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668B1 -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668B1
KR101452668B1 KR1020137010996A KR20137010996A KR101452668B1 KR 101452668 B1 KR101452668 B1 KR 101452668B1 KR 1020137010996 A KR1020137010996 A KR 1020137010996A KR 20137010996 A KR20137010996 A KR 20137010996A KR 101452668 B1 KR101452668 B1 KR 10145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operation mode
switch
landing doo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417A (ko
Inventor
다케히코 구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는,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에는,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는 별도로,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열렸을 때에 차단되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가 차단되면 소자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한다.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후,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로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보수 작업시에 운전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기계실을 가지지 않고,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리스 타입(Machine room-less type)이 주류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기기의 보수시에는, 보수원이 승강로 내에 들어가 보수 작업을 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서 권상기나 제어 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한다. 또, 승강장 도어 장치나 각종의 승강로 내 스위치 등을 보수하는 경우에도,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서 보수 작업을 행한다. 이에 더하여,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수원은 승강로 피트(pit) 내에 들어가 권상기나 제어 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은 보수 작업시의 보수원의 피난 스페이스(space for the evacuation)를 확보하기 위해,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한계 스위치(final limit switch)가 마련되어 있어, 보수 운전시에는 한계 스위치를 초과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보수원이 피트 내에 들어갈 때는, 승강장에 마련된 스위치 등을 미리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나서 피트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의 언락킹(unlocking) 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에서 보수 운전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276896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보수원이 피트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승강로 밖에서,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사전에 전환할 필요가 있어, 최하층 승강장의 전환 스위치 등을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피트 내에 들어가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보수원의 부주의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인 상태에서 피트 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 문헌 1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서는,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지만, 장치가 복잡해지고, 기기 비용이 증대하는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보수원이 통상 운전 모드인 상태로 승강로 내에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은,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마련되어, 보수 작업시에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시스템으로서,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는 별도로 승강장 도어에 마련되어,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열렸을 때에 차단되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 및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가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하는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구비하고,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후,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은,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마련되어 보수 작업시에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시스템으로서,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소자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하는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 및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의 정합성(整合性)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닫힌 상태로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개방된 것을 판정하여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소자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후,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은,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열리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가 소자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일단(一旦) 저지되고, 이 후,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로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지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보수원이 통상 운전 모드인 상태로 승강로 내에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승강장 도어(5)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구동 시브에는, 현가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감겨 있다. 현가 수단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는, 현가 수단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2)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권상기(2)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제어반)(4)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의해 제어된다.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는 한 쌍(도 2)의 승강장 도어(5)에 의해 개폐된다. 각층의 승강장 도어(5)에는 승강장 도어(5)의 열림 상태를 검출하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마련되어 있다.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에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와는 별도로,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가 마련되어 있다.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에만 마련되어 있고,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가 인위적으로 열려진 것을 검출한다.
최하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 도어(5)에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와는 별도로,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는 최하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 도어(5)가 인위적으로 열려진 것을 검출한다.
승강로(1)의 최하부인 피트(1a)에는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와, 엘리베이터 칸(3)을 보수 운전 모드에서 운전하기 위한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및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는,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최하층의 승강장에는, 운전 모드의 전환를 리셋하여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제1 리셋 스위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최하층 이외의 소정의 층(예를 들면 2층)의 승강장에는, 운전 모드의 전환를 리셋하여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제2 리셋 스위치(12)가 마련되어 있다. 리셋 스위치(11, 12)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이 층에 착상하면, 그 층의 승강장 도어(5)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3) 위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오퍼레이터(14)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 오퍼레이터(14)에는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와, 엘리베이터 칸(3)을 보수 운전 모드에서 운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는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는 모두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보수원은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승강로(1) 내에 들어가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의 열림 상태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보수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제한하는 보수 운전 하부 리미트 스위치(18)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보수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을 제한하는 보수 운전 상부 리미트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리미트 스위치(18, 19)를 조작하는 캠(20)이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장 도어(5)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승강로(1) 내에서 본 도면)이다.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는, 고리(21)가 고정되어 있다. 고리(21)의 일단부에는 훅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5)의 상부에는 래치(22)가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치(22)의 선단(先端)부에는 맞물림부(22a)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5)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맞물림부(22a)가 훅부(21a)에 맞물림으로써, 승강장 도어(5)의 문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엘리베이터 칸(3)이 착상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도어 열림 동작할 때, 엘리베이터 칸(3)측의 맞물림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맞물림으로써, 래치(22)가 요동되어, 래치(22)와 고리(21)의 맞물림 상태가 언락킹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5)의 문 열림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 승강장 도어(5)가 문 닫힘 동작하면, 래치(22)는 고리(21)와 맞물림하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승강장 도어 스위치(6)는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의 고리(2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래치(22)의 요동에 의해 조작된다. 인터락 장치(23)는 고리(21), 래치(22) 및 승강장 도어 스위치(6)를 가지고 있다.
