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825B1 -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825B1
KR101624825B1 KR1020147028462A KR20147028462A KR101624825B1 KR 101624825 B1 KR101624825 B1 KR 101624825B1 KR 1020147028462 A KR1020147028462 A KR 1020147028462A KR 20147028462 A KR20147028462 A KR 20147028462A KR 101624825 B1 KR101624825 B1 KR 10162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nding
disposed
movable portion
lan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181A (ko
Inventor
마사히코 고케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락킹 장치(16), 해정 장치(34), 작동 장치(36)를 구비한다. 락킹 장치(16)는, 승강장 도어(10)를 시정한다. 락킹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개방 동작에 의해, 해정된다. 해정 장치(34)는, 승강장으로부터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락킹 장치(16)를 해정한다. 검지 장치(35)는, 스위치(39)를 구비한다. 작동 장치(36)는, 가동부(40), 기구부(41), 유지부(42)를 구비한다. 가동부(4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변위한다. 기구부(41)는,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가동부(40)를 제2 위치에 배치시킨다. 유지부(42)는, 가동부(4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동부(40)는,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승강장 도어(10)가 닫혀졌을 때에 검지 장치(35)에 접촉하여, 스위치(39)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증가하고 있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는, 빌딩의 상부 등에 기계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기기, 예를 들면, 제어반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보수 작업시에 빈번히 승강로에 들어간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들어가는 경우, 보수원은, 먼저, 승강장 도어의 락킹 장치를 소정의 키(key)에 의해서 해정(解錠)한다. 보수원은, 락킹 장치를 해정하여 승강장 도어를 열면, 안전 스위치를 끈(동작시킨) 후 작업을 행한다. 안전 장치는, 예를 들면, 승강로나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에, 인터락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 도어가 열려 있는 동안,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은 주행하지 않는다. 또, 상기 안전 스위치가 동작하고 있으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은 주행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행할 때, 보수원이, 안전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강장 도어가 닫히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되어 버린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보수원이 락킹 장치를 해정했을 때에, 안전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8-91730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보수원이 승강장 도어를 개방한 것을, 릴레이(relay)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면, 지금까지의 정보가 리셋되어 버린다. 그 후, 전원이 복구되었을 때에, 정확한 검출을 행할 수 없다고 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의 차단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보수원이 승강장 도어를 해정한 것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며,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시정(施錠)하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해정(解錠)되는 락킹(locking) 장치와, 승강장으로부터 소정의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락킹 장치를 해정하는 해정 장치와, 승강로의 고정체에 마련되며, 스위치를 가지는 검지 장치와,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작동 장치를 구비하며, 작동 장치는, 소정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변위하는 가동부와, 해정 장치에 대해서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가동부를 제2 위치에 배치시키는 기구부와, 가동부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가동부는,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승강장 도어가 닫혀졌을 때에 검지 장치에 접촉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라면, 전원의 차단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보수원이 승강장 도어를 해정한 것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다. 승강장(2)은, 예를 들면, 빌딩의 각 층에 구비된다. 3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4는 균형추이다. 엘리베이터 칸(3)은,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3)과 균형추(4)는, 주(主)로프(5)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현가(懸架)된다.
6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이다. 권상기(6)는, 예를 들면, 승강로(1)의 상부에 구비된 기계실에 마련된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권상기(6)는, 예를 들면, 승강로(1) 내(꼭대기부, 피트(pit)부)에 마련된다. 주로프(5)는, 일부가, 권상기(6)(의 구동 쉬브(sheave))에 감아 걸려진다. 권상기(6)(의 구동 쉬브)가 회전하면, 주로프(5)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3)은, 주로프(5)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4)는, 엘리베이터 칸(3)과는 역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7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기계실에 마련된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에 마련된다. 권상기(6)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8은 플레이트, 9는 착상(着床) 검출 장치이다. 착상 검출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3)에 마련된다. 플레이트(8)는, 승강로(1)의 고정체(예를 들면, 승강로 벽)에 고정된다. 플레이트(8)는, 각 승강장(2)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플레이트(8)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에 착상했을 때(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의 높이에 맞추어 정지했을 때)에, 착상 검출 장치(9)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착상 검출 장치(9)는, 플레이트(8)를 검지하면,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에 착상한 것을 검출한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를 구비한다. 각 승강장(2)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가 마련된다.
