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970B1 - 창호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970B1
KR101872970B1 KR1020160062322A KR20160062322A KR101872970B1 KR 101872970 B1 KR101872970 B1 KR 101872970B1 KR 1020160062322 A KR1020160062322 A KR 1020160062322A KR 20160062322 A KR20160062322 A KR 20160062322A KR 101872970 B1 KR101872970 B1 KR 10187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 bottom
horizontal
window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103A (ko
Inventor
부길범
Original Assignee
부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길범 filed Critical 부길범
Priority to KR102016006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97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창문 도어 프레임과 유리창을 가이드 하는 창호 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냉기와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이중 단열 구조 설계하고, 단열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세척이 용이하며, 또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동시에 빗물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외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외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외측 창호프레임(10); 실내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내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내측 창호프레임(20);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호프레임(10)(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방풍 단열부재(4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창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프레임 구조{STRUCTURE OF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프레임과 유리창을 가이드 하는 창호 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냉기와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이중 단열 구조로 되고, 단열재의 세척이 용이하며, 또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동시에 빗물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기 창은, 2개의 유리 도어가 사각 틀 형태의 창호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형태의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미세기 창은 유리 도어를 탈부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물림 깊이가 얕아서 구조적으로 외풍 유입이 쉬워서 단열성이 떨어지고, 또한 결로수나 빗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강한 외풍에 의해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103273호(특허문헌 1)에서는 외창을 지지하는 외측하부프레임을 유리창 설치를 위한 제1 하부프레임과 배수 경사면을 갖는 제2 하부프레임으로 별도 제작하여 상하로 일체 조립으로 한 세트를 구성하고, 제1 하부프레임은 외창의 외부측 슬라이딩창을 조립하기 위한 레일을 갖는 외틀과 외창의 내부측 고정창을 설치하기 위한 끼움부를 갖는 내틀로 구성하며, 제1 하부프레임 내 내틀의 바닥면과 제2 하부프레임의 전면 받침부에 배수공들이 형성되게 한 배수 일체형의 외동창형 창호프레임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창호 프레임은,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한 뒤, 이들을 나사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조립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이 좋지 않고, 또한 유리창 도어와 창호 프레임 사이로 외풍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여서 단열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103273호(2010.9.27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과 유리창을 가이드 하는 창호 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냉기와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이중 단열 구조 설계하고, 단열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세척이 용이하며, 또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동시에 빗물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 구조는, 실외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외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외측 창호프레임; 실내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내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내측 창호프레임;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호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방풍 단열부재; 의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 구조에 따르면, 내외측 창문 도어 프레임 사이를 폐쇄하는 단열재를 설치한 이중 단열 구조를 통해 단열성이 우수하고, 상기 단열재가 창호 프레임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단열재 및 창호의 청소가 용이하여 창호 프레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창호 프레임의 바닥부 하부에 물빠짐 유도공간을 형성하되 창호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이 적용된 창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중 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방법을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이 적용된 창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중 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 구조는, 실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창호프레임(10)과,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측 창호프레임(20)을 포함하고, 각각의 창호프레임(10)(20) 상에는 미세기 창을 형성하는 창문 도어 프레임(60)이 구비되며, 각 창문 도어 프레임(60)의 하부에는 롤러(61)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61)는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호프레임(10)(20)의 가이드 레일(50)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60) 사이에 방풍 단열부재(40)가 개재되고, 이때 상기 방풍 단열부재(40)는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호프레임(10)(20)에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 방풍부재(40)는, 크게 수평 플레이트(41) 및 수직 플레이트(4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서 단면이 대략 'ㅗ'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41)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판 상의 플레이트이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43)는 상기 수평플레이트(41)의 상단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어 그 상부가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60)의 대향 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수직 플레이트(43)의 상부에서 상기 각 창문 도어 프레임(60)과 접촉되는 부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 플레이트(43)의 상부 양쪽에는 각각 방풍부재 고정홈(44)이 형성되고, 상기 방풍부재 고정홈(44)에는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60)의 대향 면과 접하는 방풍부재(70)가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방풍부재(7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모헤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그 종류나 형태에 제한이 없다.
