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495B1 - 승장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승장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495B1
KR101220495B1 KR1020100091674A KR20100091674A KR101220495B1 KR 101220495 B1 KR101220495 B1 KR 101220495B1 KR 1020100091674 A KR1020100091674 A KR 1020100091674A KR 20100091674 A KR20100091674 A KR 20100091674A KR 101220495 B1 KR101220495 B1 KR 10122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oarding
interlock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702A (ko
Inventor
양태준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개폐되는 제 1 승장 도어 및 제 2 승장 도어, 제 1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1 행거 플레이트, 제 2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2 행거 플레이트, 승강로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고, 일면에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행거 레일이 결합된 헤더케이스, 헤더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 1 걸림쇠 및 제 2 걸림쇠, 및 각각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체결을 통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걸쇠의 위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회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가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승장 도어 잠금 장치{APPARATUS FOR ROCKING OF ELEVATOR HATCH DOOR}
본 발명은 승장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elevator-car)의 도착 시에만 승장 도어가 개폐되도록 승장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카를 호출하면, 해당 승강층으로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개폐된다. 이때, 각 승강층의 승강구에는 엘리베이터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장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승장 도어 장치는 양측으로 동작하여 개폐되는 승장 도어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 이외의 상황에서 승장 도어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추락 또는 발 끼임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승장 도어 장치에서는 양측 승장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가 동작하면 나머지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승장 도어 장치에서는 양측 승장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에 대해서만 잠금 처리하고, 나머지 하나의 승장 도어는 상기 연동에 따라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처럼 양측 승장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의 잠금 처리에 의해 나머지 승장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두 승장 도어의 연동을 제어하는 부재의 훼손 또는 고장 발생 시 닫힘 상태를 유지 중인 승장 도어의 이탈 및 개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승장 도어 장치에서 엘리베이터카의 도어 개폐 시에만 연동되어 동작하고, 평소에는 승장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양측 승장 도어를 모두 잠금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엘리베이터카의 도어 움직임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장 도어 장치의 양측 승장 도어를 모두 닫힘 상태로 잠금 처리할 수 있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잠금 상태의 양측 승장 도어가 승강구의 중앙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승장 도어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측 승장 도어가 각각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개폐되는 제 1 승장 도어 및 제 2 승장 도어; 상기 제 1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1 행거 플레이트; 상기 제 2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2 행거 플레이트; 승강로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행거 레일이 결합된 헤더케이스; 상기 헤더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 1 걸림쇠 및 제 2 걸림쇠; 및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체결을 통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의 위치가 상기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회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가 결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양측 승장 도어에 모두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양측 승장 도어의 연동 제어 부재의 훼손 및 고장 발생 시에도 승장 도어를 안전하게 잠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양측 승장 도어가 각각 헤더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잠금 처리함으로써, 승장 도어의 위치 이탈에 의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양측 승장 도어에 대해 각각 닫힘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도어 클로져에 의해 양측 승장 도어에 설치된 잠금 부재와 헤더케이스에 설치된 잠금 부재 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으며 승장 도어 사이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양측 승장 도어가 각각 엘리베이터카의 카 도어벤에 의해 개폐 동작함으로써, 종래의 승장 도어 간 연동 제어 부재의 훼손 또는 고장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 원인을 