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855A -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855A
KR20180096855A KR1020170022395A KR20170022395A KR20180096855A KR 20180096855 A KR20180096855 A KR 20180096855A KR 1020170022395 A KR1020170022395 A KR 1020170022395A KR 20170022395 A KR20170022395 A KR 20170022395A KR 20180096855 A KR20180096855 A KR 2018009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frame
main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225B1 (ko
Inventor
차원준
Original Assignee
차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원준 filed Critical 차원준
Priority to KR102017002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2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틀프레임과 금속재의 외부 문틀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틀부와, 이 메인문틀부의 내측에 경첩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짝프레임과 금속재의 외부 문틀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COMPLEX INSULATION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 사무실, 주택, 백화점 등의 출입문은 강화유리,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제작되어 내측과 외측 양방향으로 모두 개폐가 가능한 여닫이식 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고정 설치된 문틀의 일단 부분 상단과 하단에서 문짝과 문틀이 각각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출입문이 내측과 외측 양측으로 회동되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과 외측 양측으로 회동되도록 된 여닫이식 출입문은 내측과 외측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문틀과 출입문을 완전히 밀착시킬 수가 없고, 또한 대부분 사람 출입이 잦은 영업을 하는 장소에 설치되므로 출입문이 닫힐 때 출입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문틀과 출입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간격이 바람의 통로 역할을 하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떨어져서 에너지 소모가 많아질 수밖에 없고, 외부 소음과 먼지 등의 공해물질이 그대로 내측으로 전달되어 실내에 있으면서도 소음과 각종 공해물질에 의한 피해를 그대로 받게 된다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입문의 가장자리를 따라 스폰지나 문풍지 등을 부착하고 있지만, 이들은 미관도 좋지 않지만 출입문의 사용이 불편하며, 또한 최근 에어커튼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지만, 에어커튼은 상기한 많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도 못하면서 전력 소모만 월등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여닫이식 출입문용 단열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일예로서 출입문 프레임의 상면과 양 측면에 모헤어를 장착하여 문틀과 접하게 하고, 출입문의 하면에는 고무부재를 장착하여 지면에 설치한 밀봉틀과 고무부재가 밀착되도록 하여 출입문과 문틀 사이에 생긴 간격을 막아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닫이 도어는 금속부재만으로 일체로 제작된 문틀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문틀 안쪽에서 일측이 힌지결합 되어 회동하는 출입문의 프레임도 금속으로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서, 문틀 및 출입문 프레임이 내측과 외측 사이에 단열부재가 없기 때문에 문틀 및 출입문 프레임을 통해 열전도가 일어나면서 상당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도어는 출입문의 양 측면과 상부에 장착한 모헤어가 금속부재로 된 문틀의 좌·우측틀 및 상부틀의 평평한 금속면과 접하게 되는데, 모헤어의 선단이 금속부재의 표면에 닿게 되기 때문에 기밀성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8869호 (2015년07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470호 (2015년09월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1265호 (2016년10월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 할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문짝 및 단열재 문짝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실내측에서는 분리탈착이 가능하여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이격공간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로서,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틀프레임(110)과 금속재의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틀부(100); 및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측에 경첩(130)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금속재의 외부 문짝프레임(2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부 문틀프레임(110)은,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은, 상기 끼움편에 걸어맞춤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은, 실내측에 오사이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내부면의 양쪽 측단에는, 상기 끼움편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의 접촉면에는 이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접촉면에는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일방에 메인문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부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는 중간문틀부; 및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타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문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간문틀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 및 상기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문짝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 및 상기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양쪽에 상기 메인문짝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양문문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문문틀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 및 상기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프레임에 끼움편을 형성하고 외부프레임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걸어맞춤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짝프레임의 실내측에 오사이를 설치하고 외부면이 끼움편을 설치함으로써, 문짝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문짝 및 단열재 문짝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실내측에서는 분리탈착이 가능하여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 문짝프레임과 외부 문짝프레임 사이에 이격돌기와 이격홈을 형성하여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이격공간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문틀부에 중간문틀부와 고정문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문틀부에 양문문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양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짝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상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하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중간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고정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중간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상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하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양문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메인문짝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는,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이다.
