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39B1 - 한지창호 - Google Patents

한지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39B1
KR101530839B1 KR1020150053881A KR20150053881A KR101530839B1 KR 101530839 B1 KR101530839 B1 KR 101530839B1 KR 1020150053881 A KR1020150053881 A KR 1020150053881A KR 20150053881 A KR20150053881 A KR 20150053881A KR 101530839 B1 KR101530839 B1 KR 10153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ooden frame
wooden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15005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39B1/ko
Priority to PCT/KR2016/002628 priority patent/WO20161674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06B3/105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제4목재프레임(40)을 포함하고 창문보강구(50)와 한지(90)가 더 구비되어 목재프레임으로 창문틀을 구비하고 창문틀의 내부에 창문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줌에 따라 목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창문틀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창틀이 휘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창틀에도 창틀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창틀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리창과 함께 한지를 더 구비하여 목재로 이루어지는 창문틀은 물론 구비되는 한지에 의해 고전적인 한옥창호의 느낌을 전체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지창호{windows and doors with korean paper}
본 발명은 한지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가 구비되는 창호의 문틀을 목재로 구비하고 목재의 내부에 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창호 문틀의 휘어짐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지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창틀과 창틀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창문의 작동구조에 따라 미닫이창, 여닫이창, 고정창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미닫이창은 유리를 감싸 고정시키는 유리고정프레임이 설치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되어 좌우로 개폐시키는 창이고, 여닫이창은 유리를 감싸 고정시키는 유리고정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와 설치프레임의 일측 모서리가 힌지로 결합되어 유리고정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개폐시키는 창이며 고정창은 설치프레임을 유리고정프레임으로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에 직접 유리가 고정 결합되는 창이다.
이와 같은 창호는 대개 창문에 유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이나 주택을 미려하게 연출하는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근자들어서는,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이용하여 건물이나 주택을 미려하게 연출하도록 하기 위해 한옥식 창호가 설치되고 있으며, 통상 한옥식 창호는 창문이 지지되는 창틀을 목재로 구비하고 한옥식으로 살대를 창틀에 교차 구비하여 한옥식 창호의 느낌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열을 위해 창호에 유리 또는 이중유리가 구비됨에 따라 실질적인 한옥식 창호 느낌을 기대하기 어렵고 목재와 유리의 결합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49582호인 한옥 시스템 창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유리블럭,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제1지지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일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막는 제1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블럭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유리블럭의 타면 가장자리 사이 틈새를 채우는 제2가스켓을 포함하는 고정바아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한옥 창호의 외관 디자인을 유지하도록 하여 한옥의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의 창이 유리블럭만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프레임에 의해서만 한옥 창호의 느낌을 얻을 수 있어 한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전적인 한옥 창호에 대한 전체적인 느낌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목재를 이용하여 창틀과 창문틀을 구비한 창호들이 안출되고는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 역시 유리창 또는 유리블록만으로 창이 구비되기 때문에 한지가 갖고 있는 고전적인 창호느낌을 얻을 수 없으며 목재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어 창틀 또는 창문틀이 휘거나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49582호(2010.07.1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63456호(2014.02.10. 등록)
본 발명은 유리창을 구비하고 목재틀을 갖는 창호에 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창호에 대한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켜 주고 한지를 더 구비하여 고전적인 창호 전체 느낌을 갖을 수 있도록 한 한지창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한지창호는, 제1목재프레임과 제2목재프레임, 제3목재프레임 및 제4목재프레임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유리창이 구비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을 갖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제1목재프레임은, 전면에 무늬부가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 제1끼움턱과 상기 제1끼움턱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끼움턱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1걸림턱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목재프레임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의 제1수용부에 일측면이 밀착되고 제2끼움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2끼움턱의 양측에 각각 제1보강구수용면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목재프레임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1걸림턱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4목재프레임은, 상기 제2목재프레임의 타측면과 상기 제3목재프레임의 타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이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에 구비되는 밀착면의 중앙에 상기 제1끼움턱과 마주보는 제3끼움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3끼움턱의 일측에 제2보강구수용면 및 이 제2보강구수용면으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2걸림턱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목재프레임과 제2목재프레임, 제3목재프레임, 제4목재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이들 제1목재프레임과 제2목재프레임, 제3목재프레임, 