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74B1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2574B1 KR102232574B1 KR1020200156563A KR20200156563A KR102232574B1 KR 102232574 B1 KR102232574 B1 KR 102232574B1 KR 1020200156563 A KR1020200156563 A KR 1020200156563A KR 20200156563 A KR20200156563 A KR 20200156563A KR 102232574 B1 KR102232574 B1 KR 102232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locking
- rod
- closing
-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정상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는 개폐 도어를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없도록 하고, 화재, 정전 등에 의하여 층과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를 쉽고 빠르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걸림 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록킹 로드를 사용자가 잡아당김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걸림 블록을 가압부 및 안착부의 사이로부터 이탈시켜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탑승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는 각 층마다 설치된 층별도어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포함하고, 개폐 도어는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여 개폐된다.
등록특허 제10-1727187호,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등록일 : 2017년 4월 10일)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중에 도어를 잠김 상태로 유지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는 층별도어와 연동하는 베인과 연동하여 잠금 유닛이 개폐 도어를 록킹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베인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전 또는 화재가 발생될 경우 탑승자가 강제로 개폐 도어를 개방할 수 없어 내부에 고립되어 오히려 인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정상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는 개폐 도어를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없도록 하고, 화재, 정전 등에 의하여 층과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를 쉽고 빠르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카(10)에 결합되는 승강카패널(1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카(10)의 개폐 도어(14,15)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 및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벨트(23)를 포함한 구동유닛(20); 상기 개폐 도어(14,15) 중의 하나에 구비되어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층별도어와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 도어(14,15)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패널(12,13)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 작동 전후에 상기 가이드벨트(23)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56)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의 전면에 결합되는 회동링크(53,54) 상에 폭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인(5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폐유닛(50); 상기 개폐유닛(50)이 장착되는 일측의 개폐 도어(14)의 상단에 타측 개폐 도어(15)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태의 가이드부(60), 상기 가이드부(60)에 대응되어 타측 개폐 도어(15)의 상단측에 일측의 개폐 도어(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60)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70)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70)에 접촉되는 가압부(85)를 포함하며 위급 상황에서 탑승자가 상기 개폐 도어(14,15)를 개방하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카(10)에 결합되는 승강카패널(1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카(10)의 개폐 도어(14,15)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 및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벨트(23)를 포함한 구동유닛(20); 상기 개폐 도어(14,15) 중의 하나에 구비되어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층별도어와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 도어(14,15)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패널(12,13)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 작동 전후에 상기 가이드벨트(23)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56)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의 전면에 결합되는 회동링크(53,54) 상에 폭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인(5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폐유닛(50); 상기 개폐유닛(50)이 장착되는 일측의 개폐 도어(14)의 상단에 타측 개폐 도어(15)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태의 가이드부(60), 상기 가이드부(60)에 대응되어 타측 개폐 도어(15)의 상단측에 일측의 개폐 도어(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60)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70)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70)에 접촉되는 가압부(85)를 포함하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60)는 상면에 일정 곡률로 연장된 유도면(62) 및 상기 유도면(62)과 연결된 안착부(64)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개폐 도어(15)에 고정된 힌지축(71)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 로드(72), 상기 제1 로드(72)에 끼워지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73a)이 형성된 제2 로드(73), 상기 제1 