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096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096B1
KR101862096B1 KR1020170041885A KR20170041885A KR101862096B1 KR 101862096 B1 KR101862096 B1 KR 101862096B1 KR 1020170041885 A KR1020170041885 A KR 1020170041885A KR 20170041885 A KR20170041885 A KR 20170041885A KR 101862096 B1 KR101862096 B1 KR 10186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elevator car
body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범섭
Original Assignee
세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Abstract

본 기재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고정 부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이 없으면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부재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유닛, 상기 몸체 부재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Locking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시 엘리베이터카와 승강 도어 장치가 인접하게 위치하면,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이 탈출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을 구조할 수도 있도록 엘리베이터카의 잠금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카를 호출하면, 해당 승강층으로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개폐된다. 이때, 각 승강층의 승강구에는 엘리베이터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 도어 장치가 설치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승강 도어 장치는 양측으로 동작하여 개폐되는 승강 도어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 이외의 상황에서 승강 도어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추락 또는 발 끼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다가 정전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승강 도어 장치에 인접하지 않게 정지하면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용자가 외부로 탈출하기에 위험한 위치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카가 승강 도어 장치에 인접하게 정지하면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용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때, 엘리베이터카의 도어의 잠금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는 탈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외부에서 승강 도어와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도어를 개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급 상황시 엘리베이터카와 승강 도어 장치가 인접하게 위치하면,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이 탈출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을 구조할 수도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잠금 모듈이 설치된 승강 도어를 포함하며, 건물의 각층마다 설치된 승강 도어 장치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입 도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고정 부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이 없으면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부재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유닛, 상기 몸체 부재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잠금 유닛은, 일측은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리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 부재 및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과 상기 몸체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걸림 부재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되는 접촉 부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접촉 부재의 회전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접촉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구동 유닛과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부재, 일단은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며, 상기 접촉 부재를 상기 몸체 부재에 링크 결합시키는 복수의 링크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와 걸림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접촉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 부재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브라켓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에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초기 위치를 유지하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및 일측이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몸체 부재에 제2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걸림 부재를 회전시키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는 승강 도어에 설치된 롤러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잠금 유닛은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도어의 개방 시 출입 도어도 개방될 수 있고, 출입 도어의 개방시에도 승강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급 상황시 엘리베이터카와 승강 도어 장치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출입 도어와 승강 도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구조자가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카에 위치한 사람을 승강 도어와 출입 도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구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가 층과 층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탑승자가 탈출하기에 위험한 상황이므로,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게 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정전이 발생되더라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건물에 설치된 승강 도어 장치를 엘리베이터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승강 도어 장치에 포함된 잠금 모듈의 잠금이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에서 제1 구동 유닛과 제2 구동 유닛 사이에 롤러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승강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면서 제1 구동 유닛이 롤러에 의해 동작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구동 유닛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 유닛의 걸림 부재가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구동 유닛이 동작하여 잠금 유닛의 걸림 부재가 고정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출입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면서 제2 구동 유닛이 롤러에 의해 동작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구동 유닛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 유닛의 걸림 부재가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구동 유닛이 동작하여 잠금 유닛의 걸림 부재가 고정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어느 하나의 층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서로 인접한 층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승강 도어 장치(12)와 엘리베이터카(11)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도어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를 포함하는 잠금 모듈(13)이 설치된 승강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도어 장치(12)는 건물의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승강 도어(14)는 두 개일 수 있으며, 두 개의 승강 도어(14)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 도어 장치(12)는 일례로 본체(15), 두 개의 구동 롤러(16) 및 와이어(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는 건물의 각층에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구동 롤러(16)는 서로 이격되어 본체(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7)는 두 개의 구동 롤러(16)에 팽팽하게 감길 수 있다. 두 개의 승강 도어(14) 각각은 와이어(17)의 좌측 윗부분 및 우측 아래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구동 롤러(16)가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승강 도어(1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출입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카(11)는 프레임(11a)과 상기 프레임(1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입 도어(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모듈(13)은 고정부(15a)와 잠금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a)는 본체(1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13a)는 두 개의 승강 도어(14) 중 어느 하나의 승강 도어(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13a)의 끝부분이 고정부(15a)에 삽입되면 승강 도어(1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잠금부(13a)의 끝부분이 고정부(15a)로부터 분리되면 승강 도어(14)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13a)는 두 개의 롤러(13b, 13c)와 고리(13d)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롤러(13b, 13c)는 고리(13d)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하측의 롤러(13b)는 회전축이 될 수 있으며, 상측의 롤러(13c)는 고리(13d)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롤러가 외력을 받으면, 고리(13d)가 고정부(15a)로부터 이탈되어 승강 도어(14)의 잠금이 해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공지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가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로 구성된 잠금 모듈(13)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승강 도어(14) 중에서 잠금부(13a)가 좌측 승강 도어(14a) 설치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도 두 개의 출입 도어(11b', 11b'') 중에서 왼쪽 출입 도어(11b')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잠금부(13a)가 우측 승강 도어(14b)에 설치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도 우측 출입 도어(11b'')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는 고정 부재(130), 몸체 부재(140), 잠금 유닛(150), 제1 구동 유닛(110) 및 제2 구동 유닛(120)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3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1)의 프레임(11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0)의 형상은 일례로 삼각형일 수 있다.