제4목재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창문보강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창문보강구는, 상기 제1목재프레임의 제1끼움턱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의 제2끼움턱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의 제3끼움턱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과; 상기 제1목재프레임의 제2수용부와 이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3목재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1돌기면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의 제2끼움턱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보강구수용면에 각각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2돌기면 및 제3돌기면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의 제2보강구수용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제4돌기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살대와 제4목재프레임 사이에는 유리창이 구비되되 상기 보강살대와 유리창 사이에 한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창틀은,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지지턱과 제2지지턱을 갖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이 구비되고 끼움공간부가 구비되는 창틀보강구와; 상기 창틀보강구의 끼움공간부에 끼워지는 끼움돌부가 돌출되는 마감목재와; 상기 마감목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패킹 및 이 패킹이 각각 끼워지는 패킹수용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창문보강구 및 창틀보강구 중 어느 하나의 보강구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목재프레임으로 창문틀을 구비하고 창문틀의 내부에 창문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줌에 따라 목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창문틀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창틀이 휘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창틀에도 창틀보강구를 더 구비하여 창틀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리창과 함께 한지를 더 구비하여 목재로 이루어지는 창문틀은 물론 구비되는 한지에 의해 고전적인 한옥창호의 느낌을 전체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창문보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한지창호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한지창호는, 제1목재프레임과 제2목재프레임, 제3목재프레임 및 제4목재프레임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유리창이 구비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을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재프레임(10)은, 전면에 무늬부(11)가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 제1끼움턱(12)과 상기 제1끼움턱(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수용부(13)와 상기 제1끼움턱(1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수용부(14)와 상기 제2수용부(14)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1걸림턱(1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1수용부(13)에 일측면이 밀착되고 제2끼움턱(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끼움턱(21)의 양측에 각각 제1보강구수용면(2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목재프레임(30)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2수용부(14)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1걸림턱(12)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은,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타측면과 상기 제3목재프레임(30)의 타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41)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착면(41)의 중앙에 상기 제1끼움턱(12)과 마주보는 제3끼움턱(42)이 구비되며 상기 제3끼움턱(42)의 일측에 제2보강구수용면(43) 및 이 제2보강구수용면(43)으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2걸림턱(4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창문보강구(50)를 상기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에 끼워 결합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제4목재프레임(40)의 내측에 위치되어 이들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제4목재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는 창문보강구(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창문보강구(5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보강구(50)에 의한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만으로 창문틀을 구비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창문틀이 틀어지거나 휘어지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되지만, 본 발명은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으로 창문틀을 구비하되 창문보강구(50)를 상기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에 의해 창문보강구(50)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창문틀의 틀어짐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내측에 창문보강구(5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창문보강구(50)에 의해 창문틀의 두께를 맞출 수 있어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을 구성하는 목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 및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창문보강구(50)는,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1끼움턱(12)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51)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제2끼움턱(21)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52)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의 제3끼움턱(42)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53)과,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2수용부(14)와 이 제2수용부(14)에 수용되는 제3목재프레임(30)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1돌기면(54)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제2끼움턱(21)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보강구수용면(22)에 각각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2돌기면(55) 및 제3돌기면(56)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의 제2보강구수용면(43)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제2걸림턱(44)에 의해 지지되는 제4돌기면(57)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창문보강구(50)의 제1밀착면(51)은 제1목재프레임(10)의 제1끼움턱(12)에 밀착되고 제2밀착면(52)은 제2목재프레임(20)의 