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862B1 -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862B1
KR101738862B1 KR1020160117226A KR20160117226A KR101738862B1 KR 101738862 B1 KR101738862 B1 KR 101738862B1 KR 1020160117226 A KR1020160117226 A KR 1020160117226A KR 20160117226 A KR20160117226 A KR 20160117226A KR 101738862 B1 KR101738862 B1 KR 10173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mergency escape
emergency
board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규
민병은
Original Assignee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16011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인원을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탈출시키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상기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가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ELEVATOR EMERGENCY ESCAPE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갇힌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든 엘리베이터 구성은 모터와 콘트롤 판넬(제어반)로 구성되어 있다. 콘트롤 판넬(제어반)에는 층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비상구에도 안전장치가 되어 있어서 비상구 문이 열려도 엘리베이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에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하도록 문개폐기가 설치되어 있고, 천정에 비상구가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의 정전시나 고장시 비상탈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컴퓨터식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의해 자동 제어되면서 사용되다가 화재나 천재지변에 의해 전원이 중단되면 그 작동이 중지되어 탑승자들의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현재 엘리베이터의 비상 탈출을 위한 사다리는 줄사다리나 고정형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는데, 줄사다리의 경우 줄의 흔들림이 있어 오르기가 힘들고 특히 여성이나 노약자, 아이들이 줄을 잡고 올라가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사다리들도 운전판이나 사물함에 비치되어 있어 구출자가 엘리베이터 내에 들어와서 드라이버 또는 키를 이용해 운전판이나 사물함을 개방해야 이용이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줄사다리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중간층에 멈추었을 때 층고 높이에 따라 구출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줄사다리로만 탈출 시도시 낙하의 위험도 있다.
한편, MRL의 경우에는 비상구가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소방관, 유지보수자, 그리고 건물 승강기 관리자가 편리하게 비상시에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은 천정의 비상구를 개방하여 탈출을 시도할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 천정의 비상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천정의 비상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상부로 이동하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정지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은 구조요청 후 구조요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 대기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조요원이 현장에 도착하면 구조요원은 정지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인원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장치를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장치는 대부분 비상 사다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비상 사다리를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비상 사다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의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신속하게 이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인원을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탈출시키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상기 비상탈출장치 제어부 및 비상탈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탈출장치가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를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탈출장치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탑승부를 수직 상승 및 수직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부분에 형성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 및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탈출 시스템은, 상기 탑승부의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로진입하여 상승될 때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가 형성된 영역 내에 울타리를 형성하는 안전 가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 가드부는, 단면 형상이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되어, 평상시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접혀 있고 상기 탑승부가 상승할 때 상단부가 상기 탑승부와 함께 이동하여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 가드부는,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의 울타리부재; 및 상기 울타리부재의 내면에서 상기 울타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울타리부재가 상기 탑승부를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울타리부재의 단면 형상을 상기 비상탈출구 진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울타리부재가 상기 탑승부를 따라 하강할 때 상기 울타리부재가 다단으로 포개어지도록 하는 링 형태의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 가드부가 상기 울타리를 형성할 때 상기 울타리가 형성된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울타리부재의 내면 또는 외면에 구비되는 발광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의하면,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비상탈출장치의 탑승부가 상승할 때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판에 형성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의 영역 내에 울타리가 형성되므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이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를 형성하는 울타리부재에 표시부재가 구비되므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이 울타리부재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되는 비상 상황 발생시에 외부로의 도움 요청 없이도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된 비상상황 발생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인명 피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시스템은 배터리나 비상 발전기를 이용함으로써 최근 문제가 되는 정전 대란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드부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울타리를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장치의 구성 및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은, 개폐부(100), 비상탈출장치(200),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 및 비상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00)는 비상탈출장치(200)가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2공한다. 개폐부(1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 및 개폐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일 예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을 정면으로 하여 볼 때 가로 600 및 세로 400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2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개폐한다. 개폐도어(12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 상에 구비될 수 있고,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폐도어(120)의 개폐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슬라이딩 형태 또는 여닫이 형태일 수 있다.
