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063B1 - 방화 자동문 - Google Patents

방화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063B1
KR102218063B1 KR1020200029809A KR20200029809A KR102218063B1 KR 102218063 B1 KR102218063 B1 KR 102218063B1 KR 1020200029809 A KR1020200029809 A KR 1020200029809A KR 20200029809 A KR20200029809 A KR 20200029809A KR 102218063 B1 KR102218063 B1 KR 10221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rotation shaft
fir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이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규 filed Critical 이용규
Priority to KR102020002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전체도어프레임과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도어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제 1 도어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는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에는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제 1 도어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제 2 도어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개폐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에 대피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와 인접배치된 고정도어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고정도어를 통해 이삿짐이나 부피가 큰 물건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 상기 개폐도어와 고정도어를 폐쇄하여, 화염 또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상기 고정도어의 내부에 회전개방이 가능한 서브도어를 통해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방화 자동문이 고온의 화염과 연기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함으로써, 화재가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과 방화유리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공간를 차단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연기가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 자동문{AUTOMATIC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 자동문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하여 위급 상황 발생 시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화염과 연기가 효과적으로 차단됨으로써, 건물 타 영역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 인명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방화 자동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병원, 사무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건물의 출입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비용 절감을 위한 무인 경비시스템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는 자동 도어 시스템의 설치가 증대되는 실정이다.
상기 자동 도어 시스템으로서 설치되는 대부분의 자동도어는 미닫이식 자동도어이며, 상기 미닫이식 자동도어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도어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도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일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고정도어가 평행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고정도어 쪽으로 이동하여 겹쳐지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한편, 통상 상기 자동도어는 센서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하여 개폐동작을 제어하며, 개폐동작은 전력과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자동도어 내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공기 연소로 인해 자동도어 내부 공간으로 도어 프레임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 프레임이 휘어지는 경우에는, 도어가 슬라이딩 될 수 없어 제대로 개방될 수 없게 되며, 대피자가 자동도어를 통해 출입할 수 없어 인명 피해가 증대되는 문제점가 있다.
또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고온의 연기는 산소 함유량이 낮고 일산화탄소 함유량이 높은 유독가스로서, 인체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침과 동시에 대피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고 심리적 불안을 야기시키는데, 일반적인 자동도어의 경우, 도어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기가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화재발생 시에 대피자의 원활한 탈출이 가능하면서도, 도어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고, 유독가스 함유 연기의 전파가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방화 자동문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폐도어와 인접배치된 고정도어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면서도, 필요시에는 회전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도어의 내부에 회전개방이 가능한 서브도어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방화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의 화염과 연기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화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프레임과 방화유리 간의 틈새공간를 차단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연기가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방화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전체도어프레임과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도어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제 1 도어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는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에는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제 1 도어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제 2 도어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프레임에서 서로 대면하는 부분에는 금속재의 결속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내부로 돌출 설치되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회전축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내부로 돌출 설치되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축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연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연결패널 사이에 제 1 도어회전축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이탈부재는 금속재로 형성되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 볼과, 상기 금속재 볼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 볼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에는 상기 방화유리의 삽입을 위한 방화유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불연재로 형성되는 방화유리지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화유리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방화용 실리콘이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삽입홈측벽형성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는 마그네슘 보드 또는 세라믹 페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의 수직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롤러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재 볼의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에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에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격자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은 상기 제 1 도어의 수평 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의 양 측부에 상기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은 상기 제 2 도어의 수평 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의 양 측부에 상기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개폐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에 대피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와 인접배치된 고정도어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면서도 회전개방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고정도어를 통해 이삿짐이나 부피가 큰 물건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 상기 개폐도어와 고정도어를 폐쇄하여, 화염 또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상기 고정도어의 내부에 회전개방이 가능한 서브도어를 통해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자동문이 고온의 화염과 연기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함으로써, 화재가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과 