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783B1 -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 Google Patents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783B1
KR101914783B1 KR1020180031963A KR20180031963A KR101914783B1 KR 101914783 B1 KR101914783 B1 KR 101914783B1 KR 1020180031963 A KR1020180031963 A KR 1020180031963A KR 20180031963 A KR20180031963 A KR 20180031963A KR 101914783 B1 KR101914783 B1 KR 10191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block
case
power supply
delete delet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6Gas mask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Abstract

본 발명의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는, 천정(10)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하부에 출입구(22)가 형성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바깥면 일측에 오토릴(34)에 감겨진 로프(30); 상기 케이스(20) 내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면서 상단이 상기 로프(30)의 끝단과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도킹블럭(50); 상기 도킹블럭(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도킹블럭(50)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구속수단(60); 상기 도킹블럭(50)의 하부 중앙에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되어 동시 승하강되면서 상기 출입구(22)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마스크(80)를 수납하는 수납함(90); 상기 수납함(90)의 하부 바깥면 중앙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100); 상기 연결관(70)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전배터리(110); 상기 연결관(7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20);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럭(5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 시 상기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 컨트롤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13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CELLING FALL STRUCTURE FOR RELIEF SUPPLIES OF FIRE}
본 발명은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시 연기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천정에서 자동 낙하되는 마스크와 손전등 등의 구호용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유독 가스 유출, 테러, 화생방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안전한 위치까지 대피하는 동안 이러한 유독성의 물질을 흡입하지 않고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화재 현장에서 화상보다는 질식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더 많이 발생된다는 점이 무수히 지적되어 왔다.
한편, 고층 건물에는 편의를 위하여 승강기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기는 기본적으로 밀폐 구조가 아니고 전층에 걸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이므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타면 연기 속에 갇혀서 질식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때로는 화재가 난 건물이 아닌 옆 건물의 승강기로까지 연기가 새어들어 질식을 일으킨 사례까지 보고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고층 건물에서라도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2001년 뉴욕 세계무역센터 테러 당시 건강한 사람이 95층에서 1층까지 계단으로 걸어 내려오는데 1시간이 걸렸다는 보고 등으로부터 초고층 건물의 경우 어떠한 보완책을 마련하여서라도 승강기를 활용하여 피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점차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에서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사고 피해보다 연무 등 유독 물질의 흡입에 의한 간접적인 사고 피해가 더 광범위하고 많기 때문에, 건물 어디에서든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의 경우 소방법상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말도록 되어 있으나, 해외에서는 이미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에 승강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러한 경향이 도입될 전망이다.
이러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시에는 무엇보다도 대피 과정에서 연무 등을 흡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만일 신속한 대피가 불가능한 사정이라 하더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구조를 기다리면서 질식하지 않을 수만 있다 해도 생존 확률은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특히 지하철 역, 공항 등과 같은 공공 장소에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방독면 등이 비치되고 있다.
그러나 방독면의 경우 사용법이 난해하여 일반인은 잘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고, 또한 필터링할 수 있는 유독 물질의 종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신속한 보급이 어렵다는 문제 등 여러 문제가 있다.
