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230B1 -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230B1
KR101219230B1 KR1020117005326A KR20117005326A KR101219230B1 KR 101219230 B1 KR101219230 B1 KR 101219230B1 KR 1020117005326 A KR1020117005326 A KR 1020117005326A KR 20117005326 A KR20117005326 A KR 20117005326A KR 101219230 B1 KR101219230 B1 KR 10121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ircuit
safety circuit
switch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385A (ko
Inventor
준 하시모토
다카하루 우에다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에 있어서, 고장 검출부는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안전 스위치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한다. 절환 장치는, 통상시는 제1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함과 아울러 제2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되는 회로를 제1 안전 회로에서 상기 제2 안전 회로로 절환한다. 또, 절환 장치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은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고 나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ELEVATOR SAFETY CIRCUIT DEVICE}
본 발명은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안전 회로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가, 최하층으로부터 1층 위의 층에도 마련되어 있다. 피트(pit)의 침수시에는, 적용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절환되고, 이에 따라 피트 침수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저하가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5-32382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적용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절환하기 위해서 안전 회로의 일부를 절환할 필요가 있고, 절환 동작에 기인하는 안전 회로의 동작에 의한 서비스의 저하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 스위치의 고장 개방이 검출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는, 적어도 1개의 제1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1 안전 회로; 적어도 1개의 제2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제1 안전 회로와 같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2 안전 회로;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안전 스위치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통상시는 제1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함과 아울러 제2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되는 회로를 제1 안전 회로로부터 제2 안전 회로로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절환 장치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은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고 나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는, 적어도 1개의 제1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1 안전 회로; 적어도 1개의 제2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제1 안전 회로와 같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2 안전 회로;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안전 스위치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통상시는 제1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함과 아울러 제2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되는 회로를 제1 안전 회로로부터 제2 안전 회로로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절환 장치는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제2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한 후, 제1 안전 회로를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스위치의 고장 개방이 검출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환 장치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이 브레이크 접촉기(brake contactor)에 의해 브레이크 코일 전류가 차단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도 긴 경우의 브레이크 접촉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는 도 2의 절환 장치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이 브레이크 접촉기에 의해 브레이크 코일 전류가 차단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의 브레이크 접촉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의 회로 절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 counterweight)는, 현가 수단(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 현가 수단(3)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권상기(4)는 현가 수단(3)이 감긴 구동 시브(5)와, 구동 시브(5)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서의 권상기 모터(6)와, 구동 시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7)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7)는 구동 시브(5)와 같은 축에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8)과, 브레이크 드럼(8)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9)와,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에 밀어붙여서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으로부터 분리하여 제동력을 해제하는 전자 마그넷(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1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하부 풀리(11)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풀리(10) 및 하부 풀리(11)에는, 거버너 로프(12:governor rope)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12)의 양단부는, 엘리베이터 칸(1)에 접속되어 있다. 거버너 로프(1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풀리(10)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상부 풀리(10)에는 상부 풀리(10)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거버너 엔코더(13)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 모터(6) 및 브레이크 장치(7)는, 운행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운행은 운행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운행 제어 장치(14)는 권상기 모터(6)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승강시킴과 아울러, 목적층에서는 브레이크 장치(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 운행 제어 장치(14)는 엘리베이터 칸(1)을 운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거버너 엔코더(13)로부터의 신호는 안전 제어 장치(전자 안전 콘트롤러: 15)에 입력된다. 안전 제어 장치(15)는 운행 제어 장치(14)로부터 독립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15)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안전 제어 장치(15)의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검출된 이상 내용에 따라 권상기 모터(6) 및 브레이크 장치(7)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안전 제어 장치(15)는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브레이크 장치(7)의 전자 마그넷은 브레이크 코일(21)을 가지고 있다. 안전 제어 장치(15)는 브레이크 코일(21)로의 통전(通電)을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안전 제어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도가 과대해지지 않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간헐적으로 인가하는 것으로써,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단, 이와 같은 제동력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 구성은, 도 2에서는 생략했다.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코일(21)에 대해서 전력을 공급·차단하는 브레이크 접촉기(22)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접촉기(22)와 전원의 사이에는, 제1 안전 회로(주 안전 회로: 23)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안전 회로(23)는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1개의 제1 안전 스위치(25)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1 안전 회로(23)는 제1 안전 스위치(25)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중에 제1 안전 스위치(25) 중 적어도 1개가 개방되면, 브레이크 접촉기(22)로의 통전이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 모터(6)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21)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1)이 급정지된다.
브레이크 접촉기(22)와 전원의 사이에는, 제2 안전 회로(예비 안전 회로: 24)가 제1 안전 회로(23)에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접촉기(22)와 제2 안전 회로(24)의 사이는, 통상시에는 분리되어 있다. 제2 안전 회로(24)는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1개의 제2 안전 스위치(26)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2 안전 회로(24)는 제2 안전 스위치(26)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제1 안전 회로(23)와 같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한다. 단, 통상시에는, 제2 안전 회로(24)는 브레이크 접촉기(2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대기중이므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은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전달되지 않는다.
