일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압착결합체.
KR1020030097678A 2003-12-26 2003-12-26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KR20050066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678A KR20050066396A (ko) 2003-12-26 2003-12-26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678A KR20050066396A (ko) 2003-12-26 2003-12-26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96A true KR20050066396A (ko) 2005-06-30

Family

ID=3725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678A KR20050066396A (ko) 2003-12-26 2003-12-26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82B1 (ko) * 2010-07-21 2012-06-29 최승수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102045798B1 (ko) * 2018-09-14 2019-11-18 김정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82B1 (ko) * 2010-07-21 2012-06-29 최승수 도어 보호대 구조체
KR102045798B1 (ko) * 2018-09-14 2019-11-18 김정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WO2015024297A1 (en) Hinge device for a folding door
CN209444205U (zh) 一种防夹手房门结构
US8752245B2 (en) Finger-safe door
KR101530839B1 (ko) 한지창호
CA2494301A1 (en) Door safety device
MXPA04009886A (es) Conjunto de puertas.
KR20050066396A (ko) 방음용 완충부재와 이를 이용한 완충결합체
DE60121624D1 (de) Steuersystem für fenster, türen oder dergleichen und fenster, tür oder dergleichen mit solch einem steuersystem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CN214659640U (zh) 一种装配式墙板暗门结构
JP3254923B2 (ja) 両開き式扉の召し合せ部用戸当り装置
KR100684546B1 (ko) 건축용 안전 방음도어
KR200306009Y1 (ko) 도어용 패킹 조립체
KR200228920Y1 (ko) 도어 및 문틀구조
JP2808433B2 (ja) ドアユニット
JP7204839B1 (ja) 内開き扉の遮蔽構造
CN213605324U (zh) 一种防声响无螺丝的户外厨房门板
JP2004169472A (ja) 開口部装置
KR20240016029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EP1691022A3 (en) Corner piece and joinery which is provided with such a corner piece
CN117513864A (zh) 杠杆手柄操作器具以及开门装置
KR100535925B1 (ko) 안전 도어
KR200281140Y1 (ko) 출입문용 손 보호대
KR200172251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