종래에 한국특허공개 제1998-0074061호("화재경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이하 선행기술 1)에서는 승강기가 운행하는 각 층마다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기준치 초과 시 음성으로 경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승객 및 소방수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은 단지 화재 위험이 있음을 경고해 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대피로 선정에 있어서의 유리함을 획득할 수는 있겠으나 대피 과정에서의 연무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40994호("안전대피용 마스크", 이하 선행기술 2)에서는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사람들이 안전하게 호흡하면서 대피할 수 있도록 호흡필터부가 구비된 휴대형의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는데, 선행기술 2의 경우 앞서 논의한 방독면 사용 시의 문제점들을 전혀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1. 한국특허공개 제1998-0074061호 (1998.11.05) 2.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40994호 (2004.01.28)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화재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건물 내로 퍼질 때 대피자 또는 구조 대상자가 대피 도중 건물 내 곳곳의 천정에서 자동 낙하되는 마스크와 손전등 등의 구호용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건물 내에서 아직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의 호흡 곤란 및 질식사를 방지하는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는, 천정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하부에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 바깥면 일측에 오토릴에 감겨진 로프;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로프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도킹블럭; 상기 도킹블럭 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도킹블럭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구속수단; 상기 도킹블럭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동시 승하강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마스크를 수납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 상기 연결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럭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부 중앙에 상기 도킹블럭과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중앙에 상기 로프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안착부의 상측 높이의 수직면 좌우에 상기 구속수단의 일측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 로킹홀과, 상기 안착부의 중간측 높이의 경사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가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도킹블럭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도록 형성된 2개의 단자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블럭은,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에 상기 구속수단이 설치되도록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으로 통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안착부에 형성된 로킹홀과 일치되는 티(T)자 형상의 로드안내홀과, 하부 둘레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전등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클램퍼와, 중간 높이의 경사면 둘레에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와 각각 면접촉되어 손전등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양극 및 음극 접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로드안내홀측 수직 통로에 설치되어 수평 통로의 중앙까지 승하강되는 작동로드를 가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상승 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로드안내홀의 수평 통로를 따라 바깥측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상기 로킹홀과 로킹되거나 작동로드의 하강 시 탄성에 의해 로드안내홀의 수평 통로를 따라 안쪽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로킹홀과 언로킹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천정의 케이스 내에 도킹블럭을 매개로 수납함이 수용되어 있다가 화재 시 연기감지기의 센싱 신호에 의해 도킹블럭과 케이스의 구속 상태가 해지될 때 로프에 매달려 낙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납함에 비치된 다수의 마스크와 도킹블럭의 클램퍼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손전등 등의 구호용품을 즉시 공급해 줄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건물 내로 퍼지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사람들이 대피 또는 구조될 때까지 호흡 곤란과 질식사 없이 안전하게 호흡을 유지하면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상 시 구호용품이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구호용품이 천정으로부터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상 시 구호용품이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구호용품이 천정으로부터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는, 천정(10)의 일측 개구를 관통하여 천정(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되면서 하부에 출입구(22)가 형성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바깥면 일측에 브래킷(32)을 매개로 오토릴(34)(Auto Reel)에 감겨진 로프(30); 상기 케이스(20) 내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면서 상단이 상기 로프(30)의 끝단과 연결되어 승하강되며 하부 