메인문틀부(100)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부재로서, 절단선 A-A`에 의한 도 3 및 절단선 B-B`에 의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틀프레임(110)과 금속재의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고, 메인문짝부(200)의 하부에 기밀부재를 접촉 지지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문틀프레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내부 문틀프레임(110)은, 메인문틀부(100)의 내향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부프레임(111), 제1 끼움편(112), 제1 개스킷(113), 제1 보강부재(114), 제1 모헤어홈(115) 및 제1 기밀부재(116)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내부프레임(11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끼움편(112)은, 제1 내부프레임(11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1 내부프레임(11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이나 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개스킷(113)은, 제1 내부프레임(111)의 일방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1 내부프레임(111)과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접촉부위에 설치되어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개스킷(113)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보강부재(114)는, 제1 내부프레임(111)의 내부에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보강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모헤어홈(115)은, 제1 내부프레임(111)의 일방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1 기밀부재(116)가 결합되고 제1 내부프레임(111)과 메인문짝부(200) 사이에 접촉되어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1 기밀부재(116)은, 제1 내부프레임(111)의 일방에 형성된 제1 모헤어홈(115)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1 내부프레임(111)과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접촉부위에 설치되어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기밀부재(116)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 문틀프레임(120)은,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문틀프레임(11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외부프레임(121), 제1 끼움돌기(122), 제1 접촉편(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외부프레임(121)은, 내부 문틀프레임(11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끼움돌기(122)는, 제1 외부프레임(12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문틀프레임(11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1 끼움편(11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1 접촉편(123)은, 제1 외부프레임(12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문틀프레임(11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문틀프레임(110)과 외부 문틀프레임(1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메인문짝부(200)는,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짝부재로서, 메인문틀부(100)의 내측에 경첩(130)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금속재의 외부 문짝프레임(2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고 내부공간에는 유리문짝(230)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개방조작하거나 폐쇄조작하도록 손잡이(240)도 설치되어 있다.
내부 문짝프레임(210)은, 메인문짝부(200)의 내향부위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내부프레임(211), 제2 끼움편(212), 제2 이격홈(213), 제2 오사이홈(214), 제2 오사이(215), 제2 보강부재(216), 제2 개스킷(217), 제2 외부개스킷(218), 제2 내부개스킷(219)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내부프레임(21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끼움편(212)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문짝프레임(2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2 내부프레임(21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이나 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끼움편(212)의 일방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212a)이 돌출형성되어, 여기에 결합되는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제2 끼움돌기(222)의 단부와 접촉 지지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이격홈(213)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외부면의 중앙부위에 내향으로 함몰형성된 홈부재로서,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결합시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제2 내부프레임(211)과 외부 문짝프레임(220)을 이격시키게 된다.
제2 오사이홈(214)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2 오사이(215)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를 제2 오사이(215)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제2 오사이(215)는,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오사이홈(214)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2 보강부재(216)는, 제2 내부프레임(211)의 내부에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보강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 또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개스킷(217)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타방 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내부프레임(211)과 메인문틀부(100) 사이의 접촉부위에 설치되어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외부개스킷(218)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외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2 내부개스킷(219)은,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내설치된 제2 오사이(215)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2 내부프레임(21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 개스킷(217), 제2 외부개스킷(218) 및 제2 내부개스킷(219)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 문짝프레임(220)은, 메인문짝부(20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제2 외부프레임(221), 제2 끼움돌기(222), 제2 이격돌기(223), 제2 접촉편(2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외부프레임(221)은, 내부 문짝프레임(21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끼움돌기(222)는, 제2 외부프레임(22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문짝프레임(21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2 끼움편(21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2 이격돌기(223)는, 제2 외부프레임(221)의 내부면의 중앙부위 양쪽에 내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결합시 제2 이격홈(213)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제2 내부프레임(211)과 제2 외부프레임(221)을 이격시키게 된다.
