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400A -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400A
KR20060109400A KR1020060095354A KR20060095354A KR20060109400A KR 20060109400 A KR20060109400 A KR 20060109400A KR 1020060095354 A KR1020060095354 A KR 1020060095354A KR 20060095354 A KR20060095354 A KR 20060095354A KR 20060109400 A KR20060109400 A KR 2006010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oom
emergency exit
doo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204B1 (ko
Inventor
남주희
오문식
윤채규
Original Assignee
남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주희 filed Critical 남주희
Priority to KR102006009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20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의 건물에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을 구비하고 그 화재대피실을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할 수 있게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자동잠금장치(도어클로우저)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유독가스(이하, 연기라고 칭함)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차단 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1)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2)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3)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3)의 입구측 방호벽(2)에는 출입구(4)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5)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6)가 설치되고, 화재대피실(3)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7)에는 잠금장치(8) 가 설치되며 상부로만 개폐되는 비상구도어(9)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의 내벽에는 사다리(1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는 출입구도어(6)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1)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7)는 출입구(4)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을 지지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는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이 설치되고,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는 비상구(7)가 설치된 쪽의 벽면에 접촉하게 하향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가 사람이 통과하도록 개폐되게 설치되고,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1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 비상탈출, 베란다, 비상구, 화재대피실, 연기차단벽, 환기수단, 계폐식경사판, 연기차단막, 에어노즐

Description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Escaping device of the building with a room for a fire esc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구조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개폐식경사판을 부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인 비상구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잠금장치부분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란다 2 : 방호벽 3 : 화재대피실
4 : 출입구 5 : 잠금장치 6 : 출입구도어
7 : 비상구 8 : 잠금장치 9 : 비상구도어
10 : 사다리 11 : 도어클로우저 12 : 지지면
13 : 연기차단벽 14 : 개폐식차단판 15 : 힌지부
16 : 힌지핀 17 : 스프링 18 : 손잡이대
19 : 환풍기 20 : 채광창 21 : 전등
22 : 개폐차광창 23 : 경광등 24 : 하강봉
25 : 개방감지기 26 : 연기차단막 27 : 에어발생기
28 : 에어노즐 29 : 연결관 30 : 카메라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의 건물에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을 구비하고 그 화재대피실을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할 수 있게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자동잠금장치인 도어클로우저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유독가스(이하 연기라고 칭함)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 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에 대하여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04771호(1994. 11. 22, 발행, 이하 종래고안이라 칭함)의 고안과,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5-7796호(발명의 명칭 :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이하 종래발명이라 칭함)의 발명이 알려져 있다.
먼저, 일본의 종래고안은 베란다의 일측에 개폐문이 구비된 방호벽에 의해 구획되는 피난로를 형성하고, 피난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피난구에는 상부로만 개폐되며 계지편이 구비된 복개가 설치되며, 피난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장치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이 설치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종래고안을 이용하여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일 먼저 방호벽에 의해 형성되는 피난로의 개폐문을 열고 피난로로 들어가며, 피난로로 들어간 뒤에는 상부로만 열리는 복개를 열고 복개가 열린 피난구 아래로 내려가면서 아래층의 피난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의 피난로로 내려가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그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위층의 사람이 아래층의 피난로로 쉽게 내려갈 수 있음에 따라 강도짓이나, 도둑질을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피난로로 