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747A - 연무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연무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747A
KR20130017747A KR1020110080357A KR20110080357A KR20130017747A KR 20130017747 A KR20130017747 A KR 20130017747A KR 1020110080357 A KR1020110080357 A KR 1020110080357A KR 20110080357 A KR20110080357 A KR 20110080357A KR 20130017747 A KR20130017747 A KR 2013001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ist
blocking film
winding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429B1 (ko
Inventor
백종태
홍정우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씨아이제이
Priority to KR102011008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4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문 틈새, 복도, 창문, 출입문 등 여러 통로로 연기가 새어 다른 구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대피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무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100)로서, 불연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다수 개의 단위띠(115)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112)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110); 상기 차단막(110)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110)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키는 권취수단(120); 상기 권취수단(120)과 연결되어, 연무를 감지하여 상기 권취수단(120)의 작동 여부를 판단 및 지시하는 감지수단(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무 차단 장치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본 발명은 연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로 인한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승강기 통로, 복도, 창문, 출입문 등을 통하여 퍼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유독 가스 유출, 테러, 화생방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안전한 위치까지 대피하는 동안 이러한 유독성의 물질을 흡입하지 않고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화재 현장에서 화상보다는 질식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더 많이 발생된다는 점이 무수히 지적되어 왔다.
한편, 고층 건물에는 편의를 위하여 승강기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기는 기본적으로 밀폐 구조가 아니고 전층에 걸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이므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타면 연기 속에 갇혀서 질식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때로는 화재가 난 건물이 아닌 옆 건물의 승강기로까지 연기가 새어들어 질식을 일으킨 사례까지 보고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고층 건물에서라도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2001년 뉴욕 세계무역센터 테러 당시 건강한 사람이 95층에서 1층까지 계단으로 걸어 내려오는데 1시간이 걸렸다는 보고 등으로부터, 초고층 건물의 경우 어떠한 보완책을 마련하여서라도 승강기를 활용하여 피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점차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에서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사고 피해보다 연무 등 유독 물질의 흡입에 의한 간접적인 사고 피해가 더 광범위하고 많기 때문에, 건물 어디에서든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의 경우 소방법 상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말도록 되어 있으나, 해외에서는 이미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에 승강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러한 경향이 도입될 전망이다.
이러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시에는 무엇보다도 대피 과정에서 연무 등을 흡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때, 승강기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도입될 경우, 승강기를 통해 연무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승강기 내에서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승강기 통로는 건물의 전 층에 걸쳐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기를 통해 대피할 경우 승강기 내로 연무가 새어들어오는 것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승강기 자체에서는 승강기 탑승자가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 통로가 전 층 간에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연기 흐름에 있어서 마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에도 승강기 통로를 통하여 연무가 새어들어갈 수도 있다는 점이 커다란 문제점이 된다. 즉 화재가 단일 층에서만 발생하고 해당 층에서 진화 작업을 함으로써 화염에 대한 피해는 해당 층만으로 국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승강기 통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으로의 공기 오염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승강기 통로 뿐만 아니라, 건물 내의 복도, 창문 등 연무가 퍼져 나갈 수 있는 통로가 많으며, 이러한 통로들을 통해 연무가 재난 발생 구역에서 상당히 먼 곳까지 퍼져 나가게 되는 것은 큰 문제가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에 있어서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연기 등 유독 물질의 흡입에 의한 간접적 피해의 범위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점차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무 차단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한국특허공개 제2006-0109711호("방화스크린 장치", 이하 선행기술 1)로서, 인체가 감지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방화스크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은 일반적인 방화벽 장치와 유사하되 사람이 근처에 오면 이를 감지하여 사람이 통과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난 상황으로 인해 발생한 열기, 충격 등에 의하여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오히려 대피로를 막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B)는 한국특허공개 제2008-0085120호("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이하 선행기술 2)로서, 승강기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되면 승강기 통로에 강제로 공기를 유입시켜 기압을 높여 줌으로서 연기가 승강기 통로 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는 승강기 통로로 연기를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나, 연기가 밀려들어오지 못할 정도로 승강기 통로 내의 기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공기를 끌어와야 되며, 이 과정에서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오히려 화염에 산소를 더 공급해 주는 셈이 되어, 화염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 화재를 오히려 대형화시키게 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도 1(C)는 한국특허공개 제2011-0072104호("철도차량의 연기 확산 방지 장치", 이하 선행기술 3)로서, 스크린 타입으로 형성되며 철도 차량 통로 상에 설치되어 차량 간 연기가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3은 화재가 일어난 한 차량에서 인근 차량으로 연기가 새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스크린 형태로 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사람이 지나다니기가 매우 불편하고, 따라서 사람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연기가 샐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모든 차량에 문 및 창문이 구비되어 있어 긴급 상황의 경우 다른 통로로 사람이 빠져나가 대피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의 경우에는, 사람이 지나다닐 수 없는 스크린이 문에 구비되어 있다 해도 차량의 창문으로 사람이 빠져나가 대피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연기 확산 방지 장치가 사람이 통과하기에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가 그대로 건물에 적용될 경우, 연기를 차단하는 장치가 사람의 대피조차 차단하게 되는 바, 건물 내에 사용되는 연기 차단 장치로서 사람이 지나가기에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은 결정적인 단점이 된다.
