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63B1 - 전동식 여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전동식 여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63B1
KR102069663B1 KR1020180167825A KR20180167825A KR102069663B1 KR 102069663 B1 KR102069663 B1 KR 102069663B1 KR 1020180167825 A KR1020180167825 A KR 1020180167825A KR 20180167825 A KR20180167825 A KR 20180167825A KR 102069663 B1 KR102069663 B1 KR 10206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rame
coupl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화
Priority to KR102018016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호의 외곽둘레를 형성하는 창틀부와, 이 창틀부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창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창짝부와, 이 창틀부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와, 창틀부와 중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창짝부를 개폐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닫이 창호의 창틀과 창짝을 내부공간에 중공부위가 격자형상으로 구회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창호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여닫이 창호{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WINDOW}
본 발명은 전동식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 창호에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전동구동에 의해 창호를 여닫이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 설치되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서 창문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창문개폐장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식과 핸들을 사용하여 개폐시키는 수동식으로 나눠져 있다.
창문을 여닫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힌지를 기준으로 창짝을 회전시켜 여닫거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여닫거나, 창문을 지지하는 힌지의 반대편에 핸들이나 전동기의 힘으로 창문을 여닫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주로 배연창에 설치되는 종래의 여닫이 구동장치는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람이 불거나 다른 진동요인이 발생하였을 때에 창문이 고정되지 못하고 요동치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개폐작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으며, 작동할 때에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용량이 큰 동력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더군다나 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건물의 외벽에 작용하는 풍압이 커질 경우에 창문을 단단히 고정하여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이중에서 수동으로 작동되는 창문개폐장치는 창틀의 프레임에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이 개폐장치에 연결되는 작동링크가 창문프레임에 설치되어 창문을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서, 핸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워엄기어가 정역회전하고, 워엄기어의 정역회전에 의해 워엄 휠이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창문프레임에 연결된 작동링크를 정역으로 작동시켜 창문을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여닫이 창문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창문의 개폐정도를 다소 용이하게 제어하여 개폐할 수 있으나, 창문이 어느 정도 개방되었을 때에는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에서 손 또는 도구를 넣어 록킹부를 해제시킨 후에 창문을 외부에서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에 쉽게 침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닫이 창문이나 아파트의 현관문 및 건물의 방화문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창호에는 하나의 개폐장치를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크기가 큰 대형 여닫이 창문에는 하나의 개폐장치만을 설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개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반대편은 창호를 닫았을 때에 창틀과 창문이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아 밀폐능력이 떨어져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하는 틈을 통해서 바람과 먼저 및 소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닫이 창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종래의 여닫이 개폐장치로는, 양단이 고정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에는 연동기어를 장착하여 모터의 기동기어와 치합시키고, 나사축에는 이동쇠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나사축의 상단을 지지하는 고정축과 이동쇠에는 연결막대를 축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고정축의 연결막대와 이동쇠의 연결막대의 선단을 축에 의해 창문에 장착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나사축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나사축에 연결된 이동쇠가 고정축에 접근하거나 이격되면서 창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고정축의 연결막대와 이동쇠의 연결막대가 근접 또는 이격되면서 창문을 개폐하므로 창문을 창틀에 밀접하게 근접시키는 근접성 및 밀폐성이 떨어져 외부 이물질 등이 실내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모터의 동력이나 진동이 나사축에 여과 없이 전달되므로 소음과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며, 고정축의 연결막대와 이동쇠의 연결막대가 축에 의해 창문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여닫이 창문 개폐장치로는, 핸들 및 작동링크와 워엄휠로 이루어져 창문을 개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의 몸체 일측 외주연에 걸림면을 형성하고, 상기 걸리면에 면접촉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작동링크의 회전을 록킹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가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링크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이동부재를 록킹해제부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미닫이 창문의 열림각도가 약 15∼30°로 설정된 록킹부를 구비하여 이 각도 범위 내에서만 창문을 개폐시키게 되어 외부에서 손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록킹부를 해제시킨 후에 침입하는 사고를 다소 예방할 수 있으나, 핸들에 의해 작동링크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창문을 개폐시키므로 핸들이 파손되거나 작동링크와의 연결부분 등이 쉽게 손상되며, 핸들 또는 각 장치 간의 연결부분이 손상되면 창문을 임의로 개폐시킬 수 없으며, 손이 닿지 않은 창문에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길이가 짧은 핸들을 직접 조작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므로 개폐 작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고, 힘이 약한 노인이나 아동은 더더욱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창문을 밀접하게 접속시키지 못하게 되어 근접성 및 밀폐성이 떨어져 외부 이물질 등이 실내로 쉽게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작동링크의 선단이 창문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상시에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환기창문의 경우에는 주로 창문의 아래쪽을 여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실내의 높이가 낮은 곳이나 복도의 환기창문인 경우 창문의 크기가 작고 손으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 굳이 전동모터와 