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06B1 -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06B1
KR102380406B1 KR1020210157983A KR20210157983A KR102380406B1 KR 102380406 B1 KR102380406 B1 KR 102380406B1 KR 1020210157983 A KR1020210157983 A KR 1020210157983A KR 20210157983 A KR20210157983 A KR 20210157983A KR 102380406 B1 KR102380406 B1 KR 10238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unit
elev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우
Original Assignee
홍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우 filed Critical 홍성우
Priority to KR102021015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홈부; 소방호스를 거치하여 건축물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창문을 파쇄하여 상기 소방호스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수를 고층 건축물의 실내에 공급하는 소화부; 상기 승강부와 건축물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승강부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승강구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 및 건축물의 창문을 통해 화염이 토출되면서 상기 승강부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거나 상기 가이드홈부가 파손되어 상기 승강부가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탈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을 상기 승강구동부에 공급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Fire suppression device for building fire fighting}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를 사용한 소방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고층 건물 내부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된 층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층으로 이동하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고층 건축물의 상부까지 소방호스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창문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상황이거나 폭발에 의해 가이드홈부가 변형 또는 파손된 경우에 승강부를 건축에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승강구구동부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승강부가 건축물과 분리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시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호텔, 아파트 및 사무용 건물 등의 고층건물에는 많은 재산피해와 함께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건물의 상부(고층)에 거주하는 인원들의 경우에는 구조용 헬기나 고가 사다리 차량 등의 구조장비의 도움 없이는 건물에서 탈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화재진압은 자체 소방시설이나 고가사다리차에 의존해야한다.
한편, 고가 사다리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차량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등에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활용에는 일정소요시간이 걸리게 됨으로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의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방작업을 행하는 다수의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6452호(2007년 5월 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고층건물 진입 및 화재진압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장치는, 지면에 직립되는 지지대가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지지대 상부에 탑승한 작업자가 소방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7층 이상의 고층 건물의 상부로는 지지대가 연장되기 어렵고, 화재가 발생된 고층으로 작업자가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상부에는 소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을 따라 상승되는 승강부를 적용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외벽 창문을 통해 화염이 토출되는 경우에 건축물 외벽을 따라 상승 또는 이동되는 승강부가 화염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사다리를 사용한 소방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고층 건물 내부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된 층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층으로 이동하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고층 건축물의 상부까지 소방호스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창문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상황이거나 폭발에 의해 가이드홈부가 변형 또는 파손된 경우에 승강부를 건축에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승강구구동부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승강부가 건축물과 분리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홈부; 소방호스를 거치하여 건축물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창문을 파쇄하여 상기 소방호스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수를 고층 건축물의 실내에 공급하는 소화부; 상기 승강부와 건축물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승강부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승강구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 및 건축물의 창문을 통해 화염이 토출되면서 상기 승강부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거나 상기 가이드홈부가 파손되어 상기 승강부가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탈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을 상기 승강구동부에 공급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통과홀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승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므로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상기 소방호스를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화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통과홀부에 설치되는 상기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통과홀부에 굴곡되게 설치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대 및 고정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대; 상기 돌출대에 설치되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롤러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기 가이드홀부를 따라 상승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승강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부재의 배치방향을 가변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는, 자체 동력을 구비하는 승강부의 작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건축물의 상부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소방호스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기계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어 화재진압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는, 승강부가 소방호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고층부 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와 건축물을 연결하는 승강구동부가 구비되므로 승강부가 건축물의 외벽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된 화재진압 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는, 승강구동부를 승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 및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을 이용하여 승강구동부와 승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가 구비되므로 건물 외측으로 토출되는 화염이나 가이드홈부의 파손에 의해 승강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가 이동하기 어려운 상황일 때에 착탈부 및 분리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와 승강구동부를 분리시키고, 승강부만의 작동에 의해 소방호스가 