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755A -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755A
KR20100037755A KR1020080097004A KR20080097004A KR20100037755A KR 20100037755 A KR20100037755 A KR 20100037755A KR 1020080097004 A KR1020080097004 A KR 1020080097004A KR 20080097004 A KR20080097004 A KR 20080097004A KR 20100037755 A KR20100037755 A KR 2010003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ntral horizontal
horizontal portion
cold bridge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219B1 (ko
Inventor
임병근
유인형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102008009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2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7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held in position by deformation of portions of the metal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6EPM, i.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EPDM, i.e.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EPT, i.e. ethylene-propylene ter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는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미서기 창호, 단열, 냉교 차단

Description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Cold bridge blocking member and, sliding windo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는 창틀이 슬라이딩됨으로써 개폐되는 창호를 뜻한다. 상기 미서기 창호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틀을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최근에 고층건물에도 시공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층건물에 시공되는 미서기 창호(10)는 사각형의 프레임(11)(12)과, 프레임(11)(12)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재(13)와, 수평재(13)에 설치된 레일 플랫폼(15)과, 레일 플렛폼(15)에 설치된 레일을 포함한다. 프레임(11)(12)은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로 이루어진다.
수평재(13)의 아래에는 고정창틀(16)이 설치되고, 수평재(13)의 위에는 슬라 이딩 가능한 창틀(17)이 설치된다. 즉, 수평재(13)의 위에 설치된 창틀(17)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창호를 개폐한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부에는 강한 바람이 불게 되는데, 상기 미서기 창호(10)는 수직부재(11)가 강한 바람에 의하여 잘 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 바깥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의하여 수직부재(11)가 건물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화살표는 건물 바깥쪽에서 불고 있는 바람을 나타내고, 점선은 상기 바람에 의하여 휘어진 수직부재(11)를 나타낸다.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프레임에 제1,2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프레임을 보강한 새로운 미서기 창호를 개발하였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되고 제2 지지부재는 프레임에 가로로 설치된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본 출원과는 별개로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될 것이다. 상기 미서기 창호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지지부재는 본체와, 본체의 건물 바깥쪽 면에 마련된 제1 외측부 및, 본체의 건물 안쪽면에 마련된 제1 내측부를 구비하고, 수평부재는 중앙수평부와, 중앙수평부의 건물 바깥쪽 면에 마련된 외측 수평부, 및 중앙수평부의 건물 안쪽 면에 마련된 내측 수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내측의 중앙 수 평부와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제1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유리가 설치되는데, 양측 중 어느 한쪽의 유리는 제1 외측부에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의 유리는 제1 내측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양쪽의 유리 사이에는 간격(도 5의 G)이 생긴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의 중앙 수평부는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나머지 한쪽은 실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와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 사이 및,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열전달을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가로로 설치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재는, 본체; 본체의 건물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5)(27)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1 외측부; 및 본체의 건물 안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6)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1 내측부;를 포함하고, 수평부재는, 본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본체의 세로폭(H)과 대응되는 폭(H)을 가지며, 내부에는 내부중공이 형성된 중앙 수평부; 제1 외측부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평부의 건물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5)(27)를 고정하는 외측 수평부; 및 제1 내측부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 평부의 건물 안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6)를 고정하는 내측 수평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의 상기 내부중공에는 중앙 수평부를 통하여 실외와 실내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이루어진 냉교 차단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냉교 차단부재는, 내부중공의 아랫면에 접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내부중공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중공의 단면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중앙 수평부의 윗면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본체는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되며, 냉교 차단부재는 절개부에 설치되되,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라인(130)이 형성되고, 냉교 차단부재는 돌출라인(130)이 내부중공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 상면의 물이 내부중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바닥부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를 결합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냉교 차단부재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냉교 차단부재는,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의 본체와 상기 프레임의 중 앙 수평부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되, 중앙 수평부의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내측 중앙 수평부와 실외측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냉교 차단부재는, 내부중공의 아랫면에 접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내부중공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중공의 단면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중앙 수평부의 윗면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본체는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되며,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라인(130)이 형성되고, 돌출라인(130)이 내부중공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 상면의 물이 내부중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바닥부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를 결합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는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와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건물 바깥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의하여 수직프레임(11)이 건물 안쪽으로 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2 지지부재(30)(40)에 의하여 보강된 미서기 창호(200)를 개발하였다. 제1 지지부재(30)는 프레임(2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2 지지부재(40)는 프레임(2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1 지지부재(30)의 좌우 양측에는 유리(25, 26, 27, 28)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30)의 좌우 양측의 유리(25)(26)는 간격(G)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30)를 중심으로 중앙 수평부(21a)의 일측은 실내에 있 게 되고 중앙 수평부(21a)의 타측은 실외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21a)는 온도차이가 있게 되고, 이러한 온도차이에 의하여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21a)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본체(32)가 직접 접하도록 설치되면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본체(32)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냉교 차단부재(100)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200)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100)는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실내측의 중앙 수평부(21a) 사이의 열전달 및 실외측의 중앙 수평부(21a)와 본체(32)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이러한 냉교 차단부재(100)는 미서기 창호(200)에 채용되는 것이므로 아래에서는 미서기 창호(200)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냉교 차단부재(100)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미서기 창호(200)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프레임(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2 지지부재(30)(40) 및, 상기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프레임(20)의 수평부재(21)에 설치된 냉교 차단부재(100)를 포함한다.