기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실내가 높아 창문을 높은 곳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건물이나 계단의 높은 곳, 특히 공장, 창고의 높은 곳에 설치된 창문들, 또는 높이가 아주 높은 창문의 경우에는 기계의 도움으로 창문을 열고 닫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전동모터를 사용하기 전에는 수동기계를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환기창문용 전동모터가 시장에 나오면서부터 전동모터를 사용하여 환기창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사용해오던 방법은 환기창문의 아래쪽을 여는 방식을 택해 왔는데 이 방식은 창문의 무게 때문에 창문을 많이 열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창문의 무게로 인해 모터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8379호 (2001년 08월 2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41665호 (2003년 05월 2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9316호 (2012년 12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닫이 창호의 창틀과 창짝을 내부공간에 중공부위가 격자형상으로 구회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창호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여닫이하는 창짝부 사이에 중간부가 설치되어 창짝의 폐쇄시 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창틀부의 지지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내부공간을 격자형상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지지강도를 유지하면서 창짝부와 유리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를 기준해서 창짝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와 중간부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창틀부와 중간부의 조립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호의 외곽둘레를 형성하는 창틀부(100); 상기 창틀부(10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창틀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창짝부(200);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300); 및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창짝부(200)를 개폐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간부(300)는,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간부(300)는,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창틀부(100)는, 창호의 외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된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위에 삽입되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된 창틀보강편; 상기 창틀프레임의 중간부위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200)의 중간부위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기밀편;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단부위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200)의 일단부위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기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창짝부(200)는, 창호의 내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된 창짝프레임; 상기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위에 삽입되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된 창짝보강편; 상기 창짝프레임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어 유리판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3 기밀편; 및 상기 창짝프레임의 외향부위의 일방에 결합되어 상기 창틀부(100)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4 기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창짝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체인; 및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창짝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창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창틀부(10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와 상기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는 제1 연결편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중간부(300)의 홈부위와 연결되는 연결홈과, 상기 중간부(300)의 실외측 일방에 결합되는 제1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실외측 타방에 결합되는 제2 끼움돌기를 구비한 끼움부재; 및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는 제3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는 제4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결합되는 지지편을 구비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닫이 창호의 창틀과 창짝을 내부공간에 중공부위가 격자형상으로 구회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창호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를 설치함으로써,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여닫이하는 창짝부 사이에 중간부가 설치되어 창짝의 폐쇄시 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창틀부의 지지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중간부로서 창틀부를 구획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내부공간을 격자형상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지지강도를 유지하면서 창짝부와 유리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로서 창틀프레임, 창틀보강편, 제1 기밀편 및 제2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짝부로서 창짝프레임, 창짝보강편, 제3 기밀편 및 제4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로서 구동모터, 연결체인 및 힌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를 기준해서 창짝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와 중간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중간부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창틀부와 중간부의 조립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절단선 C-C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상방 창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하방 창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창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중간부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중간부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와 창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와 중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선 C-C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상방 창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하방 창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창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중간부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중간부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와 창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와 중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여닫이 창호는, 창틀부(100), 창짝부(200), 중간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닫이 창호에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전동구동에 의해 창호를 여닫이하는 여닫이 창호이다.
