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023B1 -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023B1
KR101873023B1 KR1020170125471A KR20170125471A KR101873023B1 KR 101873023 B1 KR101873023 B1 KR 101873023B1 KR 1020170125471 A KR1020170125471 A KR 1020170125471A KR 20170125471 A KR20170125471 A KR 20170125471A KR 101873023 B1 KR101873023 B1 KR 10187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vertical
b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주
Original Assignee
서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주 filed Critical 서석주
Priority to KR102017012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설치홈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도록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설치홈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리부재;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마감부; 및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SASH WITH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가 새시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람이 새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패널을 사용하여 창문 또는 도어를 지지하는 창틀을 제조하고, 창틀에 의한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기능을 제공하고, 창호의 제작 및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 것으로,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창호는 제작에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 넓게는 목제 창호, 금속제 창호 및 플라스틱 창호 등으로 분류되며,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용 프레임과 창호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유리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호용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사각체의 틀로 짜여 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 절곡하여 스테인리스 외장프레임을 제작하고, 스테인리스 외장프레임의 내부에는 스틸 판재를 절단 절곡하여 동일한 형태로 제작한 스틸 보강프레임을 끼움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일측에 유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리를 기준으로 전후 양측이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접하게 되는데, 창호용 프레임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내외 간의 온도 차이를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스틸 보강프레임이 쉽게 녹이 슬고 녹물이 흘러내리며, 열전도 현상에 의해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219379호(등록일자: 2013.01.02)에 게재된 바와 같이 중앙에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설치하여 분리된 양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동시에 프레임 상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여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23호(2015년 01월 2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위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는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통해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고, 바람이 부는 날에는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프레임을 통해 이루어지는 열전도를 억제하기 위하여 프레임 외면에 별도의 외장프레임을 설치하기 때문에 프레임과 외장프레임 사이의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창호의 제작이 용이치 않으며 창호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우수가 새시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람이 새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패널을 사용하여 창문 또는 도어를 지지하는 창틀을 제조하고, 창틀에 의한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기능을 제공하고, 창호의 제작 및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설치홈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도록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설치홈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리부재;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마감부; 및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부재는, 건물의 개구부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교차되게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리부재가 설치되어 도어를 이루는 도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침수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른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시트; 상기 실링시트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시트에 안착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프레임은,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 복수 개의 상기 도어수직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상단바;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어수직바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하단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상단바는, 상기 도어수직바에 연결되고, 상기 유리부재가 설치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는 보강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실링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하단바는, 상기 도어수직바에 연결되고, 상기 유리부재가 설치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며, 상기 간격바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실링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물의 개구부에 격자 모양의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b) 격자 모양으로 조립된 상기 프레임부재를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 도어상단바 및 도어하단바를 조립하여 도어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도어프레임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레임부재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유리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침수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른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시트; 상기 실링시트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시트에 안착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c) 단계는, 상기 도어수직바와 상기 도어상단바 또는 상기 도어하단바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수직바와 상기 도어상단바 또는 상기 도어하단바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은,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위를 마감하여 우수 및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비가 오는 날이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통해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새시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냉방 및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스테인리스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널본체에 복수 개의 방지홀부를 연속되게 가공하고 복수 개의 방지홀부가 설치홈부의 내벽 전체에 배치되도록 패널본체를 굴곡시켜 프레임부재를 제작하므로 프레임부재를 따라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실외의 냉기 또는 열기가 프레임부재를 따라 전도되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설치홈부에 설치되는 몰딩부재에 삽입돌기부가 구비되어 방지홀부에 걸림결합되므로 몰딩부재를 설치홈부에 설치한 후에 몰딩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몰딩부재의 분리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설치홈부에 열전도방지부가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를 도어가 설치되는 현관, 미닫이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틀 및 여닫이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틀에 적용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창호에서 열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패널본체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는 설치홈부를 3줄 가공하고, 각각의 줄 사이의 간격에 가공홈부를 형성하여 패널본체를 굴곡시키므로 설치홈부가 구비되는 프레임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부재에 설치홈부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가 도시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D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E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F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프레임부재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가 도시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부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D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E부의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F부의 상세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패널본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프레임부재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설치홈부(16)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0)와, 프레임부재(10)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홈부(16)에 삽입되거나 설치홈부(16)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리부재(90)와, 설치홈부(16)에 삽입되고 유리부재(90)와 프레임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마감부(50)와, 프레임부재(10)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17)과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8)을 직교되게 연결하여 격자 모양의 프레임부재(10)를 조립하는데, 이때,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의 연결부위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부재(10)는, 건물의 개구부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7)과, 수직프레임(17)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수직프레임(17)과 교차되게 연결되는 수평프레임(18)과,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리부재(90)가 설치되어 도어를 이루는 도어프레임(70)을 포함한다.