프레임(20)은 수평부재(21)와 수직부재(23)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조립되어서 이루어진다. 수평부재(2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수직부재(23)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프레임(20)은 제1,2 지지부재(30)(40)에 의하여 네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데, 아래쪽의 두 구역에는 고정유리(25)(26)가 설치되고 위쪽의 두 구역 중 좌측에는 고정유리(27)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창틀(28a)이 설치된다.
수평부재(21)는 본체(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중앙 수평부(21a)와, 제1 외측부(34)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평부(21a)의 건물 바깥쪽 면에 마련되어 유리(25)를 고정하는 외측 수평부(21b) 및, 제1 내측부(31)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평부(21a)의 건물 안쪽 면에 마련되어 유리(26)를 고정하는 내측 수평부(21c)를 포함한다. 외측 수평부(21b)의 내부와 내측 수평부(21c)의 내부에는 각각 중공(21m)(21p)이 형성된다.
중앙 수평부(21a)의 내부에는 내부중공(21n)이 형성된다. 중앙 수평부(21a)는 본체(32)의 세로폭(H)과 동일한 폭(H)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본체(32)의 하단이 내측 수평부(21c) 및 외측 수평부(21b)에 접하게 된다.
본체(32)와 대응되는 중앙 수평부(21a)에는 절개부(도 13의 21f)가 형성된다. 절개부(21f)는 냉교 차단부재(100)의 가로폭(도 11의 S)과 동일한 가로폭(P)을 가진다. 즉, 절개부(21f)에는 냉교 차단부재(100)가 삽입되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절개부(21f)에 냉교 차단부재(100)가 끼워맞춤된 후 본체(32)가 삽입되는데, 이 점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지지부재(30)는 한 쌍의 수평부재(21)를 서로 연결하도록 프레임(20)에 세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1 지지부재(30)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1 지지부재(30)는 제1 내측부(31)와, 본체(32) 및, 제1 외측부(34)를 포함한다. 제1 내측부(31)와 본체(32)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3)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고, 본체(32)와 제1 외측부(34)는 단열부재(35)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 지지부재(30)는 건물의 고층부에서 부는 바람에도 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와 지지력 및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제1 내측부(31)는 본체(32)의 건물 안쪽면에 마련된다. 제1 내측부(31)는 아래쪽의 수평부재(21)에서부터 제2 내측부(41)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제2 내측부(41)를 지지한다. 제1 내측부(31)에는 유리(26)가 고정된다.
본체(32)는 제1 내측부(31)의 건물 바깥쪽면에 결합되되, 한 쌍의 수평부재(21)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본체(32)는 냉교 차단부재(100)에 삽입될 수 있는 가로폭(S1)을 가지고, 중앙 수평부(21a)와 동일한 세로폭(H)을 가진다. 따라서, 본체(32)의 하단이 절개부(21f)에 삽입되면 본체(32) 하단의 좌우 양측면은 냉교 차단부재(100)에 둘러싸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체(32)의 하단에는 체결부재(도 13의 32b)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32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32b)는 중앙 수평부(21a)와 냉교 차단부재(100)를 관통하여 체결공(32a)에 체결됨으로써 본체(32)와 냉교 차단부재(100) 및 중앙 수평부(21a)를 결합한다.
