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09B1 -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 Google Patents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09B1
KR101868409B1 KR1020170151571A KR20170151571A KR101868409B1 KR 101868409 B1 KR101868409 B1 KR 101868409B1 KR 1020170151571 A KR1020170151571 A KR 1020170151571A KR 20170151571 A KR20170151571 A KR 20170151571A KR 101868409 B1 KR101868409 B1 KR 10186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car
emergency
ai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7015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24F2003/16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환자를 응급 구조하고 탑승카 내부를 청정한 환경으로 유지하여 유해 가스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카(100) 내부의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설비(10)와; 탑승카(100)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비상환기설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Elevator Car for Emergency Elevator}
본 발명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카에 응급구조설비가 구비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위급한 상태에 있는 탑승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장애인이나 임산부, 노약자 등을 안전하게 구난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에서 화재나, 지진, 테러 및 화생방 사태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은 엘리베이터나 계단 등을 이용하여 대피하게 된다.
그런데 비상시에는 일반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고층 건물이나 지하 건축물, 각종 요양 시설에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외에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는, 비상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다른 엘리베이터에 비해 강도를 강화시켜 제조하고 있고, 열이나 연기 및 유해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밀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탑승카는, 비상 동력공급설비와 내장 배터리 등을 갖추고 있을 뿐, 일반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비상 동력공급설비로부터 동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배터리의 용량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는, 탑승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층간에서 정지하는 경우나, 긴박한 비상 상황으로 인해 외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없는 상황에서는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환자가 탑승하거나 탑승카 내부로 유해 가스가 유입될 경우에는, 환자의 생명이 위태로워지거나 탑승객들이 위험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도 상측에 대략 400×500 mm 크기의 비상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어린이나,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및 사고 부상자는 높은 천장에 구비된 작은 비상구로 탈출하거나 매우 어렵고, 구조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고층 구조물에서 비상시에 운행할 목적으로 설치한 엘리베이터에다가 소화에 적합한 장치, 즉 소화전을 효용성 있게 부착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소화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이 동작하는 한 쌍의 사다리부재와, 상기 한 쌍의 사다리부재 중 어느 한 사다리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사다리부재들을 적층시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부재는 내부에 수용홈을 갖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힌지연결된 다수의 디딤가로대; 및 상기 디딤가로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디딤가로대가 수평상태일 때 어느 한 방향으로만 힌지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벽에 밀착되는 멈춤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이한 보관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생산성과 제품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엘리베이터용 접이식 비상사다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인원을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탈출시키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상기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가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R 20-0042083 Y1 KR 10-2017-0010488 A KR 10-1738862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환자를 응급 구조하고, 탑승카 내부를 청정한 환경으로 유지하여 유해 가스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탑승카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탑승객이 안전하게 빠져나와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ㅎ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 내부로 유입된 화염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탑승객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탑승카 내부에서 긴급 세척과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탑승카에 있어서, 탑승카 내부의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설비와; 탑승카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비상환기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설비는, 탑승카의 상부에 배치되는 산소발생기 유닛과,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용기와, 탑승카의 내부에 배치되며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 저장용기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산소마스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환기설비는, 탑승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와, 탑승카의 상판을 관통하는 송풍구와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연결하여 정화된 공기를 탑승카의 내측 상부로 공급하는 