로드(7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고정되며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74),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64)에 안착되는 걸림 블록(75), 상기 걸림 블록(75)을 관통하며 단부가 가압부(85)의 하면에 선단이 접촉 또는 분리되는 록킹 로드(76), 상기 록킹 로드(76)의 후단에 결합된 가동판(77), 상기 제2 로드(73) 상에 고정되며 개구가 형성된 고정판(78), 상기 가동판(77) 및 상기 고정판(78)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8a), 상기 록킹 로드(76)의 단부에 결합되며 스프링(78a), 상기 고정판(78)의 상기 개구 및 상기 제2 로드(73)의 관통홀(73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와이어(79) 및 상기 와이어(79)의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8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카(10)가 정상 작동될 때, 상기 가압부(85)는 상기 안착부(64) 상에 상기 걸림 블록(7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걸림 블록(75)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록킹 로드(76)의 상면에 접촉되어 탑승자에 의한 상기 잠금 유닛(90)의 이탈을 방지하며, 위급 상황시 탑승자는 상기 개폐 도어(14,15)들 사이를 상기 탄성 부재(74)의 변위 만큼 이격시킨 후 이격된 상기 개폐 도어(14,15)들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80)를 아래로 잡아 당겨 상기 와이어(79)가 당겨지면 상기 록킹 로드(76)가 후퇴하여 상기 가압부(85) 및 상기 록킹 로드(76)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 블록(75)이 상기 가이드부(60)의 안착부(64) 및 상기 가압부(85)의 사이로부터 분리되며 탑승자가 상기 개폐 도어(14,15)를 양쪽으로 밀어 상기 개폐 도어(14,15)를 개방시킨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의 상기 제2 로드(73) 상에는 상기 와이어(79)가 상기 관통홀(73a)에 의하여 형성된 제2 로드(73)의 내측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79)를 가이드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부재(81)가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의 상기 가압부(85)와 접촉되는 록킹 로드(76)의 선단이 상기 가압부(8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록킹 로드(76)의 선단은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76a)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76a)와 대응하는 상기 걸림 블록(75)에는 상기 절곡부(76a)를 수용하는 수용홈(75a)이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의 상기 절곡부(76a)는 하부를 향해 곡선 형태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부(76a)와 접촉되는 상기 가압부(85)의 모서리에는 상기 절곡부(76a)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모따기부(85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는 정상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는 개폐 도어를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없도록 하고, 화재, 정전 등에 의하여 층과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를 쉽고 빠르게 개방함으로써 인명 피해 또는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위급 상황에서 층과 층 사이에 정지된 상태에서 개폐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위급 상황에서 층과 층 사이에 정지된 상태에서 개폐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100)는 구동 유닛(20), 개폐 유닛(50) 및 잠금 유닛(90)을 포함한다.
개폐유닛(50) 및 잠금유닛(90)은 승강카(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승강카 패널(11) 및 도어패널(12,13)에 각각 연결되고, 승강카 패널(11) 상에는 개폐유닛(50) 및 잠금유닛(9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20)이 결합된다.
구동유닛(20)은 구동모터(21) 및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개폐 도어(14,15)의 개폐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벨트(23)를 포함한다.
승강카 패널(11)에는 도어 밸트(24)가 형성되는데, 도어 밸트(24)는 가이드벨트(23)의 하부에 가이드벨트(23)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개폐 도어(14,15)의 각각의 상단에는 패널 형태를 갖는 도어패널(12,13)이 결합되며, 각 도어패널(12,13)은 도어밸트(24)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데, 도어밸트(24)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 패널(12,13)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깝게 이동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개폐유닛(50)은 개폐 도어(14,15)의 개방 작동시에 층별도어(미도시)를 그립(grip)하여 개방하도록 일측 개폐 도어(14)에 결합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베인(51,52)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베인(51,52)들의 가운데 부분에는 일자 형상을 갖는 회동링크(53)가 결합되고, 한 쌍의 베인(51,52)의 상단에는 T자 형상을 갖는 T형 회동링크(54)가 결합된다.
한 쌍의 베인(51,52)은 구동유닛(20)의 구동에 따라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도어(14)의 상단에 위치되는 도어패널(12)에는 도어 패널(12)의 상부로 돌출되는 베인 브라켓이 결합되고, 베인 브라켓에는 하단이 가이드벨트(23)에 연결된 슬라이드블록(56)이 결합되며, 슬라이드블록(56)의 전면에는 T형 회동링크(54)의 상단이 결합되는 회동축(57)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블록(56)이 가이드벨트(230)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T형 회동링크(54)가 회동되면서 베인(51,52)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거나 넓어진다.
도 3은 도 2의 잠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잠금유닛(90)은 가이드부(60), 걸림부(70) 및 가압부(85)를 포함한다.
가이드부(60)는 일측 개폐 도어(14)의 도어 패널(12)에 고정되며, 가이드부(60)는 타측 개폐 도어(15)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60)의 상면에는 일정 곡률을 갖는 유도면(62)이 형성되고, 유도면(62)과 연결되는 가이드부(60)의 상면에는 오목한 원호 형상을 갖는 안착부(64)가 형성된다.
유도면(62)은 후술될 걸림부(70)를 안착부(64)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안착부(64)는 후술될 걸림부(7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된다.
걸림부(70)는 타측의 개폐 도어(15)의 상단측에 결합되며, 걸림부(70)는 일측의 개폐 도어(14)를 향해 돌출된다.