한편, 각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는 승강장 도어(5)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5)의 배면에는, 인터락 장치(23)를 수동으로 언락킹하기 위한 언락킹 부재(24)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5)에는 언락킹 부재(24)를 요동시키기 위한 언락킹 키(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언락킹 키 구멍(5a)이 마련되어 있다.
언락킹 부재(24)는 연결 와이어(25) 및 연결 플레이트(26)를 통하여 래치(22)에 연결되어 있다. 보수 작업시에 보수원이 언락킹 키를 이용하여 언락킹 부재(24)를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래치(22)의 반 맞물림부(22a)측의 단부가 하부로 인하되어, 래치(22)가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22)와 고리(21)의 맞물림 상태가 수동으로 언락킹된다.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는 언락킹 부재(2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언락킹 부재(24)의 요동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통상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 측의 맞물림 장치에 의해 래치(22)가 요동되더라도, 그 요동은 언락킹 부재(24)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는 승강장 도어(5)의 인위적인 개방만을 검출한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1 내지 제4 리셋 릴레이(31~34)(PRSTA, CRSTA, PRSTB, CRSTB)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3 리셋 릴레이(31, 33)는 피트(1a) 내에서의 보수시에 통상 운전 저지 상태를 리셋하기 위한 릴레이이다. 제2 및 제4 리셋 릴레이(32, 34)는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의 보수시에 통상 운전 저지 상태를 리셋하기 위한 릴레이이다.
제1 리셋 릴레이(31)는 제1 리셋 스위치(1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1 리셋 스위치(11)에 연동한다. 제2 리셋 릴레이(32)는 제2 리셋 스위치(1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2 리셋 스위치(12)에 연동한다.
제3 및 제4 리셋 릴레이(33, 34)는 모든 승강장 도어(5)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릴레이이다.
또,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INSC) 및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INSP)가 배터리(37)에 대해서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접점에 부여된 부호는 다음과 같이 대응하여 있다.
PRSTA:제1 리셋 릴레이(31)의 릴레이 접점
CRSTA:제2 리셋 릴레이(32)의 릴레이 접점
PRSTB:제3 리셋 릴레이(33)의 릴레이 접점
CRSTB:제4 리셋 릴레이(34)의 릴레이 접점
INSC: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의 릴레이 접점
INSP: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의 릴레이 접점
HLS-T:최상층의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의 상폐(常閉) 접점
HLS-M:중간층의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의 상폐 접점(도 4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1개만 나타내고 있음)
HLS-B: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의 상폐 접점
DS-T:최상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
DS-M:중간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도 4에서는, 간단화를 위하여 1개만 나타내고 있음)
DS-B:최하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
GS: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의 접점
TLS:보수 운전 상부 리미트 스위치(19)의 접점
BLS:보수 운전 하부 리미트 스위치(18)의 접점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는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의 상폐 접점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는, 최하층 이외의 승강장 도어(5)가 인위적으로 열렸을 경우에 석방(release)된다.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가 소자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이 저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는 제2 및 제4 리셋 릴레이(32, 34)의 릴레이 접점이 닫혔을 때에만 투입 가능해져 있다.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는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의 상폐 접점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가 인위적으로 열렸을 경우에 석방된다.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가 소자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이 저지된다. 또,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는 제1 및 제3 리셋 릴레이(31, 33)의 릴레이 접점이 닫혔을 때에만 투입 가능해져 있다.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양쪽 모두가 통상 운전(AUTO) 측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제1 리셋 스위치(11)가 투입되면, 제1 리셋 릴레이(31)가 여자(勵磁)된다.
또,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양쪽 모두가 통상 운전(AUTO) 측으로 전환되어 있을 때, 제2 리셋 스위치(12)가 투입되면, 제2 리셋 릴레이(32)가 여자된다.