제2끼움턱(21)에 밀착되며 제3밀착면(53)은 제4목재프레임(40)의 제3끼움턱(42)에 밀착되기 때문에 창문보강구(50)에 의해 각각의 목재프레임들이 강하게 밀착되어 지지됨에 따라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때,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과 창문보강구(50)의 고정은, 먼저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내측에 창문보강구(50)를 밀착시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의 각각의 연결부분에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대고 피스로 결합하거나 또는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에 서로 대응되는 돌부와 홈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이들 돌부와 홈부를 끼워 결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강살대(60)와 제4목재프레임(40) 사이에는 유리창(70)이 구비되되 상기 보강살대(60)와 유리창(70) 사이에 한지(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한지(90)는 한 장으로 이루어지거나 한 장 이상의 한지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지(90)가 더 구비됨에 따라 목재로 이루어지는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및 제4목재프레임(40)은 물론 한지(90)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전적인 전통 한옥창호의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80)은,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지지턱(81)과 제2지지턱(82)을 갖는 수용공간부(83)와, 상기 수용공간부(83)에 끼워지고 상기 제1지지턱(81) 및 제2지지턱(82)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면(84)과 제2지지면(85)이 구비되고 끼움공간부(86)가 구비되는 창틀보강구(87)와, 상기 창틀보강구(87)의 끼움공간부(86)에 끼워지는 끼움돌부(88a)가 돌출되는 마감목재(88)와, 상기 마감목재(88)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패킹(89) 및 이 패킹(89)이 각각 끼워지는 패킹수용부(89a)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창틀(80)은 목재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창틀(80)에 창틀보강구(87)가 더 구비됨에 따라 목재로 이루어지는 창틀(80) 역시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창틀(80)이 휘어지거나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창문보강구(50) 및 창틀보강구(87) 중 어느 하나의 보강구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창문보강구(50) 및 창틀보강구(87)를 구비하여도 관계치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목재프레임 11 : 무늬부
12 : 제1끼움턱 13 : 제1수용부
14 : 제2수용부 15 : 제1걸림턱
20 : 제2목재프레임 21 : 제2끼움턱
22 : 제1보강구수용면 30 : 제3목재프레임
40 : 제4목재프레임 41 : 밀착면
42 : 제3끼움턱 43 : 제2보강구수용면
44 : 제2걸림턱 50 : 창문보강구
51 : 제1밀착면 52 : 제2밀착면
53 : 제3밀착면 54 : 제1돌기면
55 : 제2돌기면 56 : 제3돌기면
57 : 제4돌기면 60 : 보강살대
70 : 유리창 80 : 창틀
81 : 제1지지턱 82 : 제2지지턱
83 : 수용공간부 84 : 제1지지면
85 : 제2지지면 86 : 끼움공간부
87 : 창틀보강구 88 : 마감목재
88a : 끼움돌부 89 : 패킹
89a : 패킹수용부 90 : 한지

Claims (4)

  1. 제1목재프레임과 제2목재프레임, 제3목재프레임 및 제4목재프레임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유리창이 구비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을 갖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제1목재프레임(10)은,
    전면에 무늬부(11)가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 제1끼움턱(12)과 상기 제1끼움턱(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수용부(13)와 상기 제1끼움턱(1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수용부(14)와 상기 제2수용부(14)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1걸림턱(1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1수용부(13)에 일측면이 밀착되고 제2끼움턱(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끼움턱(21)의 양측에 각각 제1보강구수용면(22)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목재프레임(30)은,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2수용부(14)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1걸림턱(15)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은,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타측면과 상기 제3목재프레임(30)의 타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41)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착면(41)의 중앙에 상기 제1끼움턱(12)과 마주보는 제3끼움턱(42)이 구비되며 상기 제3끼움턱(42)의 일측에 제2보강구수용면(43) 및 이 제2보강구수용면(43)으로부터 연장돌출되는 제2걸림턱(44)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제4목재프레임(40)의 내측에 위치되어 이들 제1목재프레임(10)과 제2목재프레임(20), 제3목재프레임(30), 제4목재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는 창문보강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창문보강구(50)는,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1끼움턱(12)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51)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제2끼움턱(21)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52)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의 제3끼움턱(42)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53)과;
    상기 제1목재프레임(10)의 제2수용부(14)와 이 제2수용부(14)에 수용되는 제3목재프레임(30)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1돌기면(54)과;
    상기 제2목재프레임(20)의 제2끼움턱(21)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보강구수용면(22)에 각각 위치되어 밀착되는 제2돌기면(55) 및 제3돌기면(56)과;
    상기 제4목재프레임(40)의 제2보강구수용면(43)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제2걸림턱(44)에 의해 지지되는 제4돌기면(57)으로 이루어지고,
    보강살대(60)와 제4목재프레임(40) 사이에는 유리창(70)이 구비되되 상기 보강살대(60)와 유리창(70) 사이에 한지(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80)은,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지지턱(81)과 제2지지턱(82)을 갖는 수용공간부(83)와;
    상기 수용공간부(83)에 끼워지고 상기 제1지지턱(81) 및 제2지지턱(82)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면(84)과 제2지지면(85)이 구비되고 끼움공간부(86)가 구비되는 창틀보강구(87)와;
    상기 창틀보강구(87)의 끼움공간부(86)에 끼워지는 끼움돌부(88a)가 돌출되는 마감목재(88)와;
    상기 마감목재(88)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패킹(89) 및 이 패킹(89)이 각각 끼워지는 패킹수용부(89a)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보강구(50)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보강구(87)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호.