걸림부(70)는 가이드부(60)에 안착되며, 걸림부(70)는 후술될 가압부(85)에 의하여 가이드부(60)에 록킹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부(70)는 힌지축(71), 제1 로드(72), 제2 로드(73), 탄성 부재(74), 걸림 블럭(75), 록킹 로드(76), 가동판(77), 고정판(78), 스프링(78a), 와이어(79) 및 손잡이(8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걸림부(70)는 롤러 부재(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71)은 도어 패널(13)에 고정되며, 힌지축(71)은 도어 패널(13)에 대하여 회동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제1 로드(72)는 막힌 일측 단부를 갖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제1 로드(72) 중 막힌 일측 단부에는 힌지축(71)이 결합된다.
제2 로드(73)는 제1 로드(72)의 중공에 끼워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로드(73)는 제1 로드(72)의 중공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된다.
제2 로드(73)에는 제2 로드(73)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73a)이 형성된다.
제1 로드(72)의 중공에는 탄성 부재(74)가 삽입되는데, 탄성 부재(74)의 일측 단부는 제1 로드(72)의 막힌 단부에 결합되고, 탄성 부재(74)의 타측 단부는 제2 로드(73)의 단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74)의 변위는 약 10cm 내지 15cm이며, 탄성 부재(74)에 의하여 탑승자는 개폐 도어(14,15)들을 약 10cm 내지 약 15cm 정도만 벌릴 수 있게 된다.
걸림 블록(75)은 제2 로드(7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 블록(75)은, 예를 들어, 후박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 블록(75)의 원주면(또는 외측면)은 앞서 설명한 안착부(64)에 안착된다. 걸림 블록(75)에는 걸림 블록(75)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록킹 로드(76)는 걸림블록(75)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록킹 로드(76)의 선단 및 후단은 각각 걸림 블록(75)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걸림 블록(75)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로드(76)의 선단은 후술될 가압부(85)의 하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가압부(85)와 접촉되는 록킹 로드(76)의 선단이 가압부(85)의 하면과 접촉되지 않고 가압부(85)의 측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 로드(76)의 선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부(76a)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곡부(76a)는 하부를 향해 곡선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절곡부(76a)와 대응하는 걸림 블록(75)의 외측면(또는 원주면)에는 절곡부(76a)를 수용하는 오목한 수용홈(75a)이 형성된다. 수용홈(75a)은 록킹 로드(76)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연결된다.
걸림 블록(75)에 형성된 수용홈(75a)의 깊이는 록킹 로드(76)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비상 상황에서 록킹 로드(76)가 후진될 때 록킹 로드(76)가 가압부(8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가동판(77)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동판(77)은 록킹 로드(76)의 후단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며, 가동판(77)은 록킹 로드(76)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된다. 가동판(77)은 록킹 로드(76)를 관통하며, 가동판(77)은 록킹 로드(76)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판(78)은 제2 로드(73) 상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며, 고정판(78)은 가동판(77)과 일정 간격 이격 및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고정판(78)에는 록킹 로드(76)의 후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술될 와이어(79)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스프링(78a)은 가동판(77) 및 고정판(78)의 사이에 배치되며, 스프링(78a)은 가동판(77) 및 고정판(78)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가동판(77)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79)는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와이어(79)의 일측 단부는 록킹 로드(76)의 후단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와이어(79)의 타측 단부는 고정판(78)의 개구 및 제2 로드(73)의 관통홀(73a)을 통과한다.
손잡이(80)는 관통홀(73a)을 통과한 와이어(79)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손잡이(80)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와이어(79)를 쉽고 강하게 하부로 당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정판(78)을 통과한 와이어(79)가 곧바로 제2 로드(73)의 관통홀(73a)로 제공될 경우 와이어(79)가 제2 로드(73)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탑승자가 와이어(79)를 당기기 어렵고 와이어(79)의 절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로드(73)의 상면 중 관통홀(73a)과 인접한 위치에는 와이어(79)를 가이드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부재(8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잠금 유닛(90)의 가압부(85)는 걸림부(70)의 걸림 블록(75)이 안착부(64)에 안착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하여 강제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블록(75)를 록킹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85)는 앞서 설명한 슬라이드블록(56)에 결합되며, 가압부(85)는 막대 형상 또는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85)가 슬라이드블록(56)에 결합되기 때문에 가압부(85)는 슬라이드 블록(56)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변위로 움직인다.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14,15)가 닫힌 상태일 경우 걸림부(70)의 걸림 블록(75)은 안착부(64)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부(85)는 전진하여 가압부(85)의 하면은 걸림 블록(75)에 형성된 록킹 로드(76)의 상면과 접촉된다.