제2 접촉편(224)은, 제2 외부프레임(22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문짝프레임(21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외부 문짝프레임(2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결합시 제2 이격홈(213)과 제2 이격돌기(223)를 생략해서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은 물론이다.
또한, 메인문틀부(100)와 경첩(130) 사이에는 메인문짝부(200)를 개방시 폐쇄상태로 전환하도록 메인문짝부(200)에 폐쇄하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오토도어설비를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상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하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중간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고정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중간문짝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는, 메인문틀부(100), 메인문짝부(200), 중간문틀부, 고정문짝부 및 중간문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외여닫이 도어이다.
제2 실시예의 메인문틀부(100)와 메인문짝부(2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중간문틀부, 고정문짝부 및 중간문짝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간문틀부는,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일방에 메인문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부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는 문틀부재로서, 절단선 D-D`에 의한 도 8 및 절단선 E-E`에 의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과 금속재의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은, 중간문틀부의 내향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재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내부프레임(151), 제3 끼움편(152), 제3 결합홈(153), 제3 개스킷(154), 제3 보강부재(155)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내부프레임(15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끼움편(152)은, 제3 내부프레임(15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3 내부프레임(15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결합홈(153)은, 제3 내부프레임(151)의 일방에 형성된 결합부재로서, 여기에 제3 개스킷(154)이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중간문틀부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3 개스킷(154)은, 제3 내부프레임(151)의 일방에 형성된 제3 결합홈(153)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3 내부프레임(151)과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접촉부위에 설치되어 중간문틀부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3 개스킷(154)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3 보강부재(155)는, 제3 내부프레임(151)의 내부에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보강재로서, 스틸이나 강철을 사용하여 단면이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은, 중간문틀부의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외부프레임(161), 제3 끼움돌기(162), 제3 접촉편(16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외부프레임(161)은,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3 끼움돌기(162)는, 제3 외부프레임(16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3 끼움편(15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3 접촉편(163)은, 제3 외부프레임(16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과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고정문짝부는,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타방에 고정 설치되는 문짝부재로서, 합성수지재의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과 금속재의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은, 메인문틀부(100)와 고정문틀부의 내향부위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내부프레임(261), 제4 끼움편(262), 제4 오사이홈(263), 제4 오사이(264), 제4 내부개스킷(265), 제4 외부개스킷(26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4 내부프레임(26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4 끼움편(262)은, 제4 내부프레임(26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4 내부프레임(26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이나 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오사이홈(263)은,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4 오사이(264)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를 제4 오사이(264)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제4 오사이(264)는,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제4 오사이홈(263)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4 내부개스킷(265)은,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설치된 제4 오사이(264)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내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4 외부개스킷(266)은,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4 내부프레임(261)의 일방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의 외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4 내부개스킷(265) 및 제4 외부개스킷(266)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은, 고정문짝부의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외부프레임(271), 제4 끼움돌기(272), 제4 접촉편(27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4 외부프레임(271)은,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4 끼움돌기(272)는, 제4 외부프레임(27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4 끼움편(26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4 접촉편(273)은, 제4 외부프레임(27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과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중간문짝부는,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타방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문짝부재로서, 절단선 C-C`에 의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과 금속재의 외부 중간문짝프레임(29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은, 메인문틀부(100)와 고정문틀부의 내향부위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내부프레임(281), 제5 끼움편(282), 제5 오사이홈(283), 제5 오사이(284), 제5 내부개스킷(285), 제5 외부개스킷(28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 내부프레임(28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5 끼움편(282)은, 제5 내부프레임(28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중간문짝프레임(29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5 내부프레임(28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이나 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5 오사이홈(283)은,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5 오사이(284)가 각각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과 하방에 설치되는 단열재 문짝(250)의 내향부위를 제5 오사이(284)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제5 오사이(284)는,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제5 오사이홈(283)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서,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과 하방에 설치되는 단열재 문짝(250)의 내향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5 내부개스킷(285)은, 제5 내부프레임(281)의 후방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5 오사이(254)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과 하방에 설치되는 단열재 문짝(250)의 내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제5 외부개스킷(286)은, 제5 내부프레임(281)의 전방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서, 제5 내부프레임(281)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리문짝(230)과 하방에 설치되는 단열재 문짝(250)의 외향부위와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5 내부개스킷(285) 및 제5 외부개스킷(286)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 중간문짝프레임(290)은, 고정문짝부의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외부프레임(291), 제5 끼움돌기(292), 제5 접촉편(29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 외부프레임(291)은,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5 끼움돌기(292)는, 제5 외부프레임(29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5 끼움편(28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5 접촉편(293)은, 제5 외부프레임(29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중간문짝프레임(280)과 외부 중간문짝프레임(29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상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하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의 양문문틀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는, 메인문틀부(100), 메인문짝부(200), 양문문틀부 및 중간문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쌍여닫이 도어이다.
