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659B1 - 산소 공급 승강기 - Google Patents

산소 공급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659B1
KR101523659B1 KR1020120026985A KR20120026985A KR101523659B1 KR 101523659 B1 KR101523659 B1 KR 101523659B1 KR 1020120026985 A KR1020120026985 A KR 1020120026985A KR 20120026985 A KR20120026985 A KR 20120026985A KR 101523659 B1 KR101523659 B1 KR 10152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elevator
unit
supply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972A (ko
Inventor
백종태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씨아이제이
Priority to KR102012002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659B1/ko
Priority to US14/385,170 priority patent/US20150056905A1/en
Priority to PCT/KR2013/002203 priority patent/WO2013137703A1/ko
Publication of KR2013010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내부 공간 또는 승강기에 구비된 별도의 산소 마스크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연무 등을 제거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 상에 형성되는 설비장착공간(S2)에 구비되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가 수용되는 산소수용부(10); 상기 산소수용부(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로(30)를 통해 연결되어, 승강기 내부의 산소제공공간(S1)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20); 상기 유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수용부(10)에서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40); 상기 밸브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여부 또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소 공급 승강기 {Elevator supplying oxygen}
본 발명은 산소 공급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승강기 내부 공간 또는 승강기에 구비된 별도의 산소 마스크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연무 등을 제거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유독 가스 유출, 테러, 화생방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안전한 위치까지 대피하는 동안 이러한 유독성의 물질을 흡입하지 않고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화재 현장에서 화상보다는 질식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더 많이 발생된다는 점이 무수히 지적되어 왔다.
한편, 고층 건물에는 편의를 위하여 승강기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기는 기본적으로 밀폐 구조가 아니고 전층에 걸쳐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이므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타면 연기 속에 갇혀서 질식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때로는 화재가 난 건물이 아닌 옆 건물의 승강기로까지 연기가 새어들어 질식을 일으킨 사례까지 보고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고층 건물에서라도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2001년 뉴욕 세계무역센터 테러 당시 건강한 사람이 95층에서 1층까지 계단으로 걸어 내려오는데 1시간이 걸렸다는 보고 등으로부터, 초고층 건물의 경우 어떠한 보완책을 마련하여서라도 승강기를 활용하여 피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점차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에서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사고 피해보다 연무 등 유독 물질의 흡입에 의한 간접적인 사고 피해가 더 광범위하고 많기 때문에, 건물 어디에서든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의 경우 소방법 상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말도록 되어 있으나, 해외에서는 이미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에 승강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러한 경향이 도입될 전망이다.
이러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시에는 무엇보다도 대피 과정에서 연무 등을 흡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때, 승강기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도입될 경우, 승강기를 통해 연무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승강기 내에서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한국특허공개 제2008-0085120호("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2008.09.23, 이하 선행기술 1)에서는, 승강기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되면 승강기 통로에 강제로 공기를 유입시켜 기압을 높여 줌으로서 연기가 승강기 통로 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은 승강기 통로로 연기를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내의 승객들이 연무나 유독물질 등이 섞여 있는 공기가 아닌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일부 얻을 수 있겠으나, 연기가 밀려들어오지 못할 정도로 승강기 통로 내의 기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공기를 끌어와야 되며, 이 과정에서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고층인 경우, 승강기 통로 높이가 워낙 장대한 관계로 승강기 통로 전체는 가압이 불가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재 발생 층에 공기 틈새가 있다면, 그 틈새로 고압의 공기가 대량으로 유입되어 화재 대형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산 피해 증가는 물론 인명 피해를 오히려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치명적 문제가 있다.