들어가는 개폐문이 쉽게 열리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여 황급히 대피하는 사람이 피난로로 들어간 뒤에 개폐문을 닫지 않은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피난로로 유입되게 되고, 뒤이어 피난로에 꽉 찬 유독가스는 복개가 열린 바닥면의 피난구를 통하여 아래층의 피난로로 내려가게 되어 피난로를 이용하여 아래측으로 대피하는 사람을 질식시키게 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발명은 베란다의 일측에 격벽을 설치하여 베란다에 비상탈출실 마련하고, 상기 격벽에는 베란다 측에서만 잠글 수 있고 비상탈출실 쪽에는 손잡이가 없으며 비상탈출실 쪽으로 열리는 비상탈출실 도어를 설치하며, 비상탈출실의 콘크리트바닥에는 비상구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이 비상구에는 비상구도어와 비상구도어가 개폐될 때 비상벨을 울리게 하는 개폐감지기를 설치하며, 상기 비상탈출실의 내부에는 비상구를 통하여 비상탈출을 할 수 있게 하는 계단을 설치함으로서, 화재발생시 비상탈출실을 통하여 아래층이나 위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탈출실로 침입한 사람이 비상구도어를 열 때에는 비상벨이 울려서 비상구를 통과하는 사람이 있음을 타인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고, 비상탈출실 도어는 비상탈출실측에 손잡이도 없고 비상탈출실측으로 열림에 따라 비상탈출실로 침입한 사람은 베란다측으로 나갈 수 없어 도둑의 침입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탈출실을 이용하여 아래층 으로 대피할 수 있으면서 도둑이나 강도가 비상탈출실을 도둑질 및 강도짓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비상 탈출하는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간 뒤에 비상탈출실 도어를 닫지 못하는 경우에는 종래고안과 동일하게 유독가스가 비상탈출실로 들어오게 되는 문제와, 비상 탈출하는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온 뒤에 비상탈출실 도어를 닫는다고 하여도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갈 때 유독가스가 비상탈출실로 함께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비상탈출실로 유독가스가 들어오면 비상탈출실로 들어온 사람은 그 유독가스에 질식되게 되는 아쉬운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자동잠금장치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나 또는 건 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의 입구측 방호벽에는 출입구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가 설치되고, 화재대피실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부로만 개폐되는 비상구도어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의 내벽에는 사다리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틀체와 출입구도어에는 출입구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는 출입구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을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화재대피실 내측의 출입구 측과 비상구측의 사이 상부에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이 설치되고,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는 비상구가 설치된 쪽의 벽면에 접촉하게 하향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가 사람이 통과하도록 개폐되게 설치되고, 화재대피실 내측의 출입구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베란다가 설치된 건물의 경우에는 베란다의 일측 공간에 화재대피실(3)을 설치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피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고, 베란다가 설치되지 아니한 건물의 경우에는 그 건물의 외측으로 화재대피실(3)을 상하 통로형태로 설치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피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란다(1)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2)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3)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3)의 입구측 방호벽(2)에는 출입구(4)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5)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6)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는 출입구도어(6)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대피실(3)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비상구(7)는 출입구(4)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고 설 수 있게 하는 지지면(12)을 형성하고, 이 비상구(7)에는 잠금장치(8)가 설치되며 상부로만 개폐되는 비상구도어(9)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의 비상구(7)측 내벽에는 사다리(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는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설치하되, 이 연기차단수단의 하단에는 사람이 통과하는 부분이 개폐되게 설치되면서 그 하단부가 비상구(7)가 설치된 쪽의 벽면에 접촉하게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연기차단수단은 도 1, 2,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 출입구(4)와 비상구(7)측을 구획하는 연기차단벽(13)이 하향 설치되며, 연기차단벽(13)의 하단부에는 개폐식차단판(14)의 하단부가 비상구(7)측의 벽면에 접촉하도록 힌지식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식차단판(14)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15)가 연기차단벽(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에 힌지핀(16)이 삽입된 상태로 스프링(17)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 개폐식차단판(14)은 사다리(10)가 설치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힌지 설치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고정식으로 막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식차단판(14)을 프랙시블하며 불에 타지 않는 판재를 이용하여 상부만 연기차단벽(13)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화재대피실(3)로 연기가 들어온 경우에 이 연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환풍기(19)가 설치된다.