창틀부(100)는,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창문이나 창호의 외곽둘레를 형성하도록 외곽에 설치된 창틀(110)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10)은, 창틀프레임(111), 창틀보강편(112), 제1 기밀편(113), 제2 기밀편(114), 제1 오사이(115), 외곽커버편(116) 및 제1 지지판(118)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고, 내부공간에 이동 유리판(201)과 고정 유리판(202)이 각각 설치되어 있거나 창짝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창틀프레임(111)은, 창호의 외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으로서, 제1 중공부위(111a), 제1 결합홈(111b), 제2 결합홈(111c), 제1 오사이홈(111d)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창틀프레임(11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중공부위(111a)는, 창틀프레임(111)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중공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중공부위로서, 여기에 창틀보강편(112)이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므로 창틀프레임(111)의 내부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결합홈(111b)은, 창틀프레임(111)의 측면 일방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1 기밀편(113)이 결합되어 창틀프레임(111)과 창짝부(200) 사이에 접촉되어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결합홈(111c)은, 창틀프레임(111)의 측면 타방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2 기밀편(114)이 결합되어 창틀프레임(111)과 창짝부(200) 사이에 접촉되어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오사이홈(111d)은, 창틀프레임(111)의 외부면의 일방 측단에 제1 오사이(115)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창틀프레임(111)의 외부면의 일방 측단에 함몰 형성된 홈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틀보강편(112)은, 창틀프레임(110)의 제1 중공부위(111a)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ㅂ"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제1 기밀편(113)은, 창틀(110)의 창틀프레임(111)의 측면 일방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1b)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창짝부(200)의 중간부위와 접촉하여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기밀편(114)은, 창틀(110)의 창틀프레임(111)의 측면 일방에 형성된 제2 결합홈(111c)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창짝부(200)의 일단부위와 접촉하여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기밀편(113) 및 제2 기밀편(114)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오사이(115)는, 창틀프레임(111)의 외부면의 타방 내측에 형성된 제1 끼움홈(111d)에 의해 형성된 홈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창틀프레임(1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유리판(202)의 외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외곽커버편(116)은, 창틀프레임(111)의 일방에 개방형성된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로서, 이러한 외곽커버편(116)의 양단부위에는 개방부위의 하부면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118)은, 창틀프레임(111)의 내향부위에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어 유리판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고무나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재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창짝부(200)는, 창틀부(10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창틀부(100)의 내측에 경첩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210)으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짝(210)은, 창짝프레임(211), 제1 창짝보강편(212), 제3 기밀편(213), 제4 기밀편(214), 제2 오사이(215) 및 제2 창짝보강편(216)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고 내부공간에 이동 유리판(201)이 설치되어 있다.
창짝프레임(211)은, 창호의 내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서, 제2 중공부위(211a), 제2 오사이홈(211b), 제3 결합홈(211c), 제4 결합홈(211d)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창짝프레임(21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중공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중공부위(211a)는, 창짝프레임(211)의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중공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중공부위로서, 여기에 창짝보강편(212)이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므로 창짝프레임(211)의 내부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오사이홈(211b)은, 창짝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2 오사이(215)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창짝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이동 유리판(201)의 내향부위를 제2 오사이(215)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제3 결합홈(211c)은, 창짝프레임(211)의 외부면 일방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3 기밀편(213)이 결합되어 창짝프레임(211)과 창틀프레임(111) 사이에 접촉되거나 창짝프레임(211)과 중간부(300) 사이에 접촉되어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 및 창짝부(200)와 중간부(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4 결합홈(211d)은, 창짝프레임(211)의 외부면 타방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4 기밀편(214)이 결합되어 창짝프레임(211)과 이동 유리판(201) 사이에 접촉되어 창짝부(200)과 이동 유리판(20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창짝보강편(212)은, 창짝프레임(211)의 제2 중공부위(211a)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제3 기밀편(213)은, 창짝(210)의 창짝프레임(211)의 외향부위의 일방 측면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창짝프레임(211)과 창틀프레임(111) 사이에 접촉되거나 창짝프레임(211)과 중간부(300) 사이에 접촉되어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 및 창짝부(200)와 중간부(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4 기밀편(214)은, 창짝(210)의 창짝프레임(211)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되 제2 오사이(215)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창짝프레임(21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이동 유리판(201)과 접촉하여 창짝프레임(211)과 이동 유리판(20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3 기밀편(213) 및 제4 기밀편(214)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오사이(215)는, 창짝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오사이홈(211b)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창짝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이동 유리판(201)의 내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2 창짝보강편(216)은, 창짝프레임(211)의 외향 타측의 중공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틀부(100)와 경첩 사이에는 창짝부(200)를 개방시 폐쇄상태로 전환하도록 창짝부(200)에 폐쇄하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오토도어설비를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간부(300)는,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재로서, 합성수지재의 제1 중간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310)과, 합성수지재의 제2 중간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수직프레임(310)은,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재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간프레임(311), 제1 중간결합홈(311a), 제1 오사이홈(311b), 제1 중간끼움홈(311c), 제1 중간보강편(312), 제1 중간기밀편(313), 제1 중간오사이(314) 및 제2 중간기밀편(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 중간프레임(311)은,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창틀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며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중간결합홈(311a)은,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부면 양쪽 단부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1 중간기밀편(313)이 결합되어 제1 중간프레임(311)과 창짝부(200) 사이에 접촉되어 중간부(300)와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거나 