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060B1 -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 Google Patents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060B1
KR101591060B1 KR1020140154845A KR20140154845A KR101591060B1 KR 101591060 B1 KR101591060 B1 KR 101591060B1 KR 1020140154845 A KR1020140154845 A KR 1020140154845A KR 20140154845 A KR20140154845 A KR 20140154845A KR 101591060 B1 KR101591060 B1 KR 10159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roof
plate
wal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규
Original Assignee
최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규 filed Critical 최장규
Priority to KR102014015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 가장자리 위에 설치되고 어느 한 면에는 도어를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에 의해 대피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지붕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경사지붕판에 의해 다각뿔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지붕의 상단에는 통풍구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통풍구의 하단에는 잠금구와 손잡이를 구비하여 여닫힘이 가능한 천정도어를 형성하고, 대피공간 내부에는 밸브를 구비하는 고압공기통을 설치하여 벽체 내측면 하부에 빙둘러서 배설되고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공을 구비하는 환기용고압공기공급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피난자가 피난하기 전에 피난장치 내부에 자욱하게 차있는 연기와 피난자가 들어가면서 피난장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할 수 있어 피난자들이 대피공간 내부에서 호흡의 곤란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또 난연판과 단열판, 이격판 등의 구조에 의해 화염으로 부터 상당 시간 동안 피난자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장소의 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본 발명은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등에서 화재발생시 미처 대피하지 못한 피난자들이 긴급하게 대피하여 화재가 진압되거나 구조될 때까지 임시로 머물기 위한 대피시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들은 내부 거주 공간을 확대하고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으로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어 내부에서 생활하는 인원수가 많은 만큼 상대적으로 저층 건물에 비해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고층건물의 경우 지상으로 연결된 통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화재 발생시 대피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피난시 대피 경로가 화재로 인해 차단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저층건물의 화재에 비해 인명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층건물에 화재대피시설을 갖추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적합한 화재대피시설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화재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되며 이로 인해 마땅한 대피경로를 찾지 못한 사람들은 구조를 기다리다가 고층에서 뛰어내려 추락사고가 발생하거나 구석에 몰려 사망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건물 밖으로 대피하여야 하고 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우선이나, 구조가 늦어지거나 불가피하게 오랫동안 화재현장에 머물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화재시의 복사열로 인한 화상과 각종 유독가스로 인한 폐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피공간이 건물 내부에 군데군데 비치된다면 많은 인명구조에 큰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하다.
물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난자들의 대피공간을 형성하도록 유사시에 인장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을 감싸면서 커버하여 화재로부터 피난자를 보호하도록 내화재를 갖는 커버수단(30); 상기 커버수단(30)을 개폐하는 도어(50); 화재감지센서(S)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수단(30)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수단(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난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7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S)의 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산소탱크(70)의 산소를 공급시키는 조절스위치(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장치가 특허등록 제10-0967563호로 공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히 화염으로 인한 화상의 방지에 주안점을 둔 발명으로 실제 화재현장은 화염보다는 자욱한 연기로 인해 호흡이 곤란한 경우가 더 많고, 사망자도 화상보다는 질식으로 인한 경우가 훨씬 많다.
물론 이 경우에도 피난장치 내부에 산소탱크를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산소탱크의 산소가 피난자들에게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미 피난장치 내부에 연기가 자욱한 경우에 대해서는 어떠한 해결방법도 없다.