방화유리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공간를 차단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연기가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의 정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방화 자동문에 포함되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결합연결되는 회전축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방화 자동문이 회전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1 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7 은 상기 연결부재에 포함된 연결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연결패널에 삽입결합되는 가압이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이탈부재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 은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수평방향 중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회전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결속부를 매개로 상호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15 는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방화유리가 삽입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 자동문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며, 도 2 는 상기 방화 자동문에 포함되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결합연결되는 회전축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방화 자동문이 회전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1 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7 은 상기 연결부재에 포함된 연결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연결패널에 삽입결합되는 가압이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압이탈부재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 은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수평방향 중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회전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결속부를 매개로 상호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15 는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의 내부에 방화유리가 삽입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전체도어프레임(10)과 구동수단(40)에 의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도어(20)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30)와 상기 제 1 도어(20)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와 상기 제 1 도어(20)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과 상기 제 1 도어(20)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20)는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22)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30)는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 및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3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20)에는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제 1 도어회전축(23)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제 2 도어회전축(31)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회전축(33)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어(20)는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은 건물 내부의 복도 또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되면서도,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 또는 연기가 상기 복도를 따라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화 자동문은 상기 복도 또는 출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방화 자동문은 전체도어프레임(10)을 포함하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사각단면 프레임부재들이 상호 연결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은 바닥과 맞닿도록 위치된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와,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4)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의 상부에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도어(20)는 일종의 개폐도어로써의 역할을 하여, 출입자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0)는 상기 제 1 도어(20)의 우측에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배치됨으로써 일종의 고정도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4)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4)의 상측에는 상부방화유리(6)가 설치된다.
또한, 도 1 과 같이,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의 양 측부에 별도의 방화유리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방화 자동문이 설치된 상기 복도 또는 출입구가 완벽히 차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도어(20)는 제 1 도어프레임(22)과 방화유리(2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내부에 방화유리(24)가 고정설치된다.
또한, 도 2 와 4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20)는 상기 제 2 도어(3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2 도어(30)와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방화 자동문의 개방을 위해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제 2 도어(3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제 2 도어(3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상부에는 연결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상부프레임(4)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0)의 하측부에는 제 1 도어회전축(23)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을 매개로 상기 연결부재(50)와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이 연결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도어(20)는 상기 연결부재(50)를 매개로 상기 구동수단(40)과 연결되므로,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2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27)는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에 대응되는 수직하부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27)가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과 동일축선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과 상기 이탈방지부재(27)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27)는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202)에 삽입된다.
상기 오목부(202)는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27)가 상기 오목부(20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27)와 상기 오목부(202)는 상기 제 1 도어(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역할을 하면서도, 외력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어(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 와 4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0)는 상기 제 1 도어(20)와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30)는 제 2 도어프레임(3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 및 방화유리(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내부에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내부에 상기 방화유리(36)가 설치된다.
도 2 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상부에는 제 2 도어회전축(31)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은 상기 상부프레임(4)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상부프레임(4)이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을 매개로 연결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하부에도 제 2 도어회전축(31)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이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가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을 매개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 서브프레임(34)의 상하부에는 서브프레임회전축(33)이 설치되며, 상기 서브프레임회전축(33)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연결결합 됨으로써,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서브프레임회전축(3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과 서브프레임회전축(33)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과 서브프레임회전축(33)은 고정부(312, 332)와 상기 고정부(312, 332)로부터 돌출형성된 축부(314, 334)를 포함한다.
