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310Y1 -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310Y1
KR200344310Y1 KR20-2003-0039636U KR20030039636U KR200344310Y1 KR 200344310 Y1 KR200344310 Y1 KR 200344310Y1 KR 20030039636 U KR20030039636 U KR 20030039636U KR 200344310 Y1 KR200344310 Y1 KR 200344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loor
escape
emergenc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희
Original Assignee
신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희 filed Critical 신재희
Priority to KR20-2003-0039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3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미끄럼대를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옥내에 설치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각 층 바닥에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탈출공(1a), 상기 탈출공(1a)들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주(2), 상기 지주(2) 둘레에 결합되는 나선형의 미끄럼대(3), 상기 미끄럼대(3) 주위를 둘러싸 외부와 단절된 대피공간(S)을 형성하는 방호부스(10) 등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언제든 최상층에서 최저층까지의 각 층에서 남녀 노소 노약자 등 가리지 않고 누구라도 추락이나 질식 사고의 우려없이 아주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조립식이어서 설계와 시공이 간편하고, 비나 눈 등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지 관리하기도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건물의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하거나 강도가 침입하는 경우 등과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미끄럼대를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옥내에 설치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층별로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층간 이동없이 각 층에서 직접 탈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거나 강도가 침입하는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건물 밖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계단, 비상승강기, 비상사다리, 완강기, 로프 등의 각종 피난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긴급 피난시설들은 실제 상황에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대피과정에서 또 다른 사고가 유발될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예컨대 비상계단이나 비상승강기 등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유독가스, 화염, 정전 등으로 인해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고, 비상사다리나 완강기 등은 별도의 안전시설이 없이 건물 밖에 노출된 상태로 대피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은 물론 상당한 공포감을 유발하여 어린이, 노약자, 여성 등 심신이 허약한 사람이 이용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피과정에서 추락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위와 같은 종래 건물용 긴급 피난시설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교적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컨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22827호의 나선식 피난용 미끄럼대나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4644호의 비상탈출구 등과 같이 건물 외곽 일측에 나선형 미끄럼대를 가진 긴급 피난시설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종래 긴급 피난시설들은 나선형의 미끄럼대로 건물 옥상이나 최상층에서부터 지상까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탈출로를 형성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옥상이나 최상층으로 올라가서 미끄럼대를 타고 지상으로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나선형 미끄럼대를 갖는 종래 긴급 피난시설들를 이용하여 탈출하려면 비상계단 등을 이용하여 옥상 또는 최상층까지 올라가야만 했기 때문에 대피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염이나 유독가스 등으로 인해 중간층 통과가 불가능하여 옥상 또는 최상층으로 올라갈 수 없는 경우에는 아예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소(高所) 공포감을 유발하여 심신이 허약한 노약자나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 등이 이용하는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피과정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또한, 방범장치 없이 미끄럼대가 건물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과 방범(防犯)에 취약하고 비나 눈 등에 그대로 방치되어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그 외에 종래 긴급 피난시설들은 미끄럼대 및 그 미끄럼대를 지지하는 지주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이 지주의 밑동에 집중되기 때문에 지주 설계 및 시공시 붕괴 사고를 막기 위해서 최대 하중을 작용할 때를 기준으로 안전설계 및 시공해야 하므로 설계 및 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이 매우 크고, 그로 인해 초고층 건물인 경우에는 하중집중의 문제 때문에 시공이 불가능하였다. 또, 건물 밖에 별도의 부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건축 면적을 늘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건물의 외관미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긴급 피난시설들이 가진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최상층에서 최저층까지 각 층에서 남녀노소 노약자 등 누구라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화염이나 유독가스에도 불구하고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층에서 언제라도 탈출이 가능한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평상시 방범이나 보안상의 문제가 없고, 지주에 작용하는 하중이 각 층의 골조에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지주(支柱) 하부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인해 발생하는 설계 및 시공비용 과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건물 외부에 별도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옥내 시공되어 건물 외관미도 전혀 해치지 않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가 시공된 아파트 전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하여 보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의 최하층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비상탈출장치의 지주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포함된 대기용 스토퍼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코니 1a : 탈출공
2 :지주 20 : 단위지주
20b : 통기공 3 : 미끄럼대
30 : 단위 미끄럼대 4 : 브래킷
5 : 송풍기 6 : 대기용 스토퍼
9 : 방호통 10 : 방호부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건물 내 동일 수직선상의 각 층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탈출공; 상기 탈출공들 중앙에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탈출공들을 통해 상기 지주 둘레를 따라 건물의 최상층에서 최저층의 출구까지 나선형으로 이어지는 미끄럼 탈출로를 형성하는 미끄럼대; 및 상기 건물 각 층의 탈출공 주위에 설치되어 그 탈출공 둘레에 외부와 단절된 대피공간을 형성하면서 각 층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이 설치된 복수 개의 방호부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지주는 각각 각 층의 내력 골조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주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출공이 건물 발코니의 각 세대 간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방호부스가 그 방호부스를 사이에 두고 구획된 각 세대에서 각각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출입문을 구비하여, 같은 층 복수 세대에서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물 외부에서 실외공기를 중공(中空)의 상기 지주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가 각 층의 방호부스 내에 송풍되도록 상기 지주에 각 층 별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공들로 이루어진 환기수단을 더 포함하면, 대피하는 동안에 일어날 수 있는 유독가스 등에 의한 질식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각 층 바닥 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미끄럼대 상에는 인위적으로 출몰되면서 미끄럼대 상에서 대피자를 일시 대기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대기용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방호부스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형성된 대피공간의 용적을 인위적으로 가변할 수 있게 발코니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의 구성과 작용 등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아파트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부분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최고층에서부터 최저층까지 각 층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아파트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E)의 예에서 보듯이 이웃한 두 라인의 각 세대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발코니(1)의 세대간 경계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각 층 발코니(1)의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탈출공(1a), 상기 탈출공(1a)들의 중앙에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주(2), 상기 지주(2) 둘레에 결합되는 나선형의 미끄럼대(3), 상기 미끄럼대(3) 주위를 둘러싸 차폐하는 방호통(9), 그리고, 상기 건물 각 층의 탈출공(1a) 주위에 설치되어 방호통(9) 주변 발코니(1) 상에 외부와 단절된 대피공간(S)을 형성하는 방호부스(10) 등으로 구성된다.