제3 실시예의 메인문틀부(100), 메인문짝부(200) 및 중간문짝부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양문문틀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양문문틀부는,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양쪽에 메인문짝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문틀부재로서, 절단선 G-G`에 의한 도 14 및 절단선 H-H`에 의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와, 그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은, 메인문짝부(200)의 내향부위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내부프레임(171), 제6 끼움편(172) 및 제6 결합홈(17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6 내부프레임(171)은,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구조체 형상의 프레임부재로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6 끼움편(172)은, 제6 내부프레임(17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로서, 제6 내부프레임(171)의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홈형상이나 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6 결합홈(173)은, 제6 내부프레임(171)의 일방 측면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제6 개스킷이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제6 내부프레임(171)과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접촉부위에 밀착되어 양문문틀부와 메인문짝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6 개스킷으로는 고무, 실리콘(silicon)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은, 양문문틀부의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외부프레임(181), 제6 끼움돌기(182), 제6 접촉편(18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6 외부프레임(181)은,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향부위에 설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ㄷ"자로 절곡 형성된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이 경량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6 끼움돌기(182)는, 제6 외부프레임(181)의 양단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의 상부면의 양단부위에 형성된 제6 끼움편(172)에 걸어맞춤되어 결합된다.
제6 접촉편(183)은, 제6 외부프레임(181)의 내향면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로서,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의 외향면과 접촉하여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과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도어의 문틀과 문짝을 금속재의 프레임과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문틀과 문짝에 대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강도를 증가시키고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프레임에 끼움편을 형성하고 외부프레임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걸어맞춤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짝프레임의 실내측에 오사이를 설치하고 외부면이 끼움편을 설치함으로써, 문짝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문짝 및 단열재 문짝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실내측에서는 분리탈착이 가능하여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 문짝프레임과 외부 문짝프레임 사이에 이격돌기와 이격홈을 형성하여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이격공간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문틀부에 중간문틀부와 고정문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문틀부에 양문문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양여닫이 도어에 적용하는 동시에 문틀과 문짝 사이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메인문틀부
200: 메인문짝부

Claims (10)

  1. 건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로서,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틀프레임(110)과 금속재의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틀부(100); 및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측에 경첩(130)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성수지재의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금속재의 외부 문짝프레임(2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문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문틀프레임(110)은,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은, 상기 끼움편에 걸어맞춤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은, 실내측에 오사이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면의 양쪽 측단에 상기 외부 문틀프레임(120)이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내부면의 양쪽 측단에는, 상기 끼움편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과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문짝프레임(210)의 접촉면에는 이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문짝프레임(220)의 접촉면에는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일방에 메인문짝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내부공간을 양쪽으로 구획하는 중간문틀부; 및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타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문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문틀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 및
    상기 내부 중간문틀프레임(15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중간문틀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짝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 및