도 6 과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12)는 상기 상부프레임(4)의 하부와 상기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2)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축부(314)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내부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32)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내측에서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축부(334)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내부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돌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314, 334)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316, 336)들이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축부(314, 334)가 삽입되는 도어프레임의 개구 부분 프레임 강판과 간섭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프레임(32, 34)이 상기 축부(314, 33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 회전축(31)과 서브프레임회전축(33)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10)에 대해 상대회전되고,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 2 도어(30)가 고정도어로써의 역할을 하면서도, 이삿짐과 같은 부피가 큰 물건이 운반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도어(20)와 함께 제 2 도어(30)가 회전개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자동문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건물내부의 화재발생시에 대피자 또는 구출자가 상기 제 2 도어(30)의 방화유리(36)를 밀었을 경우,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회전개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대피자가 용이하게 건물 외부로 탈출하고,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20)는 상기 구동수단(4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은 모터(42)와 상기 모터(42)에 연결결합되는 벨트부재(4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에는 구동축풀리(44)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풀리(44)에는 상기 벨트부재(46)가 연결결합되며, 상기 벨트부재(46)의 일 지점에는 도어행거(47)가 고정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됨으로써, 상기 모터(42)와 결합된 상기 구동축풀리(44)가 회전되며, 상기 구동축풀리(44)와 결합된 상기 벨트부재(46)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46)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46)의 일 지점에 고정설치된 상기 도어행거(4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행거(47)는 상기 제 1 도어(20)와 연결부재(50)를 매개로 연결결합됨으로써, 모터(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행거(4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20) 역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6 은, 상기 구동수단(40)이 연결부재(50)를 매개로 상기 제 1 도어(20)와 연결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 2 의 상부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연결부재(50)는 구체적으로 연결브라켓(54)과, 상기 연결브라켓(54)에 설치된 회전롤러(56)와 동력전달부재(52, 53)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52, 53)에는 연결패널(29, 51)이 결합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상부프레임(4)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40)에 포함된 상기 도어행거(47)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50)에 포함된 연결브라켓(54)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54)의 하부는 결합수단(521)을 매개로 하여, 제 1 동력전달부재(52)와 연결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54)의 일측면에는 회전롤러(56)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롤러(56)는 상기 상부프레임(4)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9) 상에 거치된다.
상기 레일(9)은 상기 상부프레임(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된다.
상기 레일(9)의 일측단에는 수직상방을 향하는 볼록부(91)가 상기 상부프레임(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회전롤러(56)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91)가 삽입되어 지지한다.
그리하여, 상기 회전롤러(56)가 상기 레일(9)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롤러(56)가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9)을 따라 구름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4)에 고정설치된 상기 모터(42)로부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벨트부재(46)와 연결결합된 상기 도어행거(47)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행거(47)와 연결결합된 상기 연결브라켓(54)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54)에 형성된 상기 회전롤러(56)가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9)을 따라 구름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9)이 상기 제 1 도어(20)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54)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521)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의 상부에도 개구가 형성되어 결합수단(521)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브라켓(54)과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가 상기 결합수단(521)을 매개로 연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는 "역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4)의 하부에 형성된 틈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수단(4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를 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의 하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의 하부에도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52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재(53)의 상부에도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521)이 삽입되며,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재(52)와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재(53)가 상기 결합수단(521)을 매개로 연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재(53)의 하단부에는 상부연결패널(51)이 형성된다.
도 6 과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은 "역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은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상단부에 형성된 하부연결패널(29)과 삽입결합된다.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은 "ㄷ" 형상의 단면으로 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29, 51)과 제 2 동력전달부재(53)는 제 1 도어회전축(23)을 매개로 상호 연결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패널(29, 51)과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20)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가능하면서도,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어(20)까지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패널(29, 51)은 상기 상부연결패널(51)과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을 포함하며, 각각 "역ㄷ" 형상과 "ㄷ" 형상으로 형성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 삽입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하부플레이트(512)가 상기 하부연결패널(29)에 형성된 플레이트수용부(29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연결패널(51)과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이 상호 교차되어 삽입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29, 51)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23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이 상기 상부연결패널(51)과 상기 하부연결패널(29)에 형성된 개구(232)를 관통하여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결패널(29)에서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이 결합되는 부분의 타단부에는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연결패널(51)에서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514)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연결패널(51)과 하부연결패널(29)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상기 오목부(514)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연결패널(51)과 하부연결패널(29) 간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연결패널(29)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이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연결패널(51)로부터 이탈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이 제 2 동력전달부재(53)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연결패널(29)에 결합된 상기 제 1 도어(20)가 제 1 도어회전축(23)을 중심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20)는 상하(도 1 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상기 제 1 도어(20)는 출입자의 출입을 