둘레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전등(40)을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킹블럭(50)(Docking Block); 상기 도킹블럭(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도킹블럭(50)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구속수단(60); 상기 도킹블럭(50)의 하부 중앙에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되어 동시 승하강되면서 상기 케이스(20) 내의 하부 출입구(22)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마스크(80)를 수납하는 수납함(90); 상기 수납함(90)의 하부 바깥면 중앙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100); 상기 연결관(70)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전배터리(110); 상기 연결관(7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20);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럭(5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 시 상기 손전등(40),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 컨트롤부(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1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도킹블럭(50)과 형상맞춤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갓모양의 안착부(24)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24)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로프(30)가 통과되도록 관통홀(24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4)의 상측 높이의 수직면 좌우에는 상기 구속수단(60)의 일측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로킹홀(24b)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4)의 중간측 높이의 경사면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30)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132)(134)가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2개의 단자홀(2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30)는 상기 브래킷(32)에 지지된 오토릴(34)의 외주면에 자동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상기 오토릴(34)은 상기 로프(30)에 매달린 도킹블럭(50)이 구속수단(60)의 해지에 의해 낙하될 때 로프(30)가 서서히 풀리도록 태엽 스프링 또는 감압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전등(40)은 상기 도킹블럭(5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도록 충전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도킹블럭(50)은 상기 케이스(20)의 안착부(24)에 대응되게 형상맞춤되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갓모양으로서,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에는 상기 구속수단(60)이 설치되도록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으로 통로가 개방된 티(T)자 형상의 로드안내홀(52)이 형성되고, 하부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전등(40)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클램퍼(54)(Clamper)가 형성되며, 중간 높이의 경사면 둘레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30)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132)(134)와 각각 면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양극 및 음극 접지면(56)(58)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극 및 음극 접지면(56)(58)은 상기 연결관(70)의 내부에 설치된 양극 및 음극 전선(72)(74)에 의해 상기 손전등(40),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 컨트롤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속수단(60)은, 상기 도킹블럭(50)의 로드안내홀(52)측 수직 통로에 설치되어 수평 통로의 중앙까지 승하강되는 작동로드(62)를 가진 솔레노이드(64)와, 상기 작동로드(62)의 상승 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로드안내홀(52)의 수평 통로를 따라 바깥측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20)의 안착부(24)에 형성된 로킹홀(24b)과 로킹(Locking)되거나 작동로드(62)의 하강 시 탄성에 의해 로드안내홀(52)의 수평 통로를 따라 안쪽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로킹홀(24b)과 언로킹(Unlocking)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로드(6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70)은 상기 구속수단(60), 연기감지기(100), 충전배터리(110), 컨트롤부(120)를 수용하도록 상단 및 하단이 도킹블럭(50)과 수납함(9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도킹블럭(50)의 중앙 하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이 수납함(90)의 중앙 상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수납함(90)은, 하부 가장자리에 상기 로프(30)의 견인력에 의해 수납함(90)이 상승되어 상기 케이스(20)의 하부 출입구(22) 속으로 삽입될 때 케이스(20)의 하부와 수납함(90)의 하부 높이가 일치되도록 잡아주는 걸림턱(92)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마스크(80)들을 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적층되도록 측면 또는 상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9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는, 평상 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연기감지기(100)를 통해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컨트롤부(120)가 프로그램화된 마이콤 신호에 따라 도킹블럭(5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4)의 작동로드(62)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 작동로드(62)는 밀고 있던 좌우 한 쌍의 로킹로드(66)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이들 로킹로드(66)는 탄성력에 의해 도킹블럭(50)의 로드안내홀(52)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20)의 안착부(24)측 좌우 한 쌍의 로킹홀(24b)과 맞물림 상태가 분리(언로킹)된다.
