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21Y1 -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21Y1
KR200489421Y1 KR2020180003671U KR20180003671U KR200489421Y1 KR 200489421 Y1 KR200489421 Y1 KR 200489421Y1 KR 2020180003671 U KR2020180003671 U KR 2020180003671U KR 20180003671 U KR20180003671 U KR 20180003671U KR 200489421 Y1 KR200489421 Y1 KR 200489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lever
interlock lev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3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17/2092Means responsive to tampering or attack providing additional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걸리는 잠금 위치와 인터락 레버로부터 이격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잠금쇠; 상기 도어 잠금쇠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잠금 레버;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도어 잠금쇠에 대해 수평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잠금쇠의 동작을 구동하는 잠금 구동부;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잠금 구동부에 대해 수직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쇠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상기 잠금 구동부와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가 잠금 구간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 및,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와 상기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구 일측에서 방폭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산업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vertical door locking apparatus of explosion proof freight elevator}
본 고안은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산업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엘리베이터)란 빌딩, 아파트, 백화점, 선박 등에서 위와 아래, 즉 수직 상하 방향으로 사람 또는 동물, 물건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 승강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탑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모터부와 권상기 및 로프, 풀리 등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커 카를 승객이나 작업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 또는 작업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승강기의 출입구 측에는 승강기 도어가 설치되고, 이러한 승강기 도어는 상하로 개폐되는 수직형 도어와 좌우로 개폐되는 수평형 도어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기 도어에는 외부로부터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승강기 도어가 무분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06064호(2010년12월2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는 폭발 위험에 대한 방폭 구조가 별도로 갖춰지지 않아 지진이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06064호(2010년12월29일자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구 일측에서 방폭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지진이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산업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걸리는 잠금 위치와 인터락 레버로부터 이격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잠금쇠; 상기 도어 잠금쇠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잠금 레버;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도어 잠금쇠에 대해 수평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잠금쇠의 동작을 구동하는 잠금 구동부;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잠금 구동부에 대해 수직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쇠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상기 잠금 구동부와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가 잠금 구간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 및,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와 상기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및 상기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는 방폭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잠금쇠는 잠금 위치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측면 상 7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이내로 맞물림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구 일측에서 방폭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산업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의 도어 잠금쇠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의 도어 잠금쇠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가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의 도어 잠금쇠가 잠금 위치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걸려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0)와, 도어 잠금쇠(120)와, 잠금 레버(130)와, 잠금 구동부(140)와,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와,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10)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도어 잠금쇠(120)는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서 수직도어(10)의 인터락 레버(11)에 걸리는 잠금 위치(도 1 및 도 6 참고)와 인터락 레버(11)로부터 이격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도 2 참고)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른 잠금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수직도어(10)의 개방이 억제되는 잠금 상태와 수직도어(10)의 개방이 허용되는 잠금 해제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어 잠금쇠(120)는 잠금 위치에서 수직도어(10)의 인터락 레버(11)에 측면 상 7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이내로 맞물림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10)의 개방이 금지된 잠금 위치에서는 수직도어(10)를 강제로 개방하려고 해도 도어 잠금쇠(120)가 인터락 레버(11)에 맞물린 상태가 충분히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도어(10)의 강제 개방 시도시에도 안전하게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화물용 승강기에서의 안전사고가 확실히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레버(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쇠(120)가 단부에 구비되며,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30)의 중간 부분에는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에 연동 되어 작동되는 롤러부(131)가 구비된다.
잠금 구동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30)에서 도어 잠금쇠(120)에 대해 수평 반대편에 연결되어 도어 잠금쇠(120)의 잠금 위치로의 이동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과 같은 왕복 동작을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잠금 구동부(140)는 에폭시 몰딩 솔레노이드 코일을 갖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의 간편한 제어에 의해 도어 잠금쇠(120)의 왕복 구동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구동부(140)에 의해 도어 잠금쇠(120)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잠금 레버(130)에서 잠금 구동부(140)에 대해 수직 반대편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를 통한 감지에 의해 도어 잠금쇠(120)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된 것으로 제어부(170)가 판단하면 일정한 시간이 경과 된 후(예컨대, 대략 1.9초 정도), 제어부(170)는 수직도어(10)의 개폐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수직도어(10)가 상승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도어(10)의 인터락 레버(11)가 잠금 구간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잠금 구동부(140)와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의 사이에 구비된다.
즉,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의 단부에는 롤러부(1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 링크(161)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수직도어(10)의 상승 개방 후 인터락 레버(11)가 잠금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의 회로가 개방되어 제어부(170)는 일정시간(예컨대, 대략 1초 정도) 경과 된 후, 잠금 구동부(140)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잠금 구동부(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 잠금쇠(120)가 다시 잠금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 및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는 방폭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 및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가 방폭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폭발 위험 지역에서의 도어 안전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150)와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16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잠금 구동부(140)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구 일측에서 방폭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상하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구간에서만 안전하게 개방되고 잠금 구간에서는 확실히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산업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쇠(120)에 걸리게 되어 수직도어(10)의 개방이 억제되도록 하는 인터락 레버(11)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장치 본체 120 : 도어 잠금쇠
130 : 잠금 레버 140 : 잠금 구동부
150 :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160 :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
170 : 제어부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며,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걸리는 잠금 위치와 인터락 레버로부터 이격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잠금쇠;
    상기 도어 잠금쇠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잠금 레버;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도어 잠금쇠에 대해 수평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잠금쇠의 동작을 구동하는 잠금 구동부;
    상기 잠금 레버에서 상기 잠금 구동부에 대해 수직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 잠금쇠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상기 잠금 구동부와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가 잠금 구간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 및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와 상기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 개방 감지부 및 상기 도어 인터락 레버 잠금 위치 감지부는 방폭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쇠는 잠금 위치에서 수직도어의 인터락 레버에 측면 상 7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이내로 맞물림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KR2020180003671U 2018-08-08 2018-08-08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KR200489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71U KR200489421Y1 (ko) 2018-08-08 2018-08-08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71U KR200489421Y1 (ko) 2018-08-08 2018-08-08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21Y1 true KR200489421Y1 (ko) 2019-06-17

Family

ID=6700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71U KR200489421Y1 (ko) 2018-08-08 2018-08-08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4536A (zh) * 2010-01-28 2010-06-16 允成机电科技(上海)有限公司 垂直滑动门电梯门锁装置
KR101006064B1 (ko) 2007-11-22 2011-01-06 정만수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4B1 (ko) 2007-11-22 2011-01-06 정만수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
CN101734536A (zh) * 2010-01-28 2010-06-16 允成机电科技(上海)有限公司 垂直滑动门电梯门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4412B1 (ja) 点検蓋の開閉制御システム
EP1886963B1 (en) Elevator car door lock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10710843B2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KR100903971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JPWO20060979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WO20051029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KR200489421Y1 (ko)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CN109906196B (zh) 电梯轿厢及电梯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JP424537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JP656771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JP2009202996A (ja) 荷物用エレベータの台車停止装置
EP3434638A1 (en)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WO201202599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12471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CN111099470B (zh) 电梯系统
KR1018620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JP503370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980017B2 (ja) エレベータドア引き込まれ警報装置
JP200410702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