위 구성에 있어서, 탈출공(1a)은 최고층에서 최저층까지 이어지는 대피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같은 층에서 이웃하고 있는 복수의 세대가 공유할 수 있도록 발코니(1) 상의 세대간 경계에 형성된다.
상기 탈출공(1a)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주(2)는 그 둘레에 결합되는 미끄럼대(3)를 지지하는 중공(中空)의 기둥으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층별로 설치되고 서로 수직으로 직렬 연결되어 접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주(20)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단위지주(20)들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위지주(20)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저층 단위부재로 집중되지 않도록 건물 각 층의 내력벽이나 바닥 등의 내력골조로부터 연장된 각 고정대(1b)에 대하여 밴드형 브래킷(4)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서로는 그 상,하단부에 성형된 플랜지(20a)들이 서로 맞대어진 채로 접합된다. 이들 각 단위지주(20)에는 도 2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력 송풍기(5)가 최저층에서 지주(2) 내부로 송풍하는 신선한 외부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통기공(20b)이 형성된다. 통기공(20b)의 위치와 크기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변될 수 있다.
미끄럼대(3)는 내연 합성수지제 등의 내연성 소재로 건물의 층고(層高) 또는 층고의 1/2 높이 등의 단위 높이로 제작된 단위 미끄럼대(30)로 구성되며, 이들은 도 2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위지주(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주(2) 둘레를 따라 최고층에서부터 최저층까지 이어지는 나선형의 미끄럼 활주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대(3)의 미끄럼 활주로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대피자가 미끄러져 내려가는 동안 원심력으로 인해 몸이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고 또 내려가는 동안에 손으로 잡고 스스로 미끄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탈방지턱(30a)이 성형된다. 그리고, 각 단위 미끄럼대(30) 상하단의 미끄럼 활주로의 경사각(θ)은 각 세대에서 노약자도 쉽게 올라 탈 수 있도록 양 쪽 세대 간에 높이차를 줄이기 위하여 완만하게 설정되고, 그 일측에는 미끄럼 활주로에 앉은 상태에서 손쉽게 올라 탈 수 있도록 의자(14)가 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활주로 상에는 아직 방호부스(10) 안으로 대피하지 못한 다른 가족을 기다리거나 또는 앞서 내려간 사람과의 추돌을 피하기 위하여 미끄럼대(3) 상에서 잠시 대기할 수 있도록 대피자를 지지할 수 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8)로 연결된 손잡이(7)로 출몰시킬 수 있는 대기용 스토퍼(6)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대(3) 둘레를 차폐하는 방호통(9)은 유독가스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원통형 방호통(9)에 의해 차폐되고, 그 방호통(9) 주변은 화염, 유독가스 등의 유입할 수 없는 외부와 단절된 대피공간(S)을 형성하는 방호부스(10)로 차폐된다.
