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003B1 -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003B1
KR101927003B1 KR1020170178598A KR20170178598A KR101927003B1 KR 101927003 B1 KR101927003 B1 KR 101927003B1 KR 1020170178598 A KR1020170178598 A KR 1020170178598A KR 20170178598 A KR20170178598 A KR 20170178598A KR 101927003 B1 KR101927003 B1 KR 10192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ontrol unit
lock
open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riority to KR102017017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06C7/04Hand-operated extending means carried by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될 때, 수송공간 내의 승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장, 바닥 및 측벽으로 구성된 수송공간을 포함하는 승강 카, 그리고 상기 천장에 구비되고 외부로 이어지는 비상탈출구, 상기 비상탈출구를 개폐하는 비상도어 및, 상기 승강 카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비상탈출구의 개방 시 구동되어 상기 수송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수단, 그리고 상기 비상도어를 개방하는 잠금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사다리부재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될 때, 수송공간 내의 승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을 수송하는 수송공간을 구비한 승강 카(Car)와 이 승강 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리프트는 다시 승강 카에 결합된 승강 케이블과 이 승강 케이블이 결합되는 권양기를 포함하여, 승강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승강 카가 승강되는 형태로 승객을 목적 층까지 수송한다.(이 외 엘리베이터의 안전 구동을 위한 기타 장치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화재, 정전, 리프트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즉각 정지되는데, 이 경우 출입문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 예를 들면 한 층과 다른 층의 사이에 정지하게 되면 승객들이 승강 카의 수송공간에 갇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천장에 비상탈출구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비상탈출구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반드시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구조인원이 투입되어 도어를 열어 비상탈출구를 개방시킨 후, 비상탈출구를 통해 승강 카 내부로 사다리를 하강시켜 승객을 탈출시킨다.
그러나 119대원과 같은 전문 구조인원의 경우에는 비상탈출 훈련을 전문적으로 받았을 뿐만 아니라 사다리와 같은 구조 장비를 소지하고 다니므로 긴급 정지 시 승객들을 비상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탈출시킬 수 있는 반면, 일반인들은 비상탈출구를 통해 자력으로 탈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 구조인원의 출동이 늦어지거나 또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 촌각을 다투는 환자가 승강 카 내부에 갇히는 경우 등과 같이 즉각적인 탈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실용 제20-0172637 호(1999년12월13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승강기 내에 비상탈출용 스텝을 형성하되, 승강기 내부와 조화를 이루며, 승강기 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엘리베이터 승강기 비상스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승강 카의 내벽면에 비상스텝이 노출되어 있어서, 승강기 내부와 조화를 이룬다한들, 미감 저하를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수송공간 내 승객이 가득 차게 되는 경우에 비상스텝이 걸리적거리거나 또는 비상스텝과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등, 사용자의 불편을 발생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어유닛을 통해 비상도어를 개방하여 비상탈출구를 오픈하고, 제어유닛을 통해 사다리부재를 승강 카의 수송공간 내부로 투입하여, 화재,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될 때, 수송공간 내의 승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추가적인 목적으로, 출입문에 구비된 센싱부를 통해 출입문의 닫힘 시에 승객의 손 끼임을 방지하되, 특히 센싱부를 정전식 터치 센서로 구성하여 승객의 손 끼임을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 및 특징을 포함한다.