따라서 건물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유리부재(90)가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되고, 프레임부재(10)의 중앙부 측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도어프레임(7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 또는 창문을 이루게 된다.
도어프레임(70)은, 도어에 설치되는 유리부재(90)를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프레임부재(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70a)와,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70a)의 상단을 연결하고, 프레임부재(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상단바(70b)와,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70a)의 하단을 연결하고, 프레임부재(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하단바(70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70)은, 한 쌍의 도어수직바(70a)가 간격을 유지하면 직립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도어수직바(70a) 상단을 연결하도록 도어상단바(70b)가 설치되며, 한 쌍의 도어수직바(70a) 하단을 연결하도록 도어 하단바가 설치된다.
한 쌍의 도어수지바, 도어상단바(70b) 및 도어하단바(70c)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유리부재(90)가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수직바(70a)와 도어상단바(70b) 사이의 간격, 및 도어수직바(70a)와 도어하단바(70c)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우수 및 바람이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침수방지부는,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에 안착되고,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른 수평프레임(18) 또는 수직프레임(17)과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시트와, 실링시트를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실링시트에 안착되는 고정패널과, 고정패널 및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7)의 단부를 수평프레임(18)의 측면에 결합시킬 때에는 수직프레임(17)의 상단에 실링시트를 안착시키고, 실링시트의 상면에 고정패널을 안착시킨 후에 고정패널 및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7)의 단부에 체결부재를 결합시켜 수직프레임(17)의 단부에 실링시트 및 고정패널을 결합시킨다.
이후에, 수직프레임(17)의 단부를 수평프레임(18)의 측면에 결합시키면 실링시트가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면서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내부에 실링시트가 배치되어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므로 프레임부재(10)의 외벽에 실리콘 등의 방수재를 도포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프레임부재(10)에 형성되는 간격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링시트는,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재단하여 제공하고, 고정패널은,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 단면적과 소량 좁게 형성되므로 고정패널을 수직프레임(17) 또는 수평프레임(18)의 단부에 결합시키면 실링시트의 테두리가 고정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의 간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도어상단바(70b)는, 도어수직바(70a)에 연결되고, 유리부재(90)가 설치되는 장착홈부(72a)가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8)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72)와, 도어본체(72)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도어본체(72)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는 보강바(75)와, 도어본체(72) 및 보강바(75)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74)와, 도어본체(72) 및 보강바(75)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76a)가 구비되는 설치바(76)와, 실링홈부(76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본체(72) 및 보강바(75)의 개구부를 통해 수평프레임(18)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78)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하단바(70c)는, 도어수직바(70a)에 연결되고, 유리부재(90)가 설치되는 장착홈부(72a)가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8)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72)와, 도어본체(72)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74)와, 도어본체(72)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도어본체(72)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며, 간격바(74)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바(75)와, 도어본체(72) 및 보강바(75)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76a)가 구비되는 설치바(76)와, 실링홈부(76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본체(72) 및 보강바(75)의 개구부를 통해 수평프레임(18)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78)를 포함한다.
도어본체(72)는, 프레임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프레임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부재(1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도어본체(72)의 일측면에는 장착홈부(72a)가 형성되어 유리부재(90)가 설치되고, 도어본체(72)의 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딩실링재(78)가 돌출되어 프레임부재(10)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도어본체(72)의 개구부를 통해 일측이 개구된 보강바(75)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본체(72)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74)가 설치바(76)를 도어본체(72)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보강바(75)는 설치바(76)를 감싸거나 설치바(76) 및 간격바(74)를 모두 감싸도록 설치되어 도어본체(72), 간격바(74) 및 설치바(76)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상단바(70b)로부터 상측으로 슬라이딩실링재(78)가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도어상단바(70b)와 프레임부재(10)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도어하단바(70c)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실링재(78)가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도어하단바(70c)와 베이스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수직바(70a)와 도어수직바(70a)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도어수직바(70a)의 측면 외벽에는 마감부(50)를 이루는 몰딩부재(52)가 설치되어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프레임(70) 사이의 간격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몰딩부재(52)가 설치되는 설치홀부(16)에는 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부(54)가 설치되어 도어가 개폐되면서 서로 대향되는 몰딩부재(52)가 서로 마찰되어도 몰딩부재(52)가 설치홈부(16)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부(54)는, 몰딩부재(52)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레일부재(52c)와, 고정레일부재(52c)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설치홈부(16) 내벽에 설치되고, 고정레일부재(52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4b)과, 고정프레임(54b)을 관통하여 설치홈부(16) 내벽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4c)를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재질의 몰딩부재(52)가 도어 개폐 시 마다 접촉되면서 변형되고 마모되면서 설치홈부(16)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몰딩부재(52)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레일부재(52c)가 고정프레임(54b)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4c)에 의해 설치홈부(16) 내벽에 고정되므로 몰딩부재(52)가 설치홈부(16)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설치홈부(16)에 삽입되고 유리부재(90)와 프레임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마감부(50)와, 프레임부재(10)를 따라 이루어지는 열전도를 억제하도록 설치홈부(16)에 구비되는 열전도방지부(30)를 더 포함한다.