더구나 산소가 먼저 피난장소 내부에 배출된 상태에서 피난자가 화염이 인접한 상태에서 문을 열었을 경우에는 화염은 산소 때문에 거의 폭발상황을 맞이하게 되는 등 오히려 피난자를 위험에 빠뜨리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
[선행기술문헌]
1. 국내특허등록 : 제10-1286886호
2. 국내실용신안공개 : 제20-2008-000020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개의 경우 이미 피난장치 내부에 자욱한 연기와 또는 피난자가 들어가면서 피난장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피난자들이 호흡의 곤란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또한 화염으로 부터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피난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대피시설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바닥판 가장자리 위에 설치되고 어느 한 면에는 도어를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에 의해 대피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지붕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경사지붕판에 의해 다각뿔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지붕의 상단에는 통풍구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통풍구의 하단에는 잠금구와 손잡이를 구비하여 여닫힘이 가능한 천정도어를 형성하고, 대피공간 내부에는 밸브를 구비하는 고압공기통을 설치하여 벽체 내측면 하부에 빙둘러서 배설되고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공을 구비하는 환기용고압공기공급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정도어의 중앙에는 첵벨브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공기통에는 밸브를 구비하는 호흡용 공기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호흡용 공기공급관에는 다수개의 산소마스크가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체와 경사지붕판은 외측에는 난연판이 피복되고, 내측면에는 단열판이 형성되며, 상기 난연판의 외측에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격판이 난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체와 도어에는 내열유리창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격판의 하단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에는 견인줄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피난자가 피난하기 전에 피난장치 내부에 자욱하게 차있는 연기와 피난자가 들어가면서 피난장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할 수 있어 피난자들에게 대피공간 내부에서 호흡의 곤란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또 난연판과 단열판, 이격판 등의 구조에 의해 화염으로 부터 상당 시간 동안 피난자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장소의 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은 바닥판 가장자리 위에 설치되고 어느 한 면에는 도어(140)를 구비하는 벽체(110)와, 상기 벽체(110)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에 의해 대피공간(A)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지붕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지붕경사판(120)에 의해 다각뿔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지붕의 상단에는 통풍구(130)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통풍구(130)의 하단에는 잠금구(133a)와 손잡이(133)를 구비하여 여닫힘이 가능한 천정도어(131)를 형성하고, 대피공간(A) 내부에는 밸브(163)를 구비하는 고압공기통(160)을 설치하여 이를 벽체(110) 내측면 하부에 빙둘러서 배설되고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공(162)을 구비하는 환기용 고압공기공급관(161)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붕경사판(120)에 의해 다각뿔 형상을 갖는 천정도어(131)와 통풍구(130), 천정도어(131), 고압공기통(160), 환기용 고압공기공급관(161)은 피난자가 피난장소에 들어오기 전부터 대피공간(A)에 존재하고 있었거나, 피난자가 들어가면서 피난장치 내부로 유입된 연기와 유해 가스를 밖으로 빼내기 위한 구조로, 피난자가 대피공간(A) 내부로 들어가서 도어(140)를 닫고 천정도어(131)를 연 다음, 고압공기통(160)의 밸브(163)를 열게 되면 환기용 고압공기공급관(161)의 분사공(162)을 통해 고압공기가 배출되면서 대피공간(A) 내부의 연기와 유해 가스를 통풍구(130)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통풍구(130)는 지붕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형성함으로써 화염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함은 물론 내부의 연기 및 유해 가스를 배출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천정도어(131)의 중앙에는 첵벨브(134)가 형성되도록 하여 피난자가 고압공기통(160)의 밸브(163)만을 열고 천정도어(131)를 미처 열지 못한 경우 대피공간(A) 내부의 고압공기 압력에 의해 첵벨브(134)가 스스로 열려 대피공간(A) 내부의 연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133)의 일측에는 지붕의 저면, 즉 천정 일측에 형성된 잠금구(133a)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33)은 공지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여서 걸림턱이 잠금구(133a)에 잠기거나 해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손잡이(133)을 잠금이나 해정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133c)이 손잡이(133)이 안쪽에 탄력이 작용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손잡이(133)와 잠금구(133a)에 의해 천정도어(131)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133)에는 견인줄(133b)을 매달아 키가 작거나 허리를 펴기 힘든 경우에도 견인줄(133b)을 당겨서 천정도어(131)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피공간(A) 내부의 자욱한 연기를 배출시키고 나면 피난자는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고, 또 일단 호흡의 곤란을 느끼지 않게 된다. 물론 피난자들이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압공기통(160)에는 밸브(165)를 구비하는 호흡용 공기공급관(164)을 연결하고, 상기 호흡용 공기공급관(164)에는 다수개의 산소마스크(166)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산소통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고압공기통(160)을 사용하는 이유는 산소의 경우 화염에 매우 위험한 기체이고, 또 오래 호흡하게 되면 인체에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압공기라 함은 산소와 질소 등이 혼합된 기체를 일반적으로 호흡이 가능한 기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난자들을 화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110)와 경사지붕판(120)은 외측에는 철판이나 석고보드, 모드아크릴이나 아라미드직물, 세라믹화이버와 같은 불연성, 내열성 재질의 난연판(112)이 피복되고, 내측면에는 내화벽돌이나 기타 내열성이면서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의 단열판(113)이 적층 또는 피복된 상태이다.