본체(32)의 측면에는 삽입부(37)가 본체(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삽입부(37)는 'ㄱ'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삽입부(37)에는 단열가스켓(61)이 삽입된다. 단열가스켓(61)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외측부(34)는 본체(32)의 건물 바깥쪽 면에 마련된다. 제1 외측부(34)는 유리(25)(27)를 고정하기 위한 홈(34a)을 형성한다. 상기 홈(34a)의 양측에는 유 리(25)(27)를 고정하기 위한 유리고정부재(36)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유리고정부재(36)는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제1 외측부(34)는 단열부재(35)에 의해서만 본체(32)에 연결된다. 제1 지지부재(30) 즉, 제1 외측부(34)와 본체(32) 및 제1 내측부(31)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제1 외측부(34)와 본체(32)를 단열부재(35)만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외측부(34)와 본체(32)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제1 외측부(34)와 본체(32)를 연결하는 공간(35a)에 단열소재를 액체상태로 사출한 후, 상기 단열소재가 굳으면 빗금친 부분(35b)을 절취하여 단열부재(35)에 의해서만 본체(32)와 외측부(34)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열부재(35)로는 구조용 고강도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SU 301, 311, 315, 207(한국 아존 주식회사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외측부(46)의 끝단은 본체(3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1 내측부(31)의 상단이 제2 내측부(41)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본체(32)가 제2 내측부(41)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본체(32)가 건물 바깥쪽에 설치되고 제2 내측부(41)가 건물 안쪽에 설치되되, 본체(32)가 제2 내측부(41)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본체(32)가 제2 내측부(41)에 의하여 지지되면 수직부재(23)가 외부의 바람에 의하여 건물 안쪽으로 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40)가 건물 안쪽에 설치되고 제1 지지부재(30)가 건물 바깥쪽에 설치되되 제1 지지부재(30)가 제2 지지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면 수직부재(23)가 외부의 바람에 의하여 건물 안쪽으로 휘는 것 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서기 창호(200)는 본체(32)의 측면과 제1 외측부(34)의 측면을 덮는 덮개부재(60)를 구비한다.
덮개부재(6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32)의 측면과 제1 외측부(34)의 측면을 덮도록 제1 지지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덮개부재(60)는 위쪽의 수평부재(21)에서부터 아래쪽의 수평부재(21)까지 설치되되, 제1 지지부재(3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유리의 간격(G)과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덮개부재(60)에는 덮개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62)가 형성되고, 돌출부(62)의 선단에는 단열가스켓(61)이 설치된다. 돌출부(62)는 삽입부(37)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단열가스켓(61)은 삽입부(37)에 삽입되어 삽입부(37)와 밀착 결합될 수 있는 단열재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열가스켓(61)에 의해서 실내와 실외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단열가스켓(61)에 의하여 돌출부(62)와 삽입부(37)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 사이의 공기 이동도 차단된다.
덮개부재(60)의 한쪽 끝단은 체결부재(65)에 의하여 제1 외측부(3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60)와 제1 외측부(34)가 체결부재(6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본체(33)가 건물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1 외측부(34)가 단열부재(35)에 의해서만 본체(33)에 연결되며 덮개부재(60)가 단열가스켓(61)에 의하여 본체(33)에 연결됨으로써 건물 외부와 실내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부(62)의 하단과 삽입부(37)의 하단은 본체(32)의 하단보다 미리 정해진 높이 예를 들어, 대략 10cm 정도 상측에 위치한다. 이것은 본체(32)의 하단이 절개부(21f)에 삽입된 경우에 덮개부재(60)와 본체(3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우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덮개부재(60)의 하단은 아래쪽의 수평부재(21)에 접하는데, 상기 접하는 부분에서 덮개부재(60)와 본체(32) 사이의 공간은 우수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이 점은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제2 지지부재(40)는 한 쌍의 수직부재(23)를 서로 연결하도록 프레임(20)에 가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2 지지부재(40)는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2 지지부재(40)는 양쪽의 수직부재(23)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부재(30)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1 지지부재(30)가 건물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 있다. 제2 지지부재(40)는 건물의 고층부에서 부는 바람에도 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와 강성 및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 제2 지지부재(40)는 제2 내측부(41)와 제2 외측부(46)를 포함한다. 제2 내측부(41)는 한 쌍의 수직부재(23)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 4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내측부(41)의 상면에는 레일(42a)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용 요홈라인(42)과, 우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측거터(43)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라인(42)에는 창틀(28a)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레일(42a)이 설치된다. 요홈라인(42)은 제2 내측부(4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내 측부(41)에는 레일용 요홈라인(42)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레일(42a)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 플랫폼(도 1의 15)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즉, 종래의 미서기 창호(10)는 수평재(13)에 레일 플랫폼(15)을 설치하고 레일 플랫폼(15)에 레일을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내측부(41)는 일체로 형성된 레일용 요홈라인(42)을 구비하기 때문에 별도의 레일 플랫폼(15)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미서기 창호(200)는 그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비용도 작게 소요된다.