이하에, 도 2 내지 도 6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구성 및 승강장 도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에 착상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승강장 도어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3)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장 도어 장치에는, 승강장 도어(10)가 구비된다. 승강장 도어(10)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한다. 승강장 도어(10)는, 도어 패널(11) 및 도어 행거(12)에 의해, 요부가 구성된다. 도어 패널(11)은, 승강장 출입구를 실제로 개폐하는 부분이다. 승강장 출입구는, 도어 패널(11)에 의해서 막혀진다. 도어 행거(12)는, 도어 패널(11)의 상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마련된다. 도어 패널(11)은, 도어 행거(12)에 매달린다. 승강장 도어(10)는, 그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편(片)개방 방식의 승강장 도어(10)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장 도어(10)의 개폐시의 이동은, 도어 레일(13)과 문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안내된다. 도어 레일(13)은, 행거 케이스(14)에 지지된다. 행거 케이스(14)는, 승강로(1)의 고정체(예를 들면, 승강로 벽)에 마련된다. 행거 케이스(14)는,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어 레일(13)은,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도어 행거(12)에는, 복수의 도어 롤러(15)가, 쌍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 롤러(15)는, 도어 레일(13)의 상면에 놓여진다. 도어 롤러(15)가 도어 레일(13) 상을 구르는 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10)의 상단부의 이동이 안내된다.
승강장 도어 장치에는, 락킹 장치(16)가 구비된다. 락킹 장치(16)는, 승강장 도어(10)를 시정(施錠)하기 위한 것이다. 락킹 장치(16)는, 고정편(17), 래치(18), 검출 스위치(19)에 의해, 요부가 구성된다. 고정편(17)은, 장착판(20)에 고정된다. 장착판(20)은, 행거 케이스(14)에 마련된다.
래치(18)는, 일단부가, 축(21)을 매개로 하여 도어 행거(12)에 마련된다. 래치(18)는, 축(2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내를 쌍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움직인다. 축(21)은, 도어 행거(12)로부터 승강로(1)측으로 돌출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래치(18)는, 타단부가 상하로 움직인다. 래치(18)의 타단부는, 갈고리 모양을 나타낸다. 래치(18)의 타단부가 고정편(17)의 선단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10)의 개방 동작이 저지된다. 즉, 승강장 도어(10)는 시정된다.
검출 스위치(19)는, 승강장 도어(10)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검출 스위치(19)는, 장착판(20)에 마련된다. 래치(18)는, 타단부에, 돌출부(18a)가 마련된다. 검출 스위치(19)는, 돌출부(18a)의 위치에 맞추어서 배치된다. 래치(18)의 타단부가 고정편(17)의 선단부에 걸려 있을 때(즉, 승강장 도어(10)가 시정되어 있을 때), 돌출부(18a)는, 검출 스위치(19)에 상부로부터 접촉한다.
각 승강장(2)(각 승강장 도어 장치)의 검출 스위치(19)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7)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모든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돌출부(18a)가 검출 스위치(19)에 접촉하고 있으면, 제어 장치(7)에 소정의 신호가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7)는, 모든 승강장(2)의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어 장치(7)는, 모든 승강장(2)의 승강장 도어(10)가 완전히 닫혀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을 허가한다.
어떤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돌출부(18a)가 검출 스위치(19)로부터 떨어지면, 제어 장치(7)에 상기 신호가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7)는, 어떤 승강장(2)의 승강장 도어(10)가 닫히져 있지 않음을 판정한다. 제어 장치(7)는, 열려 있는 승강장 도어(10)가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을 허가하지 않는다.
즉, 본 엘리베이터에는, 인터락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장치는, 승강장 도어(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승강장 도어(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후술의 모터(3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 구비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2)가 구비된다. 모터(3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에는, 승강장 도어(10)를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장치(23)가 마련된다. 승강장(2)측의 연동 장치(23)는, 롤러(24), 암(25)에 의해, 요부가 구성된다.