상기 방호통(9)과 방호부스(10)에는 같은 층에서 이웃하고 있는 복수의 세대에서 미끄럼대(3)를 이용할 수 있는 출입문(9a,10a)이 세대별로 각각 설치되는데, 방호통 출입문(9a)은 공간확보를 위해 미닫이식으로 구성되고, 방호부스(10)의 출입문(10a)은 미끄럼대(3)를 통한 무단침입자가 각 세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깥에서만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방호통(9) 및 방호부스(10)는 내연성 소재로 제작되는데, 특히, 방호부스(10) 경우는 내부 대피공간의 용적을 인위적으로 늘려 그 방호부스(10) 내에서 다른 세대 구성원들 모두가 방호부스(10) 안으로 들어올 때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하단에 캐스터(11)가 설치되어 발코니(1) 바닥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들 외에도 최하층의 측단면도인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의 최하층에 형성된 출구에는 위에부터 내려오는 대피자들이 적체되지 않도록 건물 바깥쪽으로 곧바로 미끄러져 나가게 하는 롤 콘베이어(12)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방호부스(10)의 출입문(10a)이나 방호통(9)의 출입문(9a)이 개방될 때 그 개방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바람직한 구성들로서, 예컨대, 경비실이나 관리실에 긴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비상벨이나 경고램프 등과 같은 경보장치, 지주(2) 내부에 신선한 외부 공기를 송풍하여 방호통(9) 내에 공급하는 송풍기(5)와 방호통(9) 내 조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방범을 위하여 평상시 폐쇄되어 있는 최하층 출구측 출입문(13)을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개방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장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하거나 또는 강도 등이 침입하여 건물 밖으로 긴급 대피해야 하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장애자 등 누구라도 해당 세대에 설치된 방호부스(10)의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는 방호통(9) 내 미끄럼대(3)를 따라 추락이나 질식 등의 사고 우려 없이 아주 안전하고 용이하게 최저층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지상에 설치된 출구를 통해 지상의 건물 바깥으로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따르면, 건물 내에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언제든 최상층에서 최저층까지의 각 층에서 남녀 노소 노약자 등 가리지 않고 누구라도 추락이나 질식 사고의 우려없이 아주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종래 나선형 미끄럼대 탈출장치들과 비교할 때, 지주(支柱)에 작용하는 하중을 각 층의 골조에 분산되어 지주 밑동의 하중 집중으로 야기되는 나선형 미끄럼대의 설계 및 시공의 난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각 지주 및 미끄럼대가 일정한 단위규격으로 제작된 후 사후에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설계와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건물 외부에 별도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건축부지의 효율성과 건물 외관미를 제고할 수 있으며, 비나 눈 등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지 관리도 용이하다.

Claims (6)

  1. 건물 내 동일 수직선상의 각 층 바닥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탈출공(1a);
    상기 탈출공들 중앙에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주(2);
    상기 지주(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탈출공들을 통해 상기 지주 둘레를 따라 건물의 최상층에서 최저층의 출구까지 나선형으로 이어지는 미끄럼 탈출로를 형성하는 미끄럼대(3); 및
    상기 건물 각 층의 탈출공 주위에 설치되어 그 탈출공 둘레에 외부와 단절된 대피공간(S)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방호부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는 각 층의 내력 골조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주(20)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공(1a)은 건물 발코니(1)의 세대 간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방호부스(10)는 그 방호부스를 사이에 두고 구획된 각 세대에서 각각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출입문(10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외부에서 실외공기를 중공(中空)의 상기 지주(2)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5)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각 층의 방호부스(10) 내에 송풍되도록 상기 지주(2)에 각 층 마다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공(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대(3) 상에 인위적으로 출몰되게 설치되어 대피하는 사람이 미끄럼대 상에서 일시 대기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대기용 스토퍼(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스(1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대피공간(S)의 용적을 인위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발코니(1)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2003-0039636U 2003-12-19 2003-12-1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344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36U KR200344310Y1 (ko) 2003-12-19 2003-12-1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36U KR200344310Y1 (ko) 2003-12-19 2003-12-1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310Y1 true KR200344310Y1 (ko) 2004-03-09

Family

ID=4934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636U KR200344310Y1 (ko) 2003-12-19 2003-12-1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31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7-09-11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0773455B1 (ko) 2006-07-20 200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101183058B1 (ko) 2010-12-28 2012-09-20 지대근 고층건물탈출용 피난장비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KR101863067B1 (ko) * 2018-03-09 2018-05-31 심상진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46813B1 (ko) 2019-03-18 2019-11-26 주식회사 씨앤티 화염 차폐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20200110872A (ko)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씨앤티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55B1 (ko) 2006-07-20 200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7-09-11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183058B1 (ko) 2010-12-28 2012-09-20 지대근 고층건물탈출용 피난장비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KR101863067B1 (ko) * 2018-03-09 2018-05-31 심상진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46813B1 (ko) 2019-03-18 2019-11-26 주식회사 씨앤티 화염 차폐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20200110872A (ko)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씨앤티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AU2016425976B2 (en)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216204B1 (ko)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US3968856A (en) Spiral slide fire escape
KR101925617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EP1666100B1 (en) Rescue cage
KR101329367B1 (ko)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CN102711922A (zh) 火灾避难逃离装置
KR200344310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US20080142297A1 (en) Survival tower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CN208017947U (zh) 滑道式救援疏散安全梯
KR101715373B1 (ko)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0773455B1 (ko) 비상용 안전 대피소
CN113982439A (zh) 抗爆消防救援门
CA2487281C (en) Survival tower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