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752B1 -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752B1
KR101728752B1 KR1020160094750A KR20160094750A KR101728752B1 KR 101728752 B1 KR101728752 B1 KR 101728752B1 KR 1020160094750 A KR1020160094750 A KR 1020160094750A KR 20160094750 A KR20160094750 A KR 20160094750A KR 101728752 B1 KR101728752 B1 KR 10172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wing
connection frame
sw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876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6009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현관 출입문으로 자동문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설치할 경우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문틀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미서기문의 문틀과 스윙도어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만 사용하여 설치하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and swing door}
본 발명은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 출입문으로 자동문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설치할 경우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문틀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미서기문의 문틀과 스윙도어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만 사용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한,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미서기문은 각종 사무용 건물이나 쇼핑용 건물의 입구에 출입문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많은 공공시설물의 입구에도 설치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자동 미서기문은 개폐문의 개폐동작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출입자가 개폐문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했는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문이 열리고, 문이 개방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문을 말한다.
지금까지 자동 미서기문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11-121769호, 특허등록 제752096호, 특허등록 제1041161호 등과 같이 수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들의 공통적인 구조는, 미서기문의 문틀이 별도로 설치되고, 개폐구동수단에 행거식으로 매달린 미서기문의 개폐문이 슬라이딩하여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윙도어(swing door)는 내측과 외측 양방향으로 모두 개폐가 가능한 여닫이식 문이기 때문에 오피스 빌딩, 호텔, 백화점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출입문에 많이 설치되는데, 스윙도어는 고정 설치된 문틀의 일단 부분 상단과 하단에 상부롯드와 하부롯드가 각각 설치되고, 스윙도어와 문틀이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스윙도어가 내측과 외측 양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공개특허 제2008-76475호 "스윙도어"와 같은 기술들이 출현했다.
대형 고층건물일수록 현관 출입문으로 자동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함께 설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자동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에 관하여 많은 기술들이 출현했지만, 지금까지 자동 미서기문과 함께 시공된 모든 스윙도어는 미서기문의 문틀 프레임과 스윙도어 문틀의 프레임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시공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문틀 프레임을 시공하면서 바로 옆에 다른 하나의 문틀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과 비용 및 자재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서기문의 프레임과 스윙도어 문틀의 프레임이 크기와 폭(두께) 및 구조가 서로 다른 별개의 구성이기 때문에 현관문의 문틀에서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에 프레임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의 크기와 두께(폭) 및 구조가 달라서 건물의 얼굴과 같은 현관 부분의 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현관 출입문으로 자동문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설치할 경우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문틀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미서기문의 문틀과 스윙도어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만 사용하여 설치하도록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는, 자동문인 미서기문과 수동문인 스윙도어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미서기문과 스윙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미서기문과 스윙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이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스윙도어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표면이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가스켓이 장착되며, 미서기 문이 닫혔을 때 상기 공간부가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 단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체형 연결프레임의 표면보다 더 내부로 들어간 요부(凹部)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요부 형상에서 대향하는 면의 벽에는 각각 모헤야를 장착하여 미서기문이 닫혔을 때 모헤야의 선단이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스윙도어가 닫혔을 때, 스윙도어의 도어프레임 측면에 장착된 모헤야의 선단(先端)이 상기 요홈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프레임을 합성수지제의 실내측과 금속제의 실외측으로 분리하여 제작해서, 실외측과 실내측 연결프레임을 서로 체결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만들어 이형재질의 연결프레임을 형성한다.