롤러(24)는, 암(25)의 일단부에, 쌍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롤러(24)의 회전축은, 축(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롤러(24)는, 승강장 도어(10)보다도 승강로(1)측(엘리베이터 칸(3)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암(25)은, 타단부가, 축(21)에 고정된다. 암(25)은, 축(21)으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한다. 암(25)은, 일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고정편(17)측에 접근하도록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는, 도어 패널(26) 및 도어 행거(27)에 의해, 요부가 구성된다. 도어 패널(26)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실제로 개폐하는 부분이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도어 패널(26)에 의해서 막혀진다. 도어 행거(27)는, 도어 패널(26)의 상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마련된다. 도어 패널(26)은, 도어 행거(27)에 매달린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는, 그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개폐시의 이동은, 도어 레일(28)과 문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안내된다. 도어 레일(28)은, 행거 케이스(29)에 지지된다. 행거 케이스(2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정면측에 마련된다. 행거 케이스(29)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어 레일(28)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도어 행거(27)에는, 복수의 도어 롤러(30)가, 쌍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 롤러(30)는, 도어 레일(28)의 상면에 놓여진다. 도어 롤러(30)가 도어 레일(28) 상을 구르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상단부의 이동이 안내된다.
모터(31)의 구동력은, 변환 수단(32)을 매개로 하여 도어 행거(27)(엘리베이터 칸 도어(22))에 전해진다. 즉, 변환 수단(32)은, 모터(31)의 출력축의 회전 운동을 소정의 기구에 의해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를 개폐시킨다.
엘리베이터 칸(3)측의 연동 장치(23)는, 한 쌍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요부가 구성된다. 플레이트(33)는, 도어 패널(26)의 상부에 마련된다. 플레이트(33)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다. 플레이트(33)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보다도 승강장(2)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에 착상하면, 플레이트(33)의 사이에, 롤러(24)가 배치된다. 이 때, 롤러(24)는, 플레이트(33)에 접촉하지 않는다. 모터(31)가 구동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2)가 소정의 방향(개방 방향:개방 동작시에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도 3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가 개방 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면, 일방의 플레이트(33)가, 롤러(24)에 접촉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가 개방 방향으로 더 움직이는 것에 의해, 롤러(24)가 플레이트(33)에 의해 밀린다. 이것에 의해, 암(25)이 축(21)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도 3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래치(18)는, 암(25)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치(18)도 축(21)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해, 래치(18)가 고정편(17)으로부터 빠진다. 암(25)의 회전은,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다. 래치(18)가 고정편(17)으로부터 빠지고, 암(25)의 회전이 멈추면, 승강장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와 함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락킹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장(2)에 정지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개방 동작에 의해서 해정(解錠)된다.
래치(18)가 고정편(17)으로부터 빠지면, 돌출부(18a)가 검출 스위치(19)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7)는, 승강장 도어(10)가 열려 있는 것(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폐쇄 동작시, 엘리베이터 칸 도어(22)는, 상기 개방 방향과 반대의 방향(폐쇄 방향:폐쇄 동작시에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도 3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장 도어(10)는, 축(21)(에 마련된 롤러)이 타방의 플레이트(33)에 의해 밀려,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와 함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장 도어(10)가 완전히 닫히면, 래치(18)가 고정편(17)에 걸려, 승강장 도어(10)가 시정된다. 래치(18)가 고정편(17)에 걸리면, 돌출부(18a)가 검출 스위치(19)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7)는, 승강장 도어(10)가 닫힌 것을 검출한다.
승강장 도어 장치는, 해정 장치(34), 검지 장치(35), 작동 장치(36)를 더 구비한다.
해정 장치(34)는, 락킹 장치(16)를 해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승강장(2)으로부터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제1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락킹 장치(16)를 해정한다. 보수원은, 예를 들면, 키(37)를 승강장(2)측으로부터 승강장 도어(10)의 구멍에 꽂은 후, 키(37)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락킹 장치(16)를 해정한다. 해정 장치(34)는, 키(37)에 의한 상기 조작이 행해지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2)의 개방 동작시와 동일 방향으로, 암(25)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래치(18)가 고정편(17)으로부터 빠져, 승강장 도어(10)가 해정된다.
해정 장치(34)의 구성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정 장치(34)로서, 은폐(隱蔽)식이나 T자형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해정 장치(34)가 다른 구성을 가지는 경우, 보수원이 행하는 해정 조작(제1 조작)은, 해정 장치(34)의 구성에 맞춘 소정의 조작이 된다. 예를 들면, 해정 조작으로서, 승강장 도어(10)와 승강장 도어 장치의 도어 스토퍼부(38)과의 사이에 전용 공구를 삽입하고, 그 전용 공구를 상부 방향(혹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요구해도 괜찮다.