마감부(50)는, 설치홈부(16)에 삽입되는 몰딩부재(52)와, 몰딩부재(52)로부터 돌출되고 설치홈부(16)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마감돌기부(52a)와, 몰딩부재(52)로부터 돌출되고 열전도방지부(30)에 걸림결합되는 삽입돌기부(52b)를 포함한다.
몰딩부재(52)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프레임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설치홈부(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며, 몰딩부재(52)의 단면형상은 'ㄷ'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진다.
몰딩부재(52)의 개구부는 설치홈부(16)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설치홈부(16)와 몰딩부재(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프레임부재(10)를 따라 이루어지는 열전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몰딩부재(52)의 외측 단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홈부(16)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마감돌기부(52a)가 형성되고, 몰딩부재(52)의 양측면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홈부(16)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몰딩부재(52)의 양측면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방지홀부(32)에 걸림결합되는 삽입돌기부(52b)가 형성되므로 몰딩부재(52)를 설치홈부(16)에 삽입할 때에 삽입돌기부(52b)가 변형되면서 설치홈부(16) 내부로 삽입되고, 몰딩부재(52)의 삽입이 완료되면 삽입돌기부(52b)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방지홀부(32)에 삽입된다.
따라서 설치홈부(16)에 삽입된 몰딩부재(52)는 삽입돌기부(52b) 및 방지홀부(32)의 걸림결합에 의해 설치홈부(1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전도방지부(30)는, 설치홈부(16)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방지홀부(32)를 포함하므로 프레임부재(10)의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설치홈부(16)의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프레임부재(10)의 외벽으로부터 내벽으로 이루어지는 열전도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열전도방지부(30)는, 방지홀부(32)에 삽입되는 단열부재(34)를 더 포함하므로 프레임부재(10)의 외벽와 내벽 사이를 연결하는 설치홈부(16)의 단면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설치홈부(16)를 통과하는 열에너지를 단열부재(34)에 의해 흡수하여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은, 건물의 개구부에 격자 모양의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7)과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8)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재(10)를 제작하는 단계와, 격자 모양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10)를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70a), 도어상단바(70b) 및 도어하단바(70c)를 조립하여 도어프레임(70)을 제작하는 단계와,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도어프레임(7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프레임부재(10) 및 도어프레임(70)에 유리부재(9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수직프레임(17) 및 수평프레임(18)을 제작하여 프레임부재(10)를 조립하고, 프레임부재(1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70)을 조립한 후에 도어프레임(70)을 프레임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를 설치한다.
이후에, 프레임부재(10) 및 도어프레임(70)에 유리부재(90)를 설치하여 건물이 개구부를 밀폐하는 새시를 설치하고, 프레임부재(10)의 개구부 일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70)을 설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재(10)를 제작하는 단계는,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 사이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프레임(70)을 제작하는 단계는, 도어수직바(70a)와 도어상단바(70b) 또는 도어하단바(70c)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수직바(70a)와 도어상단바(70b) 또는 도어하단바(70c)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재(10)를 제작하는 단계는, 스테인리스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본체(12)에 복수 개의 방지홀부(32)를 연속되게 가공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방지홀부(32)가 이루는 복수 개의 줄 사이의 간격에 가공홈부(14)를 성형하는 단계와, 가공홈부(14)의 배면을 성형지그에 안착시키고 가압공구로 가공홈부(14)를 가압하여 패널본체(12)를 굴곡시켜 설치홈부(16)를 성형하는 단계와, 패널본체(12)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프레임부재(10)를 제조하여 건물에 설치하는 단계와, 설치홈부(16)에 유리부재(90) 또는 마감부(5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본체(12)에 다수 개의 방지홀부(32)가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다수 개의 방지홀부(32)가 1줄을 이루도록 하고, 1줄의 방지홀부(32)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3줄의 방지홀부(32)를 성형한다.