송풍덕트와, 탑승카의 측면 하단을 관통하는 흡기구와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연결하여 탑승카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정화장치로 공급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유독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살균 제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카가 정지한 경우에 비상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탈출장비는 탑승카의 상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해치와, 탑승카의 바닥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의 바닥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해치와, 탑승카의 상부로 탈출한 사람들이 붙잡고 내려갈 수 있도록 탑승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강기 설비와, 탑승카의 바닥을 통해 탈출한 사람이 붙잡을 수 있도록 탑승카의 하부에 절첩식으로 설치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출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탑승카의 상부와 하부에, 자체충전식 비상전원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조명설비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카 내부에 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기구와 구급함이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탑승카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카의 상측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고, 긴급 세척을 위해 물탱크의 물을 제공하는 세척설비가 탑승카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의하면, 비상시 탑승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여 탑승카에 있는 사람들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탈출장비를 이용하여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및 사고 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구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공급설비와 비상환기설비에 의해, 위급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질식사고를 예방하고, 탑승카 내부의 오염공기를 배출하고 정화공기를 공급하여 사람들이 정상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탈출장비가 구비됨에 따라, 탑승카가 층간에 정지한 경우 상부 해치와 완강기 설비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해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어린이나 노약자 및 환자가, 하부 해치를 통해 탑승카에서 빠져나와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에 조명설비가 구비됨에 따라, 탑승카에서 탈출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외부에서 들어온 구조요원들이 신속하게 이동하여 부상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급의료기구와 구급함 및 세척설비가 탑승카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환자나 부상자를 보호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의 상부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됨에 따라 탑승카의 내부로 유입된 화염이 번지지 않고 신속하게 제거되며, 화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100) 내부의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설비(10)와; 탑승카(100)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비상환기설비(20)와; 탑승카(100)가 정지한 경우에 비상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장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산소공급설비(10)는, 탑승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산소발생기 유닛(11)과,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용기(12)와, 탑승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 저장용기(12)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산소마스크 유닛(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산소마스크 유닛(13)은, 평상시에는 덮개(도시 생략)로 닫힌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덮개를 열고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탑승카(100)에 탑승한 사람이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경우 산소 마스크유닛(13)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환기설비(20)는, 탑승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21)와, 탑승카(100)의 상판을 관통하는 송풍구(24)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를 연결하여 정화된 공기를 탑승카(100)의 내측 상부로 공급하는 송풍덕트(23)와, 탑승카(100)의 측면 하단을 관통하는 흡기구(26)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를 연결하고 탑승카(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정화장치(21)로 공급하는 흡기덕트(25)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유독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살균 제독장치(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비상환기설비(20)에 의해, 탑승카(100)의 내부로 연기나 유해가스가 유입되어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울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21)가 작동하여 탑승카(100) 내부의 연기 및 유해가스를 흡입한 후, 살균 제독장치(22)에서 살균 및 제독함과 아울러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송풍구(24)를 통해 탑승카(1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100)에 탑승한 사람들이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탈출장비(30)는, 탑승카(100)의 상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해치(31)와, 탑승카(100)의 바닥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의 바닥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해치(32)와, 탑승카(100)의 상부로 탈출한 사람들이 붙잡고 내려갈 수 있도록 탑승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강기 설비(33)와, 탑승카(100)의 바닥을 통해 탈출한 사람이 붙잡을 수 있도록 탑승카(100)의 하부에 절첩식으로 설치되는 안전바(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강기 설비(33)는, 탑승카(100)에 설치된 카 