도어 스토퍼부(38)는,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을 때에 승강장 도어(10)의 단면(端面)에 근접하는 부분이다. 도어 스토퍼부(38)는, 승강장 도어 장치의 일부이다. 도어 스토퍼부(38)는, 승강로(1)의 고정체를 구성한다.
검지 장치(35)는, 보수원이 승강로(1)에 들어간 것(들어가려 하고 있는 것도 포함함)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검지 장치(35)는, 전기적인 스위치(39)를 구비한다. 검지 장치(35)는, 승강로(1)의 고정체에 마련된다. 검지 장치(35)는,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을 때에, 승강장 도어(10)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 장치(35)의 일례로서, 검지 장치(35)의 요부를, 스위치(39)만으로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39)를 도어 스토퍼부(38)에 고정하고 있다.
작동 장치(36)는,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해정 조작(제1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검지 장치(35)에, 보수원의 진입을 검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작동 장치(36)는, 승강장 도어(10)의 구멍에 꽂힌 키(37)가 회전하면, 그 회전 운동을 소정의 기구에 의해서 다른 운동으로 변환하여, 스위치(39)를 동작시킨다.
작동 장치(36)는, 승강장 도어(10)에 마련된다. 작동 장치(36)는, 가동부(40), 기구부(41), 유지부(42), 해제부(47)(도 1 내지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가동부(40)는, 스위치(39)를 동작시키지 않기 위한 위치(제1 위치)와, 스위치(39)를 동작시키기 위한 위치(제2 위치)로 변위한다. 가동부(40)는, 통상시(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부(42)는, 가동부(4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지부(42)는, 예를 들면, 가동부(40)에 대해서 힘을 항상 부여하는 기구나, 가동부(40)가 제2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락(lock)하는 기구로 이루어진다. 가동부(40)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지 않으면, 가동부(40)는, 제1 위치로 되돌아오지 않는다.
기구부(41)는,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해정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가동부(40)를 제2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소정의 기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기구부(41)는, 상기 해정 조작에 의해서 생기는 소정의 운동을 다른 운동으로 변환하여, 가동부(40)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킨다. 승강장 도어(10)가 닫히면, 제2 위치에 배치된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한다.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39)가 동작한다.
해제부(47)는,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보수원이 승강장(2)으로부터 해제부(47)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제2 조작)을 행하면,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가동부(4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즉, 제1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도 5 및 도 6도 참조하여, 작동 장치(36)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가동부(40)는,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도어 패널(11)의 이면에 마련된다. 도 5 및 도 6은, 가동부(40)가, 승강장 도어(10)(도어 패널(11))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인입 위치(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3은 가동부(40)에 마련된 돌기, 44는 승강장 도어(10)에 마련된 고정 부재이다. 가동부(40)가 인입 위치로부터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은, 돌기(43)가 고정 부재(4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멈춘다. 돌기(43)가 고정 부재(44)에 접촉하면, 가동부(40)는, 일단부가 승강장 도어(10)의 단면(端面)으로부터(도어 스토퍼부(38)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제2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부(42)는, 예를 들면, 가동부(40)의 타단부를, 승강장 도어(10)의 폐쇄 방향으로 꽉 누르는 용수철로 이루어진다. 승강장 도어(10)에, 물림쇠(45)가 마련된다. 가동부(40)는, 통상시, 타단부의 클로부(46)가 물림쇠(45)에 걸리는 것에 의해, 유지부(42)로부터 힘을 받고 있어도, 인입 위치에 유지된다.
기구부(41)는, 예를 들면, 일단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L자 모양의 막대 모양 부재로 이루어진다. 기구부(41)는, 타단부가, 키(37)용의 구멍을 형성하는 부재에 고정된다. 도 5에서는, 승강장 도어(10)의 구멍에 꽂은 키(37)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장 도어(10)를 해정시킬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구부(41)는, 승강장 도어(10)의 구멍에 꽂은 키(37)가 소정의 방향(도 5에서는, A방향)으로 회전하면, 키(37)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구부(41)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기구부(41)의 일단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클로부(46)를 물림쇠(45)로부터 떼어 낸다. 클로부(46)가 물림쇠(45)로부터 떼어 내어지면, 가동부(40)는, 유지부(42)에 의해 밀려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부(42)는, 가동부(40)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후에도, 가동부(40)를 폐쇄 방향으로 꽉 누른다. 이 때문에, 가동부(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그 후에도,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해제부(47)는, 예를 들면, 해제봉(48), 개구(49), 커버(50)를 구비한다.
