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067B1 -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067B1
KR101863067B1 KR1020180028136A KR20180028136A KR101863067B1 KR 101863067 B1 KR101863067 B1 KR 101863067B1 KR 1020180028136 A KR1020180028136 A KR 1020180028136A KR 20180028136 A KR20180028136 A KR 20180028136A KR 101863067 B1 KR101863067 B1 KR 10186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scape
unit
emergency
build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진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심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진 filed Critical 심상진
Priority to KR102018002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비상상황 발생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다수의 인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에 의해 고정 결합하며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는 비상탈출 공간부를 포함한 비상탈출 프레임과 비상탈출 입구, 비상탈출 출구로 이루어진 비상탈출 유닛과, 상기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공간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냉각부와 발전기 및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어,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한번에 다수의 인원이 대피할 수 있으면서 비상탈출 유닛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건물 화재시 화재에 의한 비상탈출 유닛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해 대피자들이 긴급대피할 수 있고, 유독가스 제어유닛을 통해 비상탈출 유닛 내로 유입되는 유독가스를 제거하면서 소방용수 유닛을 통해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발전기를 통한 자체 전원 공급으로 건물 내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동이 이루어져 건물 내의 비상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많은 인원을 대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 카메라 및 다수의 센서를 통해 비상탈출 유닛의 컨디션을 확인하여 유연하게 건물 내에서 유연하게 탈출할 수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bu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비상상황 발생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다수의 인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탈출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 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탈출자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층건물의 하부로 하강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탈출자는 천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기 등과 같은 하강수단을 한 공간에 복수의 탈출자가 존재하는 경우 한 명의 탈출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탈출자가 상기 하강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나머지 탈출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탈출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651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감속기 대신 자동차용 쇼바나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를 원통의 크랭크축에 연결하여 나무 바구니를 지상으로 내릴 수 있도록 하여 탈출자를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5130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고층건물 외벽에 가이드용 레일 및 이에 결합하는 완강기를 설치하여 위급 상황시 탈출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특허문헌 제10-1615728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는 하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라이프 컨테이너가 건물의 외벽 밖으로 돌출되면, 상기 세이프 슬라이드가 아래층을 향해 자동으로 전개되어 건물의 각 층을 외부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탈출자의 탈출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03-0086515 A 고층빌딩에서 화재시 탈출기기(장치)
(특허문헌 2) KR10-2011-0005130 A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특허문헌 3) KR10-1615728 B1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서는 건물 내에 별도의 바구니 등을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건물 외벽에 레일을 설치하여야만 하는데 그 레일이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작 필요할 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특허문헌 3의 경우 건물 외부에 라이프 컨테이너 세이프 슬라이드 제1, 2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 등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특허문헌들은 다수의 인원이 한번에 대피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건물 내의 화재 발생시 많은 사람들의 탈출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는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프레임을 통해 건물의 각층에 있는 다수의 인원이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안전하게 1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공간부에는 냉각부의 노즐이 형성되어 사람 이동시 냉각수를 분사하여 건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한 비상탈출 유닛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람들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하여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사람들을 긴급 대피시킬 수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비상탈출시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는 유독가스를 유독가스 제어유닛 통해 제거하여 안전하게 사람들이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통해 건물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동이 이루어져 건물 내의 비상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많은 인원을 신속히 대피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내의 화재 감지센서와 연동하는 소방용수 분사유닛이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유닛을 구성하는 비상탈출 입구로 소방용수가 분사되어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탈출 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로를 확보하여 안전하게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탈출하는 사람들이 각 층의 비상탈출 입구의 상황과 비상탈출 공간부로 이동하는 대파자의 이동 경로 및 비상탈출 유닛의 내부 온도와 같은 비상탈출 유닛의 컨디션을 체크하여 사람들이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탈출 유닛을 구성하는 비상탈출 프레임의 비상탈출 공간부에 조명등을 더 형성하여 대피하는 사람들의 안전 및 심리적인 안정성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프레임을 통해 건물의 각층에 있는 다수의 인원이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안전하게 1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공간부에는 냉각부의 노즐이 형성되어 사람 이동시 냉각수를 분사하여 건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한 비상탈출 유닛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람들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하여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사람들을 긴급 대피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비상탈출시 비상탈출 유닛의 비상탈출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는 유독가스를 유독가스 제어유닛을 통해 제거하여 안전하게 사람들이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통해 건물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동이 이루어져 건물 내의 비상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많은 인원을 신속히 대피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건물 내의 화재 감지센서와 연동하는 소방용수 분사유닛이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유닛을 구성하는 비상탈출 입구로 소방용수가 분사되어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탈출 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로를 확보하여 안전하게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상탈출 유닛을 통해 탈출하는 사람들이 각 층의 비상탈출 입구의 상황과 비상탈출 공간부로 이동하는 대파자의 이동 경로 및 비상탈출 유닛의 내부 온도와 같은 비상탈출 유닛의 컨디션을 체크하여 사람들이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다.
