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46B1 -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 Google Patents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46B1
KR102464446B1 KR1020200056741A KR20200056741A KR102464446B1 KR 102464446 B1 KR102464446 B1 KR 102464446B1 KR 1020200056741 A KR1020200056741 A KR 1020200056741A KR 20200056741 A KR20200056741 A KR 20200056741A KR 102464446 B1 KR102464446 B1 KR 10246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drip tray
coupl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430A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 진흥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0005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 및 이를 구비한 창틀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창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물받이부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WINDOWSILL UNIT}
본 발명은, 창틀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이나 창틀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 및 이를 구비한 창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태양 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 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창호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창틀 프레임이 고정/결합되고, 창틀 프레임에 여닫이 창문, 고정 창문 또는 창유리가 결합되거나 창틀 프레임이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에 의해 좌우 상하로 구획된 다수의 구획부에 여닫이 창문, 고정 창문 또는 창유리가 장착된다.
이전의 창호는 빗물이나 물이 창문이나 창틀 프레임의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틀 프레임이 설치되는 영역의 건물 벽체에 경사를 주거나, 금속 등을 창틀 프레임이나 해당 건물의 영역을 부착 또는 고정하는 잡철공사를 해야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잡철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지 공사(각 파이프 프레임) 등을 해야 하는 부분도 추가로 작업이 되어야 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0479호(안산건업 주식회사, 이선중) 2009. 05. 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구조체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경사를 주어 물의 흐름을 건물의 밖으로 유도할 수 있는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 및 이를 구비한 창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상기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상기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창틀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부와 대향되는 영역의 상기 물받이 바디에는 직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직선부에 마련되어 상기 경산면부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건물의 벽체로 흐르는 것을 막는 물끊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직선부의 외벽에 마련되어 체결 부재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체결 가이드부; 및 상기 물받이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의 4면을 둘러싸도록 4개가 마련되고, 서로 접하는 상기 물받이부의 단부는 상기 체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상기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상기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물받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받이부가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함도록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구조체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경사를 주어 물의 흐름을 건물의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받이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물받이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받이부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물받이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200)를 구비한 창틀 유닛(1)은,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100)이나 창문(10)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물받이부(200)를 구비한다.
창틀 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창문 프레임의 4면을 지지하도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창틀 프레임(100)이 결합된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창틀 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 4면에는 물받이부(2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물받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100)의 4면에 각각 배치되어 창문(10)이나 창틀 프레임(100)에 흐르는 물이 건물의 외부로 흐드로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물받이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건물의 외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물받이 바디(210)와, 물받이 바디(2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물받이 바디(210)를 타고 흐르는 물이 건물의 외벽으로 흐르지 않도록 끊어주는 물끊기부(220)와, 물받이 바디(2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체결 부재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체결 가이드부(230)와, 물받이 바디(2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240)와, 물받이 바디(210)의 일측부에 연장 마련되며 창틀 프레임(100) 또는 창틀 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100)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250)를 포함한다.