그와 더불어 비상구(7)가 설치된 쪽의 화재대피실(3) 외벽에도 또 다른 환풍기(19a)를 설치하여 비상구(7)측으로 유입될지 모르는 소량의 연기까지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대피실(3)의 외벽에는 자연 채광을 위한 채광창(20)과 비상전원으로 점등되는 전등(21)이 설치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상구(7)의 일측에는 비상구도어(9)가 열림을 감지하여 경광등(23) 및 부저(23a), 환풍기(19,19a)를 동작시키고 관리소로 신호를 보내는 개방감지기(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방감지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장치(5) 내에도 설치하여 출입구도어(6)를 개방을 위하여 잠금장치를 개방시킬 때, 잠금장치의 돌출부(5a)가 동작하면서 개방감지기(25)와 접촉하여 개방감지기는 이를 감지하며, 그 신 호에 따라 경광등(23) 및 부저(23a), 환풍기(19,19a)를 동작시키고 관리소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출입구도어(6)의 잠금장치(5)와 비상구도어(9)의 잠금장치(8)는 공지된 수동식 및 전기식 잠금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잠금장치(5,8)를 수동조작 및 전기적인 신호로 개폐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도어(6)를 개폐하게 하는 잠금장치(5)는 그 해당층의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이 장난으로 잠금장치(5)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커버(5b)로 감싸서 화재발생시에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일측에 비상후레쉬를 비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재대피실(3)에는 환풍기(19)가 설치되어 외풍과 외부소음이 화재대피실(3)로 유입되므로 건물의 실내와 근접한 벽면과 출입구도어(6)에 소음을 차단하고 단열을 할 수 있게 하는 차음단열재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수단을 일실시예에서는 사다리(10)를 설치하였으나, 이실시예에서는 파이프형태의 하강봉(24)을 수직으로 설치한 것이므로, 나머지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삼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에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 차단수단을 커튼(curtain) 형태의 연기차단막(26)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커튼 형태의 연기차단막(26)은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 연기차단막(26)은 상부를 화재대피실(3)의 천정면에 고정설치하며, 하단부는 하측으로 늘어트리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때, 연기차단막(26)의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3)로 들어올 때 따라 들어오는 바람에 의해 연기차단막(26)이 펄럭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화재대피실(3)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에어커튼(air curtain)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에어커튼 형태의 연기차단수단은 화재대피실(3)의 내측 소정위치에 에어발생기(27)를 설치하고, 비상구(7)측의 벽면에는 출입구 상측의 환풍기(19)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28)이 에어발생기(27)와 연결관(29)에 의해 연결 설치한 것이다.
상기 에어발생기는 각층의 화재대피실마다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그 건물에 대형 에어발생기를 설치한 뒤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각층에 설치된 에어노즐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부호 "22" 는 개폐차광창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대피실(3)로 사람이 들어간 경우에 자연채광이 되고, 그 개폐차광창을 열어두면 화재대피실(3)로 유입되는 연기가 더욱 더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는 것이고, "18" 은 비상구(7)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내려갈 때, 안전하게 잡고 내려가기 위한 손잡이대이 고, "14a"는 개폐식차단판(14)이 비상구측의 벽면에 경사지게 접촉할 때 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사다리(10) 부분이 삽입 대응하도록 개폐식차단판(14)에 사다리가 삽입될 만큼의 홈을 형성한 절개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아파트 등의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현관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출입구도어(6)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장치(5)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뒤에 출입구도어(6)를 화재대피실(3)측으로 밀어서 열은 뒤에 화재대피실(3)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가 투명커버에 커버되어 있으므로 이를 파손한 뒤에 잠금장치(5)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뒤에 출입구도어(6)를 내측으로 열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입구도어(6)를 화재대피실(3)의 내측으로 열고 들어간 뒤에는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 함께 설치된 도어클로우저(11)의 작용으로 출입구도어(6)를 놓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닫혀서 연기가 출입구(4)를 통하여 화재대피실(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화재대피실(3)의 내부로 사람이 들어왔을 때, 주간인 경우에는 채광창(20)에 의해 화재대피실(3)의 내부가 어둡지 않고 환하여 두려움과 불편함이 없이 대피를 쉽게 할 수 있고, 야간으로 어두운 경우에는 화재대피실(3) 내측의 전등(21)이 점등되어 어두움이 없으므로 대피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만약에 정 전으로 전등(21)이 점등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입구도어(6)의 잠금장치(5) 일측에 비치된 비상후레쉬를 이용하여 어두움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화재발생으로 인하여 화재대피실(3)의 내부로 들어온 사람은 비상구(7)에 설치된 비상구도어(9)를 열고 아래층의 화재대피실(3)로 내려가서 화재발생층을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 및 비상구도어(9)를 열어젖히게 되면 잠금장치(5) 및 비상구도어(9)의 열림상태를 개방감지기(25)가 이를 감지하여 경광등(23) 및 부저(23a), 환풍기(19,19a)가 동작함과 동시에 관리실에 화재발생상태를 알리게 되며, 이렇게 비상구도어(9)를 열어젖힌 뒤에는 사다리(10)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내려간다.