위해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도, 화재 발생시와 같이 위급한 경우 상기 제 1 도어(20)를 밀게 되면, 상기 제 1 도어(20)가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개방됨으로써 대피자 또는 구출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이사 등의 경우에는 상기 제 1 도어(20)를 상기 제 2 도어(3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에 회전개방함으로써, 이삿짐과 같은 부피가 큰 물건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의 상측부에 형성된 상부플레이트(515)가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의 상측부에 형성된 프레임측플레이트(295)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515)가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오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가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볼록부(29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오목부(511)와 볼록부(291)가 서로 간섭됨으로써, 상기 연결패널(29, 51)이 쉽게 상대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평상시에 작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이 쉽게 회전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필요시 인위적인 인력을 가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회전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515)가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격자형상의 오목부(513)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가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격자형상의 볼록부(293)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오목부(513)와 볼록부(293)가 상호 간섭됨으로써, 상기 연결패널(29, 51)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패널(29, 51)이 비의도적으로 쉽게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패널(29, 51)을 매개로 상기 제 1 도어(2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구동력이 분산전달됨으로써,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 1 도어 회전축(23)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 1 도어 회전축(23)에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패널(29)의 타측부에는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이탈부재(60)는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의 상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의 저면에 오목부(5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패널(29, 51)이 상호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의 오목부(514)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이탈부재(60)는 금속재로 형성되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재(62)와 환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 볼(6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재(62)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재 볼(64)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6)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66)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재 볼(64)은 상기 하우징부재(6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부재(6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하우징부재(62)가 상기 하부연결패널(29)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금속재 볼(64)의 상부만이 상기 하부연결패널(29)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와 상기 상부플레이트(515)가 상호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측플레이트(295)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금속재 볼(64)이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514)에 삽입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패널(29, 51)이 상호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상기 연결부재들(29, 5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하부연결패널(29)과 상기 상부연결패널(51)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도어(20)가 슬라이딩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출입자가 상기 제 1 도어(20)를 밀어 인위적인 인력을 가하여, 상기 탄성부재(66)가 압축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의 하측면에 형성된 오목부(514)로부터 상기 금속재 볼(64)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20)의 회전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재 볼(64)이 상기 상부플레이트(515)의 저면 오목부(514)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재 볼(64)의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부(6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오목부(641)의 측벽 부분이 상기 저면 오목부(514)의 가장자리 부분과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금속재 볼(64)이 상기 오목부(514)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이탈부재(60)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 외에도,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에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4)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금속재 볼(64)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평소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금속재 볼(64)이 상기 상부프레임(4)에 형성된 개구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제 2 도어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금속재 볼(64)이 상기 상부프레임(4)의 개구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일측부에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저면에서 상기 가압이탈부재(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평소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금속재 볼(64)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저면의 개구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압이탈부재(60)의 금속재 볼(64)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저면의 개구로부터 이탈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재 볼(64)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641)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비의도적으로 쉽게 회전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고정도어로써의 역할을 하고 필요시에는 인위적인 인력을 가해 회전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우측부에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이 설치되고, 좌측부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어프레임(32)의 우측부에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과 서브프레임회전축(33)이 설치되고, 좌측부에는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및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각각 상기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과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 및 서브프레임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이 상기 제 1 도어(20)의 수평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 회전축(23)의 양 측부에 가압이탈부재(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회전축(31)과 상기 서브프레임회전축(33) 역시 상기 제 2 도어(30)의 수평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양 측부에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가압이탈부재(60)가 상기 도어프레임(22, 32, 34)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2, 32, 34)의 고정력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도어프레임(22, 32, 34)이 비의도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여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및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마치 회전문과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화재발생시 대피자들이 상기 도어(20, 30)의 중심부 이외의 어느 부분을 밀더라도 용이하게 회전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패널(29, 51)은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상부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패널(29, 51)의 종방향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도어회전축(23)과 상기 가압이탈부재(60) 간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압이탈부재(60)와 상기 상부연결패널(51)에 의한 지지력의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연기는 산소 함유량이 낮고 일산화탄소 함유량이 높은 유독가스로서, 인체로 직접적인 피해를 끼침과 동시에 대피자의 시야를 저해시키고 심리적 불안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2 내지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20)와 상기 제 2 도어(3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결속부(25, 35)가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상에 