후술할 잠금 유닛(150)이 고정 부재(130)에 걸려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가 잠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정 부재(130)가 잠금 유닛(150)과 고정 부재(130)와의 잠금이 해제되면 출입 도어(11b)가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잠금 유닛(15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 부재(14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 부재(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부재(140)는 두 개의 출입 도어(11b) 중 어느 하나의 출입 도어(11b)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잠금 유닛(150)은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잠금 유닛(150)은 외력이 없으면 상기 고정 부재(13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부재(130)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잠금 유닛(150)은 일례로 걸림 부재(151) 및 탄성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151)의 일측은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130)에 인접하게 위치된 걸림부(151a)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1a)의 형상은 일례로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걸림 부재(151)의 좌측 끝부분이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끝부분에 걸림부(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51a)가 고정 부재(130)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는 출입 도어(11b)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걸림 부재(151)가 회전되어 걸림부(151a)가 고정 부재(13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면, 출입 도어(11b)의 잠금이 해제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2)는 상기 걸림 부재(151)의 일단과 상기 몸체 부재(140)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2)는 상기 걸림 부재(151)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걸림 부재(151)의 초기 위치는 걸림부(151a)와 고정 부재(130)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걸림 부재(151)가 회전되어 탄성 부재(152)가 압착되었다가 걸림 부재(15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52)가 복원되면서 걸림 부재(151)는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탄성 부재(152)는 일례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유닛(150)은 후술할 제1 구동 유닛(110) 및 제2 구동 유닛(12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 유닛(110)은 승강 도어(14)의 잠금 모듈(1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잠금 유닛(150)을 동작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 유닛(120)도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잠금 유닛(150)을 동작 시킬 수 있다.
즉, 제2 구동 유닛(120)이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로 접근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2 구동 유닛(120)으로 접근하는 경우 모두 제2 구동 유닛(120)이 잠금 유닛(150)을 동작 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110)도 이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걸림 부재(151)는 초기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130)와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걸림 부재(151)와 고정 부재(130)의 이격된 거리만큼 출입 도어(11b)가 이동될 수 있게 하여 엘리베이터카(11)에 탑승한 탑승자가 탈출을 시도하는 경우, 출입 도어(11b)가 잠금된 상태에서 두 개의 출입 도어(11b)중에서 어느 하나의 출입 도어(11b)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서 승강 도어(14)에 설치된 잠금 모듈(13)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출입 도어(11b)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승강 도어(14)도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구동 유닛(110)은 상기 몸체 부재(140)의 일측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1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151)와 고정 부재(13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유닛(110)은 일례로 접촉 부재(111), 가이드 부재(112), 복수의 링크 부재(113) 및 브라켓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111)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 부재(111)는 상단에 회전체(111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111a)는 일례로 회전 롤러일 수 있다. 접촉 부재(111)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2)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1)의 프레임(11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2)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2)는 상기 접촉 부재(111)의 회전체(111a)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2)가 상기 접촉 부재(111)의 회전체(111a)의 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접촉 부재(11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구동 유닛(120)과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접촉 부재(111)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2 구동 유닛(120)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접촉 부재(111)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2 구동 유닛(120)과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가 서로 가까워지면, 접촉 부재(111)의 회전체(111a)가 가이드 부재(11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2 구동 유닛(120)과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가 건물 내에서 승강하더라도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벌어져 있으므로, 승강 도어(14)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1 구동 유닛(110) 및 제2 구동 유닛(12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의 이동이 정지되어 출입 도어(11b)가 서로 멀어지면, 접촉 부재(111)의 회전체(111a)가 가이드 부재(11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과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 도어(1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는 출입 도어(11b)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가 승강 도어(14)와 서로 안정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출입 도어(11b)와 승강 도어(14)가 서로 연동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부재(113)는 일단은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 부재(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부재(113)는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며, 상기 접촉 부재(111)를 상기 몸체 부재(140)에 링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11a)가 가이드 부재(112)를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접촉 부재(111)가 복수의 링크 부재(113)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브라켓 부재(114)는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111)와 걸림 부재(151)를 연결할 수 있다. 