상기와 같이 개방감지기(25)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경광등(23) 및 부저(23a), 환풍기(19,19a)가 동작하고 관리실에 화재발생상태를 알림에 따라 화재발생 상황을 관리실을 포함한 이웃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된 상황이 아닌 경우인데도 불구하고 억지로 출입구도어(6)를 열고 화재대피실(3)으로 들어가면 화재대피실(3) 측에 손잡이도 없는 출입구도어(6)가 도어클로우저(11)에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이 출입구도어(6)는 화재대피실(3)의 내측에서는 열을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구도어(9)를 열면 경광등(23) 및 부저(23a)가 동작하므로 도둑과 같은 불순한 의도로 화재대피실(3)로 들어갈 수 없으므로, 거주자는 도둑이 침입하는 것에 대한 걱정할 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대피를 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출입구도어(6) 를 열고 출입구(4)를 통하여 화재대피실(3)로 들어가는 동안에 연기가 화재대피실(3)로 함께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대피실(3)의 내부가 연기차단벽(13)과 개폐식차단판(14)에 의해 출입구(4)측의 공간과, 비상구(7)측의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이렇게 출입구(4)측의 공간과 비상구(7)측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그 경계부분이 연기차단벽(13)과 개폐식차단판(14)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출입구(4)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연기는 비상구(7)측의 공간으로 퍼져 나가지 못하고 출입구(4)측의 공간에 갇혀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는 출입구(4)측 공간의 상측에 환풍기(19)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그 환풍기(19)의 동작으로 출입구(4)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화재대피실(3)으로 들어간 사람이 개폐차광창(22)을 열어두면 출입구(4)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연기는 더욱더 쉽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출입구(4)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연기가 환풍기(19)와 개방한 개폐차광창(2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화재대피실(3)로 들어온 사람은 바닥에 설치된 비상구(7)의 비상구도어(9)를 열고 아래층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그 아래층에는 화재가 나지 않은 상황이므로 연기에 구애받지 않고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다.
그런데, 화재가 난 층의 화재대피실(3)에서 아래층의 비상구(7)측의 공간으로 내려갈 때 화재가 난 층의 연기가 아래층의 비상구(7) 측 공간으로 내려갈 수 있겠으나, 그 양은 많지 않으며 아래층에도 연기차단수단인 연기차단벽(13)과 개폐 식차단판(14)이 설치되어서 아래층의 비상구(7) 측의 공간으로 소량의 연기가 내려올 수 있다.
이때는 비상구(7) 측의 공간에 또 다른 환풍기(19a)의 동작으로 그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며, 아래층으로 대피하는 사람은 아래층의 개폐식차단판(14)을 힌지식으로 열면서 아래층의 화재대피실(3)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래층의 개폐식차단판(14)을 힌지식으로 열면서 아래층의 화재대피실(3)으로 내려간다는 것은, 개폐식차단판(14)이 연기차단벽(13)의 하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하측으로 내려가는 사람에 밀려서 자동적으로 열리며, 이렇게 사람이 아래로 내려오면, 이 개폐식차단판(14)는 스프링(17)을 개재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서 자동적으로 닫혀 위층의 연기가 아래층의 화재대피실(3)으로 내려오지는 않게 된다.