이와는 다른 관점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993-0007072호("엘리베이터의 환기 장치", 1993.10.11, 이하 선행기술 2)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의 공기 저항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구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승강기 내로의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바, 평상시에는 승강기 내 환기 효과가 있을 수 있겠으나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외부 공기에 연무, 유독 물질 등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기 내의 승객들의 호흡에 오히려 위험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특허공개 제2008-0085120호("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2008.09.23)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993-0007072호("엘리베이터의 환기 장치", 1993.10.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승강기 내에 연무가 혼합된 외부 공기의 침입을 제한하고 승강기 내 승객들이 최대한 깨끗한 산소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산소 공급 승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는, 승강기(100)에 있어서, 승강기 상에 형성되는 설비장착공간(S2)에 구비되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가 수용되는 산소수용부(10); 상기 산소수용부(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로(30)를 통해 연결되어, 승강기 내부의 산소제공공간(S1)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20); 상기 유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수용부(10)에서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40); 상기 밸브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여부 또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산소수용부(10)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산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공기, 산소를 액화시킨 액화 산소, 공기를 액화시킨 액화 공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충진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받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수용부(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잔존 산소량을 인지하는 인지수단(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산소수용부(10)는 상기 인지수단(11)과 연결되어 잔존 산소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경고하는 경고 수단(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경고 수단(12)은 소리, 빛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글씨 또는 그림의 형태로 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 구조 메시지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부터 대피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상기 승강기(100)의 내부 공간으로서, 상기 승강기(100) 내부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마스크로서, 상기 산소 마스크로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부(40)는 상기 산소수용부(10) 내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산소수용부(10) 내의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외부 통제실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벽면 상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되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내 화재비상벨 시스템과 연결되어 화재비상벨이 작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산소제공공간(S1)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 공급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원격으로 통합 관리하는 중앙제어부(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제어부(60)는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를 개별 인식하고,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내의 승객들이 깨끗한 산소를 호흡할 수 있게 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 등으로 사람이 승강기 내에 갇힌 상황이나, 화재 등으로 인한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승강기 내로 퍼지는 위험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내부 공간이나, 또는 마스크 호흡 공간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람들이 안전한 층으로 갈 때까지 호흡 곤란 또는 질식사 등의 위험성을 크게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가 승강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경우, 화재 시 승강기 내부로 유입된 연무를 외부로 밀어내어 제거하거나, 또는 승강기 내부로 연무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 구성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 구성의 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산소수용부에 구비되는 보조수단들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산소공급부의 여러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의 다른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산소 공급 승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 구성의 블록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 구성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는, 간략히 요약하자면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내로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승강기 내에 있는 승객들이 연무가 혼합된 공기가 아닌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이하에서, '연무'라 함은 연기, 유독 물질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며, '산소'라 함은 사람이 호흡하기 위해 필요한 기체로서 순수한 산소 뿐 아니라 산소가 혼합된 공기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100)는 산소수용부(10), 산소공급부(20), 유통로(30), 밸브부(40),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산소수용부(10)에 수용되어 있는 산소가 상기 유통로(30)를 통해 상기 산소공급부(20)로 공급됨으로써 승강기(100) 내 승객들이 깨끗한 산소를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부(40) 및 상기 제어부(50)는 이러한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산소수용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산소수용부(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기 상에 형성되는 설비장착공간(S2)에 구비되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가 수용된다. 상기 설비장착공간(S2)은 승강기(100) 외부일 수도 있고, 또는 승강기(100)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 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설비장착공간(S2)이 승강기(100) 외부일 경우, 일반적으로 승강기(100) 통로의 크기 제한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측면보다는 승강기(100)의 상부이거나 또는 승강기(100)의 하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설비장착공간(S2)이 승강기(100)와 일체인 별도 공간으로 형성되는 경우일 때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승강기(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산소수용부(10)는 승강기(100) 내로 공급될 산소를 수용하고 있는 수단으로서, 산소를 공급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된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산소수용부(10)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산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공기, 산소를 액화시킨 액화 산소, 공기를 액화시킨 액화 공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충진된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산소수용부(10)가 산소 또는 공기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 형태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산소수용부(10)는,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받는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산소수용부(10)에는 유지 보수 용이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여러 보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소수용부에 구비되는 보조수단들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산소수용부(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잔존 산소량을 인지하는 인지수단(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지수단(11)이 구비됨으로써, 평상시의 경우 유지 보수 시에 있어서 잔존 산소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산소를 채우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산소수용부(10)로부터 산소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상기 인지수단(11)에 의하여 잔존 산소량이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긴급 대처를 하는 데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소수용부(10)는 상기 인지수단(11)과 연결되어 잔존 산소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경고하는 경고 수단(12)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경고 수단(12)은 소리, 빛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글씨 또는 그림의 형태로 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 구조 메시지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부터 대피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산소수용부(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로(30)를 통해 연결되어, 승강기 내부의 산소제공공간(S1)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산소수용부(1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 배출되어 나오는 수단을 통칭한다.