물받이부(200)의 물받이 바디(210)의 상면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211)가 마련되어 경사면부(211)로 흐르거나 떨어지는 물은 물받이 바디(210)의 외측으로 떨어질 수 있고, 물받이 바디(210)를 타고 흘러 건물의 외벽 방향으로 향하는 물은 물바딩 바디에 마련되는 물끊기부(220)에 의해 그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물받이 바디(210)의 저면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212)가 마련되고, 이 직선부(212)에는 물끊기부(220)와 체결 가이드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물받이 바디(210)는 그 내부에 마련되는 구획벽(21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물받이 바디(210)는 구획벽(213)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물받이 바디(210)는 한 쌍의 구획벽(213)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도 3의 (c)에 도시된 물받이 바디(210)는 3개의 구획벽(213)에 의해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물받이 바디(210)와 물끊기부(220)와 체결 가이드부(230)와 체결부(240)와 연장 플랜지(25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부(200)의 물끊기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바디(210)의 직선부(212)에 마련되어 물받이 바디(210)를 통해 건물의 외벽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물끊기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212)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고, 물받이 바디(210)의 성형시 물받이 바디(21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물받이 바디(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받이부(200)의 체결 가이드부(230)는, 물받이 바디(210)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가 체결부(240)에 정확히 체결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 가이드부(2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바디(210)의 직선부(212)에 경사면부(211)의 방향으로 홈을 만들어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체결 가이드부(230)는 체결부(240)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부(200)의 체결부(2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바디(210)의 내부 즉 경사면부(211)의 내측에 마련되며 체결 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부(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절개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체결부(240)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체결 부재는 체결부(2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물받이 바디(210)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구획벽(213)에 의해 4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경우 체결부(240)는 보강 블록(241)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물받이부(200)의 연장 플랜지(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100)과 접하는 영역의 물받이 바디(210)의 측벽에서 연장되며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 플랜지(250)는 창틀 프레임(100)의 하부에 나사나 피스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창틀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100)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삽입되어 창틀 프레임(100)과 건물의 벽체에 배치되어 창틀 프레임(1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 플랜지(250)는 창틀 프레임(100)에 나사나 피스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물받이부가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함도록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구조체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경사를 주어 물의 흐름을 건물의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100 : 창틀 프레임 200 : 물받이부
210 : 물받이 바디 211 : 경사면부
212 : 직선부 213 : 구획벽
220 : 물끊기부 230 : 체결 가이드부
240 : 체결부 241 : 보강 블록
250 : 연장 플랜지 10 : 창문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나 상기 창문으로 흐르는 물을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된 물받이 바디 및 상기 물받이 바디에 연장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는 영역의 건물의 벽체 사이에 결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부와 대향되는 영역의 상기 물받이 바디에는 직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직선부에 마련되어 상기 경사면부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건물의 벽체로 흐르는 것을 막는 물끊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직선부의 외벽에 마련되어 체결 부재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체결 가이드부; 및 상기 물받이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의 4면을 둘러싸도록 4개가 마련되고, 서로 접하는 상기 물받이부의 단부는 상기 체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 가이드부는 상기 직선부에 상기 경사면부의 방향으로 홈을 만들어서 마련되고,
    상기 체결 가이드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창틀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6741A 2020-05-12 2020-05-12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246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41A KR102464446B1 (ko) 2020-05-12 2020-05-12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41A KR102464446B1 (ko) 2020-05-12 2020-05-12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430A KR20210138430A (ko) 2021-11-19
KR102464446B1 true KR102464446B1 (ko) 2022-11-04

Family

ID=7871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741A KR102464446B1 (ko) 2020-05-12 2020-05-12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36B1 (ko) * 2022-02-17 2023-06-21 김승현 창호용 공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848Y1 (ko) * 2005-11-14 2006-02-03 박무상 창틀 및 창틀 조립체
JP2017082539A (ja) * 2015-10-30 2017-05-18 三協立山株式会社 サッ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019U (ko) * 1994-06-16 1996-01-19 최종범 현관도어 제작용 도어 프레임
JPH09279959A (ja) * 1996-04-12 1997-10-28 Kazunori Ishigami 庇又は水切り構造
KR100900479B1 (ko) 2007-12-26 2009-06-03 안산건업 주식회사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848Y1 (ko) * 2005-11-14 2006-02-03 박무상 창틀 및 창틀 조립체
JP2017082539A (ja) * 2015-10-30 2017-05-18 三協立山株式会社 サッ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430A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KR102030795B1 (ko) 커튼월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1872970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20060063542A (ko)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어셈블리
KR100996270B1 (ko)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JP4707064B2 (ja) 水切り及びその水切りを備えた窓
KR200321369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JP4459760B2 (ja) サッシ
JP3232267B2 (ja) 改装サッシ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KR101038251B1 (ko) 창틀의 중간프레임 구조
KR100996268B1 (ko)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JP2001098851A (ja) 上げ下げ障子を有する断熱ドア
KR200321368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JP691234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