건물의 현관 출입문으로 자동문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함께 설치할 경우 지금까지 시공되었던 모든 구조는 미서기문과 스윙도어 문틀이 각각 별도의 프레임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건물 전면에서 보면 출입문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 문틀 프레임의 폭과 크기 및 구조가 달라서 건물의 얼굴과 같은 현관 부분의 외관이 좋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는, 현관 자동문인 미서기문의 문틀 프레임과 수동문인 스윙도어의 문틀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한 것이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도 절약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해 미서기문과 스윙도어가 설치된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건물의 현관 자동문인 미서기문의 문틀과 수동문인 스윙도어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별도의 문틀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며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문과 스윙도어를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스윙도어(10)의 문틀 프레임과 미서기문(20)의 문틀 프레임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결프레임(30)으로 하고, 연결프레임(30)의 양측에 스윙도어(10)와 미서기문(20)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하며, 하나의 연결프레임만 사용하기 때문에 자재비도 적게 소요되고, 현관 자동 미서기문과 수동 스윙도어의 문틀 시공이 한번의 작업으로 끝나기 때문에 시공도 매우 간편하며 공사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연결프레임(30)은 제1 및 제2본체(31, 32)와, 미서기문 쪽에서 제1본체(31)와 제2본체(32)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제1 및 제2커버(36, 37)와, 스윙도어 쪽으로 형성된 요홈부(3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1 및 제2본체(31, 32)는 동일한 재질을 사용해도 되지만,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31)는 합성수지로 하고,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2본체(32)는 금속으로 하여 이형재질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커버(36)는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23)의 외측에 위치하여 미서기문(20)이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이고, 제2커버(37)는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23) 측면과 접촉하면서 마주하는 커버라는 점을 밝혀둔다. 제1 및 제2본체(31, 32)와 제1 및 제2커버(36, 37)의 결합 구조는 여러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대응하는 부분끼리 맞대고 밀어서 결합시키는 원터치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본체(31)는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미서기문 쪽으로 표면과 단(段)이져서(즉, 표면보다 더 들어가도록 형성) 제1공간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공간(312)에는 외향으로 한쌍의 제1체결돌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본체(32)는 실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1본체(31)와 일체로 설치되며, 미서기문 쪽으로 제2공간부(3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공간부(322)에는 외향으로 한쌍의 제2체결돌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본체(31)와 제2본체(32)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연결프레임(30)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본체(31)와 제2본체(32) 사이에는 단열재(33)를 삽입하여 이들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제1커버(36)는 판상(板狀)의 부재에 한쌍의 제1체결단(36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미서기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부(312)에서 제1체결단(361)이 한쌍의 제1체결돌부(311)와 체결되면서, 양단(兩端)이 제1 및 제2본체(31, 3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커버(37)는 판상의 부재에 한쌍의 제2체결단(37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미서기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제2본체(32)에 형성된 제2공간부(322)에서 제2체결단(371)이 한쌍의 제2체결돌부(321)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커버(37)는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23) 측면과 마주하는 커버로, 도어프레임(23)의 측면에는 가스켓(24)을 장착하여 미서기문(20)의 개폐문(23)이 닫혔을 때 가스켓(24)의 단부가 제2커버(37)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개폐문이 닫히면서 커버와 접촉할 때 쿠션 역할을 해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1은 미서기문(20)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문이다.
제1본체(31)의 제1체결돌부(311)와 체결되는 제1커버(36)는 미서기문(20)의 도어프레임(23)의 외측에서 미서기문(20)이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이고, 제2본체(32)의 제2체결돌부(321)와 체결되는 제2커버(37)는 미서기문(20)의 개폐문이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23)의 단부와 접촉하면서 마주하는 커버인데, 제1커버(36)와 제2커버(37)의 차이는 제1커버(36)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체결단(361)의 돌출된 길이가 제2커버(37)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체결단(371)의 돌출된 길이 보다 길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제2커버(37)의 표면이 제1커버(36)의 표면보다 내측으로 더 들어가서 마치 요홈과 같이 형성되게 되므로 제2공간부(322)가 미서기문의 개폐문(22) 도어프레임(23)의 단부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미서기문이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23)과 연결프레임(30)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본체(32)의 제2공간부(322) 벽에는 각각 모헤야를 장착하여 미서기문이 닫혔을 때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23) 측면에 모헤야(38)의 선단이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23) 측면에는 가스켓(24)을 장착하여 가스켓(24)의 단부가 제2커버(37)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개폐문(22)이 닫히면서 커버와 접촉할 때 쿠션 역할을 해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도어(10)가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는 연결프레임(30)의 측면에는 요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요홈부(34)의 형상은 단면(斷面)을 각이지도록 '['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라운드지도록 '('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요홈부(34)는 제1 및 제2본체(31, 32)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요홈부(34)에는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의 가스켓(35)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켓(35)의 외부로 나타나는 면이 오목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윙도어(10)가 회동할 때 도어프레임(11)의 모서리 부분이 연결프레임(30)의 측면에 닿지 않게 되어 원활한 회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윙도어가 닫혔을 때, 스윙도어의 도어프레임(11) 측면에 장착된 모헤야(12)의 선단(先端)이 요홈부(34)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본체(31, 32)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하여 스윙도어가 닫혔을 때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앞에서 설명한 연결프레임과 다른 점은 연결프레임을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했다는 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프레임은 미서기문(20)과 스윙도어(10) 사이에 설치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이고,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은 미서기문(20)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공간부(41)가 형성되고, 스윙도어(10)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요홈부(4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요홈부(44)에는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가스켓(45)이 장착된다.