프레임(35)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탑승카(100)가 정지하여 움직이지 않는 경우, 상부 해치(31)를 개방하여 탑승카(100)의 상부로 빠져나간 후 완강기 설비(33)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 환자 등과 같이 상부 해치(31)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하부 해치(32)를 개방하여 탑승카(100)의 하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바(34)를 펼쳐 줌으로써 탈출하는 사람들이 안전바(34)를 잡고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전바(34)에 줄사다리(도시 생략)를 연결함으로써 줄사다리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탑승카(100)에서 탈출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의 상부와 하부에, 자체충전식 비상전원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조명설비(4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완강기 설비(33)를 이용하여 탈출하는 사람이나 하부 해치(32)를 통해 빠져나온 사람들이, 어둠 속에서 헤매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구조자들이 신속하게 움직여 탈출한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설비(10)와 비상환기설비(20) 및 비상탈출장비(30) 외에, 탑승카(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를 대비한 장치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즉, 탑승카(100) 내부에, 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기구(41)와 구급함(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상자나 환자 등의 심장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심장이 멎을 경우 제세동기 등의 응급의료기구(41)를 이용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되고, 구급함(42)의 붕대 등을 이용하여 부상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급의료기구(41)와 구급함(42)은, 탑승카(100)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탑승카(10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환자나 부상자가 없는 경우에 더 많은 사람이 탑승카(100)를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탑승카(100)의 상측에 스프링클러(4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클러(43)의 작동에 따라 다른 장비의 작동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탑승카(100) 내부의 모든 전기장치나 전자장치는 방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클러(43)에 의해, 탑승카(100)의 내부로 유입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화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이나 유독 가스 등에 노출된 환자의 눈이나 환부를 긴급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제공하는 세척설비(44)가 탑승카(100)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산소공급설비
11...산소발생기 유닛
12...산소 저장용기
13...산소마스크 유닛
20...비상환기설비
21...공기정화장치
22...살균 제독장치
23...송풍덕트
24...송풍구
25...흡기덕트
26...흡기구
30...비상탈출장비
31...상부 해치
32...하부 해치
33...완강기 설비
34...안전바
41...응급의료기구
42...구급함
43...스프링클러(Sprinkler)
44...세척설비
45...조명설비
100...탑승카

Claims (7)

  1. 탑승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산소발생기 유닛(11)과,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용기(12)와, 탑승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 저장용기(12)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산소마스크 유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탑승카(100) 내부의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설비(10)와; 탑승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21)와, 탑승카(100)의 상판을 관통하는 송풍구(24)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를 연결하여, 정화된 공기를 탑승카(100)의 내측 상부로 공급하는 송풍덕트(23)와, 탑승카(100)의 측면 하단을 관통하는 흡기구(26)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를 연결하고, 탑승카(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정화장치(21)로 공급하는 흡기덕트(25)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유독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살균 제독장치(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탑승카(100)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비상환기설비(20);를 포함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에 있어서,
    탈출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 외부의 상부와 하부에 자체충전식 비상전원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조명설비(45)가 각각 설치되고,
    탑승카(100)가 정지한 경우에 비상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장비(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비상탈출장비(30)는,
    탑승카(100)의 상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해치(31)와,
    탑승카(100)의 바닥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탑승카(100)의 바닥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해치(32)와,
    탑승카(100)의 상부로 탈출한 사람들이 붙잡고 내려갈 수 있도록, 한 쌍의 수직 카 프레임(35)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완강기 설비(33)와,
    탑승카(100)의 바닥을 통해 탈출하는 사람이 붙잡을 수 있도록, 탑승카(100) 내부의 하부에 절첩식으로 설치되는 안전바(34)를 포함하고,
    탑승카(100) 내부에 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기구(41)와 구급함(4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급의료기구(41)와 구급함(42)은 탑승카(100)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승카(100)의 상측에 스프링클러(43)가 더 설치되고,
    긴급 세척을 위해 물탱크의 물을 제공하는 세척설비(44)가, 탑승카(100)의 내벽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51571A 2017-11-14 2017-11-14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KR10186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71A KR101868409B1 (ko) 2017-11-14 2017-11-14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71A KR101868409B1 (ko) 2017-11-14 2017-11-14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09B1 true KR101868409B1 (ko) 2018-06-20