가압부(85)가 록킹 로드(76)와 접촉될 경우 걸림부(79)는 가이드부(60) 및 가압부(85)에 의하여 록킹되어 개폐 도어(14,15)는 열리지 않고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록킹 로드(76)의 절곡부(76a)와 접촉되는 가압부(85)의 모서리에는 모서리가 절곡부(76a)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걸림 블록(75)이 가압부(85) 및 안착부(64)의 사이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모따기부(85a)가 형성된다.
이하, 도 2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가 록킹된 것을 설명하고, 도 4 및 도 5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층과 층 사이에 정지되었을 때 개폐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상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의 개폐 도어(14,15)가 닫힐 경우 개폐 도어(14,15)에 형성된 도어패널(12,13)이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걸림부(70)의 걸림 블록(75)은 가이드부(60)의 유도면(62)을 따라 이동되다 걸림 블록(75)의 자중에 의하여 안착부(64)에 자연스럽게 안착된다.
걸림 블록(75)이 안착부(64)에 배치되면, 도 1에 도시된 베인(51,52)이 작동되면서 가압부(85)가 걸림 블록(75)을 향해 이동된다.
이동된 가압부(85)는 걸림 블록(75)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로드(76)의 선단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걸림 블록(75)은 가압부(85) 및 가이드부(60)사이에 록킹되어 탑승자가 개폐 도어(14,15)는 약 10cm 내지 약 15cm 정도만 개방될 뿐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의 정전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엘리베이터가 층과 층 사이에 멈출 경우, 개폐 도어(14,15)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드 블록(56)은 전진된 상태이고 이로 인해 가압부(85)의 하면은 여전히 록킹 로드(76)의 선단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는 정전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도 개폐 도어(14,15)를 완전히 개방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의 인명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가 개폐 도어(14,15)를 신속히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가 개폐 도어(14,15)를 신속하게 개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개폐 도어(14,15)의 사이에 약 10cm 내지 약 15cm 정도의 틈이 형성되도록 개폐 도어(14,15)를 벌리는데 이는 제1 로드(72)의 내부에 수납된 탄성부재(74)의 변위에 의하여 구현된다.
개폐 도어(14,15)들의 사이에 약 10cm 내지 약 15cm 정도의 틈이 형성되면, 탑승자 또는 구조자는 틈을 통해 개폐 도어(14,15)의 상부에 배치된 잠금 유닛(90)의 걸림부(70)의 손잡이(80)를 강하게 하부로 당긴다.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손잡이(80)를 하부로 당김에 따라 손잡이(80)에 연결된 와이어(79)가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79)에 연결된 록킹 로드(76)가 당겨지게 되고, 록킹 로드(76)의 선단은 걸림 블록(75)에 형성된 수용홈(75a)의 내부로 후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록킹 로드(76)의 선단이 후퇴할 경우 걸림 블록(75)은 가압부(85)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으며 탑승자 또는 구조자는 손잡이(80)를 당긴 상태에서 개폐 도어(14,15)를 벌림으로써 개폐 도어(14,15)는 개방되고, 탑승자는 개방된 개폐 도어(14,15)를 통해 엘리베이터로부터 구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탑승자가 개폐 도어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락킹하고, 엘리베이터가 화재, 정전 등에 의하여 층과 층 사이에 비상 정지한 상태에서는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개폐 도어를 쉽고 빠르게 개방하여 탑승자가 신속하게 개폐 도어를 개방하고 탈출 또는 구조자가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60...가이드부 70...걸림부
85...가압부 90...잠금 유닛
85...가압부 90...잠금 유닛
Claims (5)
-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카(10)에 결합되는 승강카패널(1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카(10)의 개폐 도어(14,15)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 및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벨트(23)를 포함한 구동유닛(20);
상기 개폐 도어(14,15) 중의 하나에 구비되어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층별도어와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 도어(14,15)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패널(12,13)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 작동 전후에 상기 가이드벨트(23)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56)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의 전면에 결합되는 회동링크(53,54) 상에 폭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인(5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폐유닛(50);
상기 개폐유닛(50)이 장착되는 일측의 개폐 도어(14)의 상단에 타측 개폐 도어(15)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태의 가이드부(60), 상기 가이드부(60)에 대응되어 타측 개폐 도어(15)의 상단측에 일측의 개폐 도어(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60)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70)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70)에 접촉되는 가압부(85)를 포함하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60)는 상면에 일정 곡률로 연장된 유도면(62) 및 상기 유도면(62)과 연결된 안착부(64)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개폐 도어(15)에 고정된 힌지축(71)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 로드(72), 상기 제1 로드(72)에 끼워지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73a)이 형성된 제2 로드(73), 상기 제1 