아울러, 비상탈출 유닛을 구성하는 비상탈출 프레임의 비상탈출 공간부에 조명등을 더 형성하여 대피하는 사람들의 안전 및 심리적인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 A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건물(1) 외벽으로 비상탈출을 위한 비상대피 공간(1a)을 확보하여야만 한다.
상기 비상대피 공간(1a)은 건물(1) 내의 복도 끝부분 등에 형성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도어(D)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1)의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장 프레임(12)이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지면에 고정되어 기둥과 같이 버팀대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비상탈출 유닛(20)은 상술한 메인 프레임(10)에 고정 결합하며 건물(1) 내부의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비상탈출 유닛(20)은 원통형의 단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 비상탈출 프레임(21)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스크류 형태의 미끄럼틀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탈출 프레임(21)은 내측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 공간부(21a)를 형성하고 있으며, 외측으로는 단열재(21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건물(1)의 각층별 비상대피 공간(1a)과 비상탈출 프레임(21)을 연결하여 건물(1)에 있는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 입구(22)가 건물(1)의 각층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탈출 입구(22)가 형성된 위치의 1층에는 비상탈출 입구(22)를 통해 비상탈출 프레임(21)을 타고 이동한 대피자가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프레임(21)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비상탈출 출구(2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탈출 입구(22)에는 대피자의 안전을 위해 대피자가 착용할 수 있는 다수의 안전모(C)가 비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냉각부(30)는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에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냉각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저장탱크(33)가 스크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프레임(21) 내측에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0)의 연장 프레임(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33)에는 냉각라인(32) 및 냉각수 순환펌프(34)가 형성되어 있어, 도 3에서와 같이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비상탈출 프레임(21)에 형성된 비상탈출 공간부(21a)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31)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비상탈출 공간부(21a)로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건물(1)에서 화재 발생시에 비상탈출 유닛(20)이 화재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이를 냉각시킬 수 있으면서 비상탈출 공간부(21a)에 물을 공급하여 대피자가 잘 미끄러지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대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발전기(40)는 원료를 매개로 전기를 발생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전원을 공급하는 일반적은 구조로 이루어진 장치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제어부(50)는 건물(1)의 비상대피 공간(1a)과 연결되는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입구(22)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40)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51)와 냉각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냉각수 제어버튼(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51)는 도면에서는 ON/OFF 두개의 버튼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을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은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출구(23)에 형성되어 대피자가 내려오는 반대방향으로 바람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 내에 있는 유독가스의 제거 및 추가 유독가스가 유입되지 않게 구성되며, 이때에,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은 바람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여기서, 유독가스 제어유닛(60) 내에는 필터(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신선한 공기를 비상탈출 유닛(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을 더 형성하여 건물(1)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은 소방용수 물탱크(71)와 소방용수 펌프(72) 및 건물(1)의 비상대피 공간(1a)에서 건물(1) 방향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노즐(3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은 건물(1)에 형성되어 있는 화재 감지센서(SI)에서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소방용수 펌프(72)가 작동하여 건물(1)의 비상대피 공간(1a)에 형성된 소방용수 분사노즐(73)을 통해 건물(1) 방향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함으로써 건물(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비상탈출 유닛(20)과 연결되어 있는 건물(1)의 비상대피 공간(1a)으로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의 소방용수 분사노즐(73)은 각층에 형성되어 있고, 화재 감지센서(SI)도 각층별로 형성되어 있는 만큼 화재가 감지된 층의 소방용수 분사노즐(73)만 작동하도록 별도의 전자제어밸브(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의 소방용수 펌프(71)의 구동은 건물(1) 내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발전기(4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입구(22)에는 카메라(CA)를 더 형성하고,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에는 다수의 사람 감지센서(SO) 및 온도 감지센서(ST)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하는 제어부(50)에는 상기 카메라(CA)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54)와 사람 감지센서(SO)를 통해 감지된 대피자의 위치를 각층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 확인창(55)과 비상탈출 공간부(21a) 내의 각층별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 확인창(56)을 더 구성하여 비상탈출 프레임(21)의 컨디션을 확인하여 대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에는 다수의 조명등(L)을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L)은 LED등과 같이 저전력의 등 또는 이와 다른 형태의 모든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해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예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1) 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감지센서(SI)가 이를 감지하여 건물(1) 자체의 화재 감지에 따른 스프링쿨러 등의 작동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유닛(70)에도 화재 감지센서(SI)의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건물(1) 자체의 전원 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발전기(40)가 구동하여 소방용수 펌프(72)에 전원이 인가되면, 소방용수 펌프(72)가 작동해 소방용수 물탱크(71)에 저장된 소방용수가 화재가 발생한 해당 층에 형성되어 있는 소방용수 분사노즐(73)에 공급되어 건물(1)의 비상대피 공간(1a)에 소방용수를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건물(1)의 해당 층의 사람들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탈출장치(100)와 연결된 비상대피 공간(1a)으로 화재에 대한 피해를 받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다수의 층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해당 층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소방용수 분사노즐(73)에 소방용수가 공급되어 화재 발생 층에 형성된 비상대피 공간(1a)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대피로가 확보된 상태에서 사람들이 비상대피 공간(1a)을 통해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탈출 입구(22)로 이동하게 되면 비상탈출 입구(22)에 비치된 안전모(C)를 착용함과 동시에 제어부(50)의 냉각수 제어버튼(52)과 외기 제어버튼(53)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냉각부(30)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 펌프(34)는 발전기(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냉각수 저장탱크(33), 냉각라인(32) 및 노즐(31)을 통해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한다.
