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672A -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 Google Patents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672A
KR20120083672A KR1020110004943A KR20110004943A KR20120083672A KR 20120083672 A KR20120083672 A KR 20120083672A KR 1020110004943 A KR1020110004943 A KR 1020110004943A KR 20110004943 A KR20110004943 A KR 20110004943A KR 20120083672 A KR20120083672 A KR 20120083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opening
fire doo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왕상
Original Assignee
권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왕상 filed Critical 권왕상
Priority to KR102011000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3672A/ko
Publication of KR2012008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은 방화문의 하부 일측 모서리끝을 기준으로 일부분을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소방호스가 진입되기 위한 소방전용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소방호스가 방화문을 통과하여 화재 현장에 투입된 상태에서 소방호스 및 방화문의 상호 간섭 없이 방화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소방호스가 화재 현장에 투입된 후 방화문을 닫은 상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내부에 요구조자 있을시 구조작업후 화재실을 탈출할 때 소방호스와 방화문의 간섭이 없어 신속히 방화문을 개폐할 수 있어 소방대원과 요구조자가 탈출하는 등의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며, 또한 열과 연기는 화점의 상부에 저장이 되며 화재에 의해 발생된 유해가스 및 연기가 화재장소 이외의 다른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방호스가 방화문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방화문을 닫은 채로 화재 진압이 가능하므로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어 연소가 지연되며, 연소가 지연되므로 연기의 발생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소방관이 도착한 상황에서 더 이상의 연소가 확대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FIRE DOOR THAT HAVE FIRE FIGHTING EXCLUSIV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닫혀진 상태로 소방호스를 화재 장소에 진입시킬 수 있는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방화구획에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 다른 부분으로 화재의 확산을 막으며, 화재발생지역에서만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방화문은 벽으로 구획이 가능한 곳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통로, 공항, 체육관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는 방화셔터가 이용된다. 방화구획에 대한 설치기준(피난방화규칙 제14조)에서 구획부분의 구조를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방화문, 자동방화셔터로 구획할 것을 정하고 있다.
한편, 방화문은 갑종방화문(60분내화성능)과 을종방화문(30분내화성능)이 있으며, 현장에서는 갑종방화문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방화문은 음식점, 상점 등과 같은 영업소 또는 일반건물의 비상구 측에 설치되거나 아파트 등의 통로(복도)에 설치되며,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주로 위층으로 번져나가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 시 문을 열어 놓으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문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건물 내에 비치된 옥내소화전에서 소방호스를 전개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소방차에서 소방호스를 전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소화전의 소방호스 또는 소방차의 소방호스를 화재장소까지 전개하기 위해서는 방화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방호스를 휴대한 소방관이 화재실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방화문 전체를 열어 통과하여야 하고, 방화문은 열린 상태에서 소방호스로 인하여 닫히지 않으므로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와 열이 계단을 통하여 피난경로를 장악하고 상층의 계단과 실내 등으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상층의 인명대피와 연소 확대 저지를 하면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으로는 방화문을 닫고 소방호스 전용의 아주 작은 공간을 방화문 부근의 아래부분에 설치하여 사람이 이용하는 방화문을 닫고 소방호스만이 통과할 수 있는 별도의 문이 필요하였다.
한편, 적정규모 이상의 빌딩에는 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는바 현재의 문제는 소방관이 현장도착후 화재진압을 위하여 화점 직하층의 소방호스를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하층의 소방호스를 전개하기 위하여 계단의 방화문과 화재실의 방화문 2개를 개방함으로 현재의 차압방식(피난을 위한 전실을 화재실보다 놓은 압력으로 공기를주입하여 화재실의 연기와 열기를 전실 및 피난통로 측으로 이동치 못하도록 하는 설비)의 제연설비가 무용지물이되어 방화문의 넓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가연재에 산소공급등으로 화재의 확산을 도와주며 화염이 통로 및 피난계단에 가득 차서 피난에 장애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에서 소방관이 옥내진입하여 소방호스를 전개하여 화재를 진압할시에 방화문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방호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한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은 방화문의 하부 일측 모서리끝을 기준으로 일부분을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소방호스가 진입되기 위한 소방전용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방전용도어는 일측이 상기 개구부의 두 측면 중 일면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힌지없는측)에 걸림쇠가 상기 개구부의 내면 일측에 착탈되는 개폐뭉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은 상기 소방전용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되, 상기 소방전용도어 및 개구부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에 의하면, 소방호스가 방화문을 통과하여 화재 현장에 투입된 상태에서 소방호스 및 방화문의 상호 간섭 없이 방화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소방관이 소방호스를 전개한 채로 화재 현장에 투입된 후 방화문을 닫은 상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내부에 요구조자 있을시 구조작업후 화재실을 탈출할 때 소방호스와 방화문의 간섭이 없어 신속히 방화문을 개폐할 수 있어 소방대원과 요구조자가 탈출하는 등의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며, 또한 열과 연기는 화점의 상부에 저장이 되며 화재에 의해 발생된 유해가스 및 연기가 화재장소 이외의 다른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방호스가 방화문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방화문을 닫은 채로 화재 진압이 가능하므로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어 연소가 지연되며, 연소가 지연되므로 연기의 발생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소방관이 도착한 상황에서 더 이상의 연소가 확대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소방전용도어가 개방되어 소방호스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소방전용도어가 개방되어 소방호스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소방전용도어가 개방되어 소방호스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방화문의 하부의 일측 모서리를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완전히 절개하여 개구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0)에는 소방전용도어(11)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전용도어(11)는 일측이 개구부(10)의 일측에 힌지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소방전용도어(11)의 정면 일측에는 평상시 소방전용도어(11)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10)의 내측(힌지없는측)에 걸림쇠(12a)가 착탈되는 개폐뭉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뭉치(12)는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개방할 수 있는 통상의 도어 손잡이 구조와 동일한 개폐구조로 구성되되, 소방전용도어(11)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되도록 돌림 손잡이를 갖는 원판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은 통상 건물의 비상구 또는 통로에 설치되는데, 방화문의 상부에 도어체크(미도시)가 설치되어 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통상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의 복도 등에 설치된 소화전 내의 소방호스 또는 소방차에 구비된 소방호스를 전개하여 화재 현장에 도착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1)을 통해 소방호스(H)를 화재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의 화점 아래층에 설치된 소화전을 사용하는데 화점층으로 직접 접근하여 소방호스 연장시 화염에 의한 시각장애와 고열에 의한 어려움이 있어 화점 아래층에서 옥내소화전이나 소방차량에서 전개된 호스를 옥내계단을 통하여 화점층 계단방화문을 1차 개방하고, 2차로 화재지점의 방화문(1)을 개방하여 호스연장 후 방화문(1)의 하부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 소방전용도어(11)를 개방한다. 이때, 소방전용도어(11)의 개폐뭉치(12)를 돌려서 소방전용도어(11)를 개방한다.
소방전용도어(11)가 개방되면 도 3과 같이 소방호스(H)를 소방관이 휴대하고 방화문(1) 내부로 소방호스(H)를 진입시켜 소방호스(H)를 화재 현장 내에 투입시킬 수 있고, 화재 현장에 진입하는 즉시 방화문(1)을 닫은 후 소방호스(H)를 들고 방화문(1)이 닫힌 상태로 화재 현장 내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여기서, 방화문(1)은 닫히는 쪽의 하부 모서리가 완전히 절개되어 개구부(1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소방호스(H)가 화재 현장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도 방화문(1)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소방호스(H)가 방화문(1)을 통과하여 화재 현장에 투입된 상태에서 소방호스(H) 및 방화문(1)의 상호 간섭 없이 방화문(1)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소방호스(H)가 화재 현장에 투입된 후 방화문(1)을 닫은 상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화문(1)이 열린 상태로 화재 장소 내의 유해가스 등화염이 방화문(1) 외부의 다른 주변, 즉 건물 내의 계단, 복도 등의 피난 경로와 상층의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의 소방전용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2)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소방전용도어(21)가 개구부(2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개구부(20)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되, 소방전용도어(21) 및 개구부(20)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 부재(22)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1)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2)은 개구부(20)의 좌, 우측면에 탄성 부재(22)가 설치되므로 소방전용도어(21)가 개구부(20)에 억지끼움으로 닫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소방전용도어(21)를 개방할 때 소방전용도어(21)에 충격이 가해지면 개구부(20)에 억지끼움된 소방전용도어(21)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긴박한 화재현장에서 방화문(2)의 소방전용도어(21)를 발로 차는 간단한 동작으로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소방호스(H)를 방화문(2) 내측으로 신속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소방전용 방화문은 피난구획된 계단등의 장소에 설치 가능하며 도난, 외부침입과 관련없는 장소에 특히 유효하다.
1, 2 : 방화문 10, 20 : 개구부
11, 21 : 소방전용도어 12 : 개폐레버
13 : 레버 고정편 22 : 탄성 부재
H : 소방호스