모든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리셋 릴레이(34)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리셋 릴레이(32)가 여자되어,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 모두가 닫혀 있는 경우, 즉 모든 승강장 도어(5)가 닫혀 있는 경우에, 제4 리셋 릴레이(34)가 여자된다. 단, 이때, 최하층의 제1 리셋 스위치(11)가 투입되어 있으면, 제4 리셋 릴레이(34)가 여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리셋 릴레이(33)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리셋 릴레이(31)가 여자되어,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접점 모두가 닫혀 있는 경우, 즉 모든 승강장 도어(5)가 닫혀 있는 경우에, 제3 리셋 릴레이(33)가 여자된다. 단, 이 때, 제2 리셋 스위치(12)가 투입되어 있으면, 제3 리셋 릴레이(33)가 여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는 모든 승강장 도어(5)가 닫혀 있고, 또한 보수 운전 모드는 아닌 경우에 있어서, 승강장에서 리셋 스위치(11, 12)를 투입했을 경우에만 여자된다. 그리고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는 한번 여자되면,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열지 않는 이상, 자기의 접점에 의해 유지되어, 상시 여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와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를 포함하는 회로는, 정전시 및 전원 차단시도 배터리(37)에 의해 전원 백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릴레이(35, 36)가 차단되고 정전으로부터 복귀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기동 저지된 상태인 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수 작업시의 운전 모드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피트(1a) 내에서의 보수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트(1a)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보수원이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열면,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의 상폐 접점(HLS-B)이 개방되어,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가 석방된다. 이것에 의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의 통상 운전(AUTO) 측에 접속된 상개(常開) 접점(INSP)이 개방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급전이 중단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이 저지된다.
이 후, 보수원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를 보수 운전 모드(HAND) 측으로 전환하면,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의 조작 스위치(UP, DN)를 조작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 급전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의 조작 스위치(UP, DN)는 각각 접점을 2 계통 구비하고 있는데, 1 계통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급전 라인에 접속되고, 또 다른 1 계통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상승 운전 지령 신호 및 하강 운전 지령 신호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보수 운전 하부 리미트 스위치(18)에 캠(20)이 접촉하면, 접점(BLS)이 개방됨으로써,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의 DN측 조작 스위치의 회로가 차단되어 그 위치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이 규제된다.
보수 작업이 종료되면, 보수원은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를 통상 운전(AUTO) 측으로 되돌리고, 피트(1a) 내에서부터 최하층의 승강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모든 승강장 도어(5)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닫힌 상태로, 제1 리셋 스위치(11)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의 보수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3) 상에 탑승하기 위해서, 보수원이 최하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열면,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의 상폐 접점(HLS-T 또는 HLS-M)이 개방되고,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가 석방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통상 운전(AUTO) 측에 접속된 상개 접점(INSC)이 개방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급전이 중단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이 저지된다.
이 후,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보수 운전 모드(HAND) 측으로 전환하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의 조작 스위치(UP, DN)를 조작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급전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의 조작 스위치(UP, DN)는 각각 접점을 2 계통 구비하고 있는데, 1 계통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급전 라인에 접속되고, 또 다른 1 계통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상승 운전 지령 신호 및 하강 운전 지령 신호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보수 운전 상부 리미트 스위치(19)에 캠(20)이 접촉하면, 접점(TLS)이 개방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의 UP측 조작 스위치의 회로가 차단되어, 그 위치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이 규제된다.
보수 작업이 종료되면,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통상 운전(AUTO) 측으로 되돌리고,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부터 승강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모든 승강장 도어(5)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리셋 스위치(12)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보수원이 통상 운전 모드인 상태로 승강로(1) 내에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트(1a) 내와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 동시에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트(1a) 내에서 작업하는 보수원이,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열면,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의 상폐 접점(HLS-B)이 개방되어,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가 석방된다. 이것에 의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의 통상 운전(AUTO) 측에 접속된 상개 접점(INSP)이 개방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 작업하는 보수원이, 최하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열면,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의 상폐 접점(HLS-T 또는 HLS-M)이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가 석방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통상 운전(AUTO) 측에 접속된 상개 접점(INSC)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보수원이 피트(1a) 내에 들어가고, 또한 다른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3) 상에 탑승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의 급전은 이중으로 차단되고, 당연히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은 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피트(1a) 내의 보수원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를 보수 운전 모드(HAND) 측으로 전환하여도, 접점(INSC)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보수 운전 모드에서도 엘리베이터 칸(3)을 운전할 수 없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3) 상의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보수 운전 모드(HAND) 측으로 전환한 다음, 피트(1a) 내와 엘리베이터 칸(3) 상의 쌍방의 보수 운전 장치(10, 16)의 조작 스위치를 동시에 동(同)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로 급전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수원이 예기치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움직이는 일은 없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의 리셋 회로와,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의 리셋 회로가 공통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셋 스위치(11)와 제2 리셋 스위치(12)를 병렬로 접속한 회로가, 공통의 제1 리셋 릴레이(38)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리셋 릴레이(38)는 보수시에 통상 운전 저지 상태를 리셋하기 위한 릴레이이며, 제1 및 제2 리셋 스위치(11, 12)에 연동한다.
