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180B1 -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 Google Patents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180B1
KR101769180B1 KR1020140002653A KR20140002653A KR101769180B1 KR 101769180 B1 KR101769180 B1 KR 101769180B1 KR 1020140002653 A KR1020140002653 A KR 1020140002653A KR 20140002653 A KR20140002653 A KR 20140002653A KR 101769180 B1 KR101769180 B1 KR 10176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indow
window frame
divided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194A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0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1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05Y2800/353Frames; Posts fixed
    • E05Y2800/358Frames; Posts fixed vertical frame member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재의 상, 하측에 상, 하부로 절단 분할된 수직부재를 결합하여 입면분할 구조의 창틀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분할 설치된 수직부재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강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도록 한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을 입면분할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수직부재(200)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수직 일렬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200)의 내부에는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구조보강재(23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보강재 삽입공간(S);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 설치된 수직부재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강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일체로 마련해줌으로써, 창호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줌과 아울러,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창호의 사이즈를 기존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비대화 없이 창호의 구조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Structure reinforcement assembly for fittings}
본 발명은 구조보강용 수직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면분할 구조의 창호에 적용되어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줌과 아울러,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호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 창호, T&T(Tilt & Turn) 창호, 고정(Fix) 창호 및 기타 특수한 창호 등이 있다.
한편, 시스템 창호란, 일반적인 창호에 비하여 단열 성능, 방음 성능, 기밀 성능, 내풍압 성능 및 수밀 성능 등이 향상된 창호를 지칭하며, 다양한 개/폐방식의 창호를 일체로 갖는 창호를 통상 시스템 창호라고 한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10-0020651호로 선 출원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 창호는 내, 외부의 입면 구조를 달리하여 제작됨과 동시에 상, 하로 구획되도록 제작되며,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수직바와 수평방향에 설치되는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창호에 적용되는 입면분할 구조의 창틀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되, 일체로 연장구비되는 수직바와 상기 각 수직바 사이에 절단되어 수평방향으로 분할연결되는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입면이 분할된 창틀에 T&T(Tilt & Turn) 창호, 고정(Fix) 창호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의 하중으로 인해 수평바의 하방향 처짐을 방지하고,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수직바를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각 수직바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바를 절단하여 분할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 창호에 미서기 창호를 적용하는 경우 입면분할 창틀은 개구부를 상하 구획해주는 수평바가 설치되고, 수평바의 상, 하측에 수직바가 각각 분할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분할된 수직바에는 내부 보강재가 길이에 맞도록 절단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분할 설치된 수직바 내부에 결합되는 보강재 역시 수직바의 길이에 맞게 절단된 상태로 체결되는 구조로, 창틀의 수직방향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직바의 외부나, 수직바와 수평바의 결합부위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구조는 별도의 프로파일 자재 및 제품 디자인 등이 필요하고 그 조립구조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제품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 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평부재의 상, 하측에 상, 하부로 절단 분할된 수직부재를 결합하여 입면분할 구조의 창틀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분할 설치된 수직부재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강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도록 한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는, 창틀프레임을 입면분할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수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 하측에 수직 일렬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내부에는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구조보강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보강재 삽입공간;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분할재;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분할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분할재와 하부분할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평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내에 상기 보강재 삽입공간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분할재와 하부분할재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전면에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과 접하는 상,하부분할재의 돌출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전면에 각각 연장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 내에 형성된 삽입공간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창틀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하 단부에는, 상기 삽입공간을 밀폐시켜주는 마감용 캡이 각각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용 캡은,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와 창틀프레임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에 비스를 매개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해주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을 보강 지지해주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 또는 수평부재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는, 분할 설치된 수직부재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강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일체로 마련해줌으로써, 창호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줌과 아울러,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창호의 사이즈를 기존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비대화 없이 창호의 구조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가 적용된 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가 적용된 창호의 입면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가 적용된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가 적용된 창호의 입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의 내부를 입면분할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수직부재(200)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200)는, 상기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수직 일렬로 설치되되,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구조보강재(23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보강재 삽입공간(S)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전방이라 함은 도 1에 표시된 'A'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B' 방향을 지칭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재(200)는 수평부재(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분할재(210)와, 수평부재(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분할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의 일측면에는 수평부재(100)의 전방으로 돌출부(211)(221)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211)(221) 내에는 설치시 서로 연통되는 보강재 삽입공간(S)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돌출부(211)(221)는 구조보강재(230)가 삽입될 수 있는 보강재 삽입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돌출부(211)(221)는 구조보강재(230)를 수납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의 돌출부(211)(221)는 수평부재(100)의 전면(101)에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조립시 마치 하나의 수직부재(200)가 결합된 듯한 외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창틀프레임(10)과 접하는 상,하부분할재(210)(220)의 돌출부(211)(221)는 창틀프레임(10)의 상, 하측 전면에 각각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부재(200)가 창호의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 보강을 해줌과 아울러 상하로 분할된 수직부재(200)가 외력에 의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부재(200)는 창틀프레임(10)과 수평부재(100)에 고정브라켓(240)을 매개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211)(221) 내에 형성된 삽입공간(S)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수평부재(100)의 전면은 창틀프레임(1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하로 분할된 수직부재(200)를 삽입공간(S)이 서로 연통되도록 창틀프레임(10) 내에 고정 결합한 다음, 상기 노출된 삽입공간(S) 내에 구조보강재(230)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의 내부에는 상기 구조보강재(230) 이외에도 분할된 길이에 대응되는 보강재(213)(223)가 각각 삽입된 상태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수직부재(200)의 삽입공간(S)에 구조보강재(230)가 삽입되고 나면, 상기 수직 일렬로 결합된 돌출부(211)(221)의 상, 하단부에는 마감용 캡(250)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감용 캡(250)은 수직부재(200)의 단부와 창틀프레임(10)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에 비스(미도시)를 매개로 견고하게 체결고정된다.
한편,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수평부재(10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260)가 더 구비되어, 수평부재(100)와 수직부재(20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가 적용된 창호는, 분할 설치된 수직부재(200) 내부에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구조보강재(23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공간(S)을 일체로 마련해줌으로써, 창호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구조강도를 보강해줌과 아울러,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상기 수직부재(200)가 적용된 창호는 내풍압과 같은 구조 강도의 개선을 위하여 창틀프레임(10) 및 창짝의 폭을 넓히거나, 별도의 보강재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체 창호 사이즈를 기존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수직부재(200)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마련된 삽입공간(S)에 삽입되는 구조보강재(230)에 의해 구조 강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부재(200)가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로 이등분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부재(100)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 사이에 이를 이어주는 중간분할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10 : 창틀프레임 100 : 수평부재
200 : 수직부재 210 : 상부분할재
220 : 하부분할재 211, 221 : 돌기부
213, 223 : 보강재 230 : 구조보강재
240 : 고정브라켓 250 : 마감용 캡
260 : 지지부재 S : 보강재 삽입공간

