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246B1 -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46B1
KR102086246B1 KR1020180106485A KR20180106485A KR102086246B1 KR 102086246 B1 KR102086246 B1 KR 102086246B1 KR 1020180106485 A KR1020180106485 A KR 1020180106485A KR 20180106485 A KR20180106485 A KR 20180106485A KR 102086246 B1 KR102086246 B1 KR 10208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cam
release
keep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을 수동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카도어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걸림 해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 도어 패널의 개방 작동이 중지된 경우, 승장측에서 별도의 추가 공구 없이도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카도어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승장 도어 및 카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이에 따라 탑승객 구출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을 수동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카도어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걸림 해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 도어 패널의 개방 작동이 중지된 경우, 승장측에서 별도의 추가 공구 없이도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카도어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승장 도어 및 카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이에 따라 탑승객 구출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 도어가 구비됨과 동시에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승강구에는 상기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수 있도록 하는 승장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카 도어 및 승장 도어는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 개의 동력을 매개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클러치 장치가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임의의 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카 도어와 승장 도어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카 도어에 도어 구동 장치가 구비되고,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한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이 일어나고, 카 도어와 연동하여 승장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 장치는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카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카 도어 패널과 연동하여 승장 도어 패널이 함께 개폐 작동하도록 카 도어 패널과 승장 도어 패널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정지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정지된 경우, 승장 도어가 수동으로 개방되게 되면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승장 도어에는 록킹 장치가 필수적으로 부착되게 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이 임의로 카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을 시도할 시에는 승강기와 벽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할 위험성이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카도어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카도어 잠금장치는 건물의 각 정지층에 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에는 전자석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 바닥의 어긋남을 검출하여 카도어의 잠금 여부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거나, 또는 카 도어에 설치된 클러치가 승장 도어에 취부된 롤러를 잡고 일체로 개폐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 및 승장장 바닥의 레벨이 기준치 이내에 있을 때만 상기 클러치와 롤러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그 부품의 비용이 상승됨과 아울러 고장의 염려가 있으며 각각의 승강층에 캠을 설치하고 조정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에 조립되는 캠이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돌출하면서 승장측의 롤러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잠금동작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롤러가 없는 경우에는 돌출을 계속하면서 카도어를 잠그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롤러의 전후방향 길이를 정확히 조정하지 않을 경우에 오동작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바닥면의 레벨이 맞는 구간에서도 카 도어를 잠그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가 레벨존(정 착상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고장 또는 정전 등 다양한 이유로 카 도어 및 승장 도어가 개방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전 요원 등이 승장측에서 승장 도어 비상용 키를 이용하여 승장 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을 구출하게 되는데, 전술한 카 도어 잠금 장치가 구비된 클러치 구조에서는 승장측에서 승장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카 도어 잠금 장치가 해제되지 않아 승장 도어 및 카 도어를 개방하기 어렵고, 승객 구출 시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7088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을 수동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카도어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걸림 해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 도어 패널의 개방 작동이 중지된 경우, 승장측에서 별도의 추가 공구 없이도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카도어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승장 도어 및 카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이에 따라 탑승객 구출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연동하여 승장 도어 패널이 함께 개폐 작동하도록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승장 도어 패널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클러치 베이스; 그 사이 공간에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고정 캠과 무빙 캠; 상기 고정 캠과 무빙 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 도어 패널 이동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에 의해 일정 구간 가압 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캠;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캠의 가압 이동시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하는 키퍼; 및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의 정상 레벨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의한 상기 릴리즈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키퍼를 회전 이동시키는 걸림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시 상기 릴리즈 롤러가 상기 무빙 캠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릴리즈 롤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무빙 캠을 이동시키고 상기 무빙 캠의 이동에 의해 상기 키퍼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일단이 상기 무빙 캠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은 상기 키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키퍼와 액츄에이터 캠이 연결된 지점과 반대 지점에서 상기 키퍼와 연결되며, 상기 키퍼는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무빙 캠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링크 플레이트 또는 와이어 로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 캠과 무빙 캠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릴리즈 롤러에 의해 가압 이동하는 릴리즈 캠; 및 상기 릴리즈 캠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키퍼가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릴리즈 캠과 상기 키퍼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을 수동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카도어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도록 하는 걸림 해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 도어 패널의 개방 작동이 중지된 경우, 승장측에서 별도의 추가 공구 없이도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카도어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승장 도어 및 카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이에 따라 탑승객 구출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 해제 수단으로 별도의 릴리즈 캠을 추가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클러치 장치의 교체 없이 단순히 릴리즈 캠을 추가 장착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가 적용된 카 도어 패널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기본 구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가 적용된 카 도어 패널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기본 구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는 상단부 측에 도어 구동 장치(3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플레이트(20)가 구비되며, 도어 구동 장치(30)는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0)에 장착되어 카 도어 패널(10)을 개폐 작동시킨다. 카 도어 패널(10)이 개폐 작동할 때, 승장 도어 패널이 이와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 작동하도록 클러치 장치(40)가 구비되는데, 클러치 장치(40)는 엘리베이터 카가 레벨존(정 착상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만 카 도어 패널(10)에 전달되는 구동 동력을 승장 도어 패널(미도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승장 도어 패널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레벨존에 도달한 경우, 클러치 장치(40)와 결합되도록 릴리즈 롤러(50)가 구비되며, 릴리즈 롤러(50)가 클러치 장치(40) 및 카 도어 패널(10)과 함께 이동함에 따라 승장 도어 패널이 동시에 이동하며 개폐 작동하게 된다.