한편, 레일용 요홈라인(42)에 레일(42a)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2 내측부(41)의 상면에 레일(42a)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레일 플랫폼(도 1의 15)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일용 요홈라인(42)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더 단순해지고 제조비용도 더 줄어들 수 있다.
내측거터(43)는 우수 등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일(42a)을 따라 레일(42a)의 건물 바깥쪽 방향에 형성된 요홈라인이다. 내측거터(43)는 격벽(43a)에 의하여 외측거터(47)와 구획된다. 한편, 도 8과 도 9에서 화살표는 내측거터(43)와 외측거터(47)에서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내측거터(43)에 모여진 물은 격벽(43a)에 형성된 위프홀(weep hole)(43c)을 통하여 외측거터(47)로 이동된 후 다공성부재(39)로 떨어지거나, 연통부(43b)를 통하여 배출된 후 다공성 부재(39)로 떨어진다. 위프홀(weep hole)(43c)은 격벽(43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43b)는 격벽(43a)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제1 지지부재(30)와 제2 지지부재(40)가 만나는 지점과 근접한 곳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연통부(43b)에는 물막이 블록(49)이 설치된다. 물막이 블록(49)은 연통부(43b)를 완전히 막지 않도록 연통부(43b)의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물막이 블록(49)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의 내측거터(43)에 모여진 물은 물막이 블록(49)에 의하여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연통부(43b)를 통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제2 외측부(46)는 제2 내측부(41)의 건물 바깥쪽면에 결합된다. 제2 외측부(46)에는 고정유리(25)(27)를 설치하기 위한 요홈(48)이 형성된다.
제2 외측부(46)와 제2 내측부(41)의 상기 결합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외측부(46)는 한 쌍의 수직부재(23) 중 어느 하나에서부터 본체(32)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외측부(46)의 끝단과 본체(32)를 볼트 등으로 결합시키면 본체(32)가 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외측부(46)에는 우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측거터(47)가 형성된다. 외측거터(47)는 격벽(43a)에 의하여 내측거터(43)와 구획된다. 외측거터(47)는 제2 외측부(46)에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요홈라인이다.
제2 지지부재(40)의 상면으로 침투한 우수는 내측거터(43)와 외측거터(47)로 모아진 후 다공성부재(39)로 떨어진다. 상기 다공성부재(39)는 제1 지지부재(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가 타고 흘러내릴 수 있다.
다공성 부재(39)는, 도 5와 도 6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통부(43b) 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측거터(43) 및/또는 외측거터(47)를 통하여 이동된 우수는 다공성 부재(39)에 떨어진 후 아래로 이동된다. 다공성부재(39)는 다수의 공극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가 천천히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다공성 부재(39)로는 오픈셀 스폰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오픈셀 스폰지는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통상적인 스폰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공성 부재(39)는 그 하단이 수평부재(21)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다공성 부재(39)를 타고 아래로 이동된 우수는 중앙 수평부(21a) 상면을 따라 이동하되, 덮개부재(60)와 본체(32)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한다.