제2 리셋 릴레이(39)는 모든 승강장 도어(5)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릴레이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접점에 부여한 부호는, 다음과 같이 대응하고 있다.
RSTA:제1 리셋 릴레이(38)의 릴레이 접점
RSTB:제2 리셋 릴레이(39)의 릴레이 접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의 리셋 회로와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의 리셋 회로가 공통으로 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리셋 스위치(11, 12) 중 어느 한 쪽을 조작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기동 불능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는 반드시 모든 층에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보수 작업을 피트(1a) 내에서만 행하고, 피트(1a) 내로는 반드시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열고 이동하는 경우,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만을 마련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의 보수 작업에 관한 릴레이나 스위치 등은 생략되게 된다. 반대로, 보수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만 행하는 경우,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엘리베이터 칸(3) 상으로의 이동을 특정 층으로부터만으로 제한하고, 그 층에만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8)를 마련하는 방법도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및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의 조작 회로가 마이크로 컴퓨터(판정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 스위치 릴레이(4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의 개폐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41)에 의해 투입·차단된다. 승강장 도어 스위치 릴레이(43)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개폐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41)에 의해 투입·차단된다. 게이트 스위치 릴레이(42)의 상개 접점(GSR) 및 승강장 도어 스위치 릴레이(43)의 상개 접점(DSR)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의 급전 라인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실시 형태 1, 2에서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7, 8)를 이용하여 승강장 도어(5)가 인위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했다. 이것에 반해, 실시 형태 3에서는,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가 마이크로 컴퓨터(41)에 의해서 조작되므로, 승강장 도어 스위치(6)와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의 정합성에 의해, 승강장 도어(5)만이 인위적으로 개방된 것을 판정하여,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의 차단을 행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닫혀 있더라도 관계없이,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를 차단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닫혀 있더라도 관계없이, 최하층 이외의 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를 차단한다.
추가로,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의 리셋은 모든 도어(5, 13)가 닫힌 상태에서,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실시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41)나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 36)를 포함하는 회로는, 정전시 및 전원 차단시도 배터리(37)에 의해 전원 백업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에 의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보수원이 통상 운전 모드인 상태로 승강로(1) 내에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피트(1a) 내와 엘리베이터 칸(3) 위에서 동시에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보수원이 예기치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움직이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피트(1a) 내와 엘리베이터 칸(3) 위의 양쪽 모두에서 동시에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동시에 동방향으로의 조작이면, 엘리베이터 칸(3)을 보수 운전 가능하게 했지만,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5)와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36)의 양쪽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기동이 저지된 경우에는,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의 조작도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의 조작도 일절 수신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냈지만,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라면,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laims (8)

  1.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마련되어, 보수 작업시에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으로서,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는 별도로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열렸을 때에 차단되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 및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가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하는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후,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의 근방에는, 보수 작업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수동으로 운전하기 위한 보수 운전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장에 마련되어,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리셋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통상 운전 모드 측으로 되돌려지고,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모든 상기 승강장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통상 운전 모드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는 상기 승강로의 피트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는 최하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는 최하층 이외의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는, 상기 승강로의 피트에 마련된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 운전 장치는, 상기 피트에 마련된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는, 최하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와, 최하층 이외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는, 상기 최하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에 대응하는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와, 상기 통상층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 내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의 양쪽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경우, 상기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가 동시에 동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 및 상기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포함하는 회로는, 정전시 및 전원 차단시도 배터리에 의해 전원 백업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8.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마련되어, 보수 작업시에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으로서,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소자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하는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 및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의 정합성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닫힌 상태로 상기 승강장 도어가 인위적으로 개방된 것을 판정하여, 상기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를 소자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수시 통상 운전 저지 릴레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이 저지된 후,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보수 운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KR1020137010996A 2010-10-01 2010-10-01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KR101452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7226 WO2012042660A1 (ja) 2010-10-01 2010-10-01 エレベータの運転モード切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417A KR20130085417A (ko) 2013-07-29