1. 한국특허공개 제2006-0109711호 (2006.10.23) 2. 한국특허공개 제2008-0085120호 (2008.09.23) 3. 한국특허공개 제2011-0072104호 (2011.06.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문 틈새, 복도, 창문, 출입문 등 여러 통로로 연기가 새어 다른 구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대피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무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100)로서, 불연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다수 개의 단위띠(115)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112)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110); 상기 차단막(110)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110)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키는 권취수단(120); 상기 권취수단(120)과 연결되어, 연무를 감지하여 상기 권취수단(120)의 작동 여부를 판단 및 지시하는 감지수단(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띠(115)들이 폭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120)은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기동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풀림 동작 및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수동 풀림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감지수단(130)으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으면,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 내지 70% 범위 내의 높이에 상기 고정바(112)가 위치될 때까지 상기 차단막(110)을 풀어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1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는 안내부(1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연무가 차단되는 안전지대(safety zone)로서의 닫힌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기 통로, 복도, 문, 창문 등과 같은 건물 내 적절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무를 차단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건물의 전 층에 걸쳐 개방된 구조로 되어 연기 흐름에 있어서 굴뚝 역할을 하는 승강기 통로에 설치될 경우, 화재 등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발생된 연기, 유독 물질 등이 승강기 통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복도에 설치될 경우에는 복도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재난 구역에서 먼 위치의 복도로 연기가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문이나 창문에 설치될 경우, 건물 내 다른 공간으로의 연기가 퍼지는 것이나 또는 연기가 빠져나가 건물 외부의 사람들이나 다른 건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무는 효과적으로 차단하되 사람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어 대피나 구조 활동을 훨씬 용이하게 해 주는 큰 효과가 있는데, 특히 승강기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될 경우 승강기를 신속하게 타고 내리는 데 불편함이 없어 효과적이다. 이 경우, 승강기 앞에서 대피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이 승강기 통로를 통해 퍼지는 연기를 흡입하게 될 위험성을 대폭 줄여 줄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승강기 앞 등 사람이 머물러야 할 위치에는 본 발명의 차단막을 2셋 이상 설치하여 안전지대(safety zone)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연기 차단 및 사용자 보호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연무와 더불어 화재 공간 자체를 차단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공간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진압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무 차단 장치 기술들.
도 2는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의 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의 차단막 확대도.
도 5, 6, 7, 8은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무 차단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한 실시예를, 도 3은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에 부가적인 수단들이 더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가장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단막(110), 권취수단(120), 감지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연무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공간을 일반적으로 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시 굴뚝 역할을 하여 다른 층으로 연기가 퍼지도록 하는 큰 요소인 승강기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승강기 문 앞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연무가 복도 등을 통해 여기저기로 퍼지는 것을 막고 어느 정도 한정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복도 통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차단막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가 복도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 구역에서 먼 위치의 복도 공간으로 연기가 퍼지는 것을 보다 쉽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복도 통로 전체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될 수 있다.) 또는, 건물 바깥으로 연기가 새어나가 다른 건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건물 외부 환경이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라면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문이나 창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10)은 다수 개의 단위띠(115)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띠(115)는 (연무가 발생되는 가장 대표적인 재난 상황인) 화재 시에 화염에 손상되지 않도록 불연성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하며, 또한 사람이 상기 단위띠(115)를 밀어 상기 단위띠(115)들 사이를 벌리고 그 사이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띠(115)들이 서로 일부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와 같이 만들어진 상기 차단막(110)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띠(115)들이 서로 일부 겹쳐지게 배치됨으로써, 사람이 상기 단위띠(115) 사이를 벌려 그 사이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이 상기 단위띠(115) 사이를 벌리고 있지 않을 때에는 서로 겹쳐져서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무의 차단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도 4(A)와 같이 상기 단위띠(115)가 높이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4(B)와 같이 상기 단위띠(115)가 폭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되었을 때 사람이 통과하기에 보다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A)와 같이 상기 단위띠(115)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막(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띠(115)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는 고정바(1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차단막(1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차단막(110)은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권취봉(111)에서 풀려나와 펼쳐지면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가로막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바(112)는 상기 차단막(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만큼, 상기 단위띠(115)들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상기 차단막(110) 하부에 어느 정도의 하중을 