이때, 좌우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방지홀부(3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방지홀부(32)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간격의 패널본체(12)가 프레임부재(10)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연결부위를 이루게 되고, 이 연결부위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프레임부재(10)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지지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지홀부(32)의 가공이 완료되면 3줄의 방지홀부(32) 사이의 간격에 'V' 모양으로 가공홈부(14)를 성형하고, 가공홈부(14)의 배면을 직각의 홈부를 구비하는 지그(14a)에 안착시켜 가압공구(14b)를 사용하여 패널본체(12)를 굴곡시켜 설치홈부(16)를 성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굴곡작업을 반복하여 프레임부재(10)를 성형하고,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8)을 조립하여 프레임부재를 제작하게 된다.
이로써, 우수가 새시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람이 새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패널을 사용하여 창문 또는 도어를 지지하는 창틀을 제조하고, 창틀에 의한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기능을 제공하고, 창호의 제작 및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재 12 : 패널본체
14 : 가공홈부 16 : 설치홈부
30 : 열전도방지부 32 : 방지홀부
34 : 단열부재 50 : 마감부
52 : 몰딩부재 52a : 마감돌기부
52b : 삽입돌기부 90 : 유리부재
160 : 지지플레임 162 : 제1홈부
164 : 제2홈부 166 : 창틀슬라이드프레임
200 : 침수방지부 202 : 실링시트
204 : 고정패널 206 : 체결부재

Claims (8)

  1.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설치홈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도록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설치홈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리부재;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마감부; 및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건물의 개구부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교차되게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리부재가 설치되어 도어를 이루는 도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침수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른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시트;
    상기 실링시트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시트에 안착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유리부재를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
    복수 개의 상기 도어수직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상단바;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어수직바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하단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상단바는,
    상기 도어수직바에 연결되고, 상기 유리부재가 설치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는 보강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실링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하단바는,
    상기 도어수직바에 연결되고, 상기 유리부재가 설치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향되는 단부가 개구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간격바;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도어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의 단부가 개구되며, 상기 간격바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바;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내벽에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실링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도어본체 및 상기 보강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7. (a) 건물의 개구부에 격자 모양의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b) 격자 모양으로 조립된 상기 프레임부재를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도어수직바, 도어상단바 및 도어하단바를 조립하여 도어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도어프레임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레임부재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유리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침수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른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을 차단하는 실링시트;
    상기 실링시트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시트에 안착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실링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도어수직바와 상기 도어상단바 또는 상기 도어하단바 사이의 간격으로 우수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수직바와 상기 도어상단바 또는 상기 도어하단바 사이의 간격에 침수방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의 시공방법.
KR1020170125471A 2017-09-27 2017-09-27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71A KR101873023B1 (ko) 2017-09-27 2017-09-27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71A KR101873023B1 (ko) 2017-09-27 2017-09-27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023B1 true KR101873023B1 (ko) 2018-07-02

Family

ID=6291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71A KR101873023B1 (ko) 2017-09-27 2017-09-27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0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416B2 (ja) 1994-10-13 1998-10-15 トステム株式会社 建具枠
JP2000314275A (ja) 1999-04-30 2000-11-14 Sekisui House Ltd 窓 枠
KR101073730B1 (ko) 2011-04-27 2011-10-13 김종혁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프레임
KR101075219B1 (ko) * 2008-10-02 2011-10-19 알루텍 (주)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695478B1 (ko) * 2015-06-30 2017-01-12 서석주 단열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416B2 (ja) 1994-10-13 1998-10-15 トステム株式会社 建具枠
JP2000314275A (ja) 1999-04-30 2000-11-14 Sekisui House Ltd 窓 枠
KR101075219B1 (ko) * 2008-10-02 2011-10-19 알루텍 (주)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073730B1 (ko) 2011-04-27 2011-10-13 김종혁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프레임
KR101695478B1 (ko) * 2015-06-30 2017-01-12 서석주 단열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80026732A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1270213B1 (ko) 단열성능을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170131103A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873023B1 (ko)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새시 및 이의 시공방법
JP3143736B2 (ja) 引き違い窓
KR101569494B1 (ko) 창호용 프로파일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695478B1 (ko) 단열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180078667A (ko)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981186B1 (ko) 고열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195818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창호 시스템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