Family

ID=6276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71A KR101868409B1 (ko) 2017-11-14 2017-11-14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2124A (zh) * 2018-10-12 2018-12-21 浙江威尔金森电梯有限公司 一种用于货物运输的电梯
CN110713097A (zh) * 2019-10-17 2020-01-21 费吕平 一种通风降噪型电梯
KR20200027201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세이버스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CN111351155A (zh) * 2020-03-10 2020-06-30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具有净化及消毒功能的电梯空气净化器
CN112460722A (zh) * 2020-12-08 2021-03-09 湖北惠天下建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高效通风系统
KR20210042705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승강기용 화염·연기 배출장치
CN113280453A (zh) * 2021-06-28 2021-08-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87A (ko) * 2002-07-04 2004-01-13 박진수 일체형 개인차고를 갖는 고층아파트 구조
KR20130104972A (ko) * 2012-03-16 2013-09-25 (주)씨아이제이 산소 공급 승강기
JP2014516894A (ja) * 2011-05-02 2014-07-17 シュテファン テーデ エレベータの非常用ボックス
KR20150000953U (ko) * 2013-08-23 2015-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해치 유닛
KR20150103388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조명기능을 구비한 승강기용 비상호출 및 영상통화장치
KR20160120426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카이렌 안전승강기
KR20170010488A (ko) 2015-07-20 2017-02-01 우정기업(주) 적층형 엘리베이터용 접이식 비상사다리
KR101738862B1 (ko) 2016-09-12 2017-05-24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87A (ko) * 2002-07-04 2004-01-13 박진수 일체형 개인차고를 갖는 고층아파트 구조
JP2014516894A (ja) * 2011-05-02 2014-07-17 シュテファン テーデ エレベータの非常用ボックス
KR20130104972A (ko) * 2012-03-16 2013-09-25 (주)씨아이제이 산소 공급 승강기
KR20150000953U (ko) * 2013-08-23 2015-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해치 유닛
KR20150103388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조명기능을 구비한 승강기용 비상호출 및 영상통화장치
KR20160120426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카이렌 안전승강기
KR20170010488A (ko) 2015-07-20 2017-02-01 우정기업(주) 적층형 엘리베이터용 접이식 비상사다리
KR101738862B1 (ko) 2016-09-12 2017-05-24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01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세이버스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KR102240700B1 (ko) * 2018-09-04 2021-04-15 주식회사 세이버스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CN109052124A (zh) * 2018-10-12 2018-12-21 浙江威尔金森电梯有限公司 一种用于货物运输的电梯
KR20210042705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승강기용 화염·연기 배출장치
KR102377942B1 (ko) * 2019-10-10 2022-03-24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승강기용 화염·연기 배출장치
CN110713097A (zh) * 2019-10-17 2020-01-21 费吕平 一种通风降噪型电梯
CN111351155A (zh) * 2020-03-10 2020-06-30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具有净化及消毒功能的电梯空气净化器
CN112460722A (zh) * 2020-12-08 2021-03-09 湖北惠天下建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高效通风系统
CN112460722B (zh) * 2020-12-08 2022-05-27 湖北惠天下建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高效通风系统
CN113280453A (zh) * 2021-06-28 2021-08-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CN113280453B (zh) * 2021-06-28 2022-05-20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梯轿厢的多功能空气循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409B1 (ko)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US10843897B2 (en) Emergency elevator
KR101874042B1 (ko)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US5687713A (en) Breathing mask
CA2024296C (en) Protective device, individual, portable, with total insul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US5115804A (en) Protective hood and oral-nasal mask
CN110789432B (zh) 一种医疗洗消一体核救援车及救援方法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WO2008122191A1 (fr) Cabine repliable faisant office d'abri en cas d'incendie se déplaçant en suspension pour une utilisation en intérieur
US11771927B2 (en) Rebreathing apparatus having inhaled oxygen mixing and exhaled carbon dioxide removal functions by electronic control
CN211969266U (zh) 一种医疗洗消一体核救援车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TWI532670B (zh) 人員用運送帶
RU2760059C2 (ru) Аварийный лифт
JP200716895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CN110697537A (zh) 紧急电梯
WO2016105006A1 (ko) 인명구조용 침구
EP0327643B1 (en) Protective hood and oral-nasal mask
RU184749U1 (ru) Трап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жарный
EP0682543B1 (en) Breathing mask
KR102528432B1 (ko) 모듈형 음압장비를 이용한 음압구급차
JP6256294B2 (ja) エレベータ装置
RU2676793C1 (ru) Эвакуационная люлька для выноса детей-младенцев из зоны пожара
RU176563U1 (ru) Модуль вертолетный для эвакуации больного особо опасными инфекци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