화재발생 구역으로 상승 또는 이동될 수 있어 열악한 상황의 화재진압 현장에서 소화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화재진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승강구동부 및 분리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승강구동부 및 분리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는, 건축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홈부(10)와, 소방호스(72)를 거치하여 건축물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승강부(50)와, 승강부(50)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창문을 파쇄하여 소방호스(72)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수를 고층 건축물의 실내에 공급하는 소화부(70)와, 승강부(50)와 건축물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승강부(50)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90)와, 승강부(50)와 승강구동부(9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180)와, 건축물의 창문을 통해 화염이 토출되면서 승강부(50)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거나 가이드홈부(10)가 파손되어 승강부(50)가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 착탈부(180)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소방호스(72)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을 승강구동부(90)에 공급하여 승강구동부(90)와 승강부(50)를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170)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층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승강부(50)에 일체로 설치되는 승강구동부(90)를 가이드홈부(10)에 삽입하고, 승강부(50)에 소방호스(72)를 거치시킨 후에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를 구동시켜 화재 발생 높이 까지 상승시킨 후에 소화부(70)를 구동시켜 화재가 발생된 고층 건축물의 실내에 소방수 및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방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드론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부(50)의 작동에만 의존하지 않고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이동되는 동력이 승강구동부(90)에 의해 제공되므로 본 실시예의 승강부(50)는 보다 용이하게 상승 또는 이동되면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승강구동부(90)가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되므로 승강부(50)가 상승되는 작동 중에 바람 등의 외력이 승강부(50)에 작용하여도 승강부(50)가 건축물의 외측으로 이격되지 않고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상승하면서 화재 지점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승될 수 있어 고층 건축물의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실내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화재감지센서(102)와, 화재감지센서(102)로부터 수신되는 화재신호에 따라 화재발생 위치를 판단하여 승강부(50) 및 소화부(7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00)와, 승강부(50)에 설치되고 승강부(50)가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된 후에 건축물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신호를 제어부(100)에 송신하는 온도감지센서(8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작업자가 슬라이딩 연결부(90)를 가이드홈부(10)에 삽입하여 승강부(50)를 구동시키면 제어부(100)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가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50)가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된 후에 온도감지센서(84)에 의해 화재 발생이 확인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소화부(70)가 작동되어 화재가 발생된 고층 건축물의 창문을 파쇄하고, 소방호스(72)를 개방시켜 실내로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가이드홈부(10)는, 건축물의 외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면으로부터 건축물의 옥상까지 연장되는 수직홈부(12)와, 수직홈부(12)와 직교되도록 건축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평홈부(14)를 포함하므로 슬라이딩 연결부(90)를 수직홈부(12)에 삽입하여 구동시키면 슬라이딩 연결부(90) 및 승강부(50)가 수직홈부(12)를 따라 화재 발생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수직홈부(12)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수평홈부(14)를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확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화재 발생 지점을 지나 측 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30)를 더 포함하고, 차단부(30)는, 고층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를 구획하는 슬래브 및 건축물 같은 층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시공되는 격벽 형성되는 공간부에 대향되도록 수직홈부(12) 및 수평홈부(14)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출몰홀부(32)와, 출몰홀부(32)를 통해 돌출되면 슬라이딩 연결부(90)가 수직홈부(12) 및 수평홈부(14)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패널(34)과, 슬래브 또는 격벽에 설치되고 차단패널(34)을 출몰시키는 출몰실린더(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90)가 지나는 통로에 형성되는 출몰홀부(32)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36)는 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통로를 개방하고, 슬라이딩 연결부(90)가 지나지 않을 통로에 배치되는 출몰홀부(32)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36)는 실린더 외부로 로드가 돌출되어 차단패널(34)을 출몰홀부(32)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예를 들어 47층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47층과 48층을 구획하는 슬래부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36)로부터 로드를 돌출시켜 차단패널(34)이 수직홈부(12)를 폐쇄하게 되므로 슬라이딩 연결부(90)가 48층까지 상승하지 못하고 차단패널(34)에 의해 구속되고, 47층까지 상승된 승강부(50)는 수평홈부(14)를 통해 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화재 발생 지점이 47층의 7호인 경우에는 7호와 8호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3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차단패널(34)이 수평홀부를 폐쇄하게 되므로 측 방향으로 이동하던 슬라이딩 연결부(90)는 차단패널(34)에 의해 7호의 창문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승강부(50)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측 방향으로 필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재 발생 지점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승강부(50)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통과홀부(52a)가 구비되는 본체(52)와, 본체(52)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54)와, 연장대(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승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57)를 포함하므로 무인 비행물체인 드론을 이루게 되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본체(52) 설치되는 구동부가 작동되고, 본체(52)에 거치되는 소방호스(72)를 화재 발생 지점까지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52)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소방호스(72)가 통과되는 통과홀부(52a)가 형성되고, 본체(52) 상면 일측에는 소방호스(72)에 설치되는 노즐부재(76)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대(56) 및 고정커버(58)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화재 발생 시에 소방호스(72)를 통과홀부(52a)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소방호스(72)에 설치되는 노즐부재(76)를 지지대(56)에 안착시킨 후에 지지대(56)와 고정커버(58)를 결합시켜 노즐부재(76)가 본체(52)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소화부(70)는, 본체(52)의 통과홀부(52a)에 설치되는 소방호스(72)와, 소방호스(72)가 연결되고 통과홀부(52a)에 굴곡되게 설치되는 힌지연결부(74)와, 힌지연결부(74)에 설치되어 소방호스(72)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대(56) 및 고정커버(58)에 의해 고정되는 노즐부재(76)를 포함한다.