이어서, 우수는 외측 수평부(21b)에 설치된 다공성 부재(29)를 타고 외측 수평부(21b)의 중공(21m)으로 이동하고, 상기 중공(21m)으로 이동한 우수는 외측 수평부(21b)에 형성된 배출공(21d)을 통하여 건물 바깥으로 배출된다. 한편, 다공성 부재(29)는 덮개부재(60)와 본체(32) 사이의 공간을 중공(21m)에 연결하도록 외측 수평부(21b)에 설치된 부재이다. 따라서, 덮개부재(60)와 본체(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된 우수는 다공성부재(29)를 통하여 중공(21m)에 유입된다. 다공성 부재(29)는 오픈셀 스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 참조부호 21e는 본체(32)와 중앙 수평부(21a)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실리콘을 나타낸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32)는 중앙 수평부(21a)에 연결된다. 이 때, 냉교 차단부재(100)가 설치되지 않으면 실외측 중앙 수평부(21a)와 본체(32) 사이 및 실외측 중앙 수평부(21a)와 실내측 중앙 수평부(21a)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난다. 이것은 제1 지지부재(30)를 중심으로 일측의 중앙 수평부(21a)는 실외에 위치하고 타측의 중앙 수평부(21a)는 실내에 위치하기 때문인데, 이 점은 전술한 바 있다.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32)의 하단이 중앙 수평부(21a)의 내부중공(21n)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실외측 중앙 수평부(21a)가 본체(32)에 직접 접하기 때문에 실외의 냉기가 본체(32)를 경유하여 실내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32)의 하단이 중앙 수평부(21a)의 상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실외측 중앙 수평부(21a)의 냉기가 실내측 중앙 수평부(21a)로 전달되어 실내로 용이하게 전달되거나 본체(32)를 경유하여 용이하게 실내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냉교 차단부재(1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열전달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교 차단부재(100)는 내부중공(21n)의 아랫면에 접하는 바닥부(110) 및, 바닥부(110)의 양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내부중공(21n)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중공(21n)의 단면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냉교 차단부재(100)는 절개부(21f)에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는데, 냉교 차단부재(100)는 절개부(21f)의 가로폭(P)과 동일한 가로폭(S)을 가지고, 중앙 수평부(21a)의 폭(H)과 동일한 세로폭(R)을 가진다. 또한, 냉교 차단부재(100)는 바닥부(110)가 내부중공(21n)의 아랫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경우에 그 상단이 중앙 수평부(21a)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는 높이(U)를 가진다.
아울러, 냉교 차단부재(100)는 본체(32)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가로폭(S1)을 가진다. 즉, 본체(32)가 냉교 차단부재(100)에 설치되면 본체(32)의 양측면에는 측면부(120)가 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냉교 차단부재(100)는 측면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라인(130)을 구비한다. 돌출라인(13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또한, 냉교 차단부재(100)의 바닥부(110)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관통공(112)에는 체결부재(32b)가 설치된다. 체결부재(32b)는 중앙 수평부(21a)와 관통공(112)과 체결공(32a)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중앙 수평부(21a)와 냉교 차단부재(100)와 본체(32)를 결합한다.
냉교 차단부재(100)는 절개부(21f)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플렉스블(flexible)하면서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로 만들어진다.
도 13은 상기 냉교 차단부재가 중앙 수평부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13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외측 수평부(21b)의 덮개(도 6의 21h)는 그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32)의 하단은 바닥부(110)에 의하여 지지되고, 돌출라인(130)은 내부중공(21n)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게 된다. 돌출라인(130)이 내부중공(21n)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중앙 수평부(21a) 상면의 우수가 내부중공(21n)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중앙 수평부(21a)에 냉교 차단부재(100)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냉교 차단부재는 중앙 수평부(21a)와 외측 수평부(21b) 및 내측 수평부(21c)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즉, 냉교 차단부재는 내부중공(21n)과 중공(21m)(21p)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냉교 차단부재가 외측 수평부(21b) 및 내측 수평부(21c)에 설치되는 것은 전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서기 창호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미서기 창호에 구비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V-V' 단면도.
도 6은 제1 지지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수평부재의 중앙 수평부와 외측부수평부 및 내측 수평부를 보여준다.
