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83Y1 - 모듈형 3짝 창호 - Google Patents

모듈형 3짝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83Y1
KR200463883Y1 KR2020080009975U KR20080009975U KR200463883Y1 KR 200463883 Y1 KR200463883 Y1 KR 200463883Y1 KR 2020080009975 U KR2020080009975 U KR 2020080009975U KR 20080009975 U KR20080009975 U KR 20080009975U KR 200463883 Y1 KR200463883 Y1 KR 200463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s
window frame
coupl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238U (ko
Inventor
구자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80009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형 3짝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의 내주면에 설치된 창짝의 여밈대에 설치되어 창짝의 닫힘 시 서로 결합되어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는 3짝 창호의 마중대에 있어서, 상기 마중대는, 창짝의 여밈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에 지지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에 설치되어 블럭부와 결합부 사이의 공간부 깊이를 조절하는 보강대;로 구성되어, 기존의 창틀에 다른 규격의 창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창짝의 호환성이 향상되어 시공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창호의 내풍압 강도를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창호, 창짝, 3짝, 창틀, 여밈대, 마중대, 보강대, 가스켓

Description

모듈형 3짝 창호{window}
본 고안은 모듈형 3짝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짝 창호의 창짝에 설치되는 마중대의 내측 공간의 공간부를 가변화함으로써 창호의 폐쇄 시나 규격이 다른 창짝으로 교체 시에도 마중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밀성이 향상시키고 창짝의 유동을 방지하는 모듈형 3짝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 주택 또는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베란다(또는 발코니)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베란다의 바닥면 단부에는 벽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벽체상에는 난간이 시공되어 추락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벽체의 내측면에는 벽의 대용으로 실내외를 구분하면서 창호의 유리를 통해 실내에서 실외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한 창호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통상적으로 창짝이 3개인 3짝 창호와 4개인 4짝 창호로 구성되되, 4짝 창호의 경우에는 4개의 창짝이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3짝 창호의 경우에는 외측단에 설치된 창짝이 창호의 내풍압을 고려하여 다른 창짝보다 큰 규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3짝 창호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짝 창호(1)는 벽체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내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주연에는 유리(21)(21')가 설치되어 있는 창짝(20)(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10)은 사각 형상의 틀로서, 그 내주면 하부에는 창짝(20)(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11)이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개폐창짝(20)의 이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개폐창짝(20)에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스토퍼(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짝은, 창틀(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외측창짝(20')과, 이 외측창짝(20')의 양편으로 창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개폐창짝(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창짝(20)을 닫았을 때, 외측창짝(20')의 양단부와 이에 겹치는 개폐창짝(20)의 일단부(이하, "여밈대" 라 한다)에는 마중대(30)(30')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마중대(30)(3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서, 창짝(20)(20')의 엔드면 즉 여밈대(22)(22')의 엔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1)(31')와, 상기 고정부(31)(31')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다른 창짝에 설치된 마중대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부(32)(32')로 형성된다.
상기 마중대(30)(30')의 고정부(31)(31')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결합돌부(31a)(31a')가 형성되어 여밈대(22)(22')의 엔드면에 형성된 결합홈(23)(2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중대(30)(30')의 결합부(32)(32') 외측면에는 반대편 창짝의 여밈대(22)(22')에 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모헤어(32a)(32a')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32)(32')의 내측면에는 여밈대(22)(22')에 접하여 결합부(32)(32')와 여밈대(22)(22') 사이에 공간부(34)(34')를 형성하는 블럭부(33)(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부(34)(34')는 서로 대향되는 마중대(30)(30')의 결합부(32)(3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마중대(30)(30')는 창짝(20)(20')의 규격 즉 창짝(20)(20')의 크기나 폭 등에 따라서 창짝(20)(20')에 맞는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3짝 창호(1)는, 창호(1)의 시공 시 내풍압 성능 등을 고려하여 창호(1)의 외측단에 설치되는 외측창짝(20')을 기존의 창짝 즉 양편의 개폐창짝(20) 등에 비해 큰 규격으로 시공하여 보강하는데, 이때 서로 다른 규격의 창짝(20)(20')으로 인해 이에 설치되는 마중대(30)(30')의 규격도 외측창짝(20')과 개폐창짝(20)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른 규격으로 설치된 마중대(30)(30')는, 창호(1)를 닫았을 때 도 3과 같이 개폐창짝(20)의 마중대(30)와 외측창짝(20')의 마중대(3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한다.