따라서 힌지연결부(74)가 본체(52)에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소방호스(72) 및 노즐부재(76)를 통과홀부(52a)에 삽입하여 지지대(56)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생략하고, 힌지연결부(74), 노즐부재(76) 및 지지대(56)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52) 저면에 소방호스(72)를 볼트 결합 방식으로 연결한 후에 승강부(50)를 구동시켜 상승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재 진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52)의 상면 양측에는 타격부(82) 및 온도감지센서(84)가 설치되므로 본체(52)가 화재 방생 지점까지 이동된 후에는 온도감지센서(84)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타격부(82)로부터 발사되는 분쇄부재와 창문이 충돌되면서 화재 발생 지점의 창문이 파쇄된다.
이후에,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노즐부재(76), 힌지연결부(74) 또는 소방호스(72)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04)가 개방되면 소방호스(72)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 또는 소화액이 노즐부재(76)를 통해 실내에 분사되면서 화재 진압 작동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부(90)는, 본체(5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블록(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대(92)와, 돌출대(92)에 설치되는 구동케이스(94)와, 구동케이스(9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홈부(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부재(96)와, 롤러부재(96)에 동력을 제공하여 롤러부재(96)가 회전되면서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를 가이드홀부(10)를 따라 상승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모터(96b)와, 승강부(50)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롤러부재(96)의 배치방향을 가변시키는 방향전환부(98)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던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가 수평방향으로 진행방향을 전환시킬 때에는 방향전환부(98)의 작동에 의해 롤러부재(96)의 배치방향이 전환되어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방향전환부(98)는, 구동케이스(94)에 설치되는 전환모터(98a)와, 전환모터(98a)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98b)와, 제1기어(98b)와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98c)와, 제2기어(98c)의 외축에 연결되는 돌출대(92)와, 본체(52)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블록(51)에 삽입되어 돌출대(92)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블록(98d)과, 회전블록(98d)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돌출대(92)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속부(99)를 포함한다.
따라서 롤러부재(96)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킬 때에는 전환모터(98a)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블록(98d)을 90도 회전시키고, 구속부(99)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98d)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켜 롤러부재(96)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승강구동부(90) 및 승강부(5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속부(99)는, 돌출블록(51)에 설치되는 구속실린더(99a)와, 구속실린더(99a)로부터 돌출되는 로드부재에 설치되는 고정홈블록(99b)과, 고정홈블록(99b)에 삽입되어 회전블록(98d)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도록 회전블록(98d)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속돌기(99a)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환모터(98a)의 작동에 의해 돌출대(92)가 회전되면 롤러부재(96)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롤러부재(96)의 구동에 의해 승강구동부(90)가 이동되는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고, 돌출대(92) 및 회전블록(98d)이 회전된 후에 구속실린더(99c)로부터 로드부재가 돌출되면 고정홈블록(99b)에 구속돌기(99a)가 삽입되면서 회전블록(98d) 및 돌출대(92)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롤러부재(96)의 배치방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소방수가 분사되는 압력의 일부분을 제공하여 본체(52)를 건축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분리구동부(170)를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의 분리구동부(170)는, 소방호스로부터 분기되어 제1출몰대(132) 내측으로 연장되는 분기관(172)과, 분기관(172)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돌출블록(51) 내부로 소방수의 일부분을 공급하는 분기밸브(17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52)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분기밸브(174)가 개방되어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의 일부분이 돌출블록(51)의 내측으로 충진되면서 돌출블록(51)이 건축물 측으로 돌출되어 본체(52)를 건축물 외측으로 밀어내어 돌출블록(51)과 본체(52)를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승강구동부(90)가 화염 또는 폭발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에 승강구동부(90)를 본체(52)로부터 분리시키고, 본체(52)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구동에 의해 본체(52)가 비행하면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1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부(50)가 프로펠러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가이드홈부(10)를 따라 화재 발생 지점에 인접하게 이동된 후에 가이드홈부(10)의 파손에 의해 승강구동부(90)를 따라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에 착탈부(180)의 작동에 의해 승강구동부(90)와 본체(52)를 분리시킨 후에 프로펠러의 구동력에 의해 본체(52)가 비행하면서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180)는, 본체(52)의 홀부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182)과, 걸림편(182)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84) 측으로 구속로드(188)가 삽입되어 걸림편(182)을 구속하도록 본체(52)의 홀부 테두리에 설치되고, 걸림홈부(184) 측으로 구속로드(188)가 출몰되는 구속실린더(186)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구속실린더(186)로부터 구속로드(188)가 돌출되어 걸림편(182)의 걸림홈부(18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구동부(90)와 본체(52)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구속로드(188)가 구속실린더(186)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림편(182)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배기관(176)으로부터 토출되는 소방수 또는 소화액의 수압에 의해 돌출블록(51)이 본체(52) 외측으로 유실되면서 분리되어 본체(52)와 승강구동부(90)의 연결이 해제되고, 본체(52)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구동력에 의해 본체(52)가 비행하면서 화재 발생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다리를 사용한 소방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고층 건물 내부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된 층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층으로 이동하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고층 건축물의 상부까지 소방호스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창문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상황이거나 폭발에 의해 가이드홈부가 변형 또는 파손된 경우에 승강부를 건축에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승강구구동부의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승강부가 건축물과 분리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화재진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이드홈부 12 : 수직홈부