상기 방풍 단열부재(40)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평 플레이트(41)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하향 돌출된 수직 결속돌기(4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10)의 레일 바닥부(11) 및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20)의 레일 바닥부(21)에는 각각 상기 수직 결속돌기(45)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직 방향의 단열부재 고정홈(16)(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방풍 단열부재(40)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각 창호프레임(10)(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역순으로 하면 각 창호프레임(10)(20)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방풍 단열부재(40)를 비롯하여 각 창호프레임(10)(20)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창호 프레임은 물 빠짐 기능과 역류 방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생산성과 조립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10)은, 외측의 가이드레일(50)을 지지하는 수평면 상의 레일 바닥부(11)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바닥부(11)에는 물 빠짐용 수직 홀(12)이 천공된다.
상기 레일 바닥부(11)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13)는 상기 레일 바닥부(11)의 하단면과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동시에 실외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 바닥부(11) 및 베이스부(13) 사이에는 수직한 지지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4)에는 물 빠짐용 수평 홀(15)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레일 바닥부(11)와 베이스부(13) 사이에는 빗물이나 결로수를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외측 공간(S10)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20)도 내측의 가이드레일(50)을 지지하는 수평면 상의 레일 바닥부(21)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바닥부(21)에는 물 빠짐용 수직 홀(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레일 바닥부(21)의 하부에는 베이스부(23)가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23)는 상기 레일 바닥부(21)의 하단면과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닥부(21) 및 베이스부(23) 사이에는 수직한 지지벽(2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14)에는 물 빠짐용 수평 홀(25)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레일 바닥부(21)와 베이스부(23) 사이에는 빗물이나 결로수를 모아서 상기 외측 공간(S10) 쪽으로 유도하는 내측 공간(S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10)과 내측 창호프레임(20) 사이에는 상기 방풍 단열부재(40)의 하단면과 이격 설치된 프레임 단열재(30)가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방풍 단열부재(40)와 단열재(30) 사이에는 연결 공간(S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방풍 단열부재(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수평 플레이트(4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41)의 양쪽 부분이 각각 상기 외측의 레일 바닥부(11) 및 내측의 레일 바닥부(21)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수평 플레이트(41)에 물 빠짐용 수직 홀(42)이 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각의 창호 프레임(10)(20)에서 레일 바닥부(11)(21)에 떨어진 빗물이나 결로수는 각각의 수직 홀(12)(22)을 통해 외측 공간(S10)과 내측 공간(S20)으로 유도되고, 또한 각 창호프레임(10)(20) 사이에 떨어진 물은 방풍 단열부재(40)의 수직 홀(42)을 통해 연결 공간(S30)으로 유도된다.
이어서 각각의 공간(S10)(S20)(S30)에 수집된 물은 수평 홀(15)(25)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바람이 세게 부는 날에는 강풍이 최 외측의 수평 홀(15)로 유입되어 빗물이나 결로수가 역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의 레일 바닥부(11)의 최외측 하단면에는 가스켓 고정홈(17)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 고정홈(17)에는 가스켓(80)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속된다.
상기 가스켓(80)은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10)의 최외측 지지벽(14)에 형성된 수평 홀(15)의 바깥쪽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데, 이때 가스켓(80) 날개 부분이 원호 형태로 되어 있어서 수평 홀(15)의 바깥쪽을 볼록한 형태로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강풍이 불더라도 상기 수평 홀(15)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바람이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의 요부 조립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구조는, 상기 방풍 단열부재(40)의 결속 방식을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구조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41)의 양쪽 단부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결속돌기(46)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10)의 레일 바닥부(11) 및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20)의 레일 바닥부(21)에는 각각 측면이 개방된 수평 방향의 단열부재 고정홈(16)(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 결속돌기(46)가 상기 수평 방향의 단열부재 고정홈(16)(26)에 삽입되는 형태로 하여 방풍 단열부재(4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외측 창호프레임 11: 레일 바닥부 12: 수직 홀
13: 베이스부 14: 지지벽 15: 수평 홀
16: 단열재 고정홈 17: 가스켓 고정홈
20: 내측 창호프레임 21: 레일 바닥부 22: 수직 홀
23: 베이스부 24: 지지벽 25: 수평 홀
26: 단열재 고정홈 30: 프레임 단열재
40: 방풍 단열부재 41: 수평 플레이트 42: 수직 홀
43: 수직 플레이트 44: 방풍부재 고정홈
45: 수직 결속돌기 46: 수평 결속돌기
50: 가이드레일 60: 창문 도어 프레임 61: 롤러
70: 방풍부재 80: 가스켓 81: 가스켓 플레이트
S10: 외측 공간 S20: 내측 공간 S30: 연결 공간

Claims (8)