제1 안전 스위치(25)와 그것에 대응하는 제2 안전 스위치(26), 즉 감시 대상이 동일한 제2 안전 스위치(26)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개폐 상태가 항상 동일하다.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25, 26)로서는, 예를 들면, 상부 승강로 스위치, 하부 승강로 스위치, 엘리베이터 칸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 스위치 및 과속도 검출 스위치 등을 들 수 있다.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제1 및 제2 안전 회로(23, 24) 중 어느 쪽을 접속할지는, 절환 장치(27)에 의해서 절환된다. 절환 장치(27)는 전자 릴레이(28)와, 전자 릴레이(28)에 직렬로 접속된 전기적인 스위치인 반도체 스위치(29)를 가지고 있다.
전자 릴레이(28)는 제1 및 제2 안전 회로(23, 24)와 브레이크 접촉기(22)의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안전 회로(23, 24)를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반도체 스위치(29)는 전자 릴레이(28)의 코일로의 통전을 공급·차단한다.
반도체 스위치(29)의 온·오프는 고장 검출부(30)에 의해 제어된다. 고장 검출부(30)는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25, 26)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안전 스위치(25)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장 검출부(30)는, 같은 이상 상태일 때에 개방되는(감시 대상이 동일한)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25, 26)의 상태를 비교하고, 제2 안전 스위치(26)가 닫혀있음도 불구하고 제1 안전 스위치(25)가 개방된 상태를 고장 개방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통상시는 제2 안전 회로(24)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2 안전 스위치(26)에는 통전에 의한 온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제1 안전 스위치(25)가 개방되어 있고, 제2 안전 스위치(26)가 닫혀있는 상태는, 제1 안전 스위치(25)의 고장 개방이라고 생각된다.
고장 검출부(30)는 안전 제어 장치(15)에 마련되어 있다. 고장 검출부(30)의 기능은, 안전 제어 장치(15)의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절환 장치(27)는, 통상시는 제1 안전 회로(23)를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접속함과 아울러 제2 안전 회로(24)를 브레이크 접촉기(22)로부터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고장 검출부(30)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절환 장치(27)는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접속되는 회로를 제1 안전 회로(23)에서 제2 안전 회로(24)로 절환한다.
또, 절환 장치(27)에 의한 제1 및 제2 안전 회로(23, 24) 사이의 회로 절환 시간 T1은, 제1 안전 스위치(25)가 개방되고 나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 동작이 실제로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T2 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T1<T2). 구체적으로는, T2는 브레이크 접촉기(22)의 사양에 의해 통상 50~100mm 초 정도이고, 이 T2에 대해서 T1은 오차를 포함하여 T1<T2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T1을 설정하기 위한 전자 릴레이(28)의 선택은, 고장 검출부(30)의 검출에 필요한 시간의 견적값과 반도체 스위치(29)의 동작 사양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시에는, 제2 안전 회로(24)는 브레이크 접촉기(2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제1 안전 회로(23)가 유효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임의의 이상에 의해 제1 안전 스위치(25) 중 적어도 1개가 개방되면, 권상기 모터(6)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21)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1)이 급정지된다.
한편, 고장 검출부(30)는 제1 안전 스위치(25)의 고장 개방의 유무를 상시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반도체 스위치(29)를 오프로 하여, 전자 릴레이(28)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접속되는 회로를 제1 안전 회로(23)에서 제2 안전 회로(24)로 순간적으로 절환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환 장치(27)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 T1이,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의해 브레이크 코일 전류가 차단되는데 필요한 시간 T2보다도 긴 경우, 브레이크 접촉기(22)로의 급전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므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이 급감속되고, T1의 길이에 의해서는 엘리베이터 칸(1)은 급정지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T2 로 함으로써, 제1 안전 스위치(25)의 고장 개방이 검출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1)을 급정지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킬 수 있다. 즉, 동작 중인 제1 안전 회로(23)가 고장이더라도, 대기 중인 제2 안전 회로(24)로 순간적으로 절환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을 급정지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을 실행할 수 있다.
또, 고장 검출부(30)는, 같은 이상 상태일 때에 개방되는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25, 26)의 상태를 비교하고, 제2 안전 스위치(26)가 닫혀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안전 스위치(25)가 개방된 상태를 고장 개방으로서 검출하므로, 제1 안전 회로(23)의 고장을 높은 정밀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접촉기(22)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기계식 스위치에 의해 권상기 모터(6) 및 브레이크 코일(21)로의 통전을 차단하므로, 엘리베이터 칸(1)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장 검출부(30)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반도체 스위치(29)가 오프로 되기 때문에, 회로 절환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전 회로(24)로의 절환 후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지만, 제1 안전 회로(23)의 고장을 보수 센터 등에 통지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1)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휴지시켜, 점검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안전 회로(24)로의 절환 후에, 제1 안전 회로(23)의 고장을 보수 센터 등에 통지하여,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을 실행할 때까지의 동안만 제2 안전 회로(24)를 동작시킨 상태로의 운전을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25, 26)는, 완전하게 1:1로 대응하고 있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안전 스위치(25) 보다도 제2 안전 스위치(26)가 많을 수도 있다. 즉, 제2 안전 회로(24)에 의한 감시 대상의 개수가 제1 안전 회로(23)에 의한 감시 대상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통상시에 안전 제어 장치(15)에 감시 대상의 일부를 맡겨 감시시킬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절환 장치(27)는 고장 검출부(30)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전 회로(24)를 브레이크 접촉기(22)에 접속한 후, 제1 안전 회로(23)를 브레이크 접촉기(22)로부터 분리한다. 즉, 절환 장치(27)는 제1 및 제2 안전 회로(23, 24)의 양쪽 모두가 동시에 대기중으로 되지 않도록 회로를 절환한다.