형성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 전면부에는 삽입결속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결속부(25)는 "역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제 1 도어프레임(2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배면부에는 수용결속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결속부(35)는 "ㄷ" 형상의 단면이 제 2 도어프레임(3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3 은, 상기 삽입결속부(25)와 상기 수용결속부(35)가 상호 삽입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에 포함된 상기 삽입결속부(25)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에 포함된 상기 수용결속부(35)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20)와 상기 제 2 도어(30)가 상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제 1 도어(20)를 폐쇄하여, 상기 삽입결속부(25)와 상기 수용결속부(35)가 상호 삽입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프레임(32)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유독가스가 포함된 연기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결속부(25)와 상기 수용결속부(35)가 상호 삽입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도어(20)와 제 2 도어(30)가 서로 결속된 상태로 외압을 강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화염에 의해 도어 내외에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도 도어가 변형되지 않는다.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된 상기 결속부(25, 35)에 대한 부분확대도로써, 상호결합된 상태의 상기 결속부(25, 35)를 나타낸다.
그런데, 도 14 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20)가 폐쇄되면, 상기 삽입결속부(25)와 상기 수용결속부(35)가 상호 삽입결합되고,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의 일측부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타측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상호간섭됨으로써,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의 회전개방이 어려워진다.
즉, 상기 제 1 도어(20)가 폐쇄되면, 상기 결속부(25, 35)의 삽입결합으로 인해 상기 연기는 차단되되,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이 고정되어 회전개방이 불가하므로, 대피자와 구출자의 출입이 어려워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32) 내에 설치된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이 회전개방됨으로써, 상기 방화 자동문을 통하여 고온의 연기와 화염이 차단되면서도, 대피자 또는 구출자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건물 내부의 화재발생시에, 대피자와 구출자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방화 자동문을 개방하고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내부에는 상기 방화유리(24, 36)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내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방화유리(24, 36)가 삽입설치되기 위한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이 형성된다.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은 사각단면 형상의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의 내부에 상기 방화유리(24, 36)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방화유리(24, 36)를 고정시키기 위한 백업재(225, 345)가 충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업재(225, 345)는 마그네슘 보드 또는 세라믹 페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의 단부에는 방화용실리콘(227, 347)이 충진됨으로써 마감처리된다.
그리하여, 화재 발생시 열기에 의해,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 내부의 틈새 공간에서 압력이 상승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업재(225, 345)와 방화용실리콘(227, 347)의 설치로 인해, 상기 방화 자동문의 단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화염과 연기가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을 통과하여 전파되는 피해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는, 도 2 에 도시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의 하단부 부분확대도이다.
도 15 와 같이,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에는 상기 방화유리(24, 36)를 지지하기 위해, 불연재로 형성되는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는 마그네슘 보드 또는 세라믹 페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가 상기 방화유리(24, 36)의 하단부에 삽입설치됨으로써, 상기 방화유리(24, 36)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가 내열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방화유리(24, 36)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에 틈새 공간에서 압력이 상승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의 내부에 상기 백업재(225, 345)와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가 용이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2)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34) 상에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는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의 일측벽으로써의 역할을 하면서도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21, 341)의 내부에 상기 백업재(225, 345)와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223, 343)가 용이하게 삽입 또는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2, 34)과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의 상부에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229, 349)이 삽입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2, 34)과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가 상기 결합수단(229, 349)을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삽입홈측벽형성부재(228, 348)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전체도어프레임
20: 제 1 도어
30: 제 2 도어
40: 구동수단
50: 연결부재
60: 가압이탈부재

Claims (22)

  1.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전체도어프레임과;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도어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이동안내부재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제 1 도어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는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에는 상기 제 1 도어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제 1 도어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이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제 2 도어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도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연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연결패널 사이에 제 1 도어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패널에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프레임에서 서로 대면하는 부분에는 금속재의 결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상기 전체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내부로 돌출 설치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회전축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 내부로 돌출 설치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5.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축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서브프레임과 상기 제 2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과 상기 제 1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이탈부재는 금속재로 형성되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 볼과,
    상기 금속재 볼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재 볼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재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과 제 2 도어서브프레임에는 상기 방화유리의 삽입을 위한 방화유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불연재로 형성되는 방화유리지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화유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방화용 실리콘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유리삽입홈에는 삽입홈측벽형성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유리지지부재는 마그네슘 보드 또는 세라믹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롤러가 상기 전체도어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볼의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에서 상기 제 1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격자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은 상기 제 1 도어의 수평 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회전축의 양 측부에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은 상기 제 2 도어의 수평 방향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회전축의 양 측부에 가압이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자동문.