브라켓 부재(114)는 상기 접촉 부재(111)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 부재(151)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 부재(151)의 걸림부(151a)와 고정 부재(13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걸림 부재(15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52)가 복원되면서 걸림 부재(151)는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브라켓 부재(114)와 걸림 부재(151)의 결합 구조는 일례로, 브라켓 부재(114)와 평기어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 부재(114)의 회전축에 제1 평기어(G1)가 형성되고, 걸림 부재(151)의 회전축에 제2 평기어(G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기어(G1)와 제2 평기어(G2)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부재(11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 부재(15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걸림부(151a)가 고정 부재(13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120)은 상기 제1 구동 유닛(110)과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14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1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151)와 고정 부재(13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를 위한 상기 제2 구동 유닛(120)은 일례로, 이동 부재(121) 및 회전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1)는 상기 몸체 부재(140)에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초기 위치를 유지하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121)는 일례로 상기 몸체 부재(140)에 제2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부재(121)가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이동 부재(121)와 몸체 부재(140) 사이에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1)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였다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탄성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부재(122)는 일측이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12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122)는 상기 이동 부재(121)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 부재(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 부재(122)는 일례로, 베이스부(123)와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3)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상기 몸체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23)는 미도시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부(123)는 상기 이동 부재(121)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걸림 부재(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부(124)는 상기 베이스부(123)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12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124)가 상기 이동 부재(121)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베이스부(1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돌출부(124)의 형상은 일례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제2 구동 유닛(120)의 동작 과정을 재차 설명하면, 외력에 의해 몸체 부재(14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몸체 부재(140)를 기준으로 보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는 상대적으로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이동 부재(121)를 밀면, 이동 부재(121)가 회전 부재(122)를 회전시킨다. 회전 부재(122)는 걸림 부재(151)를 회전시켜서 걸림 부재(151)가 고정 부재(13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엘리베이터카(11)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는 감지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유닛(160)은 상기 걸림 부재(151)가 상기 고정 부재(130)에 걸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감지 유닛(160)은 일례로 걸림 부재(151)에 고정 결합된 제1 센서(161)와 엘리베이터카(11)의 프레임(11a)에 고정 결합된 제2 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유닛(160)은 제1 센서(161)와 제2 센서(162)가 서로 멀어지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의 잠금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감지 유닛(160)은 다른 일례로 걸림 부재(151)에 고정결합되어 걸림 부재(151)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걸림 부재(151)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유닛(160)은 걸림 부재(151)가 고정 부재(130)에 대해 회전되어 잠금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유닛(160)은 일례로 걸림 부재(151)와 고정 부재(13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 내부의 별도로 설치된 알림등을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알림등을 확인하여 출입 도어(11b)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재차 설명하기로 한다.
엘리베이터카(11)가 승강하다가 건물의 화재나 정전과 같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하여 정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도어(11b)와 승강 도어(14)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가 정지한 상태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모듈(1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1 구동 유닛(110) 및 제2 구동 유닛(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카(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구조자가 외부에서 탑승자를 구조하기 위하여 승강 도어(14)의 잠금 모듈(13)을 해제하고, 승강 도어(14)를 개방할 수 있다. 잠금부(13a)가 설치된 왼쪽의 승강 도어(14a)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1 구동 유닛(110)을 밀어서 구동할 수 있다.