이때, 좌우 한 쌍의 로킹로드(66)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도킹블럭(50)은 오토릴(34)에 감겨진 로프(30)에 매달려 도 2와 같이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된 수납함(90)과 함께 중력을 받아 일정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즉, 로프(30)는 도킹블럭(50)의 구속 상태가 해지되면서 도킹블럭(50)이 중력을 받아 천정(10)의 케이스(20)로부터 낙하될 때 태엽 스프링 또는 감압 스프링 으로 이루어진 오토릴(34)의 작용에 의해 서서히 풀리게 되고, 이 로프(30)에 매달린 도킹블럭(50)은 하부에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된 수납함(9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로프(30)의 설정된 길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화재 시 건물 내에서 아직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은 천정(10)의 케이스(20)로부터 낙하되는 수납함(90)의 수납공간(94)에 비치된 마스크(80)들을 나누어서 착용하면서 호흡 곤란 및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면서 차분하게 건물 외부 등의 안전 장소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전원 차단으로 인하여 건물 내부가 어두울 때 천정(10)으로부터 낙하된 도킹블럭(50)의 하부 둘레측 클램퍼(54)로부터 손전등(40)들을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부(120)는 화재 시 연기감지기(100)의 신호를 받아 구속수단(60)에 의해 케이스(20)로부터 도킹블럭(50)을 분리 및 낙하시킬 때 도킹블럭(50)의 클램퍼(54)에 지지된 손전등(40)이 온(ON) 동작되어 발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마스크(80)나 손전등(40)쪽으로 쉽게 접근하여 즉시 소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부(120)는 충전배터리(110)의 사용 기한이 도과하여 충전량이 예를 들어 30% 미만일 경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60)의 솔레노이드(64)를 구동시켜 케이스(20)로부터 도킹블럭(50)이 강제 분리 및 낙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연결관(70) 내에 설치된 충전배터리(110)를 제때 점검 및 교체하여 화재 시 손전등(40), 구속수단(60) 및 연기감지기(100)가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낙하된 수납함(90)을 케이스(20) 내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함(90)을 들어서 상부로 밀어주면, 오토릴(34)의 견인 작용에 의해 로프(30)가 오토릴(34)의 외주면에 감기는 힘에 따라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수납함(9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납함(90)의 상부에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된 도킹블럭(50)이 케이스(20)의 상부측 안착부(24)에 자동으로 형상맞춤되면서 상승 이동이 정지하게 되고, 도킹블럭(50)에 설치된 구속수단(60)의 솔레노이드(64)가 컨트롤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로드(62)를 상승시킴에 따라 작동로드(62)의 상부 끝단에 맞닿는 좌우 한 쌍의 로킹로드(66)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케이스(20)의 안착부(24)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로킹홀(24b)에 로킹되어 도킹블럭(50)을 낙하되지 않도록 구속됨으로써 도 1과 같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정(10)의 케이스(20) 내에 도킹블럭(50)을 매개로 수납함(90)이 수용되어 있다가 화재 시 연기감지기(100)의 센싱 신호에 의해 도킹블럭(50)과 케이스(20)의 구속 상태가 해지될 때 로프(30)에 매달려 낙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납함(90)에 비치된 마스크(80)와 도킹블럭(50)의 클램퍼(54)에 의해 지지된 손전등(40) 등의 구호용품을 즉시 공급해 줄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건물 내로 퍼지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사람들이 대피 또는 구조될 때까지 호흡 곤란과 질식사 없이 안전하게 호흡을 유지하면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천정 20 : 케이스
22 : 출입구 24 : 안착부
24a : 관통홀 24b : 로킹홀
24c : 단자홀 30 : 로프
32 : 브래킷 34 : 오토릴
40 : 손전등 50 : 도킹블럭
52 : 로드안내홀 54 : 클램퍼
56,58 : 양극 및 음극 접지면 60 : 구속수단
62 : 작동로드 64 : 솔레노이드
66 : 좌우 한 쌍의 연결로드 70 : 연결관
72,74 : 양극 및 음극 전선 80 : 마스크
90 : 수납함 92 : 걸림턱
94 : 수납공간 100 : 연기감지기
110 : 충전배터리 120 : 컨트롤부
130 : 전원공급수단 132,134 :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

Claims (8)

  1. 천정(10)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하부에 출입구(22)가 형성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바깥면 일측에 오토릴(34)에 감겨진 로프(30); 상기 케이스(20) 내에서 상기 로프(30)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도킹블럭(50); 상기 도킹블럭(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도킹블럭(50)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구속수단(60); 상기 도킹블럭(50)에 연결관(70)을 매개로 연결되어 동시 승하강되면서 상기 출입구(22)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마스크(80)를 수납하는 수납함(90); 상기 수납함(90)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100); 상기 연결관(7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수단(60)을 제어하는 컨트롤부(120); 및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럭(5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130); 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20)는, 상부 중앙에 상기 도킹블럭(50)과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안착부(24)와, 상기 안착부(24)의 상부 중앙에 상기 