제1 중간프레임(311)과 고정 유리판(202) 사이에 접촉되어 중간부(300)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오사이홈(311b)은, 제1 중간프레임(311)의 외부면의 양방 측단에 제1 중간오사이(314)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홈부재로서, 제1 중간프레임(31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함몰 형성된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결합되는 제1 중간오사이(314)에 의해 제1 중간프레임(311)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유리판(202)의 외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1 중간끼움홈(311c)은, 제1 중간프레임(311)의 중간부위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기밀편이 끼워맞춤 결합되어 제1 중간프레임(311)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중간보강편(312)은, 제1 중간프레임(311)의 중공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제1 중간기밀편(313)은, 수직프레임(310)의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고정 유리판(202)과 접촉하여 수직프레임(310)과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거나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창짝부(200)와 접촉하여 수직프레임(310)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중간오사이(314)는, 제1 중간프레임(311)의 외부면의 양방 내측에 형성된 제1 오사이홈(311b)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제1 중간프레임(311)의 양방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유리판(202)의 외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중간오사이(314)의 내향부위에는 제2 중간기밀편(315)을 끼워맞춤 결합하여 고정시키도록 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 중간오사이(314)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중간기밀편(315)은, 제1 중간오사이(314)의 내향부위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고정 유리판(202)과 접촉하여 제1 중간오사이(314)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중간기밀편(313) 및 제2 중간기밀편(315)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평프레임(330)은,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재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중간프레임(331), 제2 중간결합홈(331a), 제3 중간결합홈(331b), 제2 중간끼움홈(331c), 제3 중간끼움홈(331d), 제2 중간보강편(332), 제3 중간보강편(333), 제3 중간기밀편(334), 제4 중간기밀편(335), 제2 중간오사이(336), 제5 중간기밀편(337) 및 중간커버편(33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2 중간프레임(331)은,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창틀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좌우방향으로 구획하며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중간결합홈(331a)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부면 일방 하부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3 중간기밀편(334)이 결합되어 제2 중간프레임(331)과 고정 유리판(202) 사이에 접촉되어 중간부(300)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3 중간결합홈(331b)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부면의 일방 상부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3 중간기밀편(334)이 결합되어 제2 중간프레임(331)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중간끼움홈(331c)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외부면의 하단에 제2 오사이(336)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2 중간프레임(331)의 외부면의 상하 양단에 함몰 형성된 홈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중간끼움홈(331d)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중간부위의 상하 양단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5 중간기밀편(337)이 결합되어 제2 중간프레임(331)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3 중간보강편(332)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중공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제4 중간보강편(333)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중공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 보강부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제3 중간기밀편(334)은, 수평프레임(330)의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제2 중간결합홈(331a)과 제3 중간결합홈(331b)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고정 유리판(202)과 접촉하여 수직프레임(310)과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거나 제1 중간프레임(31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창짝부(200)와 접촉하여 수직프레임(310)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4 중간기밀편(335)은, 제2 중간오사이(336)의 내향부위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고정 유리판(202)과 접촉하여 제2 중간오사이(336)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3 중간기밀편(334) 및 제4 중간기밀편(335)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3 중간오사이(336)는, 제2 중간프레임(331)의 외부면의 양측에 형성된 제2 중간끼움홈(331c)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제2 중간프레임(331)의 양방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유리판(202)의 외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3 중간오사이(336)의 내향부위에는 제4 중간기밀편(335)을 끼워맞춤 결합하여 고정시키도록 결합홀이 형성되어, 제3 중간오사이(336)와 고정 유리판(20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5 중간기밀편(337)은, 수평프레임(330)의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중간프레임(331)의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창짝부(200)와 접촉하여 수직프레임(310)과 창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중간커버편(338)은, 제2 중간프레임(331)의 상부에 개방형성된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로서, 이러한 중간커버편(338)의 양단부위에는 개방부위의 하부면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400)는,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창짝부(200)를 개폐하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도 2,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짝부(200)의 상방 및 하방에서와 같이 2개 지점이나, 창짝부(200)의 상방 또는 하방에서와 같이 1개 지점에서 개폐하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며, 구동모터(410), 연결체인(420) 및 힌지편(4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모터(410)는,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서, 전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서보모터, 스텝모터 등과 같은 제어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모터(410)는, 구동시 창틀부(100) 및 중간부(300)의 내부에서 요동이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브래킷이나 지지브래킷 등의 지지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켜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인(420)은, 구동모터(410)와 창짝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구동모터(410)에 의해 인장되거나 이완되어 구동모터(410)와 창짝부(200)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켜 창짝부(20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힌지편(430)은, 창틀부(100)와 창짝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창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으로서, 힌지편(430)의 일단은 창짝부(200)에 결합되어 있고 힌지편(430)의 타단은 연결체인(420)에 결합되어 창짝부(200)를 창틀부(100)를 기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여닫이 창호는,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창틀부(10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와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결부(500)는,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창틀부(10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와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에 결합되는 끼움부재(510)와,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20)로 이루어져 있다.