해제봉(48)은, 가동부(40)에 마련된다. 해제봉(48)은, 가동부(40)과 함께 변위한다. 해제봉(48)은, 가동부(40)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개구(49)는, 승강장 도어(10)에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개구(49)는, 가동부(40)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49)의 길이 방향은, 승강장 도어(10)의 개폐 방향으로 배치된다. 개구(49)는, 해제봉(48)의 상단부의 위치에 맞추어, 승강장 도어(10)에 형성된다. 가동부(40)가 인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동부(40)는, 일부가 개구(49)에 대향한다. 커버(50)는, 승강장 도어(10)에 마련된다. 커버(50)는, 개구(49)와 조작봉(48)의 상단부를 승강로(1)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부(40)를 제1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 전용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장(2)측으로부터 개구(49)에 삽입한다. 보수원은, 전용 공구에 의해서 해제봉(48)을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클로부(46)를 물림쇠(45)에 건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4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해제부(47)에 커버(5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는 상기 조작은, 승강로(1)측으로부터 행할 수 없고, 승강장(2)측으로부터 밖에 행할 수 없다. 즉,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이 해제될 때, 보수원은 반드시 승강장(2)에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 장치(검지 장치(35))는,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하는 각 층 마루에 마련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부호 39-1은, 1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폐(常閉) 접점이다. 39-2는, 2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폐 접점이다. 39-N는, N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폐 접점이다.
각 층에 마련된 스위치(39)(의 접점)는, 제어 장치(7)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즉, 1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1)), 2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2)), N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N))는, 제어 장치(7)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모든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즉, 스위치(39)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제어 장치(7)에 소정의 신호가 받아들여진다.
어떤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해정 조작이 행해지면, 그 승강장 도어 장치의 가동부(40)가,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그 승강장(2)의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으면,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한다.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면, 스위치(39)가 동작하여, 대응의 접점이 열린다. 제어 장치(7)는, 입력 신호가 0V가 되는 것에 의해, 보수원이 승강로(1)에 진입한 것을 검출한다. 제어 장치(7)는, 승강로(1)에 보수원의 진입을 검출하면, 보수 모드에서의 운전을 실시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라면, 전원의 차단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보수원이 승강장 도어(10)를 해정한 것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즉, 보수원이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해정 조작을 행하면, 가동부(40)가 도어 패널(11)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는, 전원 차단이 발생해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이 복구된 후에도 정확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보수원이 승강로(1) 내에 남아 있는 동안은, 보수 모드에서의 운전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검지 장치(35)는, 승강로(1)의 고정체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움직이는 부분(즉, 승강장 도어(10))에 배선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단선의 우려가 없다.
작동 장치(36)의 가동부(40)는, 도어 패널(11)에 마련되며, 승강장 도어(10)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검지 장치(35)는, 도어 스토퍼부(38)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작동 장치(36)를 해정 장치(34)(의 키(37)의 삽입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작동 장치(36)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작동 장치(36)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부(40)를 제1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전용 공구를 개구(49)에 삽입하여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10)와 도어 스토퍼부(38)와의 사이에 전용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도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경우는, 승강장 도어(10)에 개구(49)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안전 장치는, 작동 장치(36)의 구성이, 실시 형태 1에 개시한 것과 상이하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키(37)와는 다른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37)를 이용하여,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작동 장치(36)의 해제부(47)는, 예를 들면, 해제봉(48 및 51), 커버(50)를 구비한다.