따라서, 비상탈출 프레임(21)이 혹시라도 건물(1) 화재가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이를 냉각시켜 줌으로써 온도 상승에 의한 위험요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비상탈출 공간부(21a) 내에 물을 공급하여 대피자가 스크류 형상으로 배치된 미끄럼틀 형태의 비상탈출 프레임(21)의 이용해 대피할 때에 용이하게 물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다수의 대피자가 긴급 대피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입구(22)에 형성된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은 발전기(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피자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그러면,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입구(22)를 통해 유입되었던 유독가스 및 추가로 유입되는 유독가스는 비상탈출 출구(23)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더 이상 비상탈출 공간부(21a)로 이동하지 못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비상탈출 공간부(21a)를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가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0)에는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각층의 비상탈출 입구(22)에 설치된 카메라(CA)의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54)를 통해 각 층의 비상대피 공간(1a) 및 비상탈출 출구(23)의 상황을 판단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급한 해당층 부터 순서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순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비상탈출 공간부(21a)에 형성된 사람 감지센서(SO)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어부(50)에 위치 확인창(55)이 형성되어 있어 비상탈출 공간부(21a)를 이용해 이동하는 대피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겹치지 않은 선에서 비상탈출 유닛(20)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상탈출 공간부(21a)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센서(ST)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온도 확인창(56)이 형성되어 있어, 건물(1)의 화재로 인해 비상탈출 유닛(20)의 비상탈출 프레임(21)의 온도 상태를 체크하여 비상탈출 유닛(2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 공간부(21a)에는 조명등(L)이 설치되어 있어 대피자가 주변 환경을 살피면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심리적인 안정성을 형성하여 대피시 불안정한 심리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물(1)의 외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자체 전원인 발전기(40)를 이용하여 모든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건물(1)의 화재 등의 비상발생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많은 인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 : 건물 1a : 비상대피 공간 C : 안전모 SI : 화재 감지센서 D : 도어
10 : 메인 프레임
11 : 지지 프레임 12 : 연장 프레임
20 : 비상탈출 유닛
21 : 비상탈출 프레임 21a : 비상탈출 공간부 21b : 단열재
22 : 비상탈출 입구 23 : 비상탈출 출구
30 : 냉각부
31 : 노즐 32 : 냉각라인 33 : 냉각수 저장탱크 34 : 냉각수 펌프
40 : 발전기
50 : 제어부
51 : 전원스위치 52 : 냉각수 제어버튼 53 : 외기 제어버튼
54 : 모니터 55 : 위치 확인창 56 : 온도 확인창
60 : 유독가스 제어유닛
70 : 소방용수 분사유닛
71 : 소방용수 물탱크 72 : 소방용수 펌프 73 : 소방용수 분사노즐
CA : 카메라 SO : 사람 감지센서 ST : 온도 감지센서 L : 조명등
100 :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laims (5)

  1. 위급 상황시 건물(1)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각층별로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비상대피 공간(1a)에 연결 설치하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1)과 상기 지지 프레임(1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0);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고정 지지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비상탈출 공간부(21a)를 형성하고 상기 비상탈출 공간부(21a) 외측으로 단열재(21b)가 시공되어 있는 비상탈출 프레임(21)과, 상기 비상탈출 프레임(21) 중 각 층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대피 공간(1a)과 연결되는 비상탈출 입구(22) 및 1층에 형성되는 비상탈출 출구(23)로 이루어진 비상탈출 유닛(20);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31)과 상기 노즐(31)에 물을 공급하는 냉각라인(32)과 상기 냉각라인(32)으로 냉각수 저장탱크(33)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펌프(34)로 이루어진 냉각부(30);
    전원공급을 위한 발전기(40);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의 각층별로 형성되어 있는 비상탈출 입구(22) 측에 형성되며, 발전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1) 및 냉각부(30)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 제어버튼(52)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비상탈출 입구(22)에는 카메라(CA)를 더 형성하고,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에는 다수의 사람 감지센서(SO) 및 온도 감지센서(ST)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부(50)에는 상기 카메라(CA), 사람 감지센서(SO) 및 온도 감지센서(ST)에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니터(54), 위치 확인창(55) 및 온도 확인창(5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탈출 출구(23) 측에는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에 공기를 불어 넣어 유독가스가 비상탈출 공간부(21a)에 존재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50)에는 유독가스 제어유닛(60)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 제어버튼(5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연장 프레임(12) 인근에 설치되는 소방용수 물탱크(71)와 소방용수 펌프(72) 및 건물(1)의 각층에 형성된 비상대피 공간(1a)에 형성되어 건물(1) 방향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용수 