로프(30)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관통홀(24a)과, 상기 안착부(24)의 상측 높이의 수직면 좌우에 상기 구속수단(60)의 일측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 로킹홀(24b)과, 상기 안착부(24)의 중간측 높이의 경사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수단(130)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132)(134)가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도킹블럭(5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도록 형성된 2개의 단자홀(24c)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블럭(50)은,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에 상기 구속수단(60)이 설치되도록 상부 좌우 및 하부 중앙으로 통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케이스(20)의 안착부(24)에 형성된 로킹홀(24b)과 일치되는 티(T)자 형상의 로드안내홀(52)과, 하부 둘레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전등(40)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클램퍼(54)와, 중간 높이의 경사면 둘레에 상기 전원공급수단(130)의 양극 및 음극 전원단자(132)(134)와 각각 면접촉되어 손전등(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치된 양극 및 음극 접지면(56)(58)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60)은, 상기 로드안내홀(52)측 수직 통로에 설치되어 수평 통로의 중앙까지 승하강되는 작동로드(62)를 가진 솔레노이드(64)와, 상기 작동로드(62)의 상승 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로드안내홀(52)의 수평 통로를 따라 바깥측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상기 로킹홀(24b)과 로킹되거나 작동로드(62)의 하강 시 탄성에 의해 로드안내홀(52)의 수평 통로를 따라 안쪽으로 동시 이동되면서 로킹홀(24b)과 언로킹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로드(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31963A 2018-01-26 2018-03-20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KR101914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9769 2018-01-26
KR1020180009769 2018-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783B1 true KR101914783B1 (ko) 2018-11-02

Family

ID=6432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963A KR101914783B1 (ko) 2018-01-26 2018-03-20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44B1 (ko) * 2020-03-11 2020-08-04 케이디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앙 제어식 산소 공급시스템
CN114592635A (zh) * 2022-03-01 2022-06-07 山东龙腾天实验室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用吊顶模方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092B2 (ja) * 1997-09-05 2004-05-24 ニッタン株式会社 昇降式感知装置及びその感知装置の試験システム
KR100561689B1 (ko) 2004-05-14 2006-03-15 이영준 자동인출 비상용품함
JP2007309065A (ja) 2006-05-16 2007-11-29 Seeds Design Office Co Ltd 自動昇降機能つき天井物入れ箱
JP2008237473A (ja) * 2007-03-27 2008-10-09 Nohmi Bosai Ltd 警報器に連動するマスク供給装置
KR101279263B1 (ko) 2011-11-23 2013-06-26 장미순 화재경보장치
KR101615933B1 (ko) 2016-02-17 2016-04-27 (주)세정이에프씨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092B2 (ja) * 1997-09-05 2004-05-24 ニッタン株式会社 昇降式感知装置及びその感知装置の試験システム
KR100561689B1 (ko) 2004-05-14 2006-03-15 이영준 자동인출 비상용품함
JP2007309065A (ja) 2006-05-16 2007-11-29 Seeds Design Office Co Ltd 自動昇降機能つき天井物入れ箱
JP2008237473A (ja) * 2007-03-27 2008-10-09 Nohmi Bosai Ltd 警報器に連動するマスク供給装置
KR101279263B1 (ko) 2011-11-23 2013-06-26 장미순 화재경보장치
KR101615933B1 (ko) 2016-02-17 2016-04-27 (주)세정이에프씨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44B1 (ko) * 2020-03-11 2020-08-04 케이디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중앙 제어식 산소 공급시스템
CN114592635A (zh) * 2022-03-01 2022-06-07 山东龙腾天实验室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用吊顶模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CA3014470C (en) Fireproof escape system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914783B1 (ko)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US20080314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Evacuating an Individual During an Emergency From a Tall Structure
KR20110004264A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16236712B (zh) 一种高层建筑火警时人员安全转移救援舱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736816B1 (ko)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591060B1 (ko) 화재시 긴급피난용 대피시설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20100012686U (ko) 비상 탈출 장치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101541387B1 (ko) 선박 위난 사고 발생 시 선박 객실 탈출용 피난 로프가 설치된 선박 객실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US4553636A (en) Lifesaving apparatus for escaping from a building
CN113982439A (zh) 抗爆消防救援门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CN113332621A (zh) 一种高层建筑逃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