해제봉(51)은,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막대 모양 부재로 이루어진다. 해제봉(51)은,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된다. 해제봉(51)의 일단부는, 해제봉(48)의 도어 스토퍼부(38)측에 배치된다. 해제봉(51)의 타단부는, 축(51a) 및 장공(41a)을 통해서, 기구부(41)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10)의 구멍에 꽂힌 키(37)가 소정의 방향(도 8에서는, A방향)으로 회전하면, 기구부(41)가, 키(37)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구부(41)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기구부(41)의 일단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클로부(46)를 물림쇠(45)로부터 떼어낸다. 클로부(46)가 물림쇠(45)로부터 떼어내어지면, 가동부(40)는, 유지부(42)에 밀려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부(42)는, 가동부(40)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후에도, 가동부(40)를 폐쇄 방향으로 꽉 누른다. 이 때문에, 가동부(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그 후에도,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부(40)를 인입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 키(37)를, 상기 해정 조작시와는 반대의 방향(도 8에서는,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키(37)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기구부(41)가, 키(37)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구부(41)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해제봉(51)이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해제봉(51)이 개방 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면, 해제봉(51)의 일단부가, 해제봉(48)에 접촉한다. 해제봉(51)이 개방 방향으로 더 움직이는 것에 의해, 해제봉(48)이 해제봉(51)에 밀려, 가동부(40)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키(37)를 B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클로부(46)가 물림쇠(45)에 걸려, 가동부(40)가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라면,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키(37)에 의해, 해정 장치(34)에 대한 해정 조작과, 유지부(42)의 유지 기능을 해제하는 조작과의 쌍방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정 장치(34)에 대한 해정 조작(제1 조작)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조작과 다른 경우는, 해정 조작과 반대(역방향)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2 위치에 배치된 가동부(4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좋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개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부호 39-11은, 1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개(常開) 접점이다. 39-21은, 2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개 접점이다. 39-N1은, N층의 승강장(2)에 구비된 스위치(39)의 상개 접점이다.
각 층에 마련된 스위치(39)(의 접점)는, 제어 장치(7)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된다. 즉, 1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11)), 2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21)), N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N1))는, 제어 장치(7)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된다.
각 층에 마련된 스위치(39)(의 접점)에, 릴레이(52)가 직렬로 접속된다. 1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11))에, 릴레이(52-1)가 직렬로 접속된다. 2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21))에, 릴레이(52-2)가 직렬로 접속된다. N층의 스위치(39)(의 접점(39-N1))에, 릴레이(52-N)가 직렬로 접속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부호 52-11은, 릴레이(52-1)의 릴레이 접점이다. 부호 52-21은, 릴레이(52-2)의 릴레이 접점이다. 부호 52-N1은, 릴레이(52-N)의 릴레이 접점이다. 릴레이 접점 52-11, 52-21, …, 52-N1은, 제어 장치(7)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모든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즉, 스위치(39)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모든 릴레이 접점이 닫히고, 제어 장치(7)에 소정의 신호가 받아들여진다.
어떤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 해정 조작이 행해지면, 그 승강장 도어 장치의 가동부(40)가,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그 승강장(2)의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으면,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한다.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면, 스위치(39)가 동작하여, 그 스위치(39)의 접점이 닫힌다. 이것에 의해, 대응의 릴레이(52)가 동작하여, 릴레이 접점이 개방한다. 제어 장치(7)는, 입력 신호가 0V가 되는 것에 의해, 보수원이 승강로(1)에 진입한 것을 검출한다. 제어 장치(7)는, 승강로(1)에의 보수원의 진입을 검출하면, 보수 모드에서의 운전을 실시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라면, 가동부(40)가 검지 장치(3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스위치(39)의 접점을 「개방」의 상태로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39)로서, 여러 가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2에서 개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안전 장치는, 검지 장치(35) 및 작동 장치(36)의 구성이, 실시 형태 1 내지 3에 개시한 것과 상이하다.
검지 장치(35)는, 전기적인 스위치(53)를 구비한다. 스위치(53)는, 장착판(20)에 마련된다. 스위치(53)는, 승강장 도어(10)가 닫혀 있을 때에, 도어 행거(12)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작동 장치(36)는, 예를 들면, 가동부(54), 기구부(55), 유지부(56), 해제부(도 1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가동부(54)는,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10)에 대해서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도어 행거(12)에 마련된다. 도 11은, 가동부(54)가, 인입 위치(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인입 위치는, 가동부(54)가, 도어 행거(12)의 장착판(20)에 대향하는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이다. 가동부(54)는, 인입 위치로부터 도어 행거(12)에 대해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단부가, 도어 행거(12)의 상기 단면(端面)으로부터(장착판(20)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제2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부(56)는, 예를 들면, 가동부(54)의 타단부를, 승강장 도어(10)의 폐쇄 방향으로 꽉 누르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기구부(55)는,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해정 조작(제1 조작)이 행해지면, 하부로 변위한다. 기구부(55)가 하부로 이동하면, 가동부(54)는, 유지부(56)에 밀려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부(54)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그 후에도,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라면, 작동 장치(36)의 대부분을 도어 행거(12)에 배치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의 일부에 유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도, 승강장 도어(10)의 의장성을 해치지 않고, 작동 장치(36)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안전 장치라면, 양 개방 방식의 승강장 도어(1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것에서 개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5.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안전 장치는, 검지 장치(35) 및 작동 장치(36)의 구성이, 실시 형태 1 내지 4에 개시한 것과 상이하다.