  21. 삭제
  22. 삭제
KR1020200029809A 2020-03-10 2020-03-10 방화 자동문 KR10221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09A KR102218063B1 (ko) 2020-03-10 2020-03-10 방화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09A KR102218063B1 (ko) 2020-03-10 2020-03-10 방화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063B1 true KR102218063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09A KR102218063B1 (ko) 2020-03-10 2020-03-10 방화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0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73B1 (ko) 2021-05-26 2021-12-07 하민메탈주식회사 방화 자동문
KR102531391B1 (ko) * 2023-03-21 2023-05-10 박석화 자동 도어 시스템
KR102551169B1 (ko) 2023-02-09 2023-07-05 미르이엔티 주식회사 차광막이 설치된 자동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238U (ko) * 2008-07-25 2010-02-03 (주)엘지하우시스 모듈형 3짝 창호
KR20100009291U (ko) * 2009-03-13 2010-09-27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20110000764U (ko) * 2009-07-16 2011-01-24 김희진 슬라이드형 자동문
KR101319557B1 (ko) * 2013-08-19 2013-10-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KR101493000B1 (ko) * 2013-08-27 2015-02-13 한승석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238U (ko) * 2008-07-25 2010-02-03 (주)엘지하우시스 모듈형 3짝 창호
KR20100009291U (ko) * 2009-03-13 2010-09-27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20110000764U (ko) * 2009-07-16 2011-01-24 김희진 슬라이드형 자동문
KR101319557B1 (ko) * 2013-08-19 2013-10-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KR101493000B1 (ko) * 2013-08-27 2015-02-13 한승석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73B1 (ko) 2021-05-26 2021-12-07 하민메탈주식회사 방화 자동문
KR20220159869A (ko) 2021-05-26 2022-12-05 하민메탈주식회사 개방이 용이한 자동문
KR20220159870A (ko) 2021-05-26 2022-12-05 하민메탈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방화 자동문
KR102551169B1 (ko) 2023-02-09 2023-07-05 미르이엔티 주식회사 차광막이 설치된 자동문
KR102531391B1 (ko) * 2023-03-21 2023-05-10 박석화 자동 도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063B1 (ko) 방화 자동문
CN102943609B (zh) 高楼自救逃生窗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932622B1 (ko) 방화문
WO2012111921A9 (ko) 방화문의 도어 스톱 장치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725722B1 (ko) 하부 문틀이 없는 기밀성 슬라이딩 자동 방화문
JP2009079457A (ja) 開閉装置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CN101025071A (zh) 自动报警防烟火走廊门墙
KR102336573B1 (ko) 방화 자동문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KR20100003384A (ko) 자동문 및 자동문 제어방법
KR20230038343A (ko) 지지력과 단열기밀 성능이 향상된 방화 자동문
KR20210013385A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200268648Y1 (ko) 공기 급,배기구 개폐장치
KR20130017747A (ko) 연무 차단 장치
KR102498101B1 (ko) 소화 기능을 가진 이중 스크린 방화셔터
US20070068084A1 (en) Vertically-movable door
JP2004244806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2030504B1 (ko) 방화문 연동셔터
JP2002315841A (ja)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