KR1020150053881A 2015-04-16 2015-04-16 한지창호 KR10153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81A KR101530839B1 (ko) 2015-04-16 2015-04-16 한지창호
PCT/KR2016/002628 WO2016167478A1 (ko) 2015-04-16 2016-03-16 하이브리드 목재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81A KR101530839B1 (ko) 2015-04-16 2015-04-16 한지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839B1 true KR101530839B1 (ko) 2015-07-07

Family

ID=5379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81A KR101530839B1 (ko) 2015-04-16 2015-04-16 한지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31B1 (ko) *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20220015575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복합 창호 프레임의 간극형 결합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복합 한식 창호
KR102635717B1 (ko) * 2023-04-19 2024-02-13 윤성준 단열 성능이 향상된 문화재 도어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47262B1 (ko) * 2023-06-01 2024-03-14 김정철 하이브리드 기능성 한식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530A (en) * 1988-10-14 1991-01-08 Sne Enterprises, Inc. Extruded core sections for wood fenestration mounting frames and sashes
KR20000038902A (ko) * 1998-12-07 2000-07-05 김진곤 강도보강형 조립식창호프레임어셈블리
JP2001280026A (ja) * 2000-03-29 2001-10-10 Kamiya Corporation Kk 木製ドアの構造
KR101363456B1 (ko) * 2012-06-01 2014-02-17 주식회사 티엔디 영창 교체식 한옥 시스템 창호와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530A (en) * 1988-10-14 1991-01-08 Sne Enterprises, Inc. Extruded core sections for wood fenestration mounting frames and sashes
KR20000038902A (ko) * 1998-12-07 2000-07-05 김진곤 강도보강형 조립식창호프레임어셈블리
JP2001280026A (ja) * 2000-03-29 2001-10-10 Kamiya Corporation Kk 木製ドアの構造
KR101363456B1 (ko) * 2012-06-01 2014-02-17 주식회사 티엔디 영창 교체식 한옥 시스템 창호와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31B1 (ko) *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KR20190118231A (ko) *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102043072B1 (ko) * 2018-04-10 2019-11-11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WO2021070981A1 (ko) * 2019-10-08 2021-04-15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20220015575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복합 창호 프레임의 간극형 결합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복합 한식 창호
KR102506888B1 (ko) * 2020-07-31 2023-03-07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복합 창호 프레임의 간극형 결합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복합 한식 창호
KR102635717B1 (ko) * 2023-04-19 2024-02-13 윤성준 단열 성능이 향상된 문화재 도어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47262B1 (ko) * 2023-06-01 2024-03-14 김정철 하이브리드 기능성 한식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839B1 (ko) 한지창호
US7661227B2 (en) Cover for covering an opening in a building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US10202794B1 (en) Vinyl jamb system
JP6682187B2 (ja) 建具
KR101486064B1 (ko) 창호의 단열 벤트 어셈블리
US20220162900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JP2018104983A (ja) 戸装置の施工方法、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戸装置取付構造
KR20100020651A (ko) 입면 분할 시스템 창호
KR101194338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2224270B1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1728752B1 (ko)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JP6489806B2 (ja)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CN217461849U (zh) 一种双侧通用安装门
US2571696A (en) Door
KR100768796B1 (ko) 창틀의 폭을 줄인 창호
JP6882733B2 (ja) 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戸装置の施工方法
JP7195991B2 (ja) 両開きドア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JP6923598B2 (ja) 見切材を備えた開口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041019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