비상탈출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인원을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탈출시킨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탈출장치(200)는 개폐부(100)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200)는 탑승부(210) 및 승하강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상탈출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11)을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탑승부(210)는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인원이 탑승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탑승부(210)는 사각의 발판 형태일 수 있다. 발판 형태의 탑승부(21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탑승부(21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서 개폐부(100)의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승하강 구동부(220)는 탑승부(210)를 수직 상승 및 수직 하강시킨다. 승하강 구동부(220)는 탑승부(210)의 아래에 배치되어 탑승부(210)에 연결된다. 승하강 구동부(220)는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승하강 구동부(22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직선 운동 방식의 액츄에이터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승하강 구동부(2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21) 및 유압 실린더(221)를 작동시키는 유압구동장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221)는 복동 실린더 형태일 수 있고 피스톤 로드(222a)의 끝단부가 탑승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구동장치(222)는 유압 펌프, 유압 제어 밸브 및 오일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탈출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상탈출장치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한다. 일 예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 패널에는 비상탈출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버튼,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은 버튼을 누르는 동안 유압 실린더(221)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상전원공급부(400)는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 및 비상탈출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탈출장치(200)가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비상전원공급부(400)는 비상탈출장치(200)의 승하강 구동부(22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비상전원공급부(400)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전원 공급부의 전원 장치는 AC 330V/220V, DC 24V, 12V, 6V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원 장치로 변전실이 별도로 없는 곳에서는 배터리의 이용이 가능하고, 빌딩이나 아파트의 경우에는 비상 발전기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상전원 공급부를 통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정전 대란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탈출 시스템은 안전 가드부(500) 및 표시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가드부(500)는 탑승부(210)의 아래에 설치되어 탑승부(210)가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로 진입하여 상승될 때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가 형성된 영역 내에 울타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안전 가드부(500)는 단면 형상이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되며, 평상시 비상탈출장치(200)의 설치 위치에서 접혀 있고 탑승부(210)가 상승할 때 상단부가 탑승부(210)와 함께 이동하여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안전 가드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부재(510) 및 형상유지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울타리부재(51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울타리부재(510)를 구성하는 플렉시블한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울타리부재(510)는 고무 또는 천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울타리부재(510)의 상단부는 탑승부(210)의 아랫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부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11)을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프레임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형상유지부재(520)는 울타리부재(510)가 탑승부(210)를 따라 상승할 때 울타리부재(510)의 단면 형상을 비상탈출구 진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키고 울타리부재(510)가 탑승부(210)를 따라 하강할 때 울타리부재(510)가 다단으로 포개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형상유지부재(52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의 형상에 대응하2는 형상을 갖는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링 형태의 형상유지부재(520)는 울타리부재(510)의 내면에서 울타리부재(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링 형태의 형상유지부재(520)는 탑승부(210)가 하강할 때 다단으로 쌓이면서 형상유지부재(520) 사이의 형상유지부재(520) 영역들이 포개어지도록 한다.
표시부재(600)는 안전 가드부(500)가 울타리를 형성할 때 울타리가 형성된 것을 표시한다. 표시부재(600)는 울타리부재(5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구비되는 발광소재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소재는 울타리부재(510)의 외면에 부착된 형광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발광소재는 울타리부재(5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되고 비상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정지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비상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되는 비상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비상전원공급부(400)에 의해 비상탈출장치(200) 및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에는 비상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정지된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로부터 탑승자들이 탈출하기 위해, 먼저 탑승자는 개폐부(100)의 개폐도어(120)를 열어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개방한다.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가 개방되면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비상탈출장치(200)의 승하강 구동부(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승하강 구동부(220)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의 상승버튼을 누르면 유압 실린더(221)가 신장되어 탑승부(210)가 상승하고, 상승되는 탑승부(210)는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로 진입된다. 이때, 상승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를 조절하면서 탑승부(210)가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탑승자가 탑승부(210)에 탑승 가능한 높이로 탑승부(2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탑승부(210)에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 중 일부 인원이 탑승한 후 엘리베이터 카(10)의 천정의 비상구를 개방하고, 엘리베이터 카(10)에 남게 되는 탑승자가 다시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의 상승버튼을 눌러서 탑승부(2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221)가 신장되어 탑승부(210)가 다시 상승하며, 상승하는 탑승부(210)는 천정의 비상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이동하고, 탑승부(210)의 아래에는 울타리가 형성된다. 