Claims (3)

  1. 방화문(1, 2)의 하부 일측 모서리끝을 기준으로 일부분을 절개하여 개구부(10, 2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 20)에 소방호스(H)가 진입되기 위한 소방전용도어(11, 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전용도어(11)는
    일측이 상기 개구부(10)의 두 측면 중 일면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힌지없는측)에 걸림쇠(12a)가 상기 개구부(10)의 내면 일측에 착탈되는 개폐뭉치(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전용도어(21)는
    상기 개구부(2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0)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되,
    상기 소방전용도어(21) 및 개구부(20)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 부재(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20110004943A 2011-01-18 2011-01-18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20120083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943A KR20120083672A (ko) 2011-01-18 2011-01-18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943A KR20120083672A (ko) 2011-01-18 2011-01-18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72A true KR20120083672A (ko) 2012-07-26

Family

ID=4671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943A KR20120083672A (ko) 2011-01-18 2011-01-18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36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012A (zh) * 2019-08-28 2019-11-26 徐州阿利斯塔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防火保温进户门
KR102131622B1 (ko) * 2019-08-26 2020-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KR102374174B1 (ko) * 2020-12-28 2022-03-14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스마트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22B1 (ko) * 2019-08-26 2020-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CN110500012A (zh) * 2019-08-28 2019-11-26 徐州阿利斯塔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防火保温进户门
KR102374174B1 (ko) * 2020-12-28 2022-03-14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스마트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US7810576B2 (en) Mobile smoke control and fire protection device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38329A (ko) 빌딩 화재 인명-구조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20120083672A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umm et al. EPS insulated façade fires from a fire and rescue perspective
RU161992U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027439B1 (ko) 제연기능을 갖는 건물과 아파트 피난구 설치용 방연시스템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2010119516A (ja) 建物及び建物の設計装置
KR20120083673A (ko)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틀
KR101747150B1 (ko) 소방 호스 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20130002587U (ko) 소방전용도어를 갖는 방화문틀
RU2690805C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JP3837653B2 (ja) 建築防災システム
KR20130024575A (ko)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JP2002224232A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KR102423971B1 (ko)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190253B1 (ko)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KR200461400Y1 (ko) 제연 커튼 겸용 투시형 방화셔터
KR102619703B1 (ko)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Datta Fire and Life Safety Evaluation of Christopher Cohan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