줌으로써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지는 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해 주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차단막(110)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110)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권취수단(120)의 회전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람이 손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당기면 회전되는 식으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감지수단(130)은, 상기 권취수단(120)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연무를 감지하여 상기 권취수단(120)의 작동 여부를 판단 및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수단(130)은 열기나 연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감시하다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권취수단(120) 쪽으로 작동 신호를 보내는 마이크로칩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적인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감지수단(130)은 열기나 연기 등에 의하여 손상이 일어난다든가 하는 기계적인 변화가 유발됨으로써 열기나 연기 등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되는 부분과 기계적인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권취수단(120)을 작동시키는 기계적인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설명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130)이 연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권취수단(120)의 작동(즉 상기 차단막(110)의 펼침)을 지시할 수 있기만 하다면 상기 감지수단(130)은 그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수단(1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수단(140)은, 고리 형상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링 형상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140)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바닥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연기가 상기 차단막(110)과 바닥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통과하려 할 때 상기 차단막(110) 하부가 상기 잠금수단(1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사람의 통과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내려오는 경로를 안내하도록,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1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15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안내부(150)가 폭 방향 양측 모서리 모두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져 내려오는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상기 차단막(110)과 건물 벽면 사이의 틈새로 연기가 새어드는 것을 더 방지해 주는 역할 또한 겸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차단막(110)이 올바른 위치로 잘 펼쳐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기 차단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권취수단(12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130)에서 화재 등의 재난 상황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 내려올 수 있도록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회전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권취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110)의 끝단이 완전히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할 수도 있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막(110)의 끝단이 바닥까지 내려오게 하려면 상기 권취봉(111)을 너무 많이 회전시켜야 하여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 양이 너무 많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신속하게 상기 차단막(110)을 펼치기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야만 하여 부하가 커지는 문제도 있을 수 있다. 더불어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열기나 충격 등으로 모터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막(110)이 완전히 펼쳐지지 못한 채로 있게 되어 연기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틈새로 새어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수단(120)은,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기동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풀림 동작 및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수동 풀림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감지수단(130)에 연기 등이 감지되면 당연히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권취봉(115)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막(110)을 펼치도록 동작하되, 모터가 아니더라도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잡아당겨서도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권취수단(120)이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권취수단(120)이 상기 차단막(110)을 다소 천천히 펼치게 설계한다 해도, 연기가 확 몰려오는 긴급한 상황일 때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잡아당겨 신속하게 완전히 펼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해서 유연히 대처할 수 있게 해 준다. 물론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권취수단(120)이 상기 차단막(110)을 모터만으로 완전히, 빠르게 펼칠 필요가 없어, 모터의 부하 및 모터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또한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120)이 모터 등을 이용한 자동 풀림 동작만으로 상기 차단막(110)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지 않고, 사람이 잡아당기는 등과 같은 수동 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경우, 상기 권취수단(120)은 아예 처음부터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해서 펼쳐지는 정도가 상기 차단막(110) 전체가 아니라 일부가 되도록 설계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수단(120)이 상기 감지수단(130)으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으면, 상기 권취수단(120)이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 내지 70% 범위 내의 높이에 상기 고정바(112)가 위치될 때까지 상기 차단막(110)을 풀어내리도록 형성한다.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까지 풀어내린다는 것은 즉 상기 권취수단(120)이 자동 풀림 동작만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완전히 펼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70%의 상한선은, 키가 작은 청소년 내지 성인도 손을 뻗으면 쉽게 상기 차단막(110) 하부 끝단(즉 상기 고정바(112) 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평균보다 키가 작은 사람이 많이 거주하는 건물(예를 들어 어린이집, 초중 학원 등이 입주한 건물 등)의 경우 상기 권취수단(120)의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110)이 풀어내려지는 정도가 더 크도록(예를 들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50% 이하까지 풀어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화염 때문에 사람이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에 접근하기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해 0%까지(즉 바닥까지) 상기 차단막(110)이 풀어내려져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동 풀림 동작으로 펼쳐지게 하는 정도는, 설계자가 건물 또는 거주자 특성, 설치되는 승강기 문이나 건물 층 높이, 화재 발생 시 대처 가능 정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 의하여 연무가 