    상기 내부 고정문짝프레임(26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고정문짝프레임(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 양쪽에 상기 메인문짝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메인문틀부(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양문문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문문틀부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 및
    상기 내부 양문문틀프레임(17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부 양문문틀프레임(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KR1020170022395A 2017-02-20 2017-02-20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KR10191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95A KR101914225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95A KR101914225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55A true KR20180096855A (ko) 2018-08-30
KR101914225B1 KR101914225B1 (ko) 2018-11-02

Family

ID=6345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95A KR101914225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2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663B1 (ko) * 2018-12-21 2020-01-23 주식회사 성화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102064613B1 (ko) *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084207B1 (ko) * 2018-12-21 2020-03-03 안용기 심미감이 우수한 전동식 여닫이 복합 창호
KR102117782B1 (ko) 2019-03-19 2020-06-01 이재숙 연동 개폐가 가능한 양문 개폐형 여닫이 도어
KR20210034998A (ko) * 2019-09-23 2021-03-3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터닝 도어
CN115419348A (zh) * 2022-09-16 2022-12-02 武汉乙元兴科技有限公司 一种免焊接快装门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541907B1 (ko) * 2023-03-02 2023-06-13 (주)비엔에프 고성능 현관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514B1 (ko) 2020-01-21 2021-05-28 김용갑 연동 개폐 및 댐핑수단을 포함한 양문 개폐형 여닫이 도어
KR102453024B1 (ko) 2020-08-18 2022-10-12 이재숙 조립 및 현장시공이 용이한 댐핑장치를 갖는 동시 개폐형 여닫이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869A (ko) 2013-12-31 2015-07-08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101551470B1 (ko) 2014-05-29 2015-09-18 곽재문 단열부재가 구비된 여닫이창
KR20160121265A (ko) 2015-04-10 2016-10-19 곽재문 단열부재를 구비한 여닫이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94Y1 (ko) * 2000-03-27 2000-08-16 임병택 출입문 새시
KR101077492B1 (ko) * 2011-04-22 2011-10-27 (주)신창산업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234282B1 (ko) * 2011-05-06 2013-02-18 김승현 단독창호용 창호프레임 구조
KR101305312B1 (ko) 2011-05-06 2013-09-06 김승현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내부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1360247B1 (ko) 2013-02-25 2014-02-1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고 기밀성 단열 케이스먼트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869A (ko) 2013-12-31 2015-07-08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101551470B1 (ko) 2014-05-29 2015-09-18 곽재문 단열부재가 구비된 여닫이창
KR20160121265A (ko) 2015-04-10 2016-10-19 곽재문 단열부재를 구비한 여닫이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613B1 (ko) *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069663B1 (ko) * 2018-12-21 2020-01-23 주식회사 성화 전동식 여닫이 창호
KR102084207B1 (ko) * 2018-12-21 2020-03-03 안용기 심미감이 우수한 전동식 여닫이 복합 창호
KR102117782B1 (ko) 2019-03-19 2020-06-01 이재숙 연동 개폐가 가능한 양문 개폐형 여닫이 도어
KR20210034998A (ko) * 2019-09-23 2021-03-3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터닝 도어
CN115419348A (zh) * 2022-09-16 2022-12-02 武汉乙元兴科技有限公司 一种免焊接快装门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541907B1 (ko) * 2023-03-02 2023-06-13 (주)비엔에프 고성능 현관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225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5B1 (ko)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20140015873A (ko) 커튼월
CA2631323C (en) Construction product having a moveable element with multi-functional thermal break
KR20140090436A (ko) 유리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JP6804212B2 (ja) サッシ窓の気密/断熱構造
JP2022125214A5 (ja) サッシ窓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KR20130127582A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KR20220054012A (ko) 슬라이딩 창호
KR101914795B1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KR20210046199A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53675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KR20160088070A (ko) 밀폐형 미서기창
JP7038768B2 (ja) サッシ
JP2022116733A (ja) 建具
JP6895420B2 (ja) サッシ
KR20190114382A (ko) 연결 문짝 수직프레임의 단열구조
JP6836578B2 (ja) 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