  1. 실외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외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외측 창호프레임; 실내 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내 측 창문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내측 창호프레임;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호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방풍 단열부재; 가 결합된 창호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은,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수평면 상에 수직 홀이 천공된 레일 바닥부와, 상기 레일 바닥부의 하단면과 이격 설치되고 실외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베이스부와, 상기 레일 바닥부 및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 홀이 천공된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바닥부, 베이스부 및 지지벽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은,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수평면 상에 수직 홀이 천공된 레일 바닥부와, 상기 레일 바닥부의 하단면과 이격 설치된 수평면 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레일 바닥부 및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 홀이 천공된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바닥부, 베이스부 및 지지벽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의 레일 바닥부의 최외측 하단면에 가스켓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 고정홈에는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의 최외측 지지벽에 형성된 수평 홀의 바깥쪽을 커버하는 가스켓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가스켓 날개 부분이 원호 형태로 되어 상기 수평 홀의 바깥쪽에서 볼록한 형태로 차단하게 함으로써 실외 측으로 배수 가능한 동시에 실내 측으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풍 단열부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단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부가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의 대향 면과 접하게 된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 양쪽에 각각 방풍부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풍부재 고정홈에는 상기 실내 및 실외 측의 각 창문 도어 프레임의 대향 면과 접하는 방풍부재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양쪽 단부에서 각각 하향 돌출된 수직 결속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의 레일 바닥부 및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의 레일 바닥부에는 각각 상기 수직 결속돌기가 내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직 방향의 단열부재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양쪽 단부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결속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의 레일 바닥부 및 상기 내측 창호프레임의 레일 바닥부에는 각각 상기 수평 결속돌기가 내입되도록 측면이 개방된 수평 방향의 단열부재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창호프레임과 내측 창호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방풍 단열부재의 하단면과 이격 설치된 프레임 단열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풍 단열부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고 상기 외측의 레일 바닥부 및 내측의 레일 바닥부에 결속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는 수직 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구조.
  8. 삭제
KR1020160062322A 2016-05-20 2016-05-20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87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22A KR101872970B1 (ko) 2016-05-20 2016-05-20 창호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22A KR101872970B1 (ko) 2016-05-20 2016-05-20 창호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03A KR20170131103A (ko) 2017-11-29
KR101872970B1 true KR101872970B1 (ko) 2018-06-29

Family

ID=6081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322A KR101872970B1 (ko) 2016-05-20 2016-05-20 창호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9156A (zh) * 2018-10-31 2019-01-15 安徽东耀建材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用的断桥铝合金的干燥方法
CN110017089A (zh) * 2019-05-17 2019-07-16 湖州诺美诺建材科技有限公司 边固提升推拉门
CN110118051A (zh) * 2019-06-17 2019-08-13 周志高 一种多道密封整体迂回排水推拉窗
KR102145243B1 (ko) * 2020-04-14 2020-08-18 김병철 교실용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61A (ja) 2002-03-26 2003-10-02 Tateyama Alum Ind Co Ltd サッシ窓の嵌殺し障子の排水装置
KR200340252Y1 (ko) 2003-08-27 2004-01-3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외부커버
KR100789439B1 (ko) 2007-04-25 2007-12-28 주식회사 대지 다 기능성 알루미늄 창호 시스템
KR101421247B1 (ko) 2013-08-22 2014-07-22 윤정록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61A (ja) 2002-03-26 2003-10-02 Tateyama Alum Ind Co Ltd サッシ窓の嵌殺し障子の排水装置
KR200340252Y1 (ko) 2003-08-27 2004-01-3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외부커버
KR100789439B1 (ko) 2007-04-25 2007-12-28 주식회사 대지 다 기능성 알루미늄 창호 시스템
KR101421247B1 (ko) 2013-08-22 2014-07-22 윤정록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03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70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US9453360B2 (en)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JP3257973B2 (ja) 複合窓の排水構造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JP4553885B2 (ja) 建造物の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CN1661194B (zh)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JP5290736B2 (ja) 建具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1302341B1 (ko)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20100037755A (ko)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872968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JP3664637B2 (ja) サッシュ構造
KR102483847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