클러치 장치(40)는, 카 도어 패널(10)에 장착되는 클러치 베이스(100)와, 그 사이 공간에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클러치 베이스(100)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고정 캠(200) 및 무빙 캠(300)과, 고정 캠(200)과 무빙 캠(300) 사이에 배치되어 카 도어 패널(10) 이동시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일정 구간 가압 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캠(400)과,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500)와, 클러치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후크(500)에 맞물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610)가 형성되고 타단은 액츄에이터 캠(400)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 캠(400)의 가압 이동시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하는 키퍼(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카 도어 패널(10) 중 일측 패널의 상측에는 소정 형상을 갖는 클러치 베이스(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클러치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무빙 캠(300)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무빙 캠(300)의 일정 지점에는 무빙캠 롤러(310)가 설치되며, 무빙캠 롤러(310)의 상측 및 하측으로는 각각 제 1 회전부재(320)가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제 1 회전부재(320)는 소정 연결부재를 매개로 제 1 회전부재(320)와 일정 각도를 갖는 대각선 방향의 클러치 베이스(100)에 형성된 제 2 회전부재(110)와 연결된다.
클러치 베이스(100)에는 그 몸체의 모서리 일측에 무빙캠 롤러(310)가 단속되도록 요입홈(710)이 형성된 회전캠(700)이 형성되는데, 회전캠(700)은 클러치 베이스(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픽업캠(740) 및 픽업캠(740)과 회전캠(700)을 상호 연결하는 픽업 플레이트(720)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픽업 플레이트(720)의 상단부 측에는 롤러(7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750)는 픽업캠(740)의 곡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픽업 플레이트(720)의 상측 일정 지점 및 클러치 베이스(100)에는 스프링(73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스프링(730)의 탄성력에 의한 픽업 플레이트(720)의 작용에 의해 롤러(750)가 픽업캠(74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픽업캠(740)의 상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도어 구동 장치 측의 전원 차단시 롤러(750)가 임의적으로 유동되면서 카 도어 패널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클러치 베이스(100)의 타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 캠(200)이 설치되고, 고정 캠(200)과 무빙 캠(300) 사이에는 액츄에이터 캠(400)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액츄에이터 캠(400)의 상단부 측에는 그 정면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걸림 돌기(610)가 돌출 형성된 키퍼(600)가 형성된다. 키퍼(600)는 클러치 베이스(100)에 형성된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키퍼(600)의 전단부 측에는 절연체가 연장 형성된 후 은과 같은 전도체로 이루어진 접점(601)이 구비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 플레이트(20)에는 키퍼(600)와 대응되도록 대략 갈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500)가 구비되며, 후크(500)의 상부에는 키퍼(600)의 접점(601)과 선택적으로 접점 결합되도록 스위치부(60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엘리베이터 카가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는 카 도어 패널(10)이 폐쇄된 상태에서 고정 캠(200) 및 무빙 캠(300) 사이에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가 위치하게 되며, 액츄에이터 캠(400)에 결합된 키퍼(600)와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 플레이트(20)에 결합된 후크(500)는 상호 잠김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부(602)의 접점이 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카 도어 패널(10) 및 승장 도어 패널의 개방을 위해 도어 구동 장치(30)가 작동하게 되면, 카 도어 패널(10)과 함께 클러치 베이스(1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개시하게 되고, 이와 함께 고정 캠(200) 및 액츄에이터 캠(400)이 동시에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액츄에이터 캠(400)은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가압되고, 액츄에이터 캠(400)은 일시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게 된다. 액츄에이터 캠(400)이 일시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면, 액츄에이터 캠(40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키퍼(6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부(602)의 접점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픽업캠(7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롤러(750)는 픽업캠(60) 상단의 곡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픽업 플레이트(720)는 스프링(730)에 의해 하향 탄성력이 작용하여 하향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회전캠(7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캠(70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캠(700)의 요입홈(710)에 맞닿아 있는 무빙캠 롤러(31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무빙 캠(300)도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 캠(400)과 무빙 캠(300) 상호 간의 거리는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어 릴리즈 롤러(50)가 액츄에이터 캠(400)과 무빙 캠(300) 사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카 도어 패널(10) 및 클러치 장치(40)가 계속해서 우측 방향으로 개방 이동하게 되면,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가 액츄에이터 캠(400)과 무빙 캠(300) 사이에서 고정되어 함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장 도어 패널 또한 동시에 우측 방향으로 개방 이동하게 된다. 즉, 카 도어 패널(10)과 승장 도어 패널이 클러치 장치(40)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의 카 도어 패널(10) 및 승장 도어 패널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레벨존 위치에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카 도어 패널(10)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인위적으로 카 도어를 개방시켜 임의적으로 탈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의 지정된 레벨존 위치에 정지되지 않은 경우, 고정 캠(200)과 무빙 캠(300) 사이에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50)가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클러치 장치(40)의 고정 캠(200) 및 액츄에이터 캠(400)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개시하더라도, 액츄에이터 캠(400)이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가압 이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키퍼(600) 및 후크(5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객이 인위적으로 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다.