상기 산소공급부(20)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산소공급부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상기 승강기(100)의 내부 공간으로서, 상기 승강기(100) 내부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마스크로서, 상기 산소 마스크로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산소 마스크 형태로 될 경우에는, 산소 마스크가 상기 설비장착공간(S2)에 수용되어 있다가 긴급 상황 발생 시 승강기(100)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산소공급부(20)의 여러 실시예들은 단독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병행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100) 내부 공간으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여 주는 형태와, 도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 구비된 산소 마스크들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주는 형태가 모두 함께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산소공급부(20)는, 상기 승강기(100) 내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승객들이 용이하게 깨끗한 산소를 호흡하게 해 줄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밸브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부(40)는 상기 유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수용부(10)에서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밸브부(40)가 완전 개방되는지, 몇 % 개방되는지, 완전 폐쇄되는지 등으로 작동됨에 따라 배출되는 산소 유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부(40) 자체는 능동 수단이 아니며,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여부 또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이후 설명될 제어부(40)의 역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산소수용부(10)는 대기압보다 고압의 산소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는데,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부(40)는, 상기 산소수용부(10) 내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산소수용부(10) 내의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밸브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여부 또는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부(40)를 폐쇄하고 있다가,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밸브부(40)를 적절하게 개방하여 상기 승강기(100) 내로 산소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외부 통제실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벽면 상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되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내 화재비상벨 시스템과 연결되어 화재비상벨이 작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재난 상황 발생 시 적절하게 상기 승강기(100) 내로 산소를 공급해 줄 수 있다면 다른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승강기(100) 내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상기 밸브부(40)를 적절하게 개방하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승강기(100) 내로 지나치게 많은 산소가 공급되게 할 경우 상기 산소수용부(10) 내의 산소가 빨리 소진될 위험이 있고, 또는 지나치게 적은 산소가 공급되도록 할 경우 산소 공급의 의미가 없어질 수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산소제공공간(S1)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산소제공공간(S1)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재난 상황 시 연무가 혼합되어 있는) 외부 공기가 상기 승강기(100) 내(또는 산소 마스크 내)로 새어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서는 공기 흐름을 자연스럽게 승강기 내 → 외 방향이 되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기(100) 내에 일부 연무가 새어 들어 왔더라도 이를 배출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또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 내 또는 승강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유하도록 할 경우,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서 전원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상기 제어부(50)가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전혀 영향받지 않고 승강기(100) 내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단독의 승강기에 대하여 단독으로 각종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대부분의 건물에 설치되는 승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승강기에 대하여 개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승강기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원격으로 통합 관리하는 중앙제어부(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제어부(60)는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를 개별 인식하고,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어느 한 라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라인의 승강기(100)에 구비된 제어부(50)를 동작시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른 라인의 승강기(100)에 구비된 제어부(50)는 동작시키지 않는 것이다. 만일 화재 발생 시 다수 개의 승강기(100)의 각 제어부(50)들이 모두 동작을 해 버리면, 실제로 화재가 번지지 않은 라인에서는 수용되어 있던 산소가 낭비되는 결과가 된다. 그러나 상기 중앙제어부(60)에서 이와 같이 개별 동작을 제어해 주도록 하면 이러한 산소의 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100)의 개별 인식은, 상기 승강기(100)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고유 ID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50)에 고유 ID 등을 부여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장치에 대하여 고유 ID를 부여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중 어떠한 것을 차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승강기 10: 산소수용부
11: 인지수단 12: 경고수단
20: 산소공급부 30: 유통로
40: 밸브부 50: 제어부
60: 중앙제어부
S1: 산소제공공간 S2: 설비장착공간

Claims (11)

  1. 20층 이상의 고층 건물에 구비되어 재난 시 구난용으로 작동되는 승강기(100)에 있어서,
    승강기 상에 형성되는 설비장착공간(S2)에 구비되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가 수용되되,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받는 배관이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산소제공공간(S1)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산소제공공간(S1)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산소수용부(10);
    상기 산소수용부(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로(30)를 통해 연결되어, 승강기 내부의 산소제공공간(S1)으로 산소를 공급하되, 상기 산소제공공간(S1)이 상기 승강기(100)의 내부 공간으로서, 상기 승강기(100) 내부로 직접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산소공급부(20);
    상기 유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수용부(10)에서 배출되는 산소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40);
    상기 밸브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여부 또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외부 통제실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벽면 상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되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건물 내 화재비상벨 시스템과 연결되어 화재비상벨이 작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부(4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용부(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잔존 산소량을 인지하는 인지수단(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용부(10)는
    상기 인지수단(11)과 연결되어 잔존 산소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경고하는 경고 수단(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12)은
    소리, 빛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글씨 또는 그림의 형태로 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 구조 메시지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형태,
    외부로부터 대피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40)는
    상기 산소수용부(10) 내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산소수용부(10) 내의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원격으로 통합 관리하는 중앙제어부(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제어부(60)는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를 개별 인식하고, 각각의 상기 승강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승강기.