이때 화염으로 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피난자를 지키기 위하여 상기 난연판(112)의 외측에는 지지대(111a)에 의해 벽체(110)에 지지되는 이격판(111)이 난연판(11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이격판(111)은 난연판(112)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을 보강하고, 또 화염에 의해 벽체(110)이 직접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이격판(111)의 하단에는 통기구(110a)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격판(111)과 난연판(112) 사이의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도록 하므로써 이격판(111)과 난연판(112) 사이의 가열된 공기가 계속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체(110)와 도어(140)에는 내열유리창(150)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어(140)는 힌지(140a)에 의해 벽체(11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됨은 당연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101: 바닥판
110: 벽체
120: 지붕경사판
130: 통풍구
140: 도어
150: 내열유리창
160: 고압공기통
A: 대피공간

Claims (7)

  1.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에 있어서,
    바닥판 가장자리 위에 설치되고 어느 한 면에는 도어를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 상부에 형성되되,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경사지붕판에 의해 다각뿔형상으로 형성된 지붕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 및 상기 지붕에 의해 형성된 대피공간과;
    상기 벽체에 형성된 도어와;
    상기 지붕의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통풍구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구와 손잡이를 구비하여 여닫힘이 가능한 천정도어와;
    상기 천정도어의 중앙에 형성된 첵벨브와;
    상기 대피공간 내부에 마련된 밸브를 구비하는 고압공기통과;
    상기 벽체 내측면 하부에 빙둘러서 배설되고 상기 고압공기통에 연결된 환기용고압공기공급관과;
    환기용고압공기공급관에 형성되며 상부로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공;을 갖되,
    피난자가 상기 도어를 통하여 대피공간 내부로 대피시 상기 피난자와 함께 대피공간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상기 분사공, 상기 다각뿔형상의 지붕, 상기 천정도어, 상기 통풍구에 의해 외부의 화염이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배출되어 상기 피난자가 대피공간 내부에서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피난자가 상기 천정도어를 열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첵벨브를 통하여 대피공간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통에는 밸브를 구비하는 호흡용 공기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호흡용 공기공급관에는 다수개의 산소마스크가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경사지붕판은 외측에는 난연판이 피복되고, 내측면에는 단열판이 형성되며, 상기 난연판의 외측에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격판이 난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도어에는 내열유리창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의 하단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견인줄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KR1020140154845A 2014-11-08 2014-11-08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KR10159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845A KR101591060B1 (ko) 2014-11-08 2014-11-08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845A KR101591060B1 (ko) 2014-11-08 2014-11-08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060B1 true KR101591060B1 (ko) 2016-02-02

Family

ID=5535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845A KR101591060B1 (ko) 2014-11-08 2014-11-08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17A (ko) * 2016-05-09 2017-11-17 허재현 화재용 방호장치
KR20180093534A (ko) * 2017-02-14 2018-08-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인명구조 로봇
KR20190022229A (ko) * 2017-08-26 2019-03-06 (주)아이 에스 피 엘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25B1 (ko) * 2006-12-01 2007-10-26 최양식 화재나 화생방재시 인명 대피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25B1 (ko) * 2006-12-01 2007-10-26 최양식 화재나 화생방재시 인명 대피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17A (ko) * 2016-05-09 2017-11-17 허재현 화재용 방호장치
KR101885895B1 (ko) 2016-05-09 2018-08-06 허재현 화재용 방호장치
KR20180093534A (ko) * 2017-02-14 2018-08-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인명구조 로봇
KR101927265B1 (ko) * 2017-02-14 2019-03-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인명구조 로봇
KR20190022229A (ko) * 2017-08-26 2019-03-06 (주)아이 에스 피 엘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KR102126829B1 (ko) 2017-08-26 2020-06-25 (주)아이 에스 피 엘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591060B1 (ko)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US20150056905A1 (en) Oxygen supply elevator
KR20090009138U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100128779A (ko) 방화용 대피실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KR101578929B1 (ko)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CN105983189A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及其工作方法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CN208160866U (zh) 一种用于建筑的火灾消防安全柜
KR101914783B1 (ko)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KR102156937B1 (ko) 비상 상황시 나타나는 미끄럼틀 타입의 대피통로
KR102104204B1 (ko) 긴급 대피용 안전고
CN103089054A (zh) 一种高层建筑防火防盗抢救生舱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