한편,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정전이나 고장 등의 다양한 이유로 도어 구동 장치(30)를 통한 카 도어 개방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는 탑승객에 의한 인위적인 카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 요원 등이 승장측에서 승장 도어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을 구출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에서는 승장 도어를 개방 작동시키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클러치 장치(40)의 키퍼(600)와 후크(5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키퍼(600) 및 후크(5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한 카 도어 패널 및 승장 도어 패널을 개방 작동시킬 수 없어 탑승객 구출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인 레벨존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을 수동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카 도어 패널(10) 또한 동시에 개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키퍼(60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걸림 해제 수단(80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걸림 해제 수단(8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800)은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의 정상 레벨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의한 릴리즈 롤러(50)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장치(40)의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키퍼(600)를 회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 레벨존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카 도어 개방이 불가능한 경우, 승장측에서 승장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해야 하는데, 이때, 승장 도어의 수동 개방 작업시 키퍼(600)의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키퍼(600)를 회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시 승장 도어 패널과 함께 릴리즈 롤러(50)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릴리즈 롤러(50)가 클러치 장치(40)의 무빙 캠(300)을 향해 이동하여 무빙 캠(300)을 가압하게 된다. 무빙 캠(300)은 릴리즈 롤러(50)의 가압에 따라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릴리즈 롤러(50)의 가압력을 통해 무빙 캠(300)을 이동시키고, 무빙 캠(300)의 이동에 의해 키퍼(600)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걸림 해제 수단(8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해제 수단(800)은,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무빙 캠(3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키퍼(6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8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810)의 타단은 키퍼(600)의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키퍼(600)와 액츄에이터 캠(400)이 연결된 지점과 반대 지점에서 키퍼(6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에 따라 릴리즈 롤러(5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릴리즈 롤러(50)가 무빙 캠(300)을 우측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고, 무빙 캠(300)의 이동력은 연결 부재(810)에 의해 키퍼(600)에 전달되어 키퍼(600)가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키퍼(600)의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 돌기(610)와 후크(50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그 이후 구간에서는 승장 도어 패널의 우측 방향 이동과 함께 카 도어 패널(10)이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함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동시에 개방된다.