작동 장치(36)는, 예를 들면, 가동부(57), 기구부(58), 유지부(59), 해제부(도 1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가동부(57)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도어 패널(11)의 이면(裏面)에 마련된다. 가동부(57)는, 도어 패널(11)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다. 가동부(57)는, 도어 패널(11) 중, 상부에 도어 행거(1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다.
도 12에서는, 가동부(57)가 인입 위치(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인입 위치는, 가동부(57)가 도어 패널(11)의 상단면으로부터(상부로) 돌출하지 않는 위치이다. 가동부(57)는, 인입 위치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부가, 도어 패널(11)의 상단면으로부터(상부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제2 위치)에 배치된다. 도 12에서는, 가동부(57)가 돌출 위치(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지부(59)는, 예를 들면, 가동부(57)의 하단부를 상부로 꽉 누르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기구부(58)는, 해정 장치(34)에 대해서 해정 조작(제1 조작)이 행해지면, 가동부(57)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기구부(58)가 가동부(57)로부터 떨어지면, 가동부(57)는, 유지부(59)에 밀려 상부로 이동하여,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부(57)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그 후에도,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검지 장치(35)는, 전기적인 스위치(60)와, 캠(61)을 구비한다.
스위치(60)는, 장착판(20)에 마련된다. 스위치(60)는,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 장치(행거 케이스(14))의 내부에 배치된다.
캠(61)은, 필요시에, 스위치(6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캠(61)은, 장착판(20)에 마련된다. 캠(61)은, 승강장 도어(10)가 닫혔을 때에 승강장 도어(10)(도어 패널(11))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캠(61)은, 승강장 도어(10)가 닫혔을 때에, 가동부(57)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가동부(57)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승강장 도어(10)가 닫혔을 때에, 가동부(57)의 상단부가 캠(61)의 롤러를 밀어 올린다. 이 동작에 의해, 캠(61)이 스위치(60)에 접촉하여, 스위치(60)가 동작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안전 장치라면, 검지 장치(35)를 장착판(20)에 배치할 수 있고, 양 개방 방식의 승강장 도어(10)에 적용할 수 있다.
검지 장치(35)가 캠(61)을 구비하기 때문에, 스위치(60)를 승강장 도어 장치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스위치(60)의 장착이나 배선이 용이하게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개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승강장 도어 장치에 해정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승강로 2 : 승강장
3 : 엘리베이터 칸 4 : 균형추
5 : 주로프 6 : 권상기
7 : 제어 장치 8, 33 : 플레이트
9 : 착상 검출 장치 10 : 승강장 도어
11, 26 : 도어 패널 12, 27 : 도어 행거
13, 28 : 도어 레일 14, 29 : 행거 케이스
15, 30 : 도어 롤러 16 : 락킹 장치
17 : 고정편 18 : 래치
18a : 돌출부 19 : 검출 스위치
20 : 장착판 21, 51a : 축
22 : 엘리베이터 칸 도어 23 : 연동 장치
24 : 롤러 25 : 암
31 : 모터 32 : 변환 수단
34 : 해정 장치 35 : 검지 장치
36 : 작동 장치 37 : 키
38 : 도어 스토퍼부 39, 53, 60 : 스위치
39-1, 39-2, …, 39-N, 39-11, 39-21, …, 39-N1 : 접점
40, 54, 57 : 가동부 41, 55, 58 : 기구부
41a : 장공 42, 56, 59 : 유지부
43 : 돌기 44 : 고정 부재
45 : 물림쇠 46 : 클로부
47 : 해제부 48, 51 : 해제봉
49 : 개구 50 : 커버
52-1, 52-2, …, 52-N 릴레이
52-11, 52-21, …, 52-N1 : 릴레이 접점
61 : 캠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며,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와,
    상기 승강장 도어를 시정(施錠)하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해정(解錠)되는 락킹(locking) 장치와,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소정의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락킹 장치를 해정하는 해정 장치와,
    승강로의 고정체에 마련되며, 스위치를 가지는 검지 장치와,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작동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장치는,
    소정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변위하는 가동부와,
    상기 해정 장치에 대해서 제1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부를 제2 위치에 배치시키는 기구부와,
    상기 가동부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는,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승강장 도어가 닫혀졌을 때에 상기 검지 장치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승강장 도어가 닫혀졌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의 단면(端面)이 근접하는 도어 스토퍼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부는,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승강장 도어의 상기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제1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승강장 도어의 상기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제1 위치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승강장 도어가 닫혀졌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는,
    승강장 출입구를 막기 위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 패널을 매달기 위한 도어 행거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도어 행거에 마련되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장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승강장 도어가 닫혀졌을 때에, 제2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동부가 접촉하는 캠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캠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동작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복수의 승강장에, 상기 검지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검지 장치의 스위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복수의 승강장에, 상기 검지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검지 장치의 스위치는, 각각이, 릴레이(relay)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의 접점은,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소정의 제2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동부를 제1 위치에 배치시키는 해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해정 장치에 대해서 제1 조작의 반대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동부를 제1 위치에 배치시키는 해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승강로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승강로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147028462A 2012-03-22 2012-03-2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624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7343 WO2013140575A1 (ja) 2012-03-22 2012-03-22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81A KR20140143181A (ko) 2014-12-15