제거하였으며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승장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 승장 도어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 승장 도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 승장 도어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를 포함하는 승장 도어 장치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는, 제 1 승장 도어(10), 제 2 승장 도어(11), 도어 슈(13), 승장 실(sill)(14), 제 1 행거 플레이트(30), 제 2 행거 플레이트(31), 제 1 행거 롤러(32, 34), 제 2 행거 롤러(33, 35), 제 1 도어 클로져(36), 제 2 도어클로져(37), 헤더케이스(40), 행거 레일(41) 및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 케이스 역할을 하는 헤더케이스(40)는 엘리베이터카(미도시)가 운행되는 승강로의 내부 측 일면에 설치되며, 각 승강층의 승강구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헤더케이스(40)의 일면에는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행거 레일(41)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제 1 승장 도어(10)의 상부에 제 1 행거 플레이트(30)가 결합되고, 및 제 2 승장 도어(101)의 상부에 제 2 행거 플레이트(31)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31)는 각각 제 1 행거 롤러(32, 34), 제 2 행거 롤러(33, 35)를 통해 행거 레일(41) 상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는 엘리베이터카(미도시)의 도어 움직임과 연동되어 개폐되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아 움직여 개폐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01)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도어 클로져(36, 37)가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어 클로져(36)의 일단은 제 1 승장 도어(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도어 클로져(37)의 일단은 제 2 승장 도어(20)에 고정되고 타단은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도어 클로져(36, 37)는 탄성체(예를 들어, 스프링)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가 각각 닫힘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의 하부에는 도어 슈(13)가 체결되어 있으며, 도어 슈(13)는 승장 실(sill)(14)의 홈을 타고 결합되는 구조이다. 참고로, 도어 슈(13)는 충격 흡수용 부재일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의 이동 시 미끄럼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승장 실(14)은 제 1 승장 도어(10) 및 제 2 승장 도어(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한다.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 승장 도어를 모두 잠금 처리하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카(미도시)의 양측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도 연동하여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미도시)에서는 기설정된 승강층에 엘리베이터카가 도착된 후, 엘리베이터카의 모터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의 도어의 구동력에 의한 개/폐 움직임에 연동하여 승장 도어가 개/폐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의 개/폐 동작 및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장치에서 승장 도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인터록 본체부(101, 102), 걸쇠(103, 104), 도어 접점부(105, 106), 제 1 인터록 롤러(107, 108), 제 2 인터록 롤러(109, 110), 걸림쇠(113, 114) 및 스위치(115, 116)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제 1 승장 도어(10)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로써, 인터록 본체부(101), 걸쇠(103), 도어 접점부(105), 걸림쇠(113), 제 1 인터록 롤러(107), 제 2 인터록 롤러(109), 및 스위치(115)를 포함한다. 또한,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제 2 승장 도어(11)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로써, 인터록 본체부(102), 걸쇠(104), 도어 접점부(106), 걸림쇠(114), 제 1 인터록 롤러(108), 제 2 인터록 롤러(110), 및 스위치(16)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승장 도어(10)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와 제 2 승장 도어(11)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의 구성 및 동작은 헤더케이스(40)의 중앙부를 기준축으로 하여 대칭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의 구성 및 잠금 동작에 대해서 제 1 승장 도어(10)에 상응하는 구성 및 잠금 동작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제 2 승장 도어(11)에 상응하는 구성 및 잠금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의 (a)에서는, 인터록 본체부(101), 걸쇠(103), 도어 접점부(105), 제 1 인터록 롤러(107), 및 제 2 인터록 롤러(109)가 제 1 행거 플레이트(30)의 일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걸림쇠(113) 및 스위치(115)가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인터록 본체부(101)의 일단에는 걸쇠(103)가 결합되어 있으며, 인터록 본체부(101)의 일면에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107, 109)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걸쇠(103)는 인터록 본체부(101)로부터 헤더케이스(4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걸쇠(103)의 종단에는 도어 접점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쇠(103)의 길이는 승장 도어의 닫힘 시 헤더케이스(40)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쇠(113)에 걸릴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쇠(103)는 걸림쇠(113)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이다.