위에서 화재가 난 층의 연기가 아래층의 비상구(7)측 공간으로 내려갈 수 있겠으나, 그 양은 많지 않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의 연기가 출입구(4)측의 공간 상측에 설치된 환풍기(19)와 개방된 개폐차광창(22)으로 배출되면서 연기는 아래로 내려오기보다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수단을 일실시예에서는 사다리(10)를 설치하였으나, 이실시예에서는 파이프형태의 하강봉(24)을 수직으로 설치한 것이므로, 나머지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하강봉(24)은 건물 한 층의 2.5미터 내외의 짧은 길이를 쉽게 잡고 미끄 러져 내려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다리보다는 빠르게 내려올 수 있으나, 노약자의 경우는 사용상 위험이 따를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9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본 발명의 삼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화재대피실(3)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커튼 형태의 연기차단막(26)을 설치하여서, 화재대피실(3)의 내측으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에 커튼 형태의 연기차단막(26)에 연기가 막혀서 비상구(7)측으로 퍼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차단막(26)에 막힌 연기는 출입구측 상부에 설치된 환풍기(19)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연기차단막(26)을 열고 비상구(7)측으로 들어온 사람은 연기에 마시지 않으면서 비상구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본 발명의 사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화재대피실(3)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에어커튼(air curtain) 형태로 설치하여서, 에어커텐 형태의 연기차단수단에 의해 비상구측으로 연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커튼은 식료품 판매를 위한 냉장보관장치의 전방에 설치되어 냉장보관장치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도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즉, 사실시예에서의 연기차단수단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화재대피실(3)의 내 측 소정위치에 에어발생기(27)에서 에어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에어가 연결관(29)을 통하여 에어노즐(28)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에어노즐(28)은 비상구(7)의 벽면에 설치되며 출입구 상측의 환풍기(19)측으로 에어를 분사하여서, 화재대피실(3)로 들어오는 연기는 환풍기(19)측으로 날려가면서 환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대피실(3)로 들어온 사람은 비상구(7)측으로 들어오기만 하면 연기와 격리되므로 연기에 마시지 않으면서 비상구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방호벽의 외벽에 도 9 및 도 10과 같이 카메라(30)를 설치하고 이를 관리실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면, 몇 호실에서 화재대피실(3)의 출입구도어(6)의 전방에 물건을 쌓아두었는지도 확인 점검할 수 있고, 그렇게 출입구도어(6)의 전방에 물건을 쌓아둔 것을 확인하게 되면, 시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는,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클로우저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 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건물의 일측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통로역할을 하는 화재대피실을 마련함에 따라 화재발생시 인명이 화재사고에 희생되는 예방하는 매우 특출한 효과는 기본으로 하고, 상기 화재대피실이 도둑질이나 강도짓을 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게 하는 안전장치까지 마련된 현실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삼, 사실시예의 경우에 연기차단수단을 커튼식과 에어커튼식으로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들어오는 연기가 사람이 대피하게 되는 비상구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대피자는 연기를 마시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1)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2)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3)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3)의 입구측 방호벽(2)에는 출입구(4)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5)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6)가 설치되고, 화재대피실(3)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7)에는 잠금장치(8)가 설치되며 상부로만 개폐되는 비상구도어(9)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의 내벽에는 사다리(1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는 출입구도어(6)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1)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7)는 출입구(4)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을 지지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는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차단수단이 설치되고,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는 비상구(7)가 설치된 쪽의 벽면에 접촉하게 하향경사지게 설치하되, 이 연기차단수단의 하단부가 사람이 통과하도록 개폐되게 설치하고,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1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차단수단은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을 구획하는 연기차단벽(13)이 하향 설치되며, 연기차단벽(13)의 하단부에는 하단부가 비상구(7) 측의 벽면에 접촉하게 경사 설치되는 개폐식차단판(14)의 상단 힌지부(15)가 스프링(17)을 개재시킨 상태로 힌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피실(3)의 외벽에는 자연 채광을 위한 채광창(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7)의 일측 소정위치와, 출입구도어(6) 일측의 잠금장치(5)에는 잠금장치(5)와 비상구도어(9)가 열림을 감지하여 경광등(23) 및 부저(23a), 환풍기(19,19a)를 동작시키고 관리소로 신호를 보내는 개방감지기(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5.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1)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2)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3)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3)의 입구측 방호벽(2)에는 출입구(4)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5)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6)가 설치되고, 화재대피실(3)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7)에는 잠금장치(8)가 설치된 비상구도어(9)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의 내벽에는 사다리(1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는 출입구도어(6)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1)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7)는 출입구(4)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을 지지면(12)이 형성되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19)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 측과 비상구(7) 측의 사이 상부에는 비상구(7) 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하는 커튼 형태의 연기차단막(6)이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6.