KR101624825B1 true KR101624825B1 (ko) 2016-05-26

Family

ID=4922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462A KR101624825B1 (ko) 2012-03-22 2012-03-2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3023B2 (ko)
KR (1) KR101624825B1 (ko)
CN (1) CN104203795B (ko)
DE (1) DE112012006072T5 (ko)
WO (1) WO2013140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4263A (zh) * 2015-07-06 2015-09-30 宁波欧菱电梯配件有限公司 带门板互锁装置的电梯层门
US10882720B2 (en) 2015-08-04 2021-01-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WO2017149336A1 (en) * 2016-03-04 2017-09-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landing door unlocking mechanism
DE112016006718B4 (de) 2016-04-06 2022-04-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erriegelungsvorrichtung
CN107473061B (zh) 2016-06-08 2020-10-16 奥的斯电梯公司 升降电梯系统的维护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JP6465248B2 (ja) * 2016-10-27 2019-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戸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WO2018105109A1 (ja) * 2016-12-09 2018-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18207323A1 (ja) * 2017-05-11 2018-11-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EP3409627B1 (en) * 2017-05-29 2019-07-03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lighting and an elevator
EP3418238B1 (en) 2017-06-22 2020-07-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intel door lock safety devices
US10889465B2 (en) * 2017-07-31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US10526172B2 (en) * 2017-09-29 2020-01-07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6567712B2 (ja) * 2018-02-21 2019-08-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CN110498328B (zh) * 2018-05-18 2021-10-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层门锁解锁系统及电梯层门
CN110054062B (zh) * 2019-04-16 2024-04-02 杭州优迈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锁装置
US11524877B2 (en) * 2019-12-13 2022-12-13 Robert Webster Elevator safety mechanism
EP4324776A1 (en) * 2022-08-19 2024-02-21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shaft and door opening tool for such a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628A1 (en) 2006-09-28 2008-04-03 Jules Christen Method of modernizing an elevator door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odernization k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5006940A (ja) 2013-06-25 2015-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567A (ja) * 1994-05-20 1995-11-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乗場側ドアのロック解除装置
JP4553724B2 (ja) * 2004-12-27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の手動解錠装置
FR2947254B1 (fr) * 2009-06-25 2015-03-13 D R I M Ets Perfectionnement a un dispositif de securite pour porte d'ascenseu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628A1 (en) 2006-09-28 2008-04-03 Jules Christen Method of modernizing an elevator door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odernization k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5006940A (ja) 2013-06-25 2015-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40575A1 (ja) 2015-08-03
CN104203795A (zh) 2014-12-10
DE112012006072T5 (de) 2014-12-04
WO2013140575A1 (ja) 2013-09-26
JP5743023B2 (ja) 2015-07-01
CN104203795B (zh) 2016-01-20
KR20140143181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452668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EP3331803B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WO2017023928A1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CN109789992B (zh) 电梯控制电路
WO2013046364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9319642B (zh) 机械井道进入控制装置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US11136217B2 (en)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JPWO20051029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WO2013061355A1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US11542119B2 (en)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JP543668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21538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100812471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188200A (ja) エレベータ安全確保方法及びエレベータ
EP2070859B1 (en) Elevator system
WO2013025185A1 (en) Low pit access detection and monitoring
JPH05338971A (ja) エレベータ扉の制御装置
KR20050077538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