즉, 상승하는 탑승부(210)를 따라 탑승부(210)의 아래에 연결된 안전 가드부(500)의 울타리부재(510)가 펼쳐지면서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가 형성된 영역 내에 울타리를 형성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드부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울타리를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가 형성된 영역 내에 울타리부재(510)에 의해 형성되는 울타리는 도 3에 예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울타리부재(510)가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울타리를 형성할 때 울타리부재(510)는 표시부재(600)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에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울타리부재(5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광띠()가 발광하여 울타리부재(5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부(210)에 소정의 인원이 탑승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던 일부 인원이 엘리베이터 카(10)에서 탈출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카(10)에 남아 있는 인원이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탑승부(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탈출장치 제어부(300)의 하강버튼을 눌러서 탑승부(210)가 엘리베이터 카(10) 내부로 위치하도록 탑승부(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탑승부(210)가 하강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부로 위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부(210)를 상승시켜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10)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의 탑승자 전원이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이동하여 비상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탈출 시스템은 평상시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의 외부에서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될 수 있고, 비상탈출장치(200)가 사람의 탑승이 가능하고 수직 상승 및 수직 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비상탈출장치(200)의 탑승부(210)에 탑승한 사람을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비상탈출장치(200)의 탑승부(210)가 상승할 때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판(11)에 형성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의 영역 내에 울타리가 형성되므로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이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0)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이 비상탈출장치 진입구(11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의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탈출장치(200)의 탑승부(210)가 상승할 때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울타리를 형성하는 울타리부재(510)에 표시부재(600)가 구비되므로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들이 울타리부재(510)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되는 비상 상황 발생시에 외부로의 도움 요청 없이도 비상탈출장치(20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행이 정지된 비상상황 발생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인명 피해가 방지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의 일부분에 형성된 비상탈출장치 진입구 및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외로 수직 상승 및 수직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승하강 구동부;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이고, 상기 튜브의 상단부는 상기 탑승부에 연결되어 상기 탑승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탑승부와 함께 상기 튜브의 상단부가 이동하여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를 통과하면서 상기 탑승부로부터 상기 바닥면의 외측 아래까지 펼쳐져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의 내측 영역으로 울타리를 형성하는 울타리부재;
    상기 울타리부재의 내면에서 상기 울타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울타리부재가 상기 탑승부를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울타리부재의 단면 형상을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울타리부재가 상기 탑승부를 따라 하강할 때 상기 울타리부재가 다단으로 포개어지도록 하는 링 형태의 형상유지부재;
    상기 울타리부재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울타리부재가 펼쳐져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울타리를 형성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 상기 울타리부재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자가 상기 비상탈출장치 진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광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승부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승하강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 및 승하강 구동부가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비상탈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17226A 2016-09-12 2016-09-12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73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26A KR101738862B1 (ko) 2016-09-12 2016-09-12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26A KR101738862B1 (ko) 2016-09-12 2016-09-12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862B1 true KR101738862B1 (ko) 2017-05-24

Family

ID=5905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226A KR101738862B1 (ko) 2016-09-12 2016-09-12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8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09B1 (ko) 2017-11-14 2018-06-2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KR101927003B1 (ko) * 2017-12-22 2018-12-07 김광일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CN109748161A (zh) * 2017-11-08 2019-05-14 通力股份公司 电梯
US10843897B2 (en) 2018-05-30 2020-11-24 Songsan Special Elevators Co., Ltd. Emergency elev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6190A (ja) * 2001-01-31 2002-08-14 Sekisui House Ltd リフト装置の保護柵
KR101619728B1 (ko) * 2016-03-31 2016-05-10 박윤규 조명수단이 구비된 승강기 천장의 비상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6190A (ja) * 2001-01-31 2002-08-14 Sekisui House Ltd リフト装置の保護柵
KR101619728B1 (ko) * 2016-03-31 2016-05-10 박윤규 조명수단이 구비된 승강기 천장의 비상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8161A (zh) * 2017-11-08 2019-05-14 通力股份公司 电梯
US11498806B2 (en) 2017-11-08 2022-11-15 Kone Corporation Elevator
KR101868409B1 (ko) 2017-11-14 2018-06-2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KR101927003B1 (ko) * 2017-12-22 2018-12-07 김광일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US10843897B2 (en) 2018-05-30 2020-11-24 Songsan Special Elevators Co., Ltd. Emergency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6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CN210103213U (zh) 一种电梯逃生结构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JP200432282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20070004491A (ko)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CN108883904A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CN210710210U (zh) 一种电梯救援装置
JPS58501992A (ja) 流体圧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JP2002020062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EP3608283A1 (en) Elevator car apron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JP2004010174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CN110510470A (zh) 一种电梯救援装置
US20200031628A1 (en) Elevator car apron
KR20150060154A (ko) 직접 유압식 전망엘리베이터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201218404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81582B1 (ko) 엘리베이터 2차 정지 시스템
CN212668899U (zh) 一种开放式井道逃生装置及电梯
KR102276299B1 (ko) 계단 겸용 리프트 장치
KR100810714B1 (ko) 덕트용 리프트 장치 및 덕트용 리프트/도어 제어 시스템
JP2005280988A (ja) 双動式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