로드(7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고정되며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74),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64)에 안착되는 걸림 블록(75), 상기 걸림 블록(75)을 관통하며 단부가 가압부(85)의 하면에 선단이 접촉 또는 분리되는 록킹 로드(76), 상기 록킹 로드(76)의 후단에 결합된 가동판(77), 상기 제2 로드(73) 상에 고정되며 개구가 형성된 고정판(78), 상기 가동판(77) 및 상기 고정판(78)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8a), 상기 록킹 로드(76)의 단부에 결합되며 스프링(78a), 상기 고정판(78)의 상기 개구 및 상기 제2 로드(73)의 관통홀(73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와이어(79) 및 상기 와이어(79)의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8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카(10)가 정상 작동될 때, 상기 가압부(85)는 상기 안착부(64) 상에 상기 걸림 블록(7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걸림 블록(75)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록킹 로드(76)의 상면에 접촉되어 탑승자에 의한 상기 잠금 유닛(90)의 이탈을 방지하며,
위급 상황시 탑승자는 상기 개폐 도어(14,15)들 사이를 상기 탄성 부재(74)의 변위 만큼 이격시킨 후 이격된 상기 개폐 도어(14,15)들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80)를 아래로 잡아 당겨 상기 와이어(79)가 당겨지면 상기 록킹 로드(76)가 후퇴하여 상기 가압부(85) 및 상기 록킹 로드(76)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 블록(75)이 상기 가이드부(60)의 안착부(64) 및 상기 가압부(85)의 사이로부터 분리되며 탑승자가 상기 개폐 도어(14,15)를 양쪽으로 밀어 상기 개폐 도어(14,15)를 개방시키며,
상기 탄성 부재(74)의 상기 변위는 10cm 내지 1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카(10)에 결합되는 승강카패널(1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카(10)의 개폐 도어(14,15)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1) 및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벨트(23)를 포함한 구동유닛(20);
상기 개폐 도어(14,15) 중의 하나에 구비되어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층별도어와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 도어(14,15)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패널(12,13)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 도어(14,15)의 개폐 작동 전후에 상기 가이드벨트(23)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56)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의 전면에 결합되는 회동링크(53,54) 상에 폭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인(5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폐유닛(50);
상기 개폐유닛(50)이 장착되는 일측의 개폐 도어(14)의 상단에 타측 개폐 도어(15)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태의 가이드부(60), 상기 가이드부(60)에 대응되어 타측 개폐 도어(15)의 상단측에 일측의 개폐 도어(14)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60)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70)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6)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70)에 접촉되는 가압부(85)를 포함하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60)는 상면에 일정 곡률로 연장된 유도면(62) 및 상기 유도면(62)과 연결된 안착부(64)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개폐 도어(15)에 고정된 힌지축(71)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 로드(72), 상기 제1 로드(72)에 끼워지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73a)이 형성된 제2 로드(73), 상기 제1 로드(7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고정되며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74), 상기 제2 로드(7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64)에 안착되는 걸림 블록(75), 상기 걸림 블록(75)을 관통하며 단부가 가압부(85)의 하면에 선단이 접촉 또는 분리되는 록킹 로드(76), 상기 록킹 로드(76)의 후단에 결합된 가동판(77), 상기 제2 로드(73) 상에 고정되며 개구가 형성된 고정판(78), 상기 가동판(77) 및 상기 고정판(78)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8a), 상기 록킹 로드(76)의 단부에 결합되며 스프링(78a), 상기 고정판(78)의 상기 개구 및 상기 제2 로드(73)의 관통홀(73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와이어(79) 및 상기 와이어(79)의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8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카(10)가 정상 작동될 때, 상기 가압부(85)는 상기 안착부(64) 상에 상기 걸림 블록(7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걸림 블록(75)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록킹 로드(76)의 상면에 접촉되어 탑승자에 의한 상기 잠금 유닛(90)의 이탈을 방지하며,
위급 상황시 탑승자는 상기 개폐 도어(14,15)들 사이를 상기 탄성 부재(74)의 변위 만큼 이격시킨 후 이격된 상기 개폐 도어(14,15)들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80)를 아래로 잡아 당겨 상기 와이어(79)가 당겨지면 상기 록킹 로드(76)가 후퇴하여 상기 가압부(85) 및 상기 록킹 로드(76)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 블록(75)이 상기 가이드부(60)의 안착부(64) 및 상기 가압부(85)의 사이로부터 분리되며 탑승자가 상기 개폐 도어(14,15)를 양쪽으로 밀어 상기 개폐 도어(14,15)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73) 상에는 상기 와이어(79)가 상기 관통홀(73a)에 의하여 형성된 제2 로드(73)의 내측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79)를 가이드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부재(81)가 형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85)와 접촉되는 록킹 로드(76)의 선단이 상기 가압부(8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록킹 로드(76)의 