즉, 외측창짝(20')의 일단과 일측의 개폐창짝(20) 사이의 마중대(30)(30')가 결합되면 외측창짝(20')의 타단과 타측의 개폐창짝(20) 사이의 마중대(30)(30')에는 이격된 간극이 발생되어 창호(1)의 기밀성이 떨어지고, 마중대(30)(30')간의 이격된 간극으로 인해 닫힌 창짝(20)(20')이 유동되므로 인해 창짝(20)(20')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짝 창호의 창짝에 설치되는 마중대를 한 종으로 규격화함과 아울러 마중대의 내측 공간의 공간부를 가변화함으로써 창짝의 교체 등으로 인해 창짝의 규 격이 다르게 구성된 창호의 폐쇄 시 마중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창짝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모듈형 3짝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창틀의 내주면에 설치된 창짝의 여밈대에 설치되어 창짝의 닫힘 시 서로 결합되어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는 3짝 창호의 마중대에 있어서, 상기 마중대는, 창짝의 여밈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에 지지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에 설치되어 블럭부와 결합부 사이의 공간부 깊이를 조절하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듈형 3짝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는 블럭부에 스크류로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럭부 전방의 결합부 내측면에는 연질의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가스켓은 그 단부가 블럭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의 내주면 하단부 외측단부는 계단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창틀의 내주면 양측면에 형성되어 창짝과 결합되는 스토퍼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보호커버는 그 일측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창틀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창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모듈형 3짝 창호에 따르면, 마중대가 한 종으로 규격화됨과 아울러 마중대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창짝의 규격에 따라 보강대를 설치하여 그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중대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어 서로 다른 규격의 창짝을 한 종의 창틀에서 같이 사용하여도 창호의 기밀성이 향상되고 창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가 설치된 창짝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가 설치된 창호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C부의 확대도이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모듈형 3짝 창호(1)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내주면상에서 3짝의 창짝(20)(20')이 설치되되, 상기 창짝은 창틀(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외측창짝(20')과, 이 외측창짝(20') 양편의 창틀(1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개폐창짝(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창짝(20)을 닫았을 때 창짝(20)(20')의 서로 겹치는 일단 부 즉 여밈대(22)(22')에는 마중대(100)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마중대는 한 종으로 규격화되어 구성되되, 이와 같이 규격화된 마중대는 규격화된 창짝(20)(20') 중 제일 큰 규격의 창짝에 맞는 규격 즉 상기 마중대(100)의 결합부(120)가 규격화된 마중대 중에서 제일 긴 길이(L)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중대(10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20)(20')의 여밈대(22)(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서 절곡 형성되어 창짝(20)(20')의 여밈대(22)(2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창짝(20)(20')의 여밈대(22)(22')에 지지되는 블럭부(130)와, 상기 블럭부(130)에 설치되어 블럭부(130)와 결합부(120) 사이의 공간부(122) 깊이(l)를 조절하는 보강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중대(100)의 고정부(110)는 판형상으로서, 여밈대(22)(22')의 엔드면에 형성된 결합홈(23)(23')과 대향되는 그 일면에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여밈대(22)(22')의 결합홈(23)(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0)는 고정부(11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그 외측면에는 반대편 창짝의 여밈대(22)(22')에 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모헤어(121)가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여밈대(22)(22')에 접하는 중공의 사각관형태의 블럭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블럭부(130)에 의해서 결합부(120)와 여밈대(22)(2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2)에 위치한 결합부(120)의 내측면에는 연질의 가스켓(150)이 설치되며, 상기 가스켓(150)은 그 단부가 블럭부(130)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140)는 마중대(100)의 상하 길이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되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중대(100)의 블럭부(130) 전면측에 스크류(141)로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중대(100)의 블럭부(130) 전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140)는 공간부(122)로 삽입되는 다른 마중대의 결합부(120) 길이(L)에 따라서 하나 내지는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보강대(140)는 마중대(100)의 공간부(122)를 매꿔 마중대(100)의 결합 시 마중대(100)간의 간극발생을 최소화하여 마중대(100)가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창호(1)의 닫힘 시 양 창짝(20)(20')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창호(1)의 내풍압 성능을 고려하여, 창호(1)에 설치되는 창짝의 규격을 기존 창짝보다 더 크게 설계하여 창틀(10)에 설치함으로써 내풍압 성능을 보강하는데, 이때 본 고안에 따라 한 종으로 규격화된 마중대(100)를 큰 창짝 즉 외측창짝(20')과 기존 창짝 즉 개폐창짝(20)에 각각 설치하고, 양 마중대(100)의 결합 시 발생되는 마중대(100)간의 간극을 확인한 후, 마중대(100)의 블럭부(130)에 도 6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개의 보강대(140)를 설치하여 간극을 매꿔 줌으로써 양 마중대(100)(100')가 간극없이 견고하게 되므로 양 창짝(20)(20')이 유동없이 견고하게 기밀유지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기존의 창틀(10)에 다른 규격의 창짝을 전술한 바와 같이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창짝(20)(20')의 호환성이 향상되어 시공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창호(1)의 내풍압 강도를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창짝(20')이 설치되는 창틀(10)의 내주면 하단부 외측단부를 계단형태로 단차진 단차부(300)로 형성하여, 창틀(10)로 들이친 빗물 등의 물이 창틀(10)의 단차부(300)를 통해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창틀(10)의 내주면 양측면에 형성되어 개폐창짝(20)과 결합되는 스토퍼(12)에는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보호커버(30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300)는, 그 일측면에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창틀(10)의 일측에는 결합돌기(3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300)가 창틀(10)의 스토퍼(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가 설치된 창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중대가 설치된 창호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호 10 : 창틀
11 : 레일 12 : 스토퍼
20,20' : 창짝 21,21' : 유리
22,22' : 여밈대 23,23' : 결합홈
30,30' : 마중대 31,31' : 고정부
31a,31a' : 결합돌부 32,32' : 결합부
32a,32a' : 모헤어 33,33' : 블럭부
34,34' : 공간부
100 : 마중대 110 : 고정부
111 : 결합돌부 120 : 결합부
121 : 모헤어 122 : 공간부
130 : 블럭부 140 : 보강대
141 : 스크류 150 : 가스켓
200 : 보호커버 210 : 결합홈
300 : 단차부 310 : 결합돌기
L : 마중대의 결합부 길이
l : 마중대의 공간부 깊이