이때, 연결 부재(8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링크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820)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링크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순한 1개의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연결 링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로프(820)의 경우에도 와이어 로프(820)가 무빙 캠(300)과 키퍼(600)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플레이트(720)의 일측을 중간 경유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810)의 형태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릴리즈 롤러(50)의 가압에 의한 무빙 캠(300)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키퍼(600)의 회전 이동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거나 또는 무빙 캠(300)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경우에만 키퍼(600)의 회전 이동이 일어나도록 하게 하는 등 다양한 기계 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걸림 해제 수단(800)은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따른 릴리즈 롤러(50)의 이동시 릴리즈 롤러(50)가 무빙 캠(300)을 가압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가압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릴리즈 캠(830)을 추가 구비하고, 릴리즈 캠(830)과 키퍼(600)를 별도의 연결 링크(840)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 해제 수단(800)은, 액츄에이터 캠(400)과 무빙 캠(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클러치 베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가압 이동하는 릴리즈 캠(830)과, 릴리즈 캠(830)의 이동에 연동하여 키퍼(600)가 회전 이동하도록 릴리즈 캠(830)과 키퍼(600)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무빙 캠(300)을 릴리즈 롤러(50)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기존의 무빙 캠(300) 관련 구성에 대한 설계 변경이 불필요하고, 별도의 릴리즈 캠(830)을 추가로 장착하여 걸림 해제 수단(800)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클러치 장치를 교체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걸림 해제 수단(800)을 추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릴리즈 캠(830)이 구비되어 릴리즈 롤러(50)에 의해 가압 이동하게 되므로, 키퍼(600)의 회전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도어 개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클러치 베이스
200: 고정 캠
300: 무빙 캠
400: 액츄에이터 캠
500: 후크
600: 키퍼
610: 걸림 돌기
700: 회전캠
800: 걸림 해제 수단
810: 연결 부재 820: 와이어 로프
830: 릴리즈 캠 840: 연결 링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연동하여 승장 도어 패널이 함께 개폐 작동하도록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승장 도어 패널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클러치 베이스;
    그 사이 공간에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고정 캠과 무빙 캠;
    상기 고정 캠과 무빙 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 도어 패널 이동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에 의해 일정 구간 가압 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캠;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캠의 가압 이동시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하는 키퍼; 및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의 정상 레벨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의한 상기 릴리즈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키퍼를 회전 이동시키는 걸림 해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시 상기 릴리즈 롤러가 상기 무빙 캠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릴리즈 롤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무빙 캠을 이동시키고 상기 무빙 캠의 이동에 의해 상기 키퍼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일단이 상기 무빙 캠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은 상기 키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키퍼와 액츄에이터 캠이 연결된 지점과 반대 지점에서 상기 키퍼와 연결되며,
    상기 키퍼는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무빙 캠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링크 플레이트 또는 와이어 로프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5. 별도의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연동하여 승장 도어 패널이 함께 개폐 작동하도록 상기 카 도어 패널과 승장 도어 패널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클러치 베이스;
    그 사이 공간에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고정 캠과 무빙 캠;
    상기 고정 캠과 무빙 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 도어 패널 이동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릴리즈 롤러에 의해 일정 구간 가압 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캠;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캠의 가압 이동시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회전하는 키퍼; 및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의 정상 레벨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의한 상기 릴리즈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와 후크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키퍼를 회전 이동시키는 걸림 해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해제 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 캠과 무빙 캠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러치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장 도어 패널의 수동 개방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릴리즈 롤러에 의해 가압 이동하는 릴리즈 캠; 및
    상기 릴리즈 캠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키퍼가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릴리즈 캠과 상기 키퍼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KR1020180106485A 2018-09-06 2018-09-06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KR10208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85A KR102086246B1 (ko) 2018-09-06 2018-09-06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85A KR102086246B1 (ko) 2018-09-06 2018-09-06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246B1 true KR102086246B1 (ko) 2020-03-06

Family

ID=6980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85A KR102086246B1 (ko) 2018-09-06 2018-09-06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155B1 (ko) 2020-08-24 2022-03-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클러치 장치
GB2617903A (en) * 2022-02-25 2023-10-25 G A L Mfg Company Llc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370A (ja) * 1993-03-16 1994-09-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外部開放装置
US20060225966A1 (en) * 2003-09-17 2006-10-12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r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KR100903971B1 (ko) * 2007-09-10 2009-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JP2011088720A (ja) * 2009-10-23 2011-05-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470880Y1 (ko) 2012-09-25 2014-01-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KR200482807Y1 (ko) * 2015-10-30 2017-03-07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370A (ja) * 1993-03-16 1994-09-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外部開放装置
US20060225966A1 (en) * 2003-09-17 2006-10-12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r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KR100903971B1 (ko) * 2007-09-10 2009-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JP2011088720A (ja) * 2009-10-23 2011-05-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470880Y1 (ko) 2012-09-25 2014-01-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KR200482807Y1 (ko) * 2015-10-30 2017-03-07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155B1 (ko) 2020-08-24 2022-03-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클러치 장치
GB2617903A (en) * 2022-02-25 2023-10-25 G A L Mfg Company Llc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6804517B2 (ja) ドア枠ロックを備えたエレベータかごドアインターロック
KR102561201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 인터로크
JP6827844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扉の開錠システム
EP1886963A2 (en) Car door lock
KR100903971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660515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CN109573796B (zh) 机械井道入口控制装置
CN108263937B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CN110217674A (zh) 电梯的电梯进入系统
JP424537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3423391B1 (en) Elevator system landing door unlocking mechanism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EP3328777A1 (en) Lock strike plate provided with an emergency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comprising said lock strike plate
KR200470880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18620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JP2011152979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2094885B1 (ko)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