Claims (9)

  1. 창틀프레임(10)을 입면분할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수직부재(200)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보강재(213)가 삽입되는 상부분할재(210);
    상기 상부분할재(210)와 수직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부재(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보강재(223)가 삽입되는 하부분할재(220); 및
    상기 상부분할재(210)와 하부분할재(220)의 일면에 상기 수평부재(100)의 전방으로 돌출부(211)(22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강재 삽입공간(S)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간(S) 내에 상기 수직부재(200)의 전체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삽입 설치되는 구조보강부재(230);를 포함하는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1)(221)는,
    상기 수평부재(100)의 전면에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 것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삽입공간(S)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인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일렬로 결합된 돌출부(211)(221)의 상,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공간(S)을 밀폐시켜주는 마감용 캡(250);이 각각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캡(250)은,
    상기 수직부재(200)의 단부와 창틀프레임(10)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에 비스를 매개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7. 창틀프레임(10);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해주는 수평부재(100); 및
    상기 수평부재(100)의 상, 하측에 분할 설치되는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200);를 포함하는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수평부재(100)의 저면을 보강 지지해주는 지지부재(260);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창틀프레임(10) 또는 수평부재(100)에 고정브라켓(240);을 매개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
KR1020140002653A 2014-01-09 2014-01-09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76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53A KR101769180B1 (ko) 2014-01-09 2014-01-09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53A KR101769180B1 (ko) 2014-01-09 2014-01-09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94A KR20150083194A (ko) 2015-07-17
KR101769180B1 true KR101769180B1 (ko) 2017-08-17

Family

ID=5387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653A KR101769180B1 (ko) 2014-01-09 2014-01-09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1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94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살대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35B1 (ko) * 2018-12-14 2019-04-03 (주)울산건업 자동식 개폐창문
KR102069663B1 (ko) * 2018-12-21 2020-01-23 주식회사 성화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102634930B1 (ko) * 2022-12-09 2024-02-07 (주)에스에이치창호산업 이탈 및 처짐 방지 창문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86B1 (ko) 2011-11-10 2012-11-19 김순석 다기능 방범창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86B1 (ko) 2011-11-10 2012-11-19 김순석 다기능 방범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94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살대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94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022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20090072558A (ko) 시스템 창호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1199523B1 (ko)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KR200463883Y1 (ko) 모듈형 3짝 창호
KR101422815B1 (ko) 유리창 고정막대 고정구조의 스테인리스 단열창호 프레임
JP486329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パネルユニット
PL232782B1 (pl) Zestaw profili ościeżnicy i skrzydła okna dachowego
KR101600585B1 (ko) 단열 도어조립체
EP1702779B1 (en) Automotive vehicle door with a window
GB2416561A (en) Frame perpendicular joint
KR20160061677A (ko) 단열형 창틀 조립체
KR20150019076A (ko) 창호용 미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101028151B1 (ko) 창호의 힌지 결합구조
KR101075035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EP3353365B1 (en) Sash for doors or windows
KR101728752B1 (ko)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JP6407050B2 (ja) 断熱サッシ
JP6647928B2 (ja) 建具
JP3964395B2 (ja) サッシ窓
KR20180065305A (ko)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