걸림쇠(113)는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되어 있으며, 승장 도어의 닫힘 시 걸쇠(103)가 걸려 잠기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에서는 걸림쇠(113)가 헤더케이스(40)의 중앙부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걸림쇠(113)는 걸쇠(103)가 걸릴 수 있도록 헤더케이스(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스위치(115)는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되어 있으며, 승장 도어의 닫힘 시 걸쇠(103)의 일단에 형성된 도어 접점부(105)와 접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115)와 도어 접점부(105)의 접속 여부에 따라 승장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15)는 걸림쇠(113)를 포함하는 걸림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는 헤더케이스(4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는, 제 1 승장 도어(10)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인 걸림쇠(113)와 제 2 승장 도어(11)를 잠금 처리하는 부재인 걸림쇠(114)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제 1 승장 도어(10)의 닫힘을 확인하는 스위치(115)와 제 2 승장 도어(10)의 닫힘을 확인하는 스위치(116)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에서 인터록 본체부(101)는 제 1 행거 플레이트(3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의 인터록 본체부(102)는 제 2 행거 플레이트(31)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시스템(미도시)에서는 설정된 목적층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카(미도시)가 목적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의 양측 도어에는 각각 카 도어벤(80, 81)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가 해당 승강층에 도착하면 카 도어벤(80, 81)은 해당 승강층에 설치된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의 제 1 인터록 롤러(107, 108) 및 제 2 인터록 롤러(109, 110)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 도어벤(80, 81)의 움직임 시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30, 31)가 연동하여 움직이며,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가 열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양쪽 승장 도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카 도어벤(80)의 움직임에 따라 카 도어벤(80)과 제 1 인터록 롤러(107)가 접하게 된다. 그런 후, 카 도어벤(80)이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인터록 롤러(107)가 승장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면, 제 2 인터록 롤러(109)의 회동 움직임에 의해 걸쇠(103)가 걸림쇠(113)로부터 체결 분리되어 제 1 승장 도어(1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즉, 도 2 및 도 3의 (b)에서와 같이, 인터록 본체부(10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쇠(103)가 걸림쇠(113)의 높이를 초과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된다.
이때, 인터록 본체부(101)가 결합되어 있는 제 1 행거 플레이트(30)가 카 도어벤(80)의 움직임에 연동하게 되어 제 1 승장 도어(10)가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카 도어벤(81)의 움직임에 따라 카 도어벤(81)과 제 1 인터록 롤러(108)가 접하게 된다. 그런 후, 카 도어벤(81)이 엘리베이터카의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인터록 롤러(108)가 승장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면, 제 2 인터록 롤러(110)의 회동 움직임에 의해 걸쇠(104)가 걸림쇠(114)로부터 체결 분리되어 제 2 승장 도어(1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즉, 도 2 및 도 3의 (b)에서와 같이, 인터록 본체부(10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쇠(104)가 걸림쇠(114)의 높이를 초과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된다.
이때, 인터록 본체부(102)가 결합되어 있는 제 2 행거 플레이트(31)가 카 도어벤(81)의 움직임에 연동하게 되어 제 2 승장 도어(11)가 열리게 된다.
반대로, 엘리베이터카가 정차되어 있던 승강층에서 출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닫으면 카 도어벤(80, 81)이 각각 엘리베이터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카 도어벤(80, 81)과 연동되어 있는 제 1 인터록 롤러(107, 108) 및 제 2 인터록 롤러(109, 110)에 의해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도 닫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양쪽 승장 도어가 닫힌 후 양쪽 승장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 도어벤(80, 81)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종 닫힘 위치에 오면, 카 도어벤(80, 81)은 제 1 인터록 롤러(107, 108) 및 제 2 인터록 롤러(109, 110)의 사이 중심에 위치하게 되어 제 1 인터록 롤러(107, 108) 및 제 2 인터록 롤러(109, 110)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걸쇠(103, 104)는 자체 무게에 의해 걸림쇠(113, 114)의 방향으로 하강하여, 각각 걸림쇠(113, 114)에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걸쇠(103, 104)가 각각 걸림쇠(113, 114)의 상부 방향에서 하강하여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걸쇠(103, 104)가 각각 걸림쇠(113, 114)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걸쇠(103, 104)의 헤더케이스 중심 방향 앞면과 걸림쇠(113, 114)의 상부 일측면은 서로 미끄럼 체결이 용이하도록 굴곡지거나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종 닫힘 위치는 카 도어벤(80, 81)의 힘이 미치지 않는 위치이다. 이때, 도어 클로져(36, 37)의 닫힘 방향 탄성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가 닫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완벽히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걸쇠(103, 104)가 각각 걸림쇠(113, 114)에 완벽하게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양쪽 승장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출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종래의 승장 도어 장치에서 양쪽 승장 도어의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로프(미도시)의 마모에 의한 끊어짐 또는 연동로프 고정용 볼트 체결 풀림 등에 의한 고장 상태가 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한 구조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에 의해 승장 도어 닫힘 시 양쪽 승장 도어가 모두 헤더케이스(40)에 고정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카가 출발한 후 어느 한쪽 승장 도어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장 도어의 위치가 설정된 중앙부에서 이탈되어 승장 도어 사이 또는 승강구와 승장 도어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상황 등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장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10, 11)가 각각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써 간단한 구성으로써 승장 도어의 동작 및 잠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승장 도어 잠금 장치 101, 102: 인터록 본체부
