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614B1 -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614B1
KR101576614B1 KR1020150153604A KR20150153604A KR101576614B1 KR 101576614 B1 KR101576614 B1 KR 101576614B1 KR 1020150153604 A KR1020150153604 A KR 1020150153604A KR 20150153604 A KR20150153604 A KR 20150153604A KR 101576614 B1 KR101576614 B1 KR 10157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plates
auxiliar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배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Priority to KR102015015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방화문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 구역과의 차단이 가능하게 하여 화염과 함께 발생되는 연기(유독가스)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대피로의 확보 및 구조대의 구조에 대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Fire door with Smoke cutof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실내에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화재 발생구역을 차단하여 연기(유독가스) 및 화염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대피로의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인명안전은 화재발생장소에서 발생한 화열(火熱)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화재기류에 의해 운반되어 건물 내로 확산되는 연기에 의하여 호흡곤란으로 인한 질식사로 이어져 인명피해거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층 또는 대규모 건축물의 화재에서 수많은 희생자가 나올 때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연기가 주요원인이다.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인명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기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된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연기가 인명위험의 가장 중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화염에 비해 연기가 건물 내에서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기와 열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건물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 그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한편,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철재 형태의 방화문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화문은 특허출원등록 제10-0614215호에서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화문은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그 외부와의 차단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마땅히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6142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방화문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 구역과의 차단이 가능하게 하여 화염과 함께 발생되는 연기(유독가스)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대피로의 확보 및 구조대의 구조에 대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실내측 내부판과 실외측 외부판을 이루고 내부판과 외부판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방화문에 있어서,
내부판을 절개하여 공간부와 연통되는 인출구;
일측이 인출구의 일측에서 내부판에 경첩 연결되고, 타측이 인출구의 타측에서 내부판과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되며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도어;
공간부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며, 화재시 보조도어를 개방 및 인출구를 통해 인출시켜 차단막을 이루는 절첩식 차단판 유닛; 및
벽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벽체 자석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차단판 유닛은, 차단판 테두리의 중앙에 난연시트로 마감된 다수의 차단판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차단판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차단판의 일단은 공간부의 내측에서 외부판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그 기준이 되는 차단판의 타단에는 다수의 차단판이 연속하여 지그재그 상으로 "8"자형 연결클립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가장 외측에 해당하는 차단판의 단부에는 상기 벽체 자석체와 부착력을 가지는 차단판 자석체를 형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은, 방화문의 내측에 절첩식 차단막을 내입 형성되고, 그 차단막은 방화문의 실내측 내부판을 개방 및 전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 차단막을 이용하여 화재 구역을 차단 및 연기의 진입이 방지되게 하며, 이로인해 연기로 인한 인명사고의 예방과 충분한 시간의 확보에 따른 대비로의 확보 및 안전하게 구조대의 구조를 기대할 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사용상태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사용상태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전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평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1)은, 실내측 내부판(11)과 실외측 외부판(12)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판(11)과 외부판(12)의 사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된 것으로, 인출구(100)와, 보조도어(200)와, 차단판 유닛(300)과, 벽체 자석체(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100)는, 방화문(1)의 실내측에 해당하는 내부판(11)에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판(11)의 중앙을 절개하여 내부의 공간부(13)와 외부가 연통하게 구성된다.
상기 보조도어(200)는, 상기 인출구(100)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일측이 인출구(100)의 일측에서 내부판(11)에 경첩(201)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타측에는 록킹수단(210)이 형성되어 내부판(11)과의 록킹구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손잡이(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수단(21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쾌해정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면 가능하다.