이와 같은 안전 회로 장치에 의해서도, 제1 안전 스위치(25)의 고장 개방이 검출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1)을 급정지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시브(5)의 회전을 제동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7)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현가 수단(3)을 파지(把持)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로프 브레이크)나, 엘리베이터 칸(1)에 탑재되어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서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등일 수도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의 수는 1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대의 권상기(4)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이 승강되지만, 복수 대의 권상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일 수도 있다.
8: 브레이크 드럼 9: 브레이크 슈
21: 브레이크 코일 22: 브레이크 접촉기
23: 제1 안전 회로 24: 제2 안전 회로
25: 제1 안전 스위치 26: 제2 안전 스위치
27: 절환 장치 28: 전자 릴레이
29: 반도체 스위치 30: 고장 검출부

Claims (5)

  1. 적어도 1개의 제1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1 안전 회로;
    적어도 1개의 제2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안전 회로와 같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2 안전 회로;
    상기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전 스위치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통상시는 상기 제1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되는 회로를 상기 제1 안전 회로에서 상기 제2 안전 회로로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 장치에 의한 회로 절환 시간은 상기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고 나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전 회로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와 전원의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절환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안전 회로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절환 스위치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환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릴레이와, 상기 전자 릴레이의 코일로의 통전을 공급·차단하는 전기적인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전기적인 스위치의 온·오프는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5. 적어도 1개의 제1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1 안전 회로;
    적어도 1개의 제2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안전 회로와 같은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 지령을 발생하는 제2 안전 회로;
    상기 제1 및 제2 안전 스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전 스위치가 고장에 의해 개방되는 고장 개방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 및
    통상시는 상기 제1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되는 회로를 상기 제1 안전 회로에서 상기 제2 안전 회로로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 장치는 상기 고장 검출부에 의해 고장 개방이 검출되면, 상기 제2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안전 회로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KR1020117005326A 2008-12-12 2008-12-12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KR101219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2641 WO2010067455A1 (ja) 2008-12-12 2008-12-12 エレベータの安全回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385A KR20110039385A (ko) 2011-04-15
KR101219230B1 true KR101219230B1 (ko) 2013-01-09

Family

ID=4224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326A KR101219230B1 (ko) 2008-12-12 2008-12-12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60112B1 (ko)
JP (1) JP5220126B2 (ko)
KR (1) KR101219230B1 (ko)
CN (1) CN102177082B (ko)
WO (1) WO2010067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90335A (fi) 2009-09-16 2011-03-17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WO2014003722A1 (en) * 2012-06-26 2014-01-03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chain circuit
KR102542082B1 (ko) * 2022-05-23 2023-06-13 이종영 제어신호 입출력 컨트롤러 무대장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67A (ja) * 1994-08-24 1996-03-05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の制御装置
JPH10250952A (ja) 1997-03-07 1998-09-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084177A (ja) 2005-09-20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WO2008068840A1 (ja) 2006-12-05 2008-06-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82A (ja) * 1991-07-29 1993-02-0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I20031647A0 (fi) * 2003-11-12 2003-11-12 Kone Corp Hissin jarrun ohjauspiiri
CN101128379B (zh) * 2006-03-17 2011-09-1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FI119231B (fi) * 2006-12-08 2008-09-15 Kone Corp Menetelmä, järjestelmä ja ohjelmistotuote hissin turvakytkinten kunnon seuraamiseksi
JP5032382B2 (ja) * 2008-04-17 2012-09-26 Ntn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CN102177083B (zh) * 2008-12-05 2016-03-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67A (ja) * 1994-08-24 1996-03-05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の制御装置
JPH10250952A (ja) 1997-03-07 1998-09-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084177A (ja) 2005-09-20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WO2008068840A1 (ja) 2006-12-05 2008-06-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0112A1 (en) 2011-08-24
EP2360112A4 (en) 2014-04-23
EP2360112B1 (en) 2017-04-12
KR20110039385A (ko) 2011-04-15
CN102177082B (zh) 2013-09-25
WO2010067455A1 (ja) 2010-06-17
JPWO2010067455A1 (ja) 2012-05-17
JP5220126B2 (ja) 2013-06-26
CN102177082A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0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US8167094B2 (en) Elevator apparatus
KR10101491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090540B1 (en) Elevator system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10042236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21220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1923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EP3696129B1 (en) Elevator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KR20120014003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55118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151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801106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