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1)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2)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3)을 구비하고, 이 화재대피실(3)의 입구측 방호벽(2)에는 출입구(4)를 형성한 뒤에 이 출입구에는 잠금장치(5)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6)가 설치되고, 화재대피실(3)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7)에는 잠금장치(8)가 설치된 비상 구도어(9)가 설치되며, 화재대피실(3)의 내벽에는 사다리(1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4)의 틀체와 출입구도어(6)에는 출입구도어(6)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1)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7)는 출입구(4)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딛을 지지면(12)이 형성되며,
    화재대피실(3) 내측의 출입구(4)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19)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대피실(3)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에어발생기(27)가 설치되고, 비상구(7)측의 벽면에는 출입구 상측의 환풍기(19)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28)이 에어발생기(27)와 연결관(29)에 의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0060095354A 2006-09-06 2006-09-27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075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54A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6-09-27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173 2006-09-06
KR1020060087173A KR20060102323A (ko) 2006-09-06 2006-09-06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0060095354A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6-09-27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400A true KR20060109400A (ko) 2006-10-20
KR100757204B1 KR100757204B1 (ko) 2007-09-11

Family

ID=37615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173A KR20060102323A (ko) 2006-09-06 2006-09-06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0060095354A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6-09-27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173A KR20060102323A (ko) 2006-09-06 2006-09-06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10232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03B1 (ko) * 2006-12-14 2008-02-04 정병태 화재용 대피챔버
KR101100795B1 (ko) * 2009-09-03 2012-01-02 경기도시공사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4706B1 (ko) * 2011-02-17 2013-10-07 구성회 비상탈출장치
KR101399185B1 (ko) * 2010-12-01 2014-05-30 주식회사 새누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KR101595946B1 (ko) * 2015-09-16 2016-02-19 송종운 방범 및 안전기능을 갖는 건축물
CN107982808A (zh) * 2017-12-27 2018-05-04 樊延兵 一种楼层建筑的快速逃生通道
KR102600417B1 (ko) 2022-07-29 2023-11-08 한하림 피난 대피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70B1 (ko) * 2010-01-15 2012-04-0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6146Y1 (ko) 2011-07-04 2013-04-03 전기홍 화재대피시설
KR20190104804A (ko) 2018-03-02 2019-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CN108404304B (zh) * 2018-03-05 2020-08-14 惠安县崇武镇芳鑫茶具商行 一种高楼使用的伸缩式火灾逃生装置
KR102270912B1 (ko) 2019-12-31 2021-06-29 신중배 천장 점검 구
CN112619006B (zh) * 2021-01-27 2022-09-27 河北明皿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民众逃生用的消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4Y1 (ko)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KR100530460B1 (ko) * 2003-08-26 2005-12-08 안상현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KR20040005723A (ko) * 2003-11-24 2004-01-16 남주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344310Y1 (ko) 2003-12-19 2004-03-09 신재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50026940A (ko) * 2005-01-25 2005-03-16 남주희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03B1 (ko) * 2006-12-14 2008-02-04 정병태 화재용 대피챔버
KR101100795B1 (ko) * 2009-09-03 2012-01-02 경기도시공사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9185B1 (ko) * 2010-12-01 2014-05-30 주식회사 새누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KR101314706B1 (ko) * 2011-02-17 2013-10-07 구성회 비상탈출장치
KR101595946B1 (ko) * 2015-09-16 2016-02-19 송종운 방범 및 안전기능을 갖는 건축물
CN107982808A (zh) * 2017-12-27 2018-05-04 樊延兵 一种楼层建筑的快速逃生通道
KR102600417B1 (ko) 2022-07-29 2023-11-08 한하림 피난 대피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204B1 (ko) 2007-09-11
KR20060102323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KR20090060033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CN202215035U (zh) 楼房防火救生间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1578929B1 (ko)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KR20090096594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CN102296863A (zh) 楼房防火救生间
KR20050026940A (ko)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CN211173798U (zh) 一种建筑防火安全门
KR101790694B1 (ko) 방화문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JPH10127796A (ja) 建築構造物の避難用ハッチ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JPH06261955A (ja) 防煙装置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JPH04367670A (ja) 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火災時の排煙方法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