천장, 바닥 및 측벽으로 구성된 수송공간을 포함하는 승강 카, 그리고 상기 천장에 구비되고 외부로 이어지는 비상탈출구, 상기 비상탈출구를 개폐하는 비상도어 및, 상기 승강 카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비상탈출구의 개방 시 구동되어 상기 수송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수단, 그리고 상기 비상도어를 개방하는 잠금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사다리부재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상도어는 상기 비상탈출구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회동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유닛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케이스에 구비된 잠금홈,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돌기, 상기 잠금돌기의 외면에 일 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돌기 및, 상기 잠금홈의 내벽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상기 잠금홈 내 진입 시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회전 시 상기 고정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홈의 내벽면 중 상기 진입부보다 깊은 위치에서 상기 진입부와 마주보게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화재,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승객의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제공하여, 응급 상황의 발생 등에도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승객의 손 끼임을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보다 철저한 안전사고 방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사다리부재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
도 3은 제어유닛의 각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별도 케이스 구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될 때, 수송공간 내의 승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승강 카(1), 비상탈출수단(2) 및 제어유닛(3)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승강 카(Car)(1)는 엘리베이터의 기본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1), 바닥(12) 및 측벽(13)으로 구성된 수송공간(10)을 포함한다. 이 수송공간(10)에는 승객이 수용되어 목적지까지 수송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카(1)는 수송공간(10)을 개방하여 승객의 출입을 제공하는 출입문(14), 그리고 승강 카(1)의 목적 층 설정, 출입문(14)의 개폐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출입문(14)에 구비된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싱부는 출입문(14)의 닫힘 시에 승객의 손 끼임을 방지하고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센싱부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는 승객의 손 끼임을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비상탈출수단(2)은 화재 발생, 정전, 승강 리프트에 발생한 고장, 또는 기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되었을 때, 수송공간(10) 내 승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탈출수단(2)은 천장(11)에 구비되고 외부로 이어지는 비상탈출구(21), 비상탈출구(21)를 개폐하는 비상도어(22) 및, 승강 카(1)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고 비상탈출구(21)의 개방 시 구동되어 수송공간(10) 내부로 진입하는 사다리부재(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상탈출구(21)는 승객의 대피를 위해 외부와 연결된 통로로, 승강 카(1)의 상부, 즉 천장(1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13)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조대의 진입 등이 어려울 수 있고, 바닥(12)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최하층에서는 탈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비상도어(22)는 비상탈출구(2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비상탈출구(21)를 폐쇄하고 있다가 비상 탈출 상황 시 제어유닛(3)에 의해 동작하여 비상탈출구(21)를 개방한다.
다음, 사다리부재(23)는 수송공간(10) 내의 승객들이 승강 카(1)의 천장(11)에 구비된 비상탈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승강 카(1)의 상부 외측면에 위치하고 있다가 비상 탈출 상황 시 제어유닛(3)에 의해 구동되어 수송공간(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수송공간(10) 내부로 진입한 사다리부재(23)는 승강 카(1)의 바닥(12)에 닿거나 또는 바닥(12)에 인접한 위치까지 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은 비상탈출구(21)에 타단은 바닥(12)(또는 바닥(12)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유닛(3)은 비상도어(22)의 개폐, 그리고 사다리부재(23)의 구동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CPU 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의 각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블록도인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은 비상도어(22)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31) 및 사다리부재(23)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2)를 포함하고, 개폐부(31)는 비상도어(22)를 개방하는 잠금해제버튼을 포함하며, 구동제어부(32)는 사다리부재(23)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보다 명확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1)는 잠금해제버튼을 통해 비상도어(22)의 힌지부(221)를 구동시키고, 구동제어부(32)는 사다리부재(23)의 회동부(231) 및 길이조절부(232)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유닛(3)은 엘리베이터의 승강 카(1)에 구비된 조작부(15)(층 선택 버튼, 열림 버튼, 닫힘 버튼 등이 구비된 구성)에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별도의 하우징을 통해 구비되는 실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작부(15)에 비상 탈출 버튼을 구비하고 이 비상 탈출 버튼을 누르는 경우 키 박스와 같은 형태의 하우징을 갖는 제어유닛(3)이 노출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별도 하우징에 구비된 실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정전, 리프트 케이블의 단선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가 긴급 정지될 때, 수송공간(10) 내의 승객이 비상도어(22)의 개방을 통해 오픈된 비상탈출구(21)로, 수송공간(10) 내로 진입한 사다리부재(23)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을 제공하고, 특히 구조대(예: 119)가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수송공간(10)으로의 신속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사다리부재(23)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은 제어유닛(3)의 각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및 추가적인 실시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상도어(22)가 비상탈출구(21)의 일 측에 구비되고, 개폐부(31)에 의해 회동하는 힌지부(221)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21)는 비상탈출구(21)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일 측이라 함은 특별히 그 방향이 특정되지 않는 비상탈출구(21)의 어느 한 부분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상탈출구(21)의 단부(구멍의 형태로 이루어진 비상탈출구(21)의 어느 한 변 또는 어느 한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힌지부(221)는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축이 설치되는 축설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은 모터에 의한 자동 회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힌지부(221)의 구비를 통해, 제어유닛(3)의 개폐부(31)가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회전축에 결합된 도어커버가 회전축을 따라 회동하면서 비상탈출구(21)를 개방하게 된다.(도 1 [B]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다리부재(23)가 구동제어부(32)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231) 및, 회동부(231)에 연결되고 구동제어부(32)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232)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231)는 상기한 힌지부(221)와 유사하게 회동축과 이 회동축이 설치되는 축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역시 회동축의 회전은 모터에 의한 회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회동부(231)는 승강 카(1)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비상도어(22)의 개방 시 사다리부재(23)의 수송공간(10) 내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상탈출구(21)를 기준으로 비상도어(22)의 힌지부(221)가 구비된 측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부(232)는 회동부(231)에 연결되는데, 이에 회동부(231)의 회동 시 길이조절부(232)가 수송공간(10)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 후 제어유닛(3)의 구동제어부(32)에 의해 승강 카(1)의 바닥(12) 측으로 그 길이가 길어지면서 수송공간(10) 내로 더욱 진입하게 된다.