선단은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76a)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76a)와 대응하는 상기 걸림 블록(75)에는 상기 절곡부(76a)를 수용하는 수용홈(75a)이 형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76a)는 하부를 향해 곡선 형태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부(76a)와 접촉되는 상기 가압부(85)의 모서리에는 상기 절곡부(76a)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모따기부(85a)가 형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6563A KR102232574B1 (ko) | 2020-11-20 | 2020-11-20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KR1020210011622A KR102383688B1 (ko) | 2020-11-20 | 2021-01-27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6563A KR102232574B1 (ko) | 2020-11-20 | 2020-11-20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1622A Division KR102383688B1 (ko) | 2020-11-20 | 2021-01-27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2574B1 true KR102232574B1 (ko) | 2021-03-26 |
Family
ID=752595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6563A KR102232574B1 (ko) | 2020-11-20 | 2020-11-20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KR1020210011622A KR102383688B1 (ko) | 2020-11-20 | 2021-01-27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1622A KR102383688B1 (ko) | 2020-11-20 | 2021-01-27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325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04353A (zh) * | 2022-10-31 | 2022-12-23 | 安徽奥里奥克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便于救援的防扒门电梯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729Y1 (ko) * | 2006-01-27 | 2006-06-13 | 김영곤 |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수동개폐장치 |
KR20120029702A (ko) | 2010-09-17 | 2012-03-27 |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 승장 도어 잠금 장치 |
KR101261447B1 (ko) | 2011-05-31 | 2013-05-10 | 정기호 |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 |
KR101727187B1 (ko) | 2015-11-27 | 2017-04-17 |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187B1 (ko) * | 2006-08-09 | 2007-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 래치 |
-
2020
- 2020-11-20 KR KR1020200156563A patent/KR102232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1-27 KR KR1020210011622A patent/KR102383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729Y1 (ko) * | 2006-01-27 | 2006-06-13 | 김영곤 |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수동개폐장치 |
KR20120029702A (ko) | 2010-09-17 | 2012-03-27 |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 승장 도어 잠금 장치 |
KR101261447B1 (ko) | 2011-05-31 | 2013-05-10 | 정기호 |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 |
KR101727187B1 (ko) | 2015-11-27 | 2017-04-17 |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04353A (zh) * | 2022-10-31 | 2022-12-23 | 安徽奥里奥克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便于救援的防扒门电梯 |
CN115504353B (zh) * | 2022-10-31 | 2024-05-10 | 安徽奥里奥克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便于救援的防扒门电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3688B1 (ko) | 202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73200B (zh) | 一种电梯防扒轿门锁门刀装置及电梯 | |
TWI531521B (zh) |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 |
CN105645239B (zh) | 一种电梯门机同步锁扣机构及其运行方法 | |
KR101681603B1 (ko) |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 |
JP6919841B2 (ja) | ドア用係合装置 | |
KR102232574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
EP2123586A1 (en) | Ceiling device of elevator car | |
EP3541734A1 (de) | Aufzugskabine | |
JP4837491B2 (ja) |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 |
CN109906196B (zh) | 电梯轿厢及电梯 | |
KR102260978B1 (ko) | 비상시 도어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 |
JP4245371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JP6494579B2 (ja) | 乗場扉錠解除構造 | |
KR102281527B1 (ko) | 정전시 카도어를 개방하는 클러치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 |
KR101772119B1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개방장치 | |
EP1627842B1 (en) | Door device of elevator | |
KR20020093527A (ko) |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 |
CN109779431A (zh) | 用于平开窗的打开控制装置 | |
KR102225597B1 (ko) | 위급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방 장치 | |
JPH0532374U (ja) | エレベータの敷居 | |
KR101862096B1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 |
JPH0680364A (ja) | エレベータ | |
CN109850731B (zh) | 电梯 | |
JP2006062860A (ja) | エレベータかご室の救出装置 | |
JP7371715B2 (ja) | エレベーターの強制戸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