잠금 유닛(150)은 제1 구동 유닛(110)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가 개방될 수 있다. 즉, 구조자는 승강 도어(14)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출입 도어(11b)도 용이하게 개방하여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엘리베이터카(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외부로 나가기 위하여 출입 도어(11b)에 힘을 가하여 강제로 일정 길이만큼 개방한다. 이때, 걸림 부재(151)와 고정 부재(130)가 서로 이격된 거리만큼만 출입 도어(11b)가 이동되고, 더 이상은 강제적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좌측 출입 도어(11b)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 도어(14)의 잠금부(13a)는 정지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가 좌측 출입 도어(11b)를 따라서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므로, 상대적으로 잠금부(13a)는 몸체 부재(140)를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부(13a)가 제2 구동 유닛(120)에 힘을 가하게 되고, 잠금 유닛(150)은 제2 구동 유닛(120)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 도어(11b)가 개방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탑승자는 출입 도어(11b)에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 유닛(120)의 이동 부재(121)가 잠금부(13a)의 고리(13d)에 포함된 상측의 롤러를 밀게 되면서, 고리(13d)가 고정부(15a)로부터 이탈되어 승강 도어(14)의 잠금이 해체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승강 도어(14)도 출입 도어(11b)와 함께 잠금이 해제되면서 탑승자가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에 위치한 탑승자가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출입 도어(11b)와 승강 도어(14)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카(11)가 승강하다가 건물의 화재나 정전과 같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하여 정지하는 과정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가 층과 층 사이에 위치한 경우, 잠금 모듈(1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b, 13c)가 제1 구동 유닛(110) 및 제2 구동 유닛(120) 사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은 탑승자가 탈출하기에 위험한 상황이므로,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게 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는 승강 도어(14)에 설치된 롤러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잠금 유닛(150)은 제1 구동 유닛(110)과 제2 구동 유닛(12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도어(14)의 개방 시 출입 도어(11b)도 개방될 수 있고, 출입 도어(11b)의 개방시에도 승강 도어(14)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급 상황시 엘리베이터카(11)와 승강 도어 장치(12)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카(11)에 위치한 사람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출입 도어(11b)와 승강 도어(14)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구조자가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카(11)에 위치한 사람을 승강 도어(14)와 출입 도어(11b)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구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1)가 층과 층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탑승자가 탈출하기에 위험한 상황이므로,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게 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100)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정전이 발생되더라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엘리베티어카 11a: 프레임
11b: 출입 도어 12: 승강 도어 장치
13: 잠금 모듈 14: 승강 도어
100: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110: 제1 구동 유닛 111: 접촉 부재
111a: 회전체 112: 가이드 부재
113: 링크 부재 14: 브라켓 부재
120: 제2 구동 유닛 121: 이동 부재
122: 회전 부재 123: 베이스부
124: 돌출부 130: 고정 부재
140: 몸체 부재 150: 잠금 유닛
151: 걸림 부재 151a: 걸림부
152: 탄성 부재 160: 감지 유닛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잠금 모듈이 설치된 승강 도어를 포함하며, 건물의 각층마다 설치된 승강 도어 장치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출입 도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고정 부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으로부터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이 없으면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부재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리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 부재와,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과 상기 몸체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걸림 부재가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유닛;
    상기 몸체 부재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 부재와 고정 부재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부재에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초기 위치를 유지하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일측이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걸림 부재를 회전시키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되는 접촉 부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접촉 부재의 회전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접촉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구동 유닛과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부재;
    일단은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촉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며, 상기 접촉 부재를 상기 몸체 부재에 링크 결합시키는 복수의 링크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와 걸림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접촉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 부재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브라켓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몸체 부재에 제2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초기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와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KR1020170041885A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KR10186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85A KR101862096B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85A KR101862096B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96B1 true KR101862096B1 (ko) 2018-05-29

Family

ID=6245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85A KR101862096B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2902A (zh) * 2018-08-29 2018-11-13 李跃 一种电梯的防夹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29Y1 (ko) * 2006-01-27 2006-06-13 김영곤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수동개폐장치
KR101074859B1 (ko) * 2011-04-19 2011-10-19 (주)에이엔티 카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한 도어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29Y1 (ko) * 2006-01-27 2006-06-13 김영곤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수동개폐장치
KR101074859B1 (ko) * 2011-04-19 2011-10-19 (주)에이엔티 카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한 도어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2902A (zh) * 2018-08-29 2018-11-13 李跃 一种电梯的防夹手装置
CN108792902B (zh) * 2018-08-29 2023-11-28 李跃 一种电梯的防夹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064B2 (ja) エレベータかごドアインターロック
TWI397501B (zh) 廂門鎖
EP3331802B1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660515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10822201B2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18620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CN110217674A (zh) 电梯的电梯进入系统
JP200901292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JP6266687B2 (ja) エレベータ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KR101772119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개방장치
JP2013049569A (ja) エレベータの安全確保装置
JP201513466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2011152979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489421Y1 (ko)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JP200929853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2383684B1 (ko) 엘리베이터 개방 장치
KR102260978B1 (ko) 비상시 도어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JP7371715B2 (ja) エレベーターの強制戸開装置
CN109850731B (zh) 电梯
JPS598629B2 (ja) エレベ−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