발생하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전방에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져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승강기일 경우,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무가 승강기 문의 틈새로 새어나와 승강기 통로를 타고 다른 층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사이를 벌릴 수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단위띠(115)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연기의 통과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은 상기 단위띠(115) 사이를 벌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해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의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를 이용한 대피가 허용될 경우 사람들이 대피를 위해 승강기 근처에 머무르게 될 확률이 높은 바, 이러한 경우에 그 효과가 더욱 배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복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재난 발생 구역에서 먼 곳까지 연기가 쉽게 퍼져나갔으나,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도 6(B)에서와 같이 재난 발생 구역을 적절히 차단하여 복도로 연기가 많이 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일반적인 방화막 등과는 달리 사람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 대피나 구조 활동에 큰 불편을 주지 않는 바, 이러한 복도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도 7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외부 환경인 경우로서, 건물 내의 연무가 문이나 창문 등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막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는 건물 내외를 통과하는 문 또는 창문에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물론 건물 내의 문, 즉 사무실과 복도 사이의 문 등과 같은 위치에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됨으로써 연무의 퍼짐을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은 승강기 앞 등과 같이 대피하던 사람들이 대기하고 있을 수 있는 공간을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를 이용하여 안전지대(safety zone)화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연무가 차단되는 안전지대(safety zone)로서의 닫힌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를 2개 이상(도 8에서는 승강기 통로로 새어드는 연기를 막기 위해 승강기 문 앞에 설치한 것까지 3개)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무가 차단된 안전지대로 만들 수 있다.
도 5, 6, 7, 8은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의 여러 사용 예일 뿐으로, 물론 도 5, 6, 7, 8 등으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 등이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며, 연무를 차단하면서도 사람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위치라면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
110: 차단막
111: 권취봉 112: 고정바
120: 권취수단 130: 감지수단
140: 잠금수단 141: 걸림부
142: 고정부 150: 안내수단
200: 차단대상공간

Claims (8)

  1.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100)로서,
    불연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다수 개의 단위띠(115)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띠(115)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112)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110);
    상기 차단막(110)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110)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키는 권취수단(120);
    상기 권취수단(120)과 연결되어, 연무를 감지하여 상기 권취수단(120)의 작동 여부를 판단 및 지시하는 감지수단(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띠(115)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띠(115)들이 서로 일부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20)은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기동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풀림 동작 및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수동 풀림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감지수단(130)으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으면,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 내지 70% 범위 내의 높이에 상기 고정바(112)가 위치될 때까지 상기 차단막(110)을 풀어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1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는 안내부(1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연무가 차단되는 안전지대(safety zone)로서의 닫힌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KR1020110080357A 2011-08-11 2011-08-11 연무 차단 장치 KR10129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57A KR101297429B1 (ko) 2011-08-11 2011-08-11 연무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57A KR101297429B1 (ko) 2011-08-11 2011-08-11 연무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47A true KR20130017747A (ko) 2013-02-20
KR101297429B1 KR101297429B1 (ko) 2013-08-19

Family

ID=4789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357A KR101297429B1 (ko) 2011-08-11 2011-08-11 연무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032A (zh) * 2019-07-31 2019-12-03 合肥四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可检测雾霾程度的防雾霾窗户
KR102084887B1 (ko) * 2019-08-28 2020-03-0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584B2 (ja) * 1997-01-31 2000-02-07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0859527B1 (ko) * 2007-09-17 2008-09-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JP2010209614A (ja) * 2009-03-11 2010-09-24 Toyota Motor Corp ブラインドシャッ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032A (zh) * 2019-07-31 2019-12-03 合肥四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可检测雾霾程度的防雾霾窗户
KR102084887B1 (ko) * 2019-08-28 2020-03-0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429B1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1874040B1 (ko)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ES2564574T3 (es) Dispositivo móvil de protección contra el humo e incendios
KR102257464B1 (ko)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JPH10314329A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20170027206A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101540387B1 (ko)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230013685A (ko) 화재감지시 자동차폐기능을 갖는 방화겸용 롤스크린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KR20120083672A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JP3791768B2 (ja)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2143332A (ja) ベランダ用遮煙装置及びこの遮煙装置を備えたベランダ
KR20130024575A (ko)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JP2002315841A (ja)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