Claims (6)

  1. 창틀의 내주면에 설치된 창짝의 여밈대에 설치되어 창짝의 닫힘 시 서로 결합되어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는 3짝 창호의 마중대에 있어서,
    상기 마중대는, 창짝의 여밈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창짝의 여밈대에 지지되는 블럭부와;
    상기 블럭부에 설치되어 블럭부와 결합부 사이의 공간부 깊이를 조절하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블럭부에 스크류로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 전방의 결합부 내측면에는 연질의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그 단부가 블럭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의 내주면 하단부 외측단부는 계단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내주면 양측면에 형성되어 창짝과 결합되는 스토퍼에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보호커버는 그 일측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창틀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창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3짝 창호.
KR2020080009975U 2008-07-25 2008-07-25 모듈형 3짝 창호 KR200463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75U KR200463883Y1 (ko) 2008-07-25 2008-07-25 모듈형 3짝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75U KR200463883Y1 (ko) 2008-07-25 2008-07-25 모듈형 3짝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238U KR20100001238U (ko) 2010-02-03
KR200463883Y1 true KR200463883Y1 (ko) 2012-11-29

Family

ID=4419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975U KR200463883Y1 (ko) 2008-07-25 2008-07-25 모듈형 3짝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0730A1 (de) * 2019-04-25 2020-10-28 Raico Bautechnik GmbH Hebe-schiebe-tür oder hebe-schiebe-fenster
KR102263068B1 (ko) 2021-01-26 2021-06-08 문성필 기밀형 창호의 가스켓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59Y1 (ko) * 2009-02-24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내풍압 강화구조를 갖는 창호
KR101117600B1 (ko) * 2011-03-15 2012-03-06 더월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딩 샤시 구조
KR101630843B1 (ko) * 2013-12-27 2016-06-15 이금로 창짝 기밀간격 유지구
KR101825476B1 (ko) * 2016-07-28 2018-02-05 (주)점보산업 모헤어의 탈부착이 가능한 창호
KR102218063B1 (ko) * 2020-03-10 2021-02-23 이용규 방화 자동문
GR1010581B (el) * 2021-11-12 2023-12-05 Πλαστικα Νοτιοανατολικης Ευρωπης-Μονοπροσωπη Εταιρεια Περιορισμενης Ευθυνης, Πολυφυλλο με συρομενα φυλλ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3Y1 (ko)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금강고려화학 포켓형 창호
JP2005264559A (ja) 2004-03-18 2005-09-29 Tostem Corp 開口部装置
JP2006188928A (ja) 2005-01-07 2006-07-20 Shin Nikkei Co Ltd 複合サッシの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3Y1 (ko)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금강고려화학 포켓형 창호
JP2005264559A (ja) 2004-03-18 2005-09-29 Tostem Corp 開口部装置
JP2006188928A (ja) 2005-01-07 2006-07-20 Shin Nikkei Co Ltd 複合サッシの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0730A1 (de) * 2019-04-25 2020-10-28 Raico Bautechnik GmbH Hebe-schiebe-tür oder hebe-schiebe-fenster
KR102263068B1 (ko) 2021-01-26 2021-06-08 문성필 기밀형 창호의 가스켓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238U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883Y1 (ko) 모듈형 3짝 창호
KR101610195B1 (ko) 커튼월용 창호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KR20110009878U (ko) 분할식 창호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302341B1 (ko)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20140085687A (ko) 프로젝트 타입의 창호 시스템
CN104563758B (zh) 推拉门窗密封结构及推拉门窗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0665562B1 (ko)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어셈블리
KR100698839B1 (ko) 지엠피 시설용 문과 벽면간의 결합 구조
WO2013081337A1 (en) Sliding system window having drain hole cap for high-rise building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JP4637806B2 (ja) 出入口サッシ
KR100979489B1 (ko) 실링의 설치를 위한 창틀 구조
KR101763928B1 (ko)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0996270B1 (ko)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0752687B1 (ko) 다양한 개폐 방식을 갖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