끼움부재(510)는,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창틀부(10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제1 연결편(511), 제2 연결편(512), 연결홈(513), 제1 끼움돌기(514) 및 제2 끼움돌기(515)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편(511)은, 창틀부(100)의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로서, 창틀프레임과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실외측의 일방 및 타방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스나 나사못 등에 의해 체결고정시키도록 제1 연결홀(5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512)은,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로서, 창틀프레임과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실외측의 일방 및 타방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부재로 이루어지며 피스나 나사못 등에 의해 체결고정시키도록 제2 연결홀(51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513)은, 중간부(300)의 홈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홈부위에 결합되는 기밀재나 실링재나 오사이 등과 같은 기밀부재의 설치부위를 연장하여 이들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끼움돌기(514)는, 중간부(300)의 실외측 일방에 결합되는 돌기부재로서, 중간부(300)의 실외측 일방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고 복수개의 부위에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끼움돌기(515)는, 중간부(300)의 실외측 타방에 결합되는 돌기부재로서, 중간부(300)의 실외측 타방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고 복수개의 부위에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520)는, 창틀부(100)와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결합판(521), 제3 끼움돌기(522), 지지편(523) 및 제4 끼움돌기(524)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판(521)은,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밀착수단으로서,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 설치되도록 피스나 나사못 등에 의해 체결고정시키는 제3 연결홀(521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3 끼움돌기(522)는,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는 돌기부재로서,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일방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고 복수개의 부위에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523)은,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일방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고 복수개의 부위에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4 끼움돌기(524)는,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는 돌기부재로서,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고 복수개의 부위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창호의 창틀과 창짝을 내부공간에 중공부위가 격자형상으로 구회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창호의 창틀과 창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를 설치함으로써,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여닫이하는 창짝부 사이에 중간부가 설치되어 창짝의 폐쇄시 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창틀부의 지지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중간부로서 창틀부를 구획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의 개방공간을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내부공간을 격자형상으로 구획하여 창틀부의 지지강도를 유지하면서 창짝부와 유리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로서 창틀프레임, 창틀보강편, 제1 기밀편 및 제2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짝부로서 창짝프레임, 창짝보강편, 제3 기밀편 및 제4 기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창짝부 사이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로서 구동모터, 연결체인 및 힌지편을 구비함으로써, 창틀부를 기준해서 창짝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와 중간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창틀부와 중간부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창틀부와 중간부의 조립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창틀부 200: 창짝부
300: 중간부 400: 구동부
500: 연결부

Claims (8)

  1. 창호의 외곽둘레를 형성하는 창틀부(100);
    상기 창틀부(10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창틀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창짝부(200);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부(300);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창짝부(200)를 개폐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 및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창틀부(10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와 상기 창틀부(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부(100)는, 창호의 외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된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중공부위에 삽입되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된 창틀보강편; 상기 창틀프레임의 중간부위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200)의 중간부위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기밀편;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단부위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200)의 일단부위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기밀편;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향부위에 삽입되며 끼워맞춤 결합되어 유리판의 일단을 지지하며, 고무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며 일방 및 타방에 각각 결합되는 나사못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제1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편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오목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며 일방 및 타방에 각각 결합되는 나사못에 의해 체결고정시키도록 제2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중간부(300)의 홈부위와 연결되는 연결홈과, 상기 중간부(300)의 실외측 일방에 결합되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는 제1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실외측 타방에 결합되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는 제2 끼움돌기를 구비한 끼움부재; 및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밀착 결합되며 일측에 설치되는 나사못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제3 연결홀이 복수개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일방에 결합되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는 제3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의 타방에 결합되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는 제4 끼움돌기와, 상기 중간부(300)의 단부위에 결합되며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선단이 작아지도록 절취되어 있는 지지편을 구비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평판부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300)는,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300)는,
    상기 창틀부(100)의 중간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창틀부(100)의 개방공간을 구획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부(200)는,
    창호의 내곽둘레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위가 형성된 창짝프레임;
    상기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위에 삽입되며, 일단부위가 개방 형성된 창짝보강편;
    상기 창짝프레임의 내향부위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어 유리판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3 기밀편; 및
    상기 창짝프레임의 외향부위의 일방에 결합되어 상기 창틀부(100)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4 기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중간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창짝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체인; 및
    상기 창틀부(100)와 상기 창짝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창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여닫이 창호.