상기 차단판 유닛(300)은, 상기 공간부(13)의 내측에 수용 및 보조도어(200)를 통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며, 화재시 보조도어(200)의 개방 및 인출구(100)를 통해 인출시켜 화재구역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차단판 유닛(3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차단판(310)(310')으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그 둘레가 금속봉으로 구성된 직사격형 링 형태의 차단판 테두리(311)를 이루며, 그 차단판 테두리(311)의 중앙이 난연시트(312)로 마감되게 구성되며, 공간부(13) 내측에서는 각각의 차단판(310)(310')이 중첩되게 접혀진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차단판(310) 즉, 중첩시 가장 내측에 해당하는 차단판(310)은 좌,우 폭방향 일단이 공간부(13)의 내측에서 외부판(12)의 내측면에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연결시에는 힌지(H) 연결되어 회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그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으로부터 다수의 차단판(310)(310')이 연속하여 연결 형성된 것으로, 이는, 그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의 타단에는 또 다른 차단판(310')의 일단이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때 연결수단으로는 "8"자형 형태의 연결클립(C)으로 연결되어 그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으로부터 회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즉, 다수의 차단판(310)(310')은 상기와 같이 좌,우측 일단 및 타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 형성된 것으로, 평면상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연결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클립(C)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차단판(310)(310')은 연결클립(C)의 양측이 각각의 차단판 테두리(311)를 감싸게 연결되는 것이며, 차단판 테두리(311)는 연결클립(C)과의 회전간섭을 받지 않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된 각각의 차단판(310)(310') 중 그 가장 외측에 해당하는 차단판(310')에는 차단판 자석체(3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속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공간부(13)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그 수용 수량의 확보를 위해 각각 다른 크기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외부판(12)에 힌지(H) 연결되는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으로부터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차단판(310')으로 갈수록 차단판 테두리(311)가 확장된 크기를 가지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점차적으로 확장된 크기를 갖는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서로간에 중첩시 차단판 테두리(311)가 작게 형성된 차단판(310)이 이웃하는 크게 형성된 차단판(310')의 차단판 테두리(311)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차단판(310)(3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실내 구조상 그 높낮이가 다를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조 차단판(330)(330')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보조 차단판(330)(330')은, 보조 테두리(331)의 중앙에 난연시트(312)가 마감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보조 차단판(330)(330')은 각각의 차단판(310)(3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보조 테두리(331)와 차단판 테두리(311)가 "8"자형 연결클립(C)으로 연결 및 차단판 테두리(311)의 사이에 수용되는 한편, 항시 벌어지는 탄력이 부여되는 토션스프링(341)이 탄설되어 항시 보조 차단판(330)(330')이 차단판(310)(310')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로의 전개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상기 벽체 자석체(400)는, 상기 가장 외측의 차단판(310')에 형성된 차단판 자석체(320)와 서로다른 극성을 가져 서로간에 부착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하나 이상 구성되어 실내의 벽체(도면중 미도시함)에 하나 이상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벽체 자석체(400)는, 차단판 유닛(300)을 전개하여 차단막을 이룰시 그 가장 외측의 차단판(310')에 형성된 차단판 자석체(320)가 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1)은, 평소 그 내측 공간부(13)에 차단판 유닛(300)의 각각의 차단판(310)(310')이 접혀진 상태로 완전 수용되며, 그 개방된 인출구는 보조도어(200)에 의해 마감되며, 마감된 보조도어(200)는 록킹수단(210)에 의해 내부판(11)에 록킹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거주자는 신속하게 차단판 유닛(300)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구역과 미발생 구역의 구획을 위한 차단막을 설치하면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거주자는 방화문(1) 내부판(11)에 형성된 보조도어(200)의 록킹수단(210)을 해제한 상태에서 보조도어(200)의 손잡이(220)를 파지 및 인출구(100)를 개방하고, 차단판 유닛(300)을 공간부(13)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키면 된다.
이후, 인출시킨 차단판 유닛(300)은, 각각의 차단판(310)(310')의 전개를 실시하되, 전개시에는 가장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차단판(310')에 대하여 외력을 가해 당기면 되는 것으로, 이에 연속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각각의 차단판(310)(310')의 전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거주자는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벽체 자석체(400)와 연결을 수행하되, 연결시에는 가장 외측의 차단판(310')에 형성된 차단판 자석체(320)를 그 벽체 자석체(400)에 부착 고정하면 된다.
이에, 전개된 차단판 유닛(300)의 각각의 차단판(310)(310')에 의해 화재구역과 미발생 구역에 대한 구획을 이루는 차단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단막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차단판(310)(310')에 형성된 보조 차단판(330)(330') 또한 전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조 차단판(330)(330')은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토션스프링(341)의 탄력에 의해 각각의 차단판(310)(310')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것인바, 각각의 차단판(310)(310')이 전개됨과 동시에 보조 차단판(330)(330') 또한 각각의 차단판(310)(310')으로부터 자동으로 상부 및 하부로 탄력 전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각각의 보조 차단판(330)(330')은, 각각의 차단판(310)(310')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차단판(310)(310')의 상단 및 하단이 건축물의 천정 및 바닥부와의 유격이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전개되는 보조 차단판(330)(330')은 탄력에 의해 천정 및 바닥과의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차단판 유닛(300)의 전개 설치에 따른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인바, 실내 거주자는 연기(유독가스) 및 화염으로부터 차단이 가능한 것인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기의 차단에 따른 시간적인 여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거주자는 차분하게 대피로를 확보하거나, 구조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간단한 조작으로도 그 화재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연기(유독가스)로 인한 2차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방화문 11 : 내부판