103, 104: 걸쇠 105, 106: 도어 접점부
113, 114: 걸림쇠 115, 116: 스위치
107, 108: 제 1 인터록 롤러 109, 110: 제 2 인터록 롤러
10: 제 1 승장 도어 11: 제 2 승장 도어
13: 도어 슈 14: 승장 실
30: 제 1 행거 플레이트 31: 제 2 행거 플레이트
32, 34: 제 1 행거 롤러 33, 35: 제 2 행거 롤러
36, 37: 도어 클로져 40: 헤더케이스
41: 행거 레일

Claims (8)

  1. 승장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개폐되는 제 1 승장 도어 및 제 2 승장 도어;
    상기 제 1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1 행거 플레이트;
    상기 제 2 승장 도어의 상부 면에 결합된 제 2 행거 플레이트;
    승강로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행거 레일이 결합된 헤더케이스;
    상기 헤더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 1 걸림쇠 및 제 2 걸림쇠; 및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행거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와의 체결을 통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의 위치가 상기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를 회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는 엘리베이터카의 도어에 설치된 카 도어벤이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것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는 엘리베이터카 도어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일단이 상기 헤더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 1 및 제 2 도어 클로져를 더 포함하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록 본체부의 각 일단으로부터 상기 헤더케이스 중심 방향으로 상기 걸쇠가 각각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갖는 승장 도어 잠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제 1 및 제 2 걸림쇠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태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는 상기 헤더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상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가 닫히는 방향을 향한 일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의 상기 제 1 및 제 2 승장 도어가 열리는 방향을 향한 일면은 서로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상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는 승장 도어 개폐 판단용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걸쇠의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쇠 방향 일단에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각각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도어 접점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20100091674A 2010-09-17 2010-09-17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122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74A KR101220495B1 (ko) 2010-09-17 2010-09-17 승장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74A KR101220495B1 (ko) 2010-09-17 2010-09-17 승장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702A KR20120029702A (ko) 2012-03-27
KR101220495B1 true KR101220495B1 (ko) 2013-01-10

Family

ID=4613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74A KR101220495B1 (ko) 2010-09-17 2010-09-17 승장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8115B (zh) * 2012-06-19 2014-02-12 苏州汾湖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机
ITMI20130804A1 (it) * 2013-05-16 2014-11-17 Astra S R L Dispositivo di bloccaggio e chiusura/apertura di una porta di piano di un impianto di ascensore.
KR101870360B1 (ko) * 2017-01-20 2018-07-20 (주)서광 롤러타입의 승강기 카 도어 록킹장치
KR102351011B1 (ko) 2019-11-18 2022-01-13 김미희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잠금장치
KR102225597B1 (ko) 2020-11-11 2021-03-1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산업 위급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방 장치
KR102232574B1 (ko) 2020-11-20 2021-03-26 주식회사 명원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2260978B1 (ko) 2020-12-09 2021-06-04 이연근 비상시 도어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KR102281527B1 (ko) 2020-12-14 2021-07-23 이경은 정전시 카도어를 개방하는 클러치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85A (ja) * 1993-02-05 1994-08-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解錠部の異物検出装置
JPH08165080A (ja) * 1994-12-09 1996-06-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77180A (ja) 1996-09-05 1998-03-24 Toshiba Elevator Eng Kk エレベータの乗場戸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85A (ja) * 1993-02-05 1994-08-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解錠部の異物検出装置
JPH08165080A (ja) * 1994-12-09 1996-06-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77180A (ja) 1996-09-05 1998-03-24 Toshiba Elevator Eng Kk エレベータの乗場戸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702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US9656835B2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JPWO20060979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66533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CN110799440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6068602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JP2766410B2 (ja) エレベータ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JP531971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20200129513A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CN109850731B (zh) 电梯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WO2022091307A1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H0429239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KR102511910B1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추락 및 처짐방지용 랙-기어형 제동시스템
JP6626932B1 (ja) 戸開走行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