공간부(41)는, 미서기문(20)이 닫혔을 때, 미서기문(20)의 도어프레임 단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의 표면보다 더 내부로 들어가도록 요부(凹部)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 스윙도어(10)가 닫혔을 때, 스윙도어(10)의 도어프레임 측면에 장착된 모헤야의 선단(先端)이 요홈부(44)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40)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을 실내측 연결프레임과 실외측 연결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이들 실내측과 실외측 연결프레임을 서로 체결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 체결하는 방법은 널링 등 다양한 방법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실내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하고, 실외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금속으로 하여, 실외측과 실내측 연결프레임이 서로 다른 재질로 된 이형재질의 연결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에 단열재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합성수지에 의한 프레임의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연결프레임의 단열성 향상을 위해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은 스윙도어(20)가 설치되는 쪽과 미서기 문(20)이 설치되는 쪽(즉, 닫혔을 때 스윙도어와 미서기 문의 측면이 위치하게 되는 요홈부)에서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도록 연결프레임이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이들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윙도어 11 : 도어프레임
12 : 모헤야
20 : 미서기 문 21 : 고정문
22 : 개폐문 23 : 도어프레임
24 : 가스켓
30 : 연결프레임 31 : 제1본체
32 : 제2본체 33 : 단열재
34 : 요홈부 35 : 가스켓
36 : 제1커버 37 : 제2커버
38 : 모헤야
40 : 일체형 연결프레임 41 : 공간부
44 : 요홈부 45 : 가스켓

Claims (3)

  1.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는, 자동문인 미서기 문과 수동문인 스윙도어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이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스윙도어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 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부(凹部)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표면이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가스켓이 장착되며,
    미서기 문이 닫혔을 때, 상기 공간부가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 단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체형 연결프레임의 표면보다 더 내부로 들어간 요부(凹部)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요부 형상에서 대향하는 면의 벽에는 각각 모헤야를 장착하여 미서기문이 닫혔을 때 모헤야의 선단이 미서기문의 도어프레임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스윙도어가 닫혔을 때, 스윙도어의 도어프레임 측면에 장착된 모헤야의 선단(先端)이 상기 요홈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과 스윙도어가 설치되는 쪽에서 연결프레임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단열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되어 제작되고, 실내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실외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금속이며, 상기 실외측과 실내측 연결프레임이 서로 체결 고정되어 일체형 연결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KR1020160094750A 2016-07-26 2016-07-26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KR10172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50A KR101728752B1 (ko) 2016-07-26 2016-07-26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50A KR101728752B1 (ko) 2016-07-26 2016-07-26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640A Division KR101687173B1 (ko) 2014-07-02 2014-07-02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876A KR20160091876A (ko) 2016-08-03
KR101728752B1 true KR101728752B1 (ko) 2017-04-20

Family

ID=5670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750A KR101728752B1 (ko) 2016-07-26 2016-07-26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149B1 (ko) * 2021-06-09 2022-03-10 선민구 조립성이 개선된 창짝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987A (ja) * 2006-05-24 2007-12-06 Bunka Shutter Co Ltd 開閉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987A (ja) * 2006-05-24 2007-12-06 Bunka Shutter Co Ltd 開閉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876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411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101540218B1 (ko) 접이식 미닫이 문
US20190038086A1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1530839B1 (ko) 한지창호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728752B1 (ko)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KR101578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1591862B1 (ko) 커튼월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CA2976794C (en) Astragal
KR101687173B1 (ko) 미서기 문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905932B1 (ko)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20120124970A (ko) 문짝프레임 구조
JP2017180038A (ja) ドア
JP7195991B2 (ja) 両開きドア
JP6726507B2 (ja) 建具
JP3044095U (ja) 引戸用戸枠
KR101903795B1 (ko) 슬림형 창짝을 갖는 창호
CN210013618U (zh) 门体
JP6652435B2 (ja) 建具
KR20180065305A (ko) 창호
KR101645389B1 (ko) 공중화장실 여닫이문 틈새 폐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