분사노즐(73)로 이루어진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소방용수 분사유닛(70)은 건물(1) 내의 화재 감지센서(SI)에 의해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 유닛(20)에 형성된 비상탈출 프레임(21)의 비상탈출 공간부(21a)에는 조명등(L)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180028136A 2018-03-09 2018-03-0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86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36A KR101863067B1 (ko) 2018-03-09 2018-03-0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36A KR101863067B1 (ko) 2018-03-09 2018-03-0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067B1 true KR101863067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36A KR101863067B1 (ko) 2018-03-09 2018-03-09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0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00B1 (ko) 2018-12-03 2019-06-25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나선형 미끄럼틀 시공방법
KR101997696B1 (ko) 2018-07-12 2019-07-09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1970146B1 (ko) 2018-12-03 2019-08-23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037771B1 (ko) 2019-04-26 2019-10-29 신호원 공동주택의 비상용 실내건축물의 전기제어시스템
KR102046813B1 (ko) * 2019-03-18 2019-11-26 주식회사 씨앤티 화염 차폐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2078719B1 (ko) * 2018-09-21 2020-02-18 주식회사 에프디솔루션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KR102108323B1 (ko) 2019-02-07 2020-05-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상황에서 활용하는 비밀계단 시스템
KR102115319B1 (ko) 2019-03-29 2020-05-26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설치가 용이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156937B1 (ko) 2019-03-30 2020-09-1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상황시 나타나는 미끄럼틀 타입의 대피통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CN2513602Y (zh) * 2001-11-29 2002-10-02 江伯聪 螺旋逃生装置
KR200344310Y1 (ko) * 2003-12-19 2004-03-09 신재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0826335B1 (ko) * 2000-11-20 2008-05-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설계방법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CN204671757U (zh) * 2015-05-15 2015-09-30 华侨大学 一种多功能公共建筑物地震应急逃生滑梯
CN105816966A (zh) * 2016-03-25 2016-08-03 苏州萃智新技术开发有限公司 阻燃螺旋式救生滑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KR100826335B1 (ko) * 2000-11-20 2008-05-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설계방법
CN2513602Y (zh) * 2001-11-29 2002-10-02 江伯聪 螺旋逃生装置
KR200344310Y1 (ko) * 2003-12-19 2004-03-09 신재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CN204671757U (zh) * 2015-05-15 2015-09-30 华侨大学 一种多功能公共建筑物地震应急逃生滑梯
CN105816966A (zh) * 2016-03-25 2016-08-03 苏州萃智新技术开发有限公司 阻燃螺旋式救生滑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513602(2002.10.02.) 1부.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96B1 (ko) 2018-07-12 2019-07-09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078719B1 (ko) * 2018-09-21 2020-02-18 주식회사 에프디솔루션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KR101992700B1 (ko) 2018-12-03 2019-06-25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나선형 미끄럼틀 시공방법
KR101970146B1 (ko) 2018-12-03 2019-08-23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108323B1 (ko) 2019-02-07 2020-05-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상황에서 활용하는 비밀계단 시스템
KR102046813B1 (ko) * 2019-03-18 2019-11-26 주식회사 씨앤티 화염 차폐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2115319B1 (ko) 2019-03-29 2020-05-26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설치가 용이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156937B1 (ko) 2019-03-30 2020-09-1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상황시 나타나는 미끄럼틀 타입의 대피통로
KR102037771B1 (ko) 2019-04-26 2019-10-29 신호원 공동주택의 비상용 실내건축물의 전기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067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KR101552803B1 (ko) 고층 건물의 신속 탈출구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WO2012107005A1 (zh) 建筑物火灾逃生系统及避难仓
US20100163339A1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0701790B1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20090009138U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WO2008122191A1 (fr) Cabine repliable faisant office d'abri en cas d'incendie se déplaçant en suspension pour une utilisation en intérieur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2380406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20130123224A (ko)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KR101796701B1 (ko)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