아울러 길이조절부(232)는 구동제어부(32)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데, 이러한 길이조절부(232)는 사다리부재(23)의 수직 기둥을 의미하며, 수평 발판의 양 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232)는 다수의 분절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분절몸체가 또 다른 분절몸체에 일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 분절몸체의 인입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고, 각 분절몸체의 인출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2를 참고하면, 길이조절부(232)는 길이의 조절을 위해 제1몸체(232a)와 이 제1몸체(232a)에 부분 삽입되는 제2몸체(23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몸체(232a)에 삽입된 제2몸체(232b)의 길이만큼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1몸체(232a)와 제2몸체(232b)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제1몸체(232a)가 상부 분절몸체이고, 제2몸체(232b)가 하부 분절몸체가 되는 것이고, 특히 제1몸체(232a)와 제2몸체(232b)는 상호 간의 삽입 관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며, 제2몸체(232a)가 그 하부의 분절몸체에 대해서는 제1몸체(231a)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몸체(232a)에 대한 제2몸체(232b)의 삽입 정도 조절은 실린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힌지부(221)나 회동부(231)처럼 자동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또는 기타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3)은 별도의 하우징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어유닛(3)은 비상 상황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상시적이지 않은 바, 유지, 보수, 관리 등을 위해 제어유닛(3)의 기판(PCB)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제어유닛(3)의 가판을 내장하는 케이스에 커버를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잠금수단을 통해 그 결합을 유지 및 고정시킴으로써, 커버의 탈착을 통해 기판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별도 케이스)를 도시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유닛(3)이 케이스(C1), 이 케이스(C1)에 결합되는 커버(C2), 그리고 케이스(C1)와 커버(C2)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수단(L)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케이스(C1)와 커버(C2) 간의 착탈 방식은 볼트 체결 방식이 고려될 수 있는데, 볼트 체결 방식은 볼트의 분실 위험은 물론 커버(C2)의 탈착을 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구비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탈피하기 위해 볼트의 헤드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볼트의 회전을 위한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커버(C2)의 탈착이 스냅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L)을 도입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잠금수단(L)은 크게 잠금홈(L1), 잠금돌기(L2), 고정돌기(L3) 및 잠금 가이드(L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잠금홈(L1)은 잠금돌기(L2)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1) 측에 구비된다. 당연하게도 잠금홈(L1)은 커버(C2)와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잠금돌기(L2)는 잠금홈(L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C2)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커버(C2)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고정돌기(L3)는 잠금홈(L1) 내부에서 잠금돌기(L2)의 180도 회전이 이루어졌을 때, 후술하는 잠금 가이드(L4)에 의해 잠금돌기(L2)가 밀려나면서 잠금홈(L1) 내벽면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C1)와 커버(C2) 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돌기(L2)의 외면에 일 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다음으로, 잠금 가이드(L4)는 잠금돌기(L2)의 회전 시 고정돌기(L3)를 안내하고, 잠금돌기(L2)의 180도 회전이 이루어졌을 때, 고정돌기(L3)를 밀어내어 잠금돌기(L2)가 함께 밀리면서 잠금홈(L1)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잠금 가이드(L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홈(L1)의 내벽면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 가이드(L4)는 잠금돌기(L2)의 잠금홈(L1) 내 진입 시 고정돌기(L3)를 수용하는 진입부(L41), 진입부(L41)에 연결되고 잠금돌기(L2)의 회전 시 고정돌기(L3)를 안내하는 안내부(L42) 및, 안내부(L42)에 연결되고 잠금홈(L1)의 내벽면 중 진입부(L41)보다 깊은 위치에서 진입부(L41)와 마주보게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 밀착고정부(L43)를 포함한다.