14 : 수평홈부 30 : 차단부
32 : 출몰홀부 34 : 차단패널
36 : 출몰실린더 50 : 승강부
52 : 본체 52a : 통과홀부
54 : 연장대 56 : 지지대
57 : 프로펠러 58 : 고정커버
70 : 소화부 72 : 소방호스
74 : 힌지연결부 76 : 노즐부재
82 : 타격부 84 : 온도감지센서
90 : 승강구동부 92 : 돌출대
94 : 구동케이스 96 : 롤러부재
96a : 베어링 96b : 구동모터
98 : 방향전환부 98a : 전환모터
98b : 제1기어 98c : 제2기어
98d : 회전블록 99 : 구속부
99a : 구속돌기 99b : 고정홈블록
99c : 구속실린더 100 : 제어부
102 : 화재감지센서 104 : 개폐밸브
150 : 모션감지부 170 : 분리구동부
172 : 분기관 174 : 분기밸브
180 : 착탈부 182 : 걸림편
184 : 걸림홈부 186 : 구속실린더
188 : 구속로드

Claims (4)

  1. 건축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홈부;
    소방호스를 거치하여 건축물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창문을 파쇄하여 상기 소방호스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수를 고층 건축물의 실내에 공급하는 소화부;
    상기 승강부와 건축물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승강부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승강구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 및
    건축물의 창문을 통해 화염이 토출되면서 상기 승강부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거나 상기 가이드홈부가 파손되어 상기 승강부가 이동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착탈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을 상기 승강구동부에 공급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통과홀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승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므로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상기 소방호스를 화재 발생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통과홀부에 설치되는 상기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통과홀부에 굴곡되게 설치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대 및 고정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대;
    상기 돌출대에 설치되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롤러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승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승강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부재의 배치방향을 가변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0210157983A 2021-11-16 2021-11-16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38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83A KR102380406B1 (ko) 2021-11-16 2021-11-16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83A KR102380406B1 (ko) 2021-11-16 2021-11-16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06B1 true KR102380406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83A KR102380406B1 (ko) 2021-11-16 2021-11-16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928B1 (ko) 2022-05-02 2022-07-06 주식회사 신담엔지니어링 고층 빌딩에서의 소방 시스템
KR102471199B1 (ko) * 2021-11-17 2022-11-25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531625B1 (ko) * 2022-07-29 2023-05-1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799A (ja) * 2003-09-16 2007-03-15 コーチャギン・パヴェル・ヴラディミロヴィッチ 高層ビルでの消火活動、救助および建設のための機材
KR101112611B1 (ko) * 2011-04-13 2012-03-15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고층소화설비장치
KR101755263B1 (ko) * 2016-10-31 2017-07-07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759723B1 (ko) * 2016-11-25 2017-07-19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944316B1 (ko) *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799A (ja) * 2003-09-16 2007-03-15 コーチャギン・パヴェル・ヴラディミロヴィッチ 高層ビルでの消火活動、救助および建設のための機材
KR101112611B1 (ko) * 2011-04-13 2012-03-15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고층소화설비장치
KR101755263B1 (ko) * 2016-10-31 2017-07-07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759723B1 (ko) * 2016-11-25 2017-07-19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944316B1 (ko) *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199B1 (ko) * 2021-11-17 2022-11-25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417928B1 (ko) 2022-05-02 2022-07-06 주식회사 신담엔지니어링 고층 빌딩에서의 소방 시스템
KR102531625B1 (ko) * 2022-07-29 2023-05-1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406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75972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863067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20130123224A (ko)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982659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102162840B1 (ko)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KR20140046214A (ko) 연무 차단 장치
KR101796701B1 (ko)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102471199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2360934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감지장치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102531625B1 (ko)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JP5016879B2 (ja) 立体駐車場装置
JP6800373B2 (ja) エレベータの手挟み防止用安全装置
KR20110135256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