KR101452668B1 true KR101452668B1 (ko) 2014-10-22

Family

ID=4589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996A KR101452668B1 (ko) 2010-10-01 2010-10-01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23452B1 (ko)
JP (1) JP5452726B2 (ko)
KR (1) KR101452668B1 (ko)
CN (1) CN103068710B (ko)
WO (1) WO20120426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88A (ko) * 2017-07-25 2019-02-0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레베이터 안전 디바이스
KR20220144113A (ko) 2021-04-19 2022-10-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2157B2 (ja) * 2012-04-06 2016-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JP5962416B2 (ja) * 2012-10-10 2016-08-0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保護具検知システム
EP3233698B1 (de) 2014-12-18 2019-02-06 Inventio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onischen sicherheitssystems mit temporären teilnehmern
SG11201704666WA (en) 2014-12-18 2017-07-28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afety system with temporary subscribers
AU2015367705B2 (en) * 2014-12-18 2018-12-13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afety system with temporary subscribers
EP3292063B1 (en) 2015-05-07 2021-07-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oistway access control
US10703608B2 (en) 2015-07-13 2020-07-07 Otis Elevator Company Deterrent device inhibition key
EP3184477B1 (en) 2015-12-22 2019-07-24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operation of an elevator
DE112016006793T5 (de) * 2016-04-26 2019-0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inspektionsbetriebsvorrichtung
CN107473061B (zh) 2016-06-08 2020-10-16 奥的斯电梯公司 升降电梯系统的维护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US10457522B2 (en) 2016-06-30 2019-10-29 Otis Elevator Company Limit switch system including first limit device and second limit device
WO2018050253A1 (en) * 2016-09-19 2018-03-22 Kone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an elevator into service mode
CN106395518B (zh) * 2016-11-11 2019-04-26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用于控制检修装置优先级的电梯运行控制板
US20180162689A1 (en) * 2016-12-14 2018-06-14 Otis Elevator Company Pit switch module of landing door of elevator
ES2812804T3 (es) * 2017-11-08 2021-03-18 Kone Corp Operación de rescate automático y manual de ascensor
US11072515B2 (en) 2018-03-27 2021-07-27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elevator maintenance mode initiation
CN111699148B (zh) * 2018-05-17 2022-02-01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检查控制系统以及转换电梯设备的运行的方法
JP6773231B1 (ja) * 2019-03-15 2020-10-2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1075048A1 (ja) * 2019-10-18 2021-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ドア位置検出装置
CN110745674B (zh) * 2019-11-25 2024-05-14 重庆迈高电梯有限公司 一种浅底坑电梯底坑检修用安全保护装置
JP2023506905A (ja) * 2019-12-17 2023-02-2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検査のためにエレベータ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CN113716403B (zh) * 2021-08-05 2023-08-01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检修模式的退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571746B (zh) * 2022-12-08 2023-04-18 通用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距离检测报警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930747A (ja) * 1995-07-14 1997-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上保守運転装置
JP2005206346A (ja) * 2004-01-23 2005-08-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装置の保守点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365A (ja) * 2002-12-09 2004-07-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0395166C (zh) * 2005-01-07 2008-06-18 陈金林 防止电梯伤害事件发生的控制装置及方法
JP4849448B2 (ja) * 2006-04-03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849487B2 (ja) * 2006-10-25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201240729Y (zh) * 2008-06-10 2009-05-20 张齐 电梯语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930747A (ja) * 1995-07-14 1997-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上保守運転装置
JP2005206346A (ja) * 2004-01-23 2005-08-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装置の保守点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88A (ko) * 2017-07-25 2019-02-0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레베이터 안전 디바이스
KR102480271B1 (ko) * 2017-07-25 2022-12-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레베이터 안전 디바이스
KR20220144113A (ko) 2021-04-19 2022-10-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3452B1 (en) 2019-11-20
WO2012042660A1 (ja) 2012-04-05
EP2623452A1 (en) 2013-08-07
EP2623452A4 (en) 2018-03-14
CN103068710B (zh) 2015-07-22
CN103068710A (zh) 2013-04-24
KR20130085417A (ko) 2013-07-29
JP5452726B2 (ja) 2014-03-26
JPWO2012042660A1 (ja)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68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N103552893B (zh) 电梯的安全装置及方法
US11505427B2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US8430212B2 (en) Safety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00155183A1 (en) Elevator
CN107848743A (zh) 电梯控制系统
JP484944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2105008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JP2013216411A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JP200814361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789992B (zh) 电梯控制电路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WO2013061355A1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EP2441722B1 (en) Elevator apparatus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1923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JP2008230782A (ja) エレベータ
JP2012188200A (ja) エレベータ安全確保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2012006759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479512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91672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456267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閉込救出方法
JP201811504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