잠금 가이드(L4), 그 중에서도 잠금 가이드(L4)를 구성하는 안내부(L42)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가이드(L4)의 안내부(L42)는 진입부(L41)의 단부에 구비된 홈 형상의 안내시작부(L421), 안내시작부(L421)에 연결되고 잠금홈(L1)의 내벽면을 따라 이어지되, 하향 경사를 갖는 안내중간부(L422), 안내중간부(L422)의 단부에 구비되고 밀착고정부(L43)가 형성되며 안내시작부(L42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안내종단부(L423)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잠금수단(L)의 동작 특징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케이스(C1)와 커버(C2)가 결합될 때, 먼저 잠금돌기(L2)가 잠금홈(L1) 내로 삽입되고, 이 때 고정돌기(L3)는 잠금 가이드(L4)의 진입부(L41)에 수용된 채로 이동(도 4 기준 하강)한다. 이 후 케이스(C1)와 커버(C2)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고정돌기(L3)는 잠금 가이드(L4)의 안내부(L42), 특히 안내시작부(L421)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돌기(L2)를 회전시키면 고정돌기(L3)가 안내부(L42), 특히 안내중간부(L422)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케이스(C1)와 커버(C2)가 서로 보다 가까워지게 된다. 이 후 케이스(C1)와 커버(C2)가 서로 밀착되면 고정돌기(L3)는 안내부(L42)의 종단, 안내종단부(L423)에 위치하게 되고, 이 안내종단부(L423)에 구비되어 있는 밀착고정부(L43)에 의해 밀려나면서 고정돌기(L3)가 잠금돌기(L2)를 밀어내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이에 잠금돌기(L2)와 잠금홈(L1)은 강하게 밀착되고, 케이스(C1)와 커버(C2) 간의 결합이 유지되는 스냅식 착탈 결합이 실현된다.
반대로 잠금수단(L)의 잠금 해제 과정은 상기한 잠금 동작의 반대로 진행되며, 이러한 잠금수단(L)의 도입을 통해 본 발명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커버(C2)와 케이스(C1)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승강 리프트, 추락 방지 수단, 전원 공급부, 모터 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 상식 및 이미 공지된 기술들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승강 카
10: 수송공간 11: 천장
12: 바닥 13: 측벽
2: 비상탈출수단
21: 비상탈출구
22: 비상도어 221: 힌지부
23: 사다리부재 231: 회동부
232: 길이조절부
3: 제어유닛
31: 개폐부 32: 구동제어부

Claims (4)

  1. 천장, 바닥 및 측벽으로 구성된 수송공간을 포함하는 승강 카;
    상기 천장에 구비되고 외부로 이어지는 비상탈출구, 상기 비상탈출구를 개폐하는 비상도어 및, 상기 승강 카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비상탈출구의 개방 시 구동되어 상기 수송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수단; 및
    상기 비상도어를 개방하는 잠금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사다리부재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케이스에 구비된 잠금홈,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돌기, 상기 잠금돌기의 외면에 일 측에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돌기 및,
    상기 잠금홈의 내벽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상기 잠금홈 내 진입 시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회전 시 상기 고정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홈의 내벽면 중 상기 진입부보다 깊은 위치에서 상기 진입부와 마주보게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는 상기 비상탈출구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회동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4. 삭제
KR1020170178598A 2017-12-22 2017-12-22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KR10192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98A KR101927003B1 (ko) 2017-12-22 2017-12-22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98A KR101927003B1 (ko) 2017-12-22 2017-12-22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003B1 true KR101927003B1 (ko) 2018-12-07

Family

ID=6466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98A KR101927003B1 (ko) 2017-12-22 2017-12-22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2188B (zh) * 2020-02-25 2021-09-03 刘士英 一种带有防晃动结构设计的施工升降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1280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脱出装置
KR101615728B1 (ko) * 2014-12-01 2016-04-26 이앤에이치시스템(주)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738862B1 (ko) * 2016-09-12 2017-05-24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1280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脱出装置
KR101615728B1 (ko) * 2014-12-01 2016-04-26 이앤에이치시스템(주)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738862B1 (ko) * 2016-09-12 2017-05-24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2188B (zh) * 2020-02-25 2021-09-03 刘士英 一种带有防晃动结构设计的施工升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7844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扉の開錠システム
JPWO2013140575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106904516A (zh) 用于电梯维护操作的方法和装置
EP2848570A1 (en) An elevator
JP2010269895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KR101927003B1 (ko) 비상탈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JP200717668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JP4782004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EP3360837B1 (en) Maintenance access system for elevators
EP3342743B1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EP3517478B1 (en) Elevator component access cabinet
JP6780012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6264841A (ja) エレベータ
JP201021538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201501695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181582B1 (ko) 엘리베이터 2차 정지 시스템
KR100812471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201914266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JP426234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8620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KR101927019B1 (ko) 손 끼임 방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2004149261A (ja) エレベーター用乗りかご
JP2000211864A (ja) エレベ―タ三方枠扉のロック装置
JP20062486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WO2023199507A1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