12 : 외부판 13 : 공간부
100 : 인출구
200 : 보조도어 210 : 경첩
210 : 록킹수단 220 : 손잡이
300 : 차단판 유닛 310,310' : 차단판
311 : 차단판 테두리 312 : 난연시트
320 : 차단판 자석체 330,330' : 보조 차단판
331 : 보조 테두리
341 : 토션스프링 400 : 벽체 자석체
C : 연결클립

Claims (2)

  1. 실내측 내부판(11)과 실외측 외부판(12)을 이루고 내부판(11)과 외부판(12)의 사이에 공간부(13)가 형성된 방화문에 있어서,
    내부판(11)을 절개하여 공간부(13)와 연통되는 인출구(100);
    일측이 인출구(100)의 일측에서 내부판(11)에 경첩(201) 연결되고, 타측이 인출구(100)의 타측에서 내부판(11)과 록킹수단(210)에 의해 록킹되며 손잡이(220)가 형성된 보조도어(200);
    공간부(13)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며, 화재시 보조도어(200)를 개방 및 인출구(100)를 통해 인출시켜 차단막을 이루는 절첩식 차단판 유닛(300); 및
    벽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벽체 자석체(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차단판 유닛(300)은, 차단판 테두리(311)의 중앙에 난연시트(312)로 마감된 다수의 차단판(310)(310')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차단판(310)의 일단은 공간부(13)의 내측에서 외부판(12)의 내측면에 힌지(H) 연결되고, 그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의 타단에는 다수의 차단판(310)(310')이 연속하여 지그재그 상으로 "8"자형 연결클립(C)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가장 외측에 해당하는 차단판(310')의 단부에는 상기 벽체 자석체(400)와 부착력을 가지는 차단판 자석체(3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단판(310)(310')은,
    외부판(12)에 힌지(H) 연결되는 기준이 되는 차단판(310)으로부터 외측에 위치되는 차단판(310')으로 갈수록 각각의 차단판 테두리(311)가 중복되지 않도록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크기를 가지게 구성하며,
    각각의 차단판(310)(3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보조 테두리(331)의 중앙에 난연시트(312)가 마감된 보조 차단판(330)(330')이 더 연결되게 구성하되,
    보조 차단판(330)(330')은, 차단판 테두리(311)와 보조 테두리(331)가 "8"자형 연결클립(C)으로 연결되는 한편, 토션스프링(341)이 탄설되어 항시 보조 차단판(330)(330')이 차단판(310)(310')으로부터 상,하 전개력을 가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20150153604A 2015-11-03 2015-11-03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57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04A KR101576614B1 (ko) 2015-11-03 2015-11-03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04A KR101576614B1 (ko) 2015-11-03 2015-11-03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614B1 true KR101576614B1 (ko) 2015-12-10

Family

ID=5497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04A KR101576614B1 (ko) 2015-11-03 2015-11-03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6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99B1 (ko) 2016-05-23 2016-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을 차단하는 소방용 출입문
KR101744108B1 (ko) * 2016-06-24 2017-06-07 (주)한림구조엔지니어링 건축물 현관용 비상 탈출장치
KR20190025310A (ko) 2017-09-01 2019-03-11 배종옥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190066457A (ko) 2017-12-05 2019-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도어
KR20190088290A (ko) 2018-01-18 2019-07-26 이병규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349379B1 (ko)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CN115234144A (zh) * 2022-07-04 2022-10-25 杭州康安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060A (ja) 2000-11-30 2002-06-11 Techno Namiken Kk 折れ戸式防火扉
US20080244991A1 (en) 2007-03-29 2008-10-09 Won-Door Corporation Vision panel for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060A (ja) 2000-11-30 2002-06-11 Techno Namiken Kk 折れ戸式防火扉
US20080244991A1 (en) 2007-03-29 2008-10-09 Won-Door Corporation Vision panel for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99B1 (ko) 2016-05-23 2016-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을 차단하는 소방용 출입문
KR101744108B1 (ko) * 2016-06-24 2017-06-07 (주)한림구조엔지니어링 건축물 현관용 비상 탈출장치
KR20190025310A (ko) 2017-09-01 2019-03-11 배종옥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190066457A (ko) 2017-12-05 2019-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도어
KR20190088290A (ko) 2018-01-18 2019-07-26 이병규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349379B1 (ko)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CN115234144A (zh) * 2022-07-04 2022-10-25 杭州康安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US7810576B2 (en) Mobile smoke control and fire protection device
JP6181051B2 (ja) 火災避難待避施設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WO2012033273A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CN102091389A (zh) 楼房防火防震救生舱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RU161992U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KR20120083672A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JP2013204357A (ja) ガラス耐火扉
CN113982439A (zh) 抗爆消防救援门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RU2690805C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KR101747150B1 (ko) 소방 호스 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JPH0648695U (ja) 耐火避難室
CN219614773U (zh) 一种柜式火灾临时避险装置
KR102259133B1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JP2002315841A (ja)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CN214006665U (zh) 一种多层/高层公共建筑安全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