도 7은 제2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제2 지지부재에 모인 우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제2 지지부재에 모인 우수가 다공성 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와 도 10b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냉교 차단부재가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교 차단부재가 설치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레임 30 : 제1 지지부재
40 : 제2 지지부재 60 : 덮개부재
100 : 냉교 차단부재 200 : 미서기 창호

Claims (9)

  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가로로 설치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재는,
    본체;
    본체의 건물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5)(27)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1 외측부; 및
    본체의 건물 안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6)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1 내측부;를 포함하고,
    수평부재는,
    본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본체의 세로폭(H)과 대응되는 폭(H)을 가지며, 내부에는 내부중공이 형성된 중앙 수평부;
    제1 외측부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평부의 건물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5)(27)를 고정하는 외측 수평부; 및
    제1 내측부와 대응되도록 중앙 수평부의 건물 안쪽 면에 형성되고, 유리(26)를 고정하는 내측 수평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의 상기 내부중공에는 중앙 수평부를 통하여 실외와 실내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이루어진 냉교 차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냉교 차단부재는,
    내부중공의 아랫면에 접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내부중공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중공의 단면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중앙 수평부의 윗면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본체는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되며,
    냉교 차단부재는 절개부에 설치되되,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라인(130)이 형성되고,
    냉교 차단부재는 돌출라인(130)이 내부중공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 상면의 물이 내부중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미서기 창호.
  4. 제2항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를 결합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교 차단부재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6.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의 본체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되, 중앙 수평부의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 및 실내측 중앙 수평부와 실외측 중앙 수평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교 차단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냉교 차단부재는,
    내부중공의 아랫면에 접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각각 형성되되, 내부중공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중공의 단면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본체와 중앙 수평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중앙 수평부의 윗면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본체는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되며,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내부중공에 삽입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와 본체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교 차단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라인(130)이 형성되고,
    돌출라인(130)이 내부중공의 윗면과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중앙 수평부 상면의 물이 내부중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교 차단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바닥부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중앙 수평부와 본체를 결합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교 차단부재.
KR1020080097004A 2008-10-02 2008-10-02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075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04A KR101075219B1 (ko) 2008-10-02 2008-10-02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04A KR101075219B1 (ko) 2008-10-02 2008-10-02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55A true KR20100037755A (ko) 2010-04-12
KR101075219B1 KR101075219B1 (ko) 2011-10-19

Family

ID=4221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004A KR101075219B1 (ko) 2008-10-02 2008-10-02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2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62B1 (ko) * 2014-08-28 2015-03-16 주식회사 동영강화도어 도어용 단열프레임
KR20170131961A (ko) *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200143848A (ko) * 2019-06-17 2020-12-28 박태엽 창호용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13B1 (ko) * 2012-12-28 2013-10-11 김재웅 탄소발열복층유리
KR101953406B1 (ko) * 2014-12-05 2019-03-0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873023B1 (ko) * 2017-09-27 2018-07-02 서석주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976Y1 (ko) * 1997-06-20 1999-09-15 주병력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의 단열 연결구조
KR200341289Y1 (ko) 2003-10-10 2004-02-11 박성진 창문틀용 중간바 연결구
KR200344361Y1 (ko) 2003-11-01 2004-03-10 박성진 창문용 중간바 연결구
KR200426906Y1 (ko) * 2006-07-10 2006-09-18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62B1 (ko) * 2014-08-28 2015-03-16 주식회사 동영강화도어 도어용 단열프레임
KR20170131961A (ko) *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200143848A (ko) * 2019-06-17 2020-12-28 박태엽 창호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219B1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219B1 (ko)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100975604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982094B1 (ko) 복합 프레임을 구비하는 커튼월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JP3257973B2 (ja) 複合窓の排水構造
KR101045292B1 (ko) 미서기 창호에 구비되는 단열 가스켓의 설치구조
CN1661194B (zh)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003332B1 (ko) 이중개폐 시스템창호의 시공구조
KR20170131103A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302341B1 (ko)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218517B1 (ko) 시스템 창호에서의 비바람 유입 방지형 배수 캡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2008127903A (ja) 建具
KR20024263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101591521B1 (ko) 배수구조를 갖는 창호 프레임
KR102643432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WO2013081337A1 (en) Sliding system window having drain hole cap for high-rise building
KR101073061B1 (ko) 변형방지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JP2021055391A (ja) 下枠の排水構造
JPS6240064Y2 (ko)
KR102030411B1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