  7. 삭제
  8. 삭제
KR1020180167825A 2018-12-21 2018-12-21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10206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25A KR102069663B1 (ko) 2018-12-21 2018-12-21 전동식 여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25A KR102069663B1 (ko) 2018-12-21 2018-12-21 전동식 여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63B1 true KR102069663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25A KR102069663B1 (ko) 2018-12-21 2018-12-21 전동식 여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45B1 (ko) * 2023-03-08 2024-05-0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윈도우프레임조립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523U (ko) * 1994-05-11 1995-12-16 조명호 합성수지 창짝샤시바용 연결구
KR20010078379A (ko) 2001-02-17 2001-08-20 신상유 자동여닫이장치
KR20030041665A (ko)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아이텍코 자동여닫이문용 구동장치
KR101199523B1 (ko) * 2012-07-06 2012-11-14 알에스시스템(주)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KR20120139316A (ko) 2011-06-17 2012-12-27 (주)신우 프론티어 여닫이문용 자동개폐장치
KR101218261B1 (ko) * 2012-06-12 2013-01-03 김선자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20150083194A (ko) * 2014-01-09 2015-07-1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20180067142A (ko) * 2016-12-12 2018-06-20 안병창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20180096855A (ko) * 2017-02-20 2018-08-30 차원준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523U (ko) * 1994-05-11 1995-12-16 조명호 합성수지 창짝샤시바용 연결구
KR20010078379A (ko) 2001-02-17 2001-08-20 신상유 자동여닫이장치
KR20030041665A (ko)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아이텍코 자동여닫이문용 구동장치
KR20120139316A (ko) 2011-06-17 2012-12-27 (주)신우 프론티어 여닫이문용 자동개폐장치
KR101218261B1 (ko) * 2012-06-12 2013-01-03 김선자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101199523B1 (ko) * 2012-07-06 2012-11-14 알에스시스템(주)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KR20150083194A (ko) * 2014-01-09 2015-07-17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20180067142A (ko) * 2016-12-12 2018-06-20 안병창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20180096855A (ko) * 2017-02-20 2018-08-30 차원준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45B1 (ko) * 2023-03-08 2024-05-0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윈도우프레임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420A (en) Casement window
EP0053862B1 (en) A plastics glazing profile destined for mounting a glass pane in a wooden window-frame
CA2463200C (en) Container with window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AU3156693A (en) A window with a frame of extruded profile members
US7765741B2 (en) Movable light latch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KR102069663B1 (ko)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102002110B1 (ko) 단열 강화 유리가 구비된 루버 창호
US6173541B1 (en) Window assembly
KR102084207B1 (ko) 심미감이 우수한 전동식 여닫이 복합 창호
KR101955232B1 (ko) 전동식 여닫이 창호
EP0132050B1 (en) Obturating structures and parts thereof
US3469347A (en) Window construction
JPH0428393Y2 (ko)
KR102446667B1 (ko)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KR20220061448A (ko)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KR101977687B1 (ko) 경첩 방식의 창호 장치
JP6727118B2 (ja) 建具
GB2298446A (en) Frames for apertures in cavity walls
JP2742202B2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
JP7475233B2 (ja) 建具
KR102152139B1 (ko) 시스템 창호
JPS6120956Y2 (ko)
JPH0510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