KR1020120026985A 2012-03-16 2012-03-16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52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85A KR101523659B1 (ko) 2012-03-16 2012-03-16 산소 공급 승강기
US14/385,170 US20150056905A1 (en) 2012-03-16 2013-03-18 Oxygen supply elevator
PCT/KR2013/002203 WO2013137703A1 (ko) 2012-03-16 2013-03-18 산소 공급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85A KR101523659B1 (ko) 2012-03-16 2012-03-16 산소 공급 승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047A Division KR101523186B1 (ko) 2014-07-18 2014-07-18 산소 공급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972A KR20130104972A (ko) 2013-09-25
KR101523659B1 true KR101523659B1 (ko) 2015-06-10

Family

ID=4916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985A KR101523659B1 (ko) 2012-03-16 2012-03-16 산소 공급 승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56905A1 (ko)
KR (1) KR101523659B1 (ko)
WO (1) WO20131377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36B1 (ko) 2019-04-02 2020-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시의 승강기정보 표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758A (zh) * 2016-06-24 2016-08-31 爱默生电梯有限公司 一种带救急设施的电梯轿箱
US11150229B2 (en) * 2016-09-27 2021-10-19 Strata Products Worldwid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a desired level of oxygen in a refuge
CN106744188B (zh) * 2017-03-05 2019-02-01 广东通立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梯内部结构
CN107720501B (zh) * 2017-11-08 2019-03-12 苏迅电梯有限公司 一种气流可控的曳引电梯
KR101868409B1 (ko) * 2017-11-14 2018-06-2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US11434106B2 (en) 2018-08-20 2022-09-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to avoid hazardous conditions
US11279594B2 (en) * 2019-11-14 2022-03-22 Otis Elevator Company Sound absorbing panels for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51A (ko) * 2002-06-07 2004-03-03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JP2006008381A (ja) * 2004-06-29 200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85120A (ko) * 2008-07-30 2008-09-23 이종인 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KR20100056726A (ko) * 2008-11-20 2010-05-28 케이티아이시시(주)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715A (en) * 1988-09-22 1991-05-21 Victor Alasio Elevator cab fire extinguishing system
US5319812A (en) * 1993-05-25 1994-06-14 Hanrahan Peter J Vertically movable bathroom
US5895318A (en) * 1996-09-10 1999-04-20 Smrt; Thomas J.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dispensing oxygen from an aerosol container
US6532958B1 (en) * 1997-07-25 2003-03-18 Minnesota Innovative Technologies & Instruments Corporation Automated control and conservation of supplemental respiratory oxygen
US6684055B1 (en) * 2000-01-18 2004-01-27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remotely communicating voice and data to and from an elevator controller
LU91175B1 (fr) * 2005-06-13 2006-12-14 Airflowcontrol S A Procédé et système d'économie d'énergie dans un bâtiment avec ascenseur
KR100889932B1 (ko) * 2008-05-07 2009-03-24 (주) 대동종합건설 공동주택 내의 산소공급장치
TWM395138U (en) * 2010-01-25 2010-12-21 Rui-Fang Xu Structure of water-storage and rapid-heating type water heater
CA2810649A1 (en) * 2010-09-07 2012-03-15 Nextteq Llc Remaining service life indication system for gas mask cartridges and canisters
DE202011050022U1 (de) * 2011-05-02 2011-07-14 Stefan Thede Aufzugnot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51A (ko) * 2002-06-07 2004-03-03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JP2006008381A (ja) * 2004-06-29 200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85120A (ko) * 2008-07-30 2008-09-23 이종인 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KR20100056726A (ko) * 2008-11-20 2010-05-28 케이티아이시시(주)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36B1 (ko) 2019-04-02 2020-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시의 승강기정보 표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703A1 (ko) 2013-09-19
US20150056905A1 (en) 2015-02-26
KR20130104972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747360B1 (ko) 공동주택의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장치
JP2020026728A (ja) 災害避難用緊急生存装置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CN205527131U (zh) 一种病房楼疏散电梯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JP2013226428A (ja) 呼吸可能空気供給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建造物
JP45931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00027390A (ko) 화재 긴급 대피용 생존 시스템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CN105983189A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及其工作方法
JP2010500899A5 (ko)
CN203947838U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
KR101914783B1 (ko) 화재 시 구호용품 